KR20230092742A - 원단의 연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단 - Google Patents

원단의 연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742A
KR20230092742A KR1020220158898A KR20220158898A KR20230092742A KR 20230092742 A KR20230092742 A KR 20230092742A KR 1020220158898 A KR1020220158898 A KR 1020220158898A KR 20220158898 A KR20220158898 A KR 20220158898A KR 20230092742 A KR20230092742 A KR 2023009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abrics
unit
pretreatment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현
이명
안승현
유다영
김원
한경석
박종원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3009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의 연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위 원단이 공급되는 공정에서, 공급 중인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상기 제1 원단에 이어 공급되는 제2 원단의 일 말단을 열선 커팅으로 전처리하여 평평하고 크기와 형태가 동일한 절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단면끼리 맞대어 열접합시켜 원단들을 연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원단의 연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단의 연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단 {METHOD FOR CONNECTING NON-WOVEN FABRIC AND NON-WOVEN FABRIC HAVING THERMAL BONDING SURFACE THEREFROM}
본 발명은 천, 융단 등의 경량의 원단과 부직포와 같은 고중량의 원단을 포함하는 원단의 연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열 접합면을 가지는 원단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방적, 제직, 편성에 의한 공정없이 섬유집합체를 화학적 작용이나 기계적 작용 또는 적당한 수분과 열처리에 의해 섬유 상호간을 결합하여 포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한 섬유제품이다. 특히, 연사, 제직, 편직 등의 공정 없이도 각종 섬유를 상호 특성에 따라 엉키게하여 웹(Web)을 형성한 후 기계적 방법 또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섬유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부직포는 사용하는 원료의 종류, 웹(Web)의 생성과 결합방법, 접착제 종류 등에 의하여 다양한 성질을 나타낼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의류용 패딩재, 방음시트, 유리섬유매트로 사용 가능한 단열/방음성, 열 성형에 용이한 성형성, 미세한 다밀성 구조로 인한 흡수성, 전선용 피복재료로 이용 가능한 절연성,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방전성 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섬유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어 방향에 따른 성질의 차이가 적고, 외관 및 촉감이 다양한 섬유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두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고, 주름이 생기지 않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의류용,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용, 자동차 내외장재용, 각종 칸막이용 보드용 등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상기 웹(Web)의 형성방식에 따라 습식법, 건식법으로 나뉘며, 형성된 웹의 결합방식에 따라 니들펀칭법(Needle punching), 열접착법(Thermal Bonding), 멜트블로법, 스펀레이스법, 스테치본드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연결 후 권취되어 제품화되게 된다.
기존에는 부직포를 연결하기 위해 오버로크(overlock), 부직포 테이프 또는 PET 테이프와 같은 테이프 부착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부직포 연결 방법은 부직포를 겹쳐서 연결하거나, 맞대기를 하여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재료의 손실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부직포와 같은 고중량 원단은 겹쳐서 오버로크를 하기가 어려우므로 배치 형태로, 후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부직포 연결은 주로 연속공정 보다는 배치공정으로 수행되었으나, 이 경우, 공정의 연속성이 떨어지고 재료 손실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공정 효율을 개선하고, 부직포 등의 원단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원단 연결 방법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33774호 일본공개특허 제10-2016-5256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 효율이 개선되고, 원단 소모량이 감소된 원단 연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단 연결 방법으로서, (S1) 상기 다수의 단위 원단 중 인접한 두 개의 단위 원단을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이라 하고, 상기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상기 제1 원단에 이어 공급되는 제2 원단의 일 말단에 열을 가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및 (S2) 상기 전처리된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제2 원단의 일 말단을 맞대어 열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단의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처리는 상기 제1 원단의 일 말단 및 제2 원단의 일 말단에 열을 가하여 가열된 상태의 절단면이 되도록 하되, 상기 절단면들은 서로 맞대기 하였을 때 여백 없이 일치하도록, 크기, 형상 및 평평한 정도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는 열선 또는 열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원단 일 말단 및 제2 원단의 일 말단에 열을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 후 곧바로 상기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제2 원단의 일 말단을 맞대어 열접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전처리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절단면을 재가열하고 맞대어 열접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 온도는 200℃ 내지 40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단위 원단이 연결된 원단으로서, 상기 단위 원단 사이에 열융착으로 접합된 접합면을 포함하는 원단을 제공한다.
상기 접합면은 인접한 단위 원단이 맞대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합면은 인접한 단위 원단 간의 높이 편차가 0 내지 1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접합면 사이의 인장 강도는 상기 단위 원단의 인장 강도 대비 3 내지 1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접합면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원단은 열가소성 원단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원단은 부직포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원단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열 접합면을 가지는 원단을 포함하는 성형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원단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인접한 단위 원단의 말단에 열을 가하여 전처리하여, 평평하고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한 절단면들로 만들어 이들 절단면끼리 맞대기 한 후 열접합시켜 원단을 연결시킬 경우, 공정을 중단하지 않고도 복수의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 원단 말단들을 맞대기 하여 연결시키므로, 종래 겹치기 방식으로 단위 원단을 연결하는 방법에 비해 원단이 손실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원단 공급 공정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연결되는 원단들의 말단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원단들의 일 말단이 전처리된 후 맞대기 하여 열접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구체예는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단위 원단”은 복수의 원단들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사용된 단위 원단들 중 각각의 단위 원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들은 동일한 형태일 수 있고, 후술하는 열융착으로 접합이 가능하다면 서로 상이한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은 복수의 단위 원단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사용된 복수의 단위 원단 중 인접한 단위 원단을 구분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을 포함하는 2개의 단위 원단만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원단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원단이 연결된 원단으로서, 상기 단위 원단 사이에 열융착으로 접합된 열 접합면을 포함하는 원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연결되는 원단들의 말단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측에 있는 단위 원단인 제1 원단(10)과 우측에 있는 단위 원단인 제2 원단(20)이라 할 때, 상기 접합면은 인접한 단위 원단인 제1 원단(10)과 제2 원단(20)이 맞대어 접합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접합면은 필요에 따라서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은, 상기 단위 원단들의 일 말단이 열에 의해 동일한 절단면의 방향으로 맞대어 열접합되므로 원단들의 정렬이 틀어지는 문제를 조절할 수 있어, 인접한 단위 원단 간의 높이 편차가 0 내지 1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0%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은, 맞대어지는 원단의 맞대기 열접합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서, 상기 접합면 사이의 인장 강도는 상기 단위 원단의 인장 강도 대비 3% 이상, 10% 이상, 20% 이상, 50% 이상, 80% 이상 일 수 있으며, 100% 이하 일 수 있다. 이렇게 단위 원단의 인장 강도와 접합면의 인장 강도에 차이가 적기 때문에, 제조된 원단의 어느 부위를 사용하더라도 동등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은 열가소성 원단인 것일 수 있으며, 부직포의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섬유로는 열처리에 의하여 서로 열융착이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섬유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PP)로는 당해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평균 길이는 30~1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의 평균 길이가 30mm 미만인 경우, 섬유의 길이가 짧아 연신율이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150 mm를 초과하는 경우, 서로 엉클어지는 섬유의 함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코어층의 틈이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150 mm를 초과하는 경우, 코어층의 제조 시, 섬유의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코어층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섬유는 강도(tenacity)가 3.0 이상이고, 섬도가 3.0 내지 4.0g/denier 범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원단의 연결 방법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원단들이 공급되는 공정에서, 원단들을 연결하는 연속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원단을 이용한 제품 양산 공정에 공급되는 원단 연결 방법으로서, 상기 원단 연결 방법은, (S1) 상기 복수의 단위 원단 중 인접한 두 개의 단위 원단을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이라 하고, 상기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상기 제1 원단에 이어 공급되는 제2 원단의 일 말단에 열을 가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및 (S2) 상기 전처리된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제2 원단의 일 말단을 맞대어 열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축적기 및 원단 연폭 설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축적기 및 원단 연폭 설비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축적기는 원단 연결 시 지속적인 설비 가동을 위해 원단을 축적하고, 연결 시 원단이 늘어나지 않게 버퍼 역할을 해 줄 수 있다. 상기 원단 연폭 설비는 연결과 커팅을 위한 열선과 열판을 포함할 수 있고, 원단과 원단을 정렬하고, 붙이기 위해 밀어주는 기능까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연결 방법은 연결되는 단위 원단들의 일 말단이 가능한 평평하고 크기와 형태가 동일한 절단면으로 형성되어 열접합되므로 별도의 후 공정이 필요 없어 연속 공정이 가능하므로, 공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란 원단의 절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열선 커팅 처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원단들의 말단들은 맞대기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원단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도 있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는, 상기 양산 공정에 공급되는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상기 제1 원단에 이어 공급되는 제2 원단의 일 말단에 열을 가하여 전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원단과 제2 원단은 복수의 원단들 중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는 원단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연결방법에서 사용되는 원단이 제1 원단과 제2 원단의 2개의 원단에 국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원단들은 모두 인접한 원단끼리 서로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정 중에 공급되고 있는 원단을 사용 원단인 제1 원단(10)이라고 하고, 제1 원단(10)에 연결 예정인 대기 원단을 제2 원단(20)이라 한다.
서로 연결되는 제1 원단(10)의 일 말단과 제2 원단(20)의 일 말단은 그 크기와 형상이 상이할 수 있고, 평평한 정도도 다를 수 있다. 제1 원단(10)의 일 말단과 제2 원단(20)의 일 말단을 맞대기 하여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말단들을 맞대었을 때 틈이 없이 일치하여야 한다.
이에, 제1 원단(10)의 일 말단과 제2 원단(20)의 일 말단에 열을 가하여 가열된 상태의 절단면이 되도록 하되, 상기 절단면들은 서로 맞대기 하였을 때 여백 없이 일치하도록, 크기, 형상 및 평평한 정도가 가능한 동일하도록 전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시, 열선 커팅 처리하기 위한 수단은 열선 또는 열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선은 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 커팅시 가해지는 온도는 150℃ 내지 40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0℃ 이상, 180℃ 이상 또는 200℃ 이상일 수 있고, 250℃ 이하, 300℃ 이하, 350℃ 이하, 또는 4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가열 온도가 150℃ 미만이면 열접합되어 연결된 원단의 인장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400℃ 초과이면 원단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원단의 종류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가열 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시간은 1초 내지 20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초 이상, 3초 이상 또는 5초 이상일 수 있고, 15초 이하, 18초 이하 또는 20초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가열 시간이 1초 미만이면 열접합되어 연결된 원단의 인장 강도가 저하도리 수 있고, 20초 초과이면 원단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원단의 종류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가열 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는, 상기 전처리된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제2 원단의 일 말단을 맞대어 열접합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원단들의 일 말단이 전처리된 후 맞대기 하여 열접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원단 연결 방법에 있어서 열접합시키는 시기는, 상기 전처리에 의해 열선 커팅된 절단면이 형성된 직후 바로 절단면들을 맞대어 열접합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처리에 의해 절단면을 형성한 직후 맞댈 경우 열접합되는 원단들의 폭 정렬이 틀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설비가 단순해지며, 소모성 부품이 줄어들어 원단 연결 설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처리에 의해 열선 커팅된 절단면이 형성되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 상기 절단면들의 온도가 저하되면 상기 절단면들을 재가열하고 맞대어 열접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처리에 의해 절단면을 형성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 재가열하여 맞댈 경우, 맞대어지는 절단면에 균일하게 열을 가해지므로, 맞대어지는 원단의 맞대기 열접합 효율이 높아지고, 연결된 원단의 기계적 물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가열 후 맞대는 공정에서는, 재가열 후 방치하는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재가열 후 2초 이내에 맞대어 열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재가열 온도 및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열선 커팅 시의 온도 및 시간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단 연결 방법은 열접합 방법을 사용하므로, 열가소성 원단에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인 열가소성 원단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가열 온도, 즉, 150℃ 내지 400℃의 범위에서 열접합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원단은 부직포일 수 있으며, 부직포 중에서도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소재 특성상 접합이 불가하므로, 상기 열가소성 원단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원단의 크기 중량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원단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단은 경량 원단 및/또는 중량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량 원단은 천 또는 융단일 수 있으며, 상기 중량 원단은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성형체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열 접합면을 가지는 원단으로 제조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체는 상기 열 접합면을 가지는 원단을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단을 열압축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압축 성형 시의 조건은 성형체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10 내지 100 MPa의 조건에서 열압축 성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압축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원단은 보드상의 성형체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성형체는 단열재, 방호재, 절연재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200 gsm의 부직포(우리페트, PET부직포,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2개를 준비하여, 각각 제1 부직포 및 제2 부직포라 하였다.
원단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시간을 공정인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할 수 있도록 시간을 확보해주는 축적기 및 복수의 원단을 공급하며 연결하는 원단 연폭 설비에 의해 부직포를 공급하는 공정에서, 제1 부직포의 일 말단과 제2 부직포의 일 말단을 와이어를 포함하는 열선을 이용하여 250℃에서 15초(s) 동안 열선 커팅하여 전처리 하였다. 그 후, 상기 전처리된 제1 부직포의 일 말단과 제2 부직포의 일 말단을 맞대어 열접합시켜, 제1 부직포 및 제2 부직포를 연결하였다.
실시예 2
250℃에서 15초(s) 동안 열선 커팅하여 전처리 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부직포 및 제2 부직포를 연결하였다.
실시예 3
300℃에서 5초(s) 동안 열선 커팅하여 전처리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부직포 및 제2 부직포를 연결하였다.
비교예 1
1,200 gsm의 부직포(우리페트, PET부직포)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
1,200 gsm의 부직포(우리페트, PET부직포) 2개를 준비하여, 각각 제1 부직포 및 제2 부직포라 하였다.
원단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시간을 공정인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할 수 있도록 시간을 확보해주는 축적기 및 복수의 원단을 공급하며 연결하는 원단 연폭 설비에 의해 부직포를 공급하는 공정에서, 제1 부직포의 일 말단과 제2 부직포의 일 말단을 겹친 후, 부직포 테이프를 부착시켜, 제1 부직포 및 제2 부직포를 연결하였다.
비교예 3
부직포 테이프 대신 PET 테이프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부직포 및 제2 부직포를 연결하였다.
실험예: 최대 하중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연결된 부직포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연폭 인장 테스트를 실시하여 하여 최대 하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1) 단위 원단 간의 높이 편차
평평한 바닥에 연결된 부직포를 놓고, 고정식 디지매틱 인디게이터(높이 게이지)를 사용하여, 접합면과 인전한 단위 원단 간의 높이 편차를 측정하였다. 이 때 높이 게이지로 측정되는 최대값을 이용하여 높이 편차를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ASTM D 638에 따라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속도 200 mm/분, 표점간의 거리 70 mm, 시험편은 1호형을 사용하여 일정면적에 대한 최대하중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최대하중이 클수록 인장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연결 방법 연결 방식 최대하중 (kgf) 열압착 보드화
1회 2회 평균 연결부와 원단간의 두께차 비율(%) 단위 원단 대비
인장강도 비(%)
비교예 1 - - 99.93 99.07 99.50 0% -
비교예 2 부직포 테이프 겹침 2.61 2.60 2.61 약 30% 30.6%
비교예 3 PET 테이프 겹침 1.81 1.96 1.89 약 30% 40.9%
실시예 1 열접합(250℃/10s) 맞대기 5.97 1.05 3.51 5% 이하 50.5%
실시예 2 열접합(250℃/15s) 맞대기 16.36 30.26 23.31 5% 이하 70.4%
실시예 3 열접합(300℃/5s) 맞대기 81.02 79.85 80.44 5% 이하 90.8%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접합된 부직포가 아니라, 단일 부직포로서 최대하중이 가장 커 인장강도가 가장 우수하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열접합에 의해 연결된 부직포로서 연결부와 원단간의 두께차 비율이 모두 5% 이내로 작았으며, 열접합 온도가 높은 실시예 3의 최대하중이 커져 인장강도가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비교하면, 동일 열접합 온도 하에서는 열접합 시간이 증가할수록 최대하중이 증가하여 인장강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부직포끼리 겹친 후, 부직포 테이프와 PET 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된 부직포로서 연결부와 원단간의 두께차 비율이 모두 30% 이상으로 컸으며, 열접합으로 연결된 부직포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비해 최대강도가 현저하게 낮아, 인장강도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테이프 부착 방식에 비해 열접합 방식으로 연결된 부직포의 인장강도가 더 좋으며, 열접합 방식으로 연결된 부직포 중에서도 열접합 온도가 높을수록 또한 열접합 시간이 길수록 인장가도가 더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제1 원단
20: 제2 원단
30: 가열 수단

Claims (14)

  1. 복수의 단위 원단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원단 연결 방법으로서,
    (S1) 상기 복수의 단위 원단 중 인접한 두 개의 단위 원단을 제1 원단 및 제2 원단이라 하고, 상기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상기 제1 원단에 이어 공급되는 제2 원단의 일 말단에 열을 가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및
    (S2) 상기 전처리된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제2 원단의 일 말단을 맞대어 열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단의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는 상기 제1 원단의 일 말단 및 제2 원단의 일 말단에 열을 가하여 가열된 상태의 절단면이 되도록 하는 것인, 원단의 연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는 열선 또는 열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원단 일 말단 및 제2 원단의 일 말단에 열을 가하는 것인, 원단의 연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후 곧바로 상기 제1 원단의 일 말단과 제2 원단의 일 말단을 맞대어 열접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전처리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절단면을 재가열하고 맞대어 열접합시키는 것인, 원단의 연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온도는 150℃ 내지 400℃인 것인, 원단의 연결 방법.
  6. 복수의 단위 원단이 연결된 원단으로서,
    상기 단위 원단 사이에 열융착으로 접합된 열 접합면을 포함하는 원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은 인접한 단위 원단이 맞대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은 인접한 단위 원단 간의 높이 편차가 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 사이의 인장 강도는 상기 단위 원단의 인장 강도 대비 3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열가소성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원단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원단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원단을 포함하는 성형체.
KR1020220158898A 2021-12-17 2022-11-24 원단의 연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단 KR202300927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1537 2021-12-17
KR1020210181537 2021-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742A true KR20230092742A (ko) 2023-06-26

Family

ID=8694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898A KR20230092742A (ko) 2021-12-17 2022-11-24 원단의 연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74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5633A (ja) 2013-07-17 2016-08-25 シャメン ヤンジャン ニュー マテリア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熱風融着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33774A (ko) 2017-09-22 2019-04-0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발강력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5633A (ja) 2013-07-17 2016-08-25 シャメン ヤンジャン ニュー マテリア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熱風融着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33774A (ko) 2017-09-22 2019-04-0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발강력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765B1 (ko) 2성분 섬유 및 고융점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음보드및 그의 제조방법
EP0591609B1 (en) Nonwoven bonding technique
JP7106605B2 (ja) 不織布積層体
JP2013126790A (ja) 繊維強化樹脂成形体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内装材
KR20130035414A (ko)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92742A (ko) 원단의 연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원단
JP2017222951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体の製造方法
JP7141334B2 (ja) 耐熱性繊維構造体
JP6668965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成型体の製造方法
KR20190104791A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2130B1 (ko)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EP3611296B1 (en) Non-woven fabric improved in weight reduction and sound absorp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37496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001035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成形材及びその積層体
KR102161134B1 (ko)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4692229B2 (ja) 積層シート
KR101515206B1 (ko) 복합 구조를 갖는 쿠션재
KR102027425B1 (ko) 성형성이 향상된 카페트 기포지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735959B1 (ko) 연직 배수 필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501136B1 (ko) 상온 신율이 향상된 부직포
KR102172039B1 (ko) 가연사를 이용한 직물 테이프용 바탕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H0138903B2 (ko)
JP4410887B2 (ja) 不織布積層体の製造方法
KR20240044069A (ko) 부직포 연결 방법
KR20210068221A (ko)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