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574A -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574A
KR20230092574A KR1020210182090A KR20210182090A KR20230092574A KR 20230092574 A KR20230092574 A KR 20230092574A KR 1020210182090 A KR1020210182090 A KR 1020210182090A KR 20210182090 A KR20210182090 A KR 20210182090A KR 20230092574 A KR20230092574 A KR 20230092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oothpaste composition
liquid toothpaste
agent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이일휴
신현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이엘
Priority to KR102021018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574A/ko
Publication of KR2023009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펌프형 디스펜서(Dispenser)로 토출되는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 치약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연마제, 기포제, 습윤제, 결합제, 착향제, 증점제를 포함하고, 상기 증점제는 카라기난을 포함하고,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전분,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잔탄검, 구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Liquid toothpaste composition with improved breakage}
본 발명은 펌프형 디스펜서(Dispenser)로 토출되는 액상형 치약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형 디스펜서로 토출 후 늘어지지 않도록 끊김성이 개선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구아검, 타마린드검, 키토산, 항균 성분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제형의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물에 상기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구아검 1 중량부, 타마린드검 1 중량부 및 키토산 0.5 중량부 및 항균성분 0.1 중량부를 첨가하고, 50℃에서 교반하며 용해하여 합성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페이스트 제형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스트 제형의 치약 조성물의 pH를 pH 6.4로 조절하는 pH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합성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페이스트 제형의 치약 조성물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2는 매스틱을 함유한 치약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치약 조성물에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의 질환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강력한 항생 작용에 의해 살균하는 매스틱을 첨가함으로써, 구강내에 존재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생존을 억제하여 구강질환 뿐만 아니라, 내장질환에도 탁월한 효능을 볼 수 있으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이외에 각종 구강 세균에도 살균 및 생존 억제의 효과가 있는 매스틱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치약에 비해 더욱 강력한 구강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발포제인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아 구강 내의 자체 방어력 감소 및 위장 장애의 유발 가능성 등의 계면 활성제의 폐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3은 침향 추출발효물이 함유된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이를 위하여 원료(침향) 선별, 세척 및 추출 발효물 처리 단계, 제1혼합단계(연마제, 습윤제), 제2혼합단계(천연물 추출물, 감미제), 기포제), 제3혼합단계(정제수, 결합제), 제4혼합단계(천연방부제, 향미제), 살균 단계, 치약 조성물 제조단계를 포함한 침향 발효추출물이 함유된 치약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4는 치아미백 효과를 가지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미백 효과를 목적으로 활성산소를 방출하는 과산화물로서 과산화수소수를 함유하며, 보관 중 조성물 내의 타성분에 의해 방출되는 금속이온에 의한 과산화물의 분해 등에 의해 활성산소가 방출되어 장기간 보관이 어렵고,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제 연마제를 함유하여 금속이온의 함유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보관 중에 활성산소가 방출되지 않으므로 장기보존성이 우수하고 치아미백 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KR 10-2322170 (등록일자:2021년 10월 31일) KR 10-0795434 (등록일자:2008년 01월 10일) KR 10-2021-0114189 (공개일자:2021년 09월 23일) KR 10-1317439 (등록일자:2013년 10월 01일)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서 토출되는 액상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 구체적으로는 끊김성이 향상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펌프형 디스펜서로 토출되는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 치약 조성물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연마제, 기포제, 습윤제, 결합제, 착향제, 증점제를 포함하고, 상기 증점제는 카라기난을 포함하고,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전분,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잔탄검, 구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펌프형 디스펜서로 토출되는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 치약 조성물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라기난은 상기 액상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1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펌프형 디스펜서로 토출되는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 치약 조성물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약효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효제는 액상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내지 5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펌프형 디스펜서로 토출되는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 치약 조성물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액상 치약 조성물은 덴탈타입실리카 15중량%, 글리세린 45중량%, 라우릴황산나트륨 2중량%, 시카린 나트륨 0.3중량%, 벤조산 나트륨 0.15중량%, 일불소인산나트륨 0.38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0.3중량%, 잔탄검 0.4중량%, 카라기난 0.4중량%, 향료 2중량%, 정제수 34.07중량%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액상 치약에 대한 발명으로 앞에서 제시한 어느 하나의 액상 치약 조성물이 펌프형 디스펜서와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에 충진되어 펌프형 디스펜서로 토출되는 액상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치약의 늘어지는 성질 및 끊김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 치약 조성물의 비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치약 조성물이 포함된 치약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치약 조성물의 교반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점제인 카르기난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구강 및 치아 세정을 위해 사용되는 치약의 조성물은 페이스트상, 분말상, 젤상 및 점액상, 액상으로 된 제품이 유통되며, 그 사용 및 취급상에는 일정한 장단점이 있다. 페이스트상의 치약 조성물은 점도가 높고 연마제 성분에 의한 치아 에나멜층의 손상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고 사용 시 짜내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용기내의 제품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없어서 폐기되는 용기에도 잔량의 치약이 남게 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페이스트상의 튜브형 치약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약이 출시되었으며 그 중에 하나가 펌프형 디스펜서로 토출되는 액상형 치약이다. 이 액상형 치약의 문제점 중 하나가 낮은 점도로 인하여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이로 인하여 용기와 주변에 치약의 잔여물이 묻거나 바닥에 떨어지며, 칫솔 위에서 흘러내리는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치약 성분은 크게 연마제(100), 기포제(200), 습윤제(300), 결합제(400) 그리고 착향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제(100)는 치아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치아를 빛나게 하고, 기포제(200)는 거품을 만들어 더러운 이물질을 쉽게 없어지게 하며, 습윤제(300)는 구강 내에 적절한 습도를 갖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결합제(400)는 치약이 균일하고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하며, 착향제(500)는 상쾌한 기분으로 칫솔질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치약에는 이외에도 충치 예방과 치아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불소 화합물과, 잇몸병을 예방하기 위한 알란토인 등을 더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증점제(600), 연마제(100), 및 습윤제(300)를 포함하고, 이외에 치약 조성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로, 사용 목적에 따라, 착향제(500), 감미제(501), 방부제(502), 기포제(200), 약효제(503), pH조정제(504), 항균제(50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연마제(100)는 치아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치아를 빛나게 하고, 기포제(200)는 거품을 만들어 더러운 이물질을 쉽게 없어지게 하며, 습윤제(300)는 구강 내에 적절한 습도를 갖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사항은 아래에서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증점제(600)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화학적으로 변형된 전분,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카라기난, 잔탄검, 구아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펌프형 디스펜서로 토출되는 액상형 치약 조성물일 수 있으며, 치약 조성물 중 증점제(600)는 끊김성을 위해 카라기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라기난의 함유비율에 따른 실시예는 후술한다.
카라기난은 도 4를 참조하면, 분자 중에 황산기를 가지고 있는 황산화 갈락탄으로 되어 있으며 황산기의 수, 결합된 위치에 따라 ι(Iota), κ(Kappa), λ(Lambda)로 구분될 수 있다. 카라기난은 가수분해하면 D-갈락토오스, 3.6-무수-D-갈락토오스, 황산을 얻을 수 있으며, κ-카라기난은 칼륨과 칼슘으로 겔화 되고, ι-카라기난은 칼슘으로 겔화 되고, λ-카라기난은 무기질이 없이도 점성액이 될 수 있다.
점성은 카라기난의 함유 비율이 1중량% 내지 2중량%에서 급격히 상승하지만 온도상승과 교반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교반을 중지하면 다시 점성이 회복될 수 있다. 또한, 카라기난은 분자 중에 황산기를 가지고 있어 강한 음전하를 띠며, 알칼리에서는 안정하나, 산성조건(pH4.0 이하)에서는 겔 강도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 변화는 극히 적을 수 있다.
연마제(100)는 구강내의 치태(플라그)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서, 치아 플라그의 제거 효과를 높이고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량의 연마제(100)가 포함될 시 점도의 증가로 펌프형 디스펜서로 토출이 불가능해 질 수 있으므로, 연마제(100)는 소량만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제(100)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에서 2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연마제(100)는 인산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이산화규소, 무수인산칼슘, 함수이산화규소, 덴탈타입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다른 물질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습윤제(300)는 치약에 포함되어있는 물에 의한 습기를 점도 있게 잡아 치약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물에 잘 녹고 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글리세린, 소르비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착향제(500)는 더블민트, 페퍼민트, 레몬, 딸기, 허니, 오렌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착향제(500)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중량% 내지 10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감미제(501)는 본래 제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맛을 극복하기 위하여 첨가할 수 있다. 감미제(501)로는 사카린, 자일라톨, 솔비톨,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효소처리 스테비아, 설탕, 락토스, 타우린, 사카린염, 만니톨, 말티톨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카린 나트륨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감미제(501)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중량% 내지 20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치약의 본래 효과를 감퇴시키지 않으면서도 남녀노소 거부감이 없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수치일 수 있다.
방부제(502)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포제(200)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살루코시네이트,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나트륨염, 알킬살루코시네이트, 미리스리토일 글루나메이트 나트륨염, 소리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엑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등의 음이온, 비이온 및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강용 조성물로 기포제(200)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중량% 내지 5중량% 이다.
기포제(200)는 페이스트형 치약에도 필수적으로 포함되고 있는데, 최근 합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치약에 대해 여러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는 다른 화학물질과 쉽게 반응하여 발암물질이 될 잠재성이 있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액상 치약 조성물은 기포제(200)에 대하여 특성보다는 점증제의 조절에 의한 끊김성이 향상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약효제(503)는 구강위생을 위하여 사용된다. 약효제(503)로는 충치 예방, 미백, 잇몸질환 예방, 치석 침착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충치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효제(503)에는 불소 이온을 포함한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안전한 물질로 인정한 화합물이 포함된다. 불소 이온의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에는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불화나트륨, 불화암민 등이 있다.
불소 함량은 300~1000ppm 범위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석회화는 치아의 주요 구성 성분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재생하고 복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칼슘과 인을 제공하는 물질은 원료상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제2인산칼슘, 염화칼슘, 제1인산나트륨, 제2인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제3인산칼륨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항균제(505)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구강 위생 용품 사용 목적은 구강 내에 생존하는 구강 내 유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 또는 항염 작용을 통해 이미 진행중인 잇몸질환을 완화하고 아직 발생하지 않은 잇몸질환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약효제(503)는 0.005중량% 내지 5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약효제(503) 함량이 0.005중량% 미만이면 약효를 나타내기 어렵고 5중량% 이상이면 베이스의 맛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과산화수소, 칼슘 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치석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해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이 포함될 수도 있다.
pH조정제(504)는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주석산, 주석산나트륨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강용 조성물의 산성도를 5~8로 조정할 수 있다. 항균제(505)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사이클로헥시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잔토리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항염 작용을 위한 비티민류와 효소, 알란토인 및 그 유도체, 아미노카프로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성분 혼합의 순서를 변경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액상 치약 조성물의 조성비율에 따른 실험예 및 비교예를 기술한다. 특정한 증점제 및 증점제의 함유비율에 따른 끊김성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표 1]은 7개의 실시예와 3개의 비교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단, 표에 기술된 숫자의 단위는 중량%이다. A : 덴탈타입실리카(연마제), B : 글리세린(습윤제), C : 라우릴황산나트륨(기포제), D : 시카린 나트륨(감미제), E : 벤조산나트륨, F : 일불소인산나트륨(약효제),G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증점제), H : 잔탄검 (증점제), I : 카라기난(증점제), J : 향료, K : 정제수)
실험예1: 제조 치약의 성상 안정성 평가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7과 비교예 1 내지 3과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에 대하여, 점도, 분리현상, 뭉침현상, 퍼짐현상 등 평가 기준을 이용하여 성상 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점증제로 카라기난(I)을 단독 사용한 비교예3 과 카라기난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경우, 카라기난이 수분을 과도하게 흡수하고 조성물들을 뭉치게 하여 조성물들이 균일하게 혼화가 되지 않으며, 점도가 높아 펌프형 디스펜서로의 토출에도 문제가 있어, 성상 안정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성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카라기난의 함유량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액상치약의 끊김성 평가
끊김성은 펌프형 디스펜서를 통해 액상 치약 토출 후 토출구에 잔류하는 잔량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카라기난을 다량 사용한 비교예 3 과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경우에는 잔량의 길이가 양호하였지만, 실험예 1(제조 치약의 성상 안정성 평가)의 결과와 같이 성상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아 다량 사용이 불가하였으며, 카라기난 다량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잔탄검이 다량 포함된 실시예 1의 경우 카라기난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과 유사하게 끊김성이 개선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끊김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카라기난을 포함해야 하나, 잔탄검이 다량 포함된 경우, 카라기난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와 같이 끊김성이 개선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두 실험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인 액상 치약 조성물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실시예 7>에 해당되는 조성물 함유 비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은 (덴탈타입실리카/글리세린/라우릴황산나트륨/시카린 나트륨/벤조산나트륨/일불소인산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잔탄검/카라기난/향료/정제수)의 중량% 비율이 (15/45/2/0.3/0.15/0.38/0.3/0.4/0.4/2/34.07)로 구성된 것으로, 성상 안정성과 충분한 끊김성이 모두 확보되는 실시예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성상 안정성과 향상된 끊김성이 모두 확보되는 액상 치약 조성물은 디스펜서형의 용기에 담겨져 제공되어질 수 있다. 디스펜서형으로 제공되어지는 액상 치약 조성물은 도 1과 같이 펌프작용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지더라도, 도 1(b)와 같이 잔여 액상 치약 조성물이 최소화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성분 혼합의 순서는 변경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액상 치약 조성물의 성분이 되는 연마제(100), 기포제(200), 습윤제(300), 결합제(400), 착향제(500), 증점제(600)를 용기에 섞은 후, 블레이드(10)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교반할 수 있으며, 당업자가 교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여 액상 치약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연마제
200 : 기포제
300 : 습윤제
400 : 결합제
500 : 착향제
600 : 증점제
10 : 블레이드
11 : 교반용기
20 : 액상 치약 제품
21 : 펌프

Claims (5)

  1. 펌프형 디스펜서(Dispenser)로 토출되는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연마제(100), 기포제(200), 습윤제(300), 결합제(400), 착향제(500), 증점제(600)를 포함하고,
    상기 증점제(600)는 카라기난을 포함하고,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전분,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잔탄검, 구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치약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라기난은 상기 액상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1중량%로 구성되는 액상 치약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약효제(5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효제(503)는 액상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내지 5중량%로 구성되는 액상 치약 조성물.
  4. 펌프형 디스펜서(Dispenser)로 토출되는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액상 치약 조성물은 덴탈타입실리카 15중량%, 글리세린 45중량%, 라우릴황산나트륨 2중량%, 시카린 나트륨 0.3중량%, 벤조산 나트륨 0.15중량%, 일불소인산나트륨 0.38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0.3중량%, 잔탄검 0.4중량%, 카라기난 0.4중량%, 향료 2중량%, 정제수 34.07중량% 로 구성되는 액상 치약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액상 치약 조성물이 펌프형 디스펜서와 용기에 포함되어 있는 액상 치약 제품.
KR1020210182090A 2021-12-17 2021-12-17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KR20230092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090A KR20230092574A (ko) 2021-12-17 2021-12-17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090A KR20230092574A (ko) 2021-12-17 2021-12-17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574A true KR20230092574A (ko) 2023-06-26

Family

ID=8694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090A KR20230092574A (ko) 2021-12-17 2021-12-17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57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34B1 (ko) 2005-10-20 2008-01-17 주식회사 매스틱코리아 매스틱을 함유한 치약조성물
KR101317439B1 (ko) 2006-10-31 2013-10-10 (주)아모레퍼시픽 치아미백용 치약 조성물
KR20210114189A (ko) 2020-03-10 2021-09-23 박달수 침향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2170B1 (ko) 2016-02-26 2021-11-08 (주)오케이바이오 치약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34B1 (ko) 2005-10-20 2008-01-17 주식회사 매스틱코리아 매스틱을 함유한 치약조성물
KR101317439B1 (ko) 2006-10-31 2013-10-10 (주)아모레퍼시픽 치아미백용 치약 조성물
KR102322170B1 (ko) 2016-02-26 2021-11-08 (주)오케이바이오 치약조성물
KR20210114189A (ko) 2020-03-10 2021-09-23 박달수 침향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8497B2 (en) Oral hygiene produc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107856B2 (en) Dental appliance cleanser
JPS63190817A (ja) 口腔衛生製剤
TWI486174B (zh) 過氧化物-穩定之口腔保健組成物
KR101792198B1 (ko) 구강용 조성물
US9867892B2 (en) Aqueous cleanser for dental appliances
JP2008303188A (ja) カンジダバイオフィルム除去剤
JP2016521764A (ja) 口腔用組成物
JP5233399B2 (ja) 口腔スプレー用組成物及び口腔用製剤
KR101984544B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CN106491389A (zh) 一种壳聚糖护齿儿童牙膏
KR102630851B1 (ko) 치약 조성물
JP4452601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JP2015117215A (ja) 歯磨剤組成物
JP4284522B2 (ja) 練歯磨組成物
KR20230092574A (ko)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JP2020083787A (ja) 口腔用組成物
JP5845603B2 (ja) 液体又は液状の口腔用組成物及び舌苔付着抑制剤
KR102594171B1 (ko) 거품 치약 조성물
KR20090131586A (ko) 매스틱을 함유하는 구강청정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22170B1 (ko) 치약조성물
JP2020521792A (ja) ポンプ型歯磨剤組成物
KR20230092592A (ko) 양치시간에 따라 탈색되는 치약 조성물
US20160151256A1 (en) Oral composition
JP2009107989A (ja) 練歯磨組成物及び練歯磨組成物の液分離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