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851B1 -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851B1
KR102630851B1 KR1020227024346A KR20227024346A KR102630851B1 KR 102630851 B1 KR102630851 B1 KR 102630851B1 KR 1020227024346 A KR1020227024346 A KR 1020227024346A KR 20227024346 A KR20227024346 A KR 20227024346A KR 102630851 B1 KR102630851 B1 KR 10263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ainer
toothpaste composition
weight
tooth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861A (ko
Inventor
김지영
양지은
문교태
임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2013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8Percompounds, e.g. per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 중 어느 하나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로 마련된 둘 이상의 용기에 충진하여 양치 시에는 동시에 사용토록 고안된 것이며, 상기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둘 이상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은 딥튜브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약 조성물 {Toothpaste composition}
본 발명은 딥튜브 펌핑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미백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건강을 비롯한 개인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구강 건강을 위해 별도의 제품을 사용하기보다는 매일 사용하는 치약이나 양치액을 통해 양치 이상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한편, 구강 건강에 도움을 주는 유효 성분들은 단독으로 사용시에는 효과가 우수하지만, 치약의 일반적인 성분들과 함께 사용시 효과가 떨어지거나 장기 보관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구강 건강을 넘어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치아 미백 효과가 있는 치약 조성물이 출시되고 있다. 치아 미백을 위한 대표적인 유효 성분으로는 과산화물이 있는데, 치과에서 100여년 이상 사용되어 왔으며 그 미백 효과가 입증되어 있다. 과산화물은 치아의 착색 물질을 산화시키는 환원제로 작용하여 착색 물질을 변형 또는 분해시켜 제거함으로써 치아의 미백을 달성하지만, 동시에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보관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치약 조성물에는 일반적으로 세정을 위해 연마제가 첨가되는데, 이러한 연마제가 과산화물과 상용성이 낮아 상품화가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었다. 치약 조성물의 상품성 확보를 위해 과산화물을 저농도로 포함시키거나 안정화제를 과량으로 첨가하였으나, 치약 조성물의 미백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미백 치약에서 과산화물로 과산화수소를 3% 이상의 농도로 포함하는 경우 고농도 미백 치약으로 분류하는데, 이러한 치약을 보면 일반적인 페이스트형 치약과 함께 별도의 부스터(booster) 또는 엑셀러레이터(accelerator)라고 불리는 과산화물이 안정화된 젤을 함께 사용하는 제품이 있었다. 이러한 제품은 칫솔에 두 개의 튜브를 각각 짜서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다른 예로는 먼저 일반 페이스트 치약으로 양치한 후 물로 씻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과산화물이 포함된 젤로 양치하는 제품이 있었으나, 두 단계에 걸쳐 양치하여야 하는 사용법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플루오르화주석(stannous fluoride)을 포함하는 치약은 치은염 예방(antigingivitis), 충치 예방(anticavity) 및 시린이 예방(desensitizer) 효과가 있다. 그러나, 플루오르화주석은 물에서 쉽게 가수분해 및 산화되어 주석 이온(Sn4+) 형태가 되면서 활성을 잃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플루오르화주석 치약의 경우 구강 안에 황화물과 결합하여 착색을 일으킬 수 있다. 플루오르화주석을 안정화시켜서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물의 함량이 일정 이하인 저수 치약 또는 무수 치약의 형태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저수 또는 무수 치약은 폴리올 특유의 쓴맛과 발열감으로 인해 사용자 선호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구강 건강에 있어서 시린이를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질산칼륨에 의한 신경 탈감각화(nerve desensitization), 글루타르알데하이드, 질산은, 염화아연, 염화스트론튬 등에 의한 단백질 침전 메커니즘(protein precipitation)과, 플루오르화나트륨(sodium fluoride), 플로오르화주석, 염화스트론튬, 플루오르화디아민은(silver diammine fluoride), 옥살산칼륨(potassium oxalate),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생체활성유리(bioactive glasses), 일인산칼륨, 이인산칼륨 등을 이용하는 상아질 세관 플러깅(plugging dential tubules) 메커니즘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메커니즘 중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유발하는 상이한 성분들을 함께 사용하면 상승효과를 얻을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실제로는 치약 조성물에 해당 성분들을 함께 첨가하면 구강 내에서 세관을 막거나 단백질 침전을 일으키기 전에 조성물 처방 내에서 침전을 형성하는 등으로 제대로 된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처럼, 종래에는 구강 건강에 도움을 주는 미백 성분, 치은염 예방 성분, 시린이 예방 성분 등을 함유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평소의 양치 습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불편하거나 번거롭지 않아 사용감이 우수한 치약 조성물은 제공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건강에 대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유효성분과의 상용성에 따라 내용물을 투 챔버 용기에 별도로 저장하였다가 토출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강 건강에 대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딥튜브 타입의 투 챔버 용기에 저장하였다가 토출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물성을 갖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 중 어느 하나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로 마련된 둘 이상의 용기에 충진하여 양치 시에는 동시에 사용토록 고안된 것이며, 상기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둘 이상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은 딥튜브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 중 어느 하나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용기에 충진하여 양치 시에는 동시에 사용토록 고안된 것이며, 상기 용기는 튜브-인-튜브 용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서 상기 제1 내용물은 과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용물은 연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산화물은 과산화요소,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슘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는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상기 점증제를 20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증제는 침강 실리카, 흄드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탄산칼슘, 폴록사머, 잔탄검, 카보머,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내용물은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연마제를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서 상기 제1 내용물은 플루오르화주석, 염화아연, 질산칼륨, 염화칼슘 및 염화스트론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용물은 상기 성분과 착물을 형성하거나 상기 성분을 불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물은 플루오르화주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용물은 피로인산, 폴리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적어도 하나와 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물을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물은 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물을 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내용물은 상기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피로인산, 폴리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적어도 하나를 2 내지 1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물은 염화아연, 질산칼륨, 염화칼슘 및 염화스트론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용물은 호박산이나트륨, 디칼슘옥살산, 일인산칼륨 및 이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의 점도는 5,000 내지 40,000 cp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의 점도비는 1.2:1 내지 1:1.2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내용물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본체,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튜브, 펌프 및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상기 격막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저장 공간 및 제2 저장 공간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1 용기 및 상기 제2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2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1 용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제1 튜브; 및 상기 제2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제2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양치 시에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1 용기 본체 및 상기 제2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2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 본체 내에 상기 제2 용기 본체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용기 본체를 누르면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이 동시에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치아 미백제로 과산화물 및 과산화물과 상용성이 있는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1 내용물과, 연마제를 포함하는 제2 내용물을 포함하여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의 용기인 딥튜브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양치 시에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치약 조성물 중에 포함된 과산화물의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제1 내용물로 플루오르화주석을 포함하여 치은염 예방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2 내용물로 피로인산 및 폴리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플루오르화주석에 의한 착색을 방지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제1 내용물로 염화아연, 질산칼륨, 염화칼슘 및 염화스트론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시린이 예방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2 내용물로 호박산이나트륨, 디칼슘옥살산, 일인산칼륨 및 이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하여 사용시 제1 내용물 중의 성분과 착물을 형성하도록 하여 치아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전에는 내용물들의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침전이 미리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가 치아 미백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의 점도가 딥튜브 타입의 용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각 내용물의 점도 및 비율이 보관에 따른 시간이 경과되어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치약 조성물의 보관 기간에 걸쳐 딥튜브 용기 토출부에서의 굳음이 방지됨과 동시에, 각 내용물의 동시 토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 챔버 용기의 (a) 정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투 챔버 용기 정면도에서 (a) 노즐을 제거한 모습 및 (b) 용기 본체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 챔버 용기의 (a) 정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투 챔버 용기 정면도에서 (a) 노즐을 제거한 모습 및 (b) 용기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 챔버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 챔버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 챔버 용기의 (a) 정면도 및 (b) 캡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투 챔버 용기의 (a) 단면도 및 (b)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치아 미백은 치아 표면 및 법랑질 내부에 부착 또는 침투하여 착색 효과를 일으키는 물질을 제거하거나 해당 물질의 화학적 구조를 변형하여 착색 효과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저장하기 위한 치약 용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치약 조성물을 저장하기 위한 치약 용기는 투 챔버(two chamber)용기이다. 이하에서, 투 챔버 용기는 하나의 용기 내부에 격막이 마련되어 있는 용기 또는 별도의 용기로서 두 개의 내용물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 챔버 용기(1)를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투 챔버 용기(1)는 용기 본체(10), 튜브(50), 펌프(40) 및 노즐(30)을 포함하는 딥튜브(dip tube) 용기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용기 본체(1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2,6-나프탈레이트),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폴리머나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튜브(50)는 용기의 바닥까지 연장되거나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내용물을 연통시킬 수 있다. 튜브(50)에서 내용물을 흡입하는 일 단부의 단면은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20)는 후술할 캡(21)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재(20)는 노즐(30)과 결합하여 사용자가 노즐(30)을 누름에 따라 상하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노즐(30)은 펌핑을 위한 누름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노즐을 눌러 펌프를 작동시키고 노즐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토출구(31)를 통해 내용물을 용기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즐(30)의 형상 및 길이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노즐(30)은 사용자가 칫솔모를 토출구(31)에 대고 누를 때 칫솔이 용기 본체(10)와 부딪히지 않는 충분한 거리를 제공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31)는 노즐(30)의 측면이 아닌 아래쪽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칫솔모를 토출구(31)에 접촉시키거나 인접한 위치에 둔 상태로 노즐(30)을 누름으로써 치약을 안정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투 챔버 용기(1)는 하나의 용기 본체(10) 내부에 격막(11)이 마련되어 두 개의 내용물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격막(11)은 내용물의 토출 이전에는 용기 내에서 서로 상이한 두 내용물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격막(11)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제1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1 저장 공간 및 제2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2 저장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격막(11)의 형상이나 용기 내에서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격막(11)에 의해 구획되는 두 개의 내용물 저장 공간의 형상과 용적은 서로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저장 공간 및 제2 저장 공간 각각에는 튜브(50) 및 펌프(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 공간에는 제1 튜브, 제2 저장 공간에는 제2 튜브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즐(30)을 눌러 두 개의 펌프(40)를 모두 펌핑하여, 두 개의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투 챔버 용기(1)는 별도의 용기로서 두 개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딥튜브 용기일 수 있다. 투 챔버 용기(1)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용기(12) 및 제2 용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기(12)는 및 제2 용기(13)는 각각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저장하는 딥튜브 용기일 수 있다. 두 개의 용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용기(12) 및 제2 용기(13) 중 적어도 하나는 용기의 외측에 다른 하나의 용기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용기 외측에 마련되는 돌출부(14)와 상기 돌출부(14)의 형상에 대응하여 끼워맞추어지도록 제공되는 결합홈(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용기(12) 및 제2 용기(13) 각각은 돌출부(14)와 결합홈(15)을 구비하며, 제1 용기(12)의 돌출부(14)는 제2 용기(13)의 결합홈(15)에 끼워맞춰지고, 제2 용기(13)의 돌출부(14)는 제1 용기(12)의 결합홈(15)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투 챔버 용기(1)를 구성하는 제1 용기(12) 및 제2 용기(13)는 고정부재(20)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정부재(20)는 내부에 각각의 용기에 마련된 캡(21)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며, 캡(21)을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투 챔버 용기(1)는 용기 본체(10) 내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 용기(12) 및 제2 용기(13)가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제1 용기(12) 및 제2 용기(13)는 딥튜브 용기일 수 있으며, 두 개의 용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투 챔버 용기(1)는 용기 본체(10) 내부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2 용기(13)가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용기(13)는 일 단부가 용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 내에서 제2 용기(13)를 제외한 공간이 제1 저장 공간으로 제공되고, 제2 용기(13) 내의 공간이 제2 저장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용기(13)가 상기 용기 본체(10) 내의 내용물 저장 공간을 두 개로 구획하는 격막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저장 공간 및 제2 저장 공간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용기 본체(10)에는 제1 저장 공간 내에 배치되는 펌프(40) 및 튜브(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용기(13)에는 제2 저장 공간 내에 배치되는 펌프(40) 및 튜브(5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 챔버 용기(2)를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투 챔버 용기(2)는 제1 용기 본체(60), 제1 토출부(61) 및 캡(70)을 포함하는 스퀴즈 타입의 튜브 용기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투 챔버 용기(2)는 제1 용기 본체(60) 내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2 용기 본체(80)가 배치된 튜브-인-튜브(tube-in-tube) 용기일 수 있다. 제1 용기 본체(60) 및 제2 용기 본체(80)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용기 본체(80)는 내용물 토출을 위한 제2 토출부(8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토출부(81)의 일 단부가 제1 용기 본체(60)의 제1 토출부(6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a)에서와 같이, 제2 토출부(81)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제2 토출구(82)에 제1 토출부(61)가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제1 용기 본체(60) 내에서 제2 용기 본체(80)를 제외한 부분이 제1 저장 공간으로 제공되고, 제2 용기 본체(80) 내의 공간이 제2 저장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제1 내용물은 제1 토출부(61)의 일 단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제1 토출구(6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2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제2 내용물은 제2 토출부(81)를 통해 토출되어 제1 토출부(61)에 마련된 제2 토출구(8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용기 본체(60)를 손에 들고 쥐어 짬에 따라, 제1 용기 본체(60) 및 제2 용기 본체(80)를 누르게 되어 저장된 제1 및 제2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킬 수 있다.
다만, 도 7 및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토출부(61) 및 제2 토출부(81)의 형상 및 길이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토출부는 토출구가 마련되는 말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더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좁은 칫솔모에도 치약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토출구(62) 및 제2 토출구(82)의 형상 및 개수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치약 조성물이 딥튜브 용기에서 토출성이 우수하여 펌핑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은 시판되는 딥튜브 용기에 통상의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였을 때 양치에 적합한 양으로 토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과산화물이 안정하다거나 보관 안정성이 있다는 것은 딥튜브 용기에 치약 조성물을 넣고 50℃ 조건에서 4주 동안 보관시 치약 조성물 중에 포함된 과산화물의 잔존 비율이 8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과산화물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과산화물의 잔존 비율이 9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약의 보형성은 칫솔에 치약 조성물을 펌핑하였을 때의 치약 형상과 유지력을 의미하며, 치약에 보형성이 없다는 것은 치약 조성물을 토출한 후 10초 이내에 칫솔 표면에 치약이 남지 않고 칫솔모 사이 또는 칫솔 밑으로 치약이 흘러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약 조성물이 양치 시에 동시에 사용토록 고안된다는 것은, 치약 조성물의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이 동시에 토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치약 조성물이 동시에 토출되는 것은 딥튜브 용기의 누름부를 눌러 펌핑함에 따라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이 동시에 펌핑되며 육안으로 관찰시 양이 동일해보이는 것을 포함하여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은 색상이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으며, 치약 조성물을 동시에 사용함에 따라 두 가지 색상의 내용물이 동시에 토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약의 풀림성은 칫솔에 치약 조성물을 펌핑하여 양치시 구강 내에서 치약 조성물이 덩어리 형태를 유지하지 않게 풀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치약의 풀림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양치시 치약 조성물이 구강 내에서 30초 이내에 풀어져 덩어리 형태의 치약이 구강 내를 유동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로서,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 중 어느 하나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며,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은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의 용기에 충진하여 양치 시에 동시에 사용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상기 용기는 딥튜브 용기이다.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은 치약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일 수 있으며,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 중 어느 하나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서 치아 미백제는 과산화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내용물과, 연마제를 포함하는 제2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과산화물은 과산화요소,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슘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제1 내용물이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과산화물은 제1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치약 조성물 전체의 양을 고려할 때, 과산화물은 치약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과산화물은 치약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0.5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과산화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치아 과민성이나 구강 내 자극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치아 미백제로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과산화물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제로 글리세린, PEG300과 같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을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은 제1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이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치약 조성물에는 상대적으로 과량의 물이 포함되어 외기가 연통하는 딥튜브 용기에서 치약 조성물 중의 물이 증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치아 미백제로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과산화물에 대한 안정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안정화제로는 인산(phosphoric acid),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주석산나트륨(sodium stannate),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 아세트아닐리드(acetanilide), 8-히드록시퀴놀린(8-hydroxyquinonline), 피리딘카르복시산(pyridinecarboxylic acid), 벤조산(benzoic acids), 질산염(nitrate salts) 등을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안정화제는 제1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제는 제1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0.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제2 내용물은 연마제를 포함하여 치아 표면의 이물질 또는 세균막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연마제는 침강 탄산칼슘, 알루미나, 이산화규소, 침강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마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연마제는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연마제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의 점도 및 용기에서의 토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연마제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딥튜브 용기에서 토출하기 어렵게 된다.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는 점증제를 더 포함하여 딥튜브 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점도를 얻을 수 있다. 제1 내용물에 점증제를 더 포함시키는 경우, 상기 점증제는 과산화물과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점증제는 유기 점증제와 무기 점증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점증제의 예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및 탄산칼슘 등이 있다. 실리카는 침강 실리카, 흄드(fumed) 실리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점증제는 흄드 실리카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점증제의 예로는 poloxamer 407 등의 폴록사머, 잔탄검, 카보머,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OX™ 등의 폴리에틸렌,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유기 점증제 없이 무기 점증제만을 사용하는 경우, 무기 점증제는 제1 또는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무기 점증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용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사용에 적합한 보형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딥튜브 용기에서 토출하기 어렵게 된다. 무기 점증제를 과량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유기 점증제만을 사용하거나, 유기 점증제와 무기 점증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 점증제는 제1 또는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점증제와 무기 점증제의 총 중량은 제1 또는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2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서,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은 각각 증점제와 연마제를 전술한 함량으로 포함하여 점도가 각각 5,000 내지 40,000 cps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30,000 cps일 수 있다. 치약의 점도는 보관 방법 및 용기에 직결되는 요소로서, 상기 내용물의 점도가 5,000 cps 미만인 경우에는 액상이 되어 보형성이 없으며, 40,000 cps를 초과하면 페이스트 치약에 적합하고, 딥튜브 용기에서는 토출하기 어렵게 된다.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의 점도가 상이한 경우에도 그 점도비는 1.2:1 내지 1:1.2일 수 있다. 따라서,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의 용기에 각각의 내용물을 충진하였다가 딥튜브를 작동하여 토출시키는 경우 두 내용물의 토출성이 비슷하여 딥튜브 용기에서 동시 토출을 통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치약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약효제, 착색방지를 위한 첨가물, 계면활성제, 에탄올, 촉매 등을 추가로 포함한다.
약효제는 치약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화나트륨, 일불산인산나트륨일 수 있다.
착색방지를 위한 첨가물은 착색을 유발하는 물질과 킬레이트를 형성하거나, 해당 물질의 치아에의 부착 또는 치석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으며, SAPP(sodium acid pyrophosphate), TSPP(tetrasodium pyrophosphate), TKPP(tetrapotassium phosphate), pentasodium triphosphate(TPP), SHMP(sodium hexametaphosphate), Sporix™(sodium metaphosphate) 등일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은 이외에도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span 80)와 같은 계면활성제와, 구연산나트륨, 함수 구연산, 인산 등의 pH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카린이나 사용감 향상을 위한 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탄올은 상기 향과 같은 지용성 성분에 대한 용제로 포함될 수 있으며, 치약 사용시 청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내용물은 토코페롤, 차콜, 죽염, 히말라야 핑크솔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치은염 예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과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제2 내용물은 과산화물에 대한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과산화물의 활성을 향상시키는 활성화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시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혼합됨에 따라 제2 내용물 중의 촉매가 제1 내용물 중의 과산화물의 미백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촉매로는 염화철(III)(FeCl3), 염화마그네슘(MgCl2) 및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산화철(Fe2O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제1 내용물이 치아 미백제로 과산화물을 포함하고, 제2 내용물은 과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되 연마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에 증점제를 더 포함시켜 딥튜브 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 전에는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의 용기에 충진하여 보관하였다가 양치 시에 동시에 딥튜브 용기를 펌핑하여 동시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설명한다.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에 포함되는 주요 성분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과 공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플루오르화주석, 염화아연 및 염화스트론튬 염화칼슘 등 2가 이온을 가진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1 내용물과, 상기 성분과 착물을 형성하거나 상기 성분을 불활성화시키는 제2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르화주석은 치은염 예방 효과가 있는 성분이며, 질산칼륨, 염화아연, 염화칼슘 및 염화스트론튬은 시린이를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성분이다. 이러한 성분들은 각각 구강 건강에 대한 유용한 효과가 있지만 치아에 착색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성분과 착물을 형성하는 킬레이트제나 상기 성분을 가수분해하는 등으로 불활성화하여 착색을 방지할 수 있는 물이 치아 미백제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서 제1 내용물은 구강 건강에 효과적인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이며, 제2 내용물은 상기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공하기 위한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용물은 플루오르화주석을 포함하며, 제2 내용물은 상기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물을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고, SAPP, TSPP와 같은 피로인산, SHMP, Sporix™와 같은 폴리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용물은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물을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치약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수준으로 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내용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제1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물을 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여 무수 또는 저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딥튜브 용기를 통해 동시에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플루오르화주석이 치은염 예방에 관한 기능을 수행한 이후에 피로인산과 착물을 형성하거나 물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치아에 대한 착색을 유발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용물은 염화아연, 질산칼륨, 염화칼슘 및 염화스트론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내용물은 호박산이나트륨, 디칼슘옥살산, 일인산칼륨 및 이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딥튜브 용기를 통해 동시에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내용물 중의 염화아연, 질산칼륨, 염화칼슘 및 염화스트론튬과, 제2 내용물 중의 호박산이나트륨, 디칼슘옥살산, 일인산칼륨 및 이인산칼륨 각각의 경우에도 시린이 예방 효과가 있지만, 두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켜 착물을 형성하는 경우 시린이 예방 및 완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용물이 염화아연을 포함하는 경우, 제2 내용물에 일인산칼륨, 이인산칼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시키면 인산은과 같은 불용성 착물을 형성하게 되어 시린이 예방 및 완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서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점증제 및 연마제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술한 것과 같은 점도 및 점도비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제1 내용물이 구강 건강에 소정의 효과가 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제2 내용물이 상기 성분에 의한 치아 착색을 방지하기 위한 치아 미백제로 상기 성분에 대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미백 효과와 소정의 구강 건강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에 증점제와 연마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시켜 딥튜브 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 전에는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의 용기에 충진하여 보관하였다가 양치 시에 동시에 딥튜브 용기를 펌핑하여 동시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
치아 미백제로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과 굳음 정도 및 딥튜브 용기에서의 토출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 표 1에 따른 조성(중량%)에 따라 내용물 A 내지 J를 준비하였다.
A B C D E F G H I J
글리세린 50 45 45 20 20 20 40 50 50 10
PEG300 1 0 0 0 0 10 5 1 1 1
침강실리카 0 14 15 25 0 0 20 2 14 14
Alumina 0 0 20 0 0 0 0 0 0 0
fumed silica 6 0 0 0 0 4 0 10 0 0
라우릴황산나트륨 2 2 2 2 0 0 2 0 0 2
불화나트륨 0 0.44 0.44 0.44 0 0 0.44 0 0 0.44
과산화수소 6 0 0 0 6 0 0 6 6 3
과산화요소 0 0 0 0 0 30 0 0 0 0
SAPP 0.2 0 0 0 0.05 0 0 0.2 0.2 0.2
TSPP 0 0.5 0.5 0.5 0 0 3 0 0 0.5
SHMP 0 0.2 0.2 0.2 0 0 3 0 0 0
Sporix 0.25 0 0 0 0 0 0 0.25 0.25 0.25
PVP 5 0 0 0 0 10 0 5 5 0
poloxamer407 0.5 0 0 0 0 0 0 0.5 0.5 0
잔탄검 1.4 0.8 0.8 0.2 0 0 0.8 1.4 1.4 0.8
CMC 0 0.6 0.6 1.3 0 0 0 0 0 0.6
카보머 0 0 0 0 1.8 0 0 0 0 0
PAA 0 0 0 0 0 0 0.05 0 0 0
HPMC 0.1 0 0 0 0 0.5 0 0.1 0.1 0
HPC 0.1 0 0 0 0 0 0 0.1 0.1 0
구연산나트륨 0.2 0 0 0 0 0.2 0 0.2 0.2 0
함수 구연산 0.07 0 0 0 0 0 0 0.07 0.07 0
phosphoric acid 0.2 0 0 0 0.05 0.05 0 0.2 0.2 0
Span 80 0.2 0 0 0 0 0 0 0.2 0.2 0.2
FeCl3 0 0.1 0.1 0.1 0 0 0.1 0 0 0.1
sucralose 0 0.05 0 0 0 0 0 0 0 0.05
sodium saccharin 0.3 0.24 0.24 0.24 0.05 0.05 0.24 0.3 0.3 0.3
1.2 1.2 1.2 1.2 0.5 0.5 1.2 1.2 1.2 1.2
에탄올 0 0 0 0 10 20 0 0 0 0
제3인산나트륨 0 0 0 0 0.25 0.01 1 0 0 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딥튜브 형태의 투챔버 용기를 준비하고, 내용물 A 내지 J를 아래 표 2에 따른 조합으로 챔버 1 및 챔버 2에 각각 담아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를 준비하였다. 두 개의 챔버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조합에 따라 최종적으로 사용시의 치약 조성물의 물성과 치약 조성물 내 성분의 특성이 상이해지므로, 다양한 조합에 따른 물성 및 특성 평가를 위해 아래 표 2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였다.
각각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챔버 1에 넣는 내용물은 일반적인 젤 제조 방식에 따라 준비하였고, 챔버 2에 넣는 내용물은 다가 알코올, 첨가제, 계면활성제, 사카린 등을 물에 분산시켜 녹이거나 혼합한 후, 실리카 등의 연마제를 첨가하고 진공 하에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챔버 1 A E F A E
챔버 2 B B B G G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챔버 1 I A A H J
챔버 2 B C D B J
실험예 1.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물성 평가
실험예 1-1. 치약 조성물 보관 안정성, 굳음 정도 및 토출성 확인
딥튜브 용기에 각각 담긴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4 및 5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50℃ 조건에서 4주 동안 보관하면서 치약 조성물 내에 포함된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적정하여 잔존 과산화물비를 도출하여 치약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치약 조성물이 굳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4주 이후에 딥튜브 용기를 펌핑하여 토출성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4 비교예5
2주 잔존 과산화물비 95% 96% 94% 94% 75% 95% 70%
4주 잔존 과산화물비 91% 92% 92% 90% 48% 91% 40%
4주 보관 후 치약 굳음 정도 굳지 않음 굳지 않음 굳지 않음 굳지 않음 굳지 않음 굳지 않음 굳음
4주 보관 후 치약 토출성 동시 토출 용이 동시 토출 용이 동시 토출 용이 동시 토출 용이 동시 토출 용이 동시 토출 불가 동시 토출 불가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잔존 과산화물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관성이 우수하고 동시 토출도 용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과 같이 과산화물과 연마제가 같은 챔버의 내용물에 포함되는 경우와, 비교예 5와 같이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활성화제가 같은 챔버의 내용물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시간 경과에 따라 잔존 과산화물비가 급격히 낮아지며, 이에 따라 미백 효과가 저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비교예 4에서는 무기 점증제로 과산화물과 상용성이 우수한 무기 점증제인 흄드 실리카를 사용하여 잔존 과산화물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무기 점증제인 흄드 실리카를 12% 과량으로 사용함에 따라 동시 토출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치약 굳음 정도와 관련하여 치약의 보관성은 내용물 중의 폴리올 함량에도 관련이 있는데, 폴리올 함량이 낮은 비교예 5에서는 보관성이 불량하여 보관 중에 치약이 굳어버리고, 굳고 나서는 동시 토출이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2. 치약 조성물 보관 안정성, 굳음 정도 및 토출성 확인
실시예 1, 5, 비교예 2 및 3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25℃ 조건에서 4주 동안 보관하면서 각 내용물의 점도를 확인하였다. 내용물을 100 mL 플라스틱 용기에 채운 후, 25℃ 항온기에 보관하였으며, 스핀들(Brookfield RVT형 5번 또는 7번)을 이용하여 20 rpm의 속도로 5 바퀴 회전한 후 상온에서 점도 값(cps)을 측정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5 비교예 2 비교예 3
A B E G A C A D
25℃ 초기 점도 10,000 10,000 35,000 35,000 10,000 100,000 10,000 70,000
25℃ 4주 점도 20,000 20,000 38,000 38,000 20,000 120,000 20,000 90,000
일반적인 페이스트 치약의 점도에 해당하는 70,000 내지 100,000 cps의 초기 점도를 가지는 비교예 2 및 3의 경우, 초기 점도 10,000 내지 35,000 cps인 실시예 1 및 5에 비해 경시 점도의 상승 정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1 및 5에서는 3,000 내지 10,000 cps 상승한 데에 그친 것에 비해, 비교예 2 및 3에서는 20,000 cps로 상승하여 점도 상승폭을 비교하면 비교예에서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 결과는, 보관시 시간 경과에 따라 과량의 연마제가 사용된 내용물(비교예 2 및 3)에서 점도의 증가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난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1-3. 치약 조성물 사용감 평가
소비자 1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5, 비교예 2 및 3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일주일동안 하루 세 번씩 양치하도록 하여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펌핑 용이성, 동시 토출성, 동시 풀림성, 체감 미백 효과, 자극감 및 전체적인 제품 만족도를 설문하였다.
펌핑 용이성은, 손으로 펌프를 눌러서 치약이 칫솔에 짜질 때 느껴지는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풀림 용이성은 칫솔에 치약을 짜서 양치하게 한 후에 구강 내에서 치약이 덩어리지지 않고 얼마나 빠르고 쉽게 풀리는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자극감을 제외한 항목은 5점 만점(5점: 매우 우수, 4점: 우수, 3점: 보통, 2점: 미흡, 1점: 불량)으로 평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자극감은 5점을 과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과수 치약 수준으로 하여, 4점을 과수 치약보다 덜 자극적인 수준, 3점을 3% 과수 치약(Crest 3D White Brilliance 2-step 과수젤) 수준, 2점을 약간 자극적인 수준, 1점을 심한 자극 수준으로 평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5 비교예2 비교예3
펌핑 용이성 3.6 3.5 3 2.8
동시 토출성 5 4.5 2 2.5
동시 풀림성 4.0 4.0 2.0 2.5
체감 미백 효과 3.8 3.5 3 3.5
사용 전후 자극감 3.5 4.0 2.0 2.5
제품만족도 3.8 4.0 2.0 2.5
실시예 1 및 5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펌핑 용이성 및 동시 토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안에서 두 가지 내용물이 잘 풀리는 정도인 풀림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산화물을 3 중량%로 포함함에도 시판되는 3% 과수 치약 대비 자극감이 더 낮게 나타났다.
비교예 2 및 3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챔버 1의 내용물의 점도가 챔버 2의 점도보다 훨씬 낮아서 토출시 동시 토출성이 안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챔버 1의 내용물이 더 많이 토출됨으로 인해 자극감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치은염 예방 성분을 포함하는 미백 치약 조성물의 제조
치은염 예방 성분으로 플루오르화주석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을 아래 표 6에 따른 조성(중량%)으로 준비하였다. 비교예로는 정제수 함량 10 중량% 미만의 저수 치약과 정제수 함량 20 중량% 이상의 일반 치약을 준비하였다.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6 비교예7
챔버1 챔버2 챔버1 챔버2 챔버1 챔버2 저수치약 일반치약
글리세린 50 20 50 20 46 20 38 20
PEG300 23 5 20 5 25 5 20 5
침강실리카 16 16 15 15 14 14 25 20
라우릴황산나트륨 2 2 2 0 2 0 2 2
Stannous Fluoride 0.80 0 0.80 0 0.80 0 0.40 0.40
SAPP 0 6 0 0 0 4 0 0
TSPP 0 0 0 4 0 0 0 0
SHMP 0 0 0 0 0 2 6 6
poloxamer407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잔탄검 0.2 0.8 0.2 0.8 0.2 0.8 0.2 0.2
CMC 0 0.1 0 0.1 0 0.1 0 1.2
Carrageenan 0.5 0.2 0.4 0.2 0.5 0.2 0.4 0
HPMC 0 0 0 0 0 0.5 0 0
HPC 0 0 0 0 0 0 0 0
구연산나트륨 0.2 0.2 0.2 0.2 0.2 0.2 0.2 0.2
함수 구연산 0.07 0.07 0.07 0.07 0.07 0.07 0.07 0.07
phosphoric acid 0 0 0 0.05 0 0.05 0 0
Span 80 0.2 0 0 0 0 0 0.2 0
sucralose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sodium saccharin 0.24 0.24 0.24 0.24 0.24 0.24 0.24 0.24
1.2 1.2 1.2 1.2 1.2 1.2 1.2 1.2
제3인산나트륨 0.3 0.25 0.3 0.25 0.3 0.25 0.3 0.2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2. 치약 조성물 사용감 평가
실시예 6 내지 8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챔버별 조성물을 투챔버 용기에 각각 넣었고, 비교예 6 및 7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투챔버 용기에 동일한 내용물을 각각 넣은 뒤, 양치할 때 잇몸 출혈이 있는 소비자 10명을 대상으로 한 달 동안 하루 세 번씩 양치하도록 하여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치약의 사용감, 잇몸 출혈 감소 효과, 체감 미백 효과 및 전체적인 제품 만족도를 설문하였다. 5점 만점(5점: 매우 우수, 4점: 우수, 3점: 보통, 2점: 미흡, 1점: 불량)으로 평가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6 비교예7
사용감 만족도 3.8 4.0 3.8 2.5 3.8
잇몸 출혈 감소 효과 3.5 3.5 3.5 3.5 3.0
체감 미백 효과 3.5 3.5 3.5 3.5 2.5
제품 만족도 3.5 3.5 3.5 2.9 2.8
사용자들은 실시예 6 내지 8에 따른 치약 조성물 사용시 잇몸 출혈이 감소함과 동시에 미백 효과를 체감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비교예 6에 따른 저수치약의 경우 플루오르화주석 성분으로 인해 잇몸 출혈 감소 효과는 있었으나, 토출성이 불량하여 이에 따른 사용감 및 제품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7에 따른 일반치약의 경우 잇몸 출혈 감소 효과는 평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백 효과는 체감하기 어려운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린이 예방 성분을 포함하는 미백 치약 조성물의 제조
시린이 예방 성분으로 염화아연을 포함하는 내용물과 이에 대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내용물로 구성된 치약 조성물을 아래 표 8에 따른 조성(중량%)으로 준비하였다. 비교예로는 염화아연과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호박산나트륨 등을 하나의 내용물 내에 모두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을 준비하여 튜브에 담았다.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 8 비교예 9
챔버1 챔버2 챔버 1 챔버2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PEG300 5 5 5 5 5 5
침강실리카 15 15 15 15 15 15
라우릴황산나트륨 2 2 2 2 2 2
염화아연 0.18 0 0.18 0 0.09 0.09
일불소인산나트륨 0 1.52 0 1.52 0.76 0.76
일인산칼륨 0 0.05 0 0.05 0.05 0.05
이인산칼륨 0 1.5 0 1.5 0.75 0.75
호박산이나트륨 0 2.4 0 0 1.2 0
디칼륨 옥살산염 0 0 0 2.4 0 1.2
잔탄검 0.5 0.5 0.5 0.5 0.5 0.5
CMC 0.8 0.8 0.8 0.8 0.8 0.8
구연산나트륨 0.2 0.2 0.2 0.2 0.2 0.2
함수 구연산 0.07 0.07 0.07 0.07 0.07 0.07
Span 80 0.2 0.2 0.2 0.2 0.2 0.2
sucralose 0.05 0.05 0.05 0.05 0.05 0.05
sodium saccharin 0.24 0.24 0.24 0.24 0.24 0.24
1.2 1.2 1.2 1.2 1.2 1.2
제3인산나트륨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3. 치약 조성물 보관 안정성 확인
실시예 9 및 10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딥튜브 형태의 투챔버 용기에 담고, 비교예 8 및 9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기존의 튜브에 담은 후 50℃ 조건에서 4주 동안 보관하면서 각 용기 내부에 침전물이 형성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8 비교예 9
50℃ 1주 경과 침전 발생 없음 침전 발생 없음 침전 발생 없음 침전 발생
50℃ 2주 경과 침전 발생 없음 침전 발생 없음 침전 발생 침전 발생
50℃ 4주 경과 침전 발생 없음 침전 발생 없음 침전 발생 침전 발생
상기 실험 결과는, 시린이 예방을 위한 성분으로 염화아연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서 염화아연과 염화아연에 대한 킬레이트제 보관시 투챔버와 같은 분리 보관의 필요성 및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투챔버 용기 10: 용기 본체
11: 격막 12: 제1 용기
13: 제2 용기 14: 도출부
15: 결합홈 20: 고정부재
21: 캡 22: 스프링
30: 노즐 31: 토출구
40: 펌프 50: 튜브
2: 투챔버 용기 60: 제1 용기
61: 제1 토출부 62: 제1 토출구
70: 캡 80: 제2 용기
81: 제2 토출부 82: 제2 토출구

Claims (26)

  1.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내용물은 치아 미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로 마련된 둘 이상의 용기에 담지되며,
    상기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둘 이상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은 딥튜브 용기이고,
    상기 제1 내용물의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상기 점증제를 20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용물은 연마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용물은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연마제를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내용물은 치아 미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용기에 담지되며,
    상기 용기는 튜브-인-튜브 용기이고,
    상기 제1 내용물의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상기 점증제를 20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용물은 연마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용물은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연마제를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물은 과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과산화물은 과산화요소,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슘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침강 실리카, 흄드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탄산칼슘, 폴록사머, 잔탄검, 카보머,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7. 삭제
  8.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로 마련된 둘 이상의 용기에 담지되며,
    상기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둘 이상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은 딥튜브 용기이고,
    상기 제1 내용물은 플루오르화주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용물은 피로인산, 폴리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적어도 하나와 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물을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용물은 상기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피로인산, 폴리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적어도 하나를 2 내지 12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물은 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물을 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1.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별도로 마련된 둘 이상의 용기에 담지되며,
    상기 격막이 있는 용기 또는 둘 이상의 용기 중 하나 이상은 딥튜브 용기이고,
    상기 제1 내용물은 염화아연, 질산칼륨 및 염화스트론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용물은 호박산이나트륨, 디칼슘옥살산, 일인산칼륨 및 이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2. 제 1 항, 제 2 항, 제 8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의 점도는 5,000 내지 40,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의 점도비는 1.2:1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4. 제 1 항, 제 8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용물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본체,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튜브, 펌프 및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상기 격막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저장 공간 및 제2 저장 공간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1 용기 및 상기 제2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 양치 시에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9.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용기에 담지되며,
    상기 용기는 튜브-인-튜브 용기이고,
    상기 제1 내용물은 플루오르화주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용물은 피로인산, 폴리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적어도 하나와 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물을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0.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은 용기에 담지되며,
    상기 용기는 튜브-인-튜브 용기이고,
    상기 제1 내용물은 염화아연, 질산칼륨 및 염화스트론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용물은 호박산이나트륨, 디칼슘옥살산, 일인산칼륨 및 이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1. 제 19 항 및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의 점도는 5,000 내지 40,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의 점도비는 1.2:1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용물은 상기 제2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피로인산, 폴리인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적어도 하나를 2 내지 12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용물은 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용물 100 중량%에 대해 물을 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5. 제 2 항, 제 19 항,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1 용기 본체 및 상기 제2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2 용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 본체 내에 상기 제2 용기 본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본체를 누르면 상기 제1 내용물 및 상기 제2 내용물이 동시에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1020227024346A 2020-03-06 2020-03-06 치약 조성물 KR102630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18469A KR102423229B1 (ko) 2020-03-06 2020-03-06 치약 조성물
PCT/KR2020/003184 WO2021177494A1 (ko) 2020-03-06 2020-03-06 치약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469A Division KR102423229B1 (ko) 2020-03-06 2020-03-06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861A KR20220139861A (ko) 2022-10-17
KR102630851B1 true KR102630851B1 (ko) 2024-01-31

Family

ID=776128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346A KR102630851B1 (ko) 2020-03-06 2020-03-06 치약 조성물
KR1020207018469A KR102423229B1 (ko) 2020-03-06 2020-03-06 치약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469A KR102423229B1 (ko) 2020-03-06 2020-03-06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49271A1 (ko)
KR (2) KR102630851B1 (ko)
CN (1) CN115052575A (ko)
WO (1) WO2021177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49271A1 (en) * 2020-03-06 2023-05-1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paste composition
WO2024025387A1 (ko) * 2022-07-29 2024-02-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랄 케어 조성물 및 오랄 케어 조성물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2365A2 (en) * 2005-11-23 2007-05-31 Colgate-Palmolive Company Stannous salt and sodium tripoly-phosphate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423229B1 (ko) * 2020-03-06 2022-07-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약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2487A (en) * 1985-07-03 1986-06-03 Simon Gilbert I Dentifrices
US20070025928A1 (en) * 1999-11-12 2007-0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nnous oral care compositions
KR100712250B1 (ko) * 2000-05-09 2007-04-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전한 미백치약 조성물
KR20050114537A (ko) * 2004-06-01 2005-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알킬실란을 코팅처리한 탄산칼슘 및 인산일수소칼슘을연마제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US20060110340A1 (en) * 2004-11-24 2006-05-25 American Dental Association Found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hitening, mineralizing and/or fluoridating calcified tissues
US20060134020A1 (en) * 2004-12-21 2006-06-22 Robinson Richard S Anti-caries oral care composition with a chelating agent
KR100751835B1 (ko) * 2006-03-16 2007-08-23 주식회사 예찬 이종 내용물의 동시 토출이 가능한 펌프 디스펜서
KR101772198B1 (ko) * 2011-01-20 2017-08-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건강 증진용 치약 조성물 및 치약
RU2670432C2 (ru) * 2013-10-28 2018-10-23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для десенсибилизации зубов
BR112017002680A2 (pt) * 2014-08-15 2017-12-12 Procter & Gamble composições para tratamento bucal com uma experiência sensorial melhorada
JP6523002B2 (ja) * 2015-03-20 2019-05-29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2液混合型エアゾール歯磨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2365A2 (en) * 2005-11-23 2007-05-31 Colgate-Palmolive Company Stannous salt and sodium tripoly-phosphate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423229B1 (ko) * 2020-03-06 2022-07-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494A1 (ko) 2021-09-10
KR20220139861A (ko) 2022-10-17
US20230149271A1 (en) 2023-05-18
KR20210113021A (ko) 2021-09-15
KR102423229B1 (ko) 2022-07-21
CN115052575A (zh)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2568A (en) Method for whitening teeth
US8481004B2 (en) Stannous salt and sodium tripolyphosphate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507171B2 (en) Peroxide-stable oral care compositions
TWI398266B (zh) 口腔保健組成物
JP2015129178A (ja) 二相型増白用歯みがき剤
KR101792198B1 (ko) 구강용 조성물
TWI486174B (zh) 過氧化物-穩定之口腔保健組成物
JP6524072B2 (ja) 口腔用組成物
KR102630851B1 (ko) 치약 조성물
US20030194383A1 (en) Teeth whitening system
KR101984544B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EP3541348B1 (en)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10744076B2 (en)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2020521792A (ja) ポンプ型歯磨剤組成物
KR102294485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89534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JP5393313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70026439A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20200027490A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20230092574A (ko) 끊김성이 향상된 액상형 치약 조성물
AU667341B2 (en) Stabilised peroxide gels containing fluor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