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350A -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350A
KR20230092350A KR1020210181657A KR20210181657A KR20230092350A KR 20230092350 A KR20230092350 A KR 20230092350A KR 1020210181657 A KR1020210181657 A KR 1020210181657A KR 20210181657 A KR20210181657 A KR 20210181657A KR 20230092350 A KR20230092350 A KR 20230092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ape
unit
opposing surface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민
오영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350A/ko
Publication of KR2023009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6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50Gripping means
    • B65H2405/57Details of the gripping parts
    • B65H2405/575Details of gripp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는, 테이프를 파지하는 클램프가 테이프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CLAMP UNIT AND TAPE ATTACHMEN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테이프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되는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의 종류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P-DVD, MP3P, 휴대폰, PDA, Portable Game Device, Power Tool 및 E-bike 등의 소형 제품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대형제품과 잉여 발전 전력이나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백업용 전력 저장 장치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재질에 따라, 파우치 형(Pouch Type) 및 캔 형(Can Type) 등으로 분류된다. 파우치 형(Pouch Type)은 연성의 폴리머 재질로 제조된 파우치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다. 그리고, 캔 형(Can Type)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조된 케이스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형 이차 전지의 케이스인 파우치는, 연성의 재질을 가지는 파우치 필름에 컵부를 드로잉(Drawing) 성형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컵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에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납하고 실링부를 실링(sealing)한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이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전극 탭과,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되어 전극에서 생성된 전기를 외부로 전달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극 탭과 전극 리드는 용접 등으로 연결되어 연결부를 형성한다.
그런데 용접을 수행한 후에 연결부에 요철이 심하게 형성되거나, 전극 탭의 단부, 즉 끝 부분이 전극 리드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되는 버(Burr)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전극 탭의 끝 부분이 들뜨게 되면, 들뜬 부분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를 손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의 손상은 파우치의 절연성을 파괴시켜, 이차 전지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단락으로 인한 전지의 발화나 폭발 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이차 전지용 테이프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연결부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고 있다. 절연 테이프의 일면은 이차 전지에 접착되는 면이고 절연 테이프의 타면은 비접착면이다. 절연 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연 테이프의 일면의 접착성에 기인하여, 절연 테이프를 파지하는 부재와 절연 테이프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KR 10-2021-0145534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테이프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클램프 프레임; 그리고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클램프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클램프를 마주하는 제1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 바디; 상기 제2 클램프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를 마주하는 제2 대향면; 그리고 상기 제2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컨택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차 전지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감고 있는 롤(roll)과 상기 테이프를 고정할 수 있는 테이프 홀더를 구비하는, 테이프 공급 유닛; 이동 가능한 클램프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구비하는, 클램프 유닛; 그리고 상기 테이프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테이프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 바디; 상기 제2 클램프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를 마주하는 제2 대향면; 그리고 상기 제2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컨택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차 전지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 방법에 있어서, 클램프 유닛이 상기 테이프를 파지하여 연장하는, 연장 단계(S100); 테이프 부착 유닛이 상기 테이프와 결합하고, 테이프 커터가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이송 준비 단계(S200); 그리고 상기 테이프 부착 유닛이 상기 절단된 테이프를 이송하여 상기 이차 전지에 상기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이송 단계(S200)는, 상기 클램프 유닛이 상기 테이프와 분리되는, 언클램핑 단계(S230)를 포함하며, 상기 언클램핑 단계(S230)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에 가스가 분사되는, 테이프 부착 방법(S1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그리고 테이프 부착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테이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테이프 부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클램프 유닛이 테이프 홀더에 접근하여 테이프의 단부를 고정(clamping)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테이프 부착 유닛이 테이프를 파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테이프가 절단되고 클램프에서 테이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돌기(protrusion) 형상의 컨택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클램프를 A1-A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클램프를 B1-B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탄성을 가진 제2 컨택부를 포함하는 제2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탄성을 가진 제2 컨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오목한 부분이 형성된 제1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클램프를 C1-C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1 클램프와 도 9에 도시된 제2 클램프가 서로 접근하여 테이프(50)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D1-D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방법(S10)을 나타낸 플로우차트(flowchart)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의 측면이 관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테이프(50)는 이차 전지용 테이프일 수 있다. 테이프(50)는, 이차 전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50)는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50)는 전극 조립체의 전극 탭에 부착될 수 있다.
테이프(50)는, 제1 테이프 면(51)과 제2 테이프 면(5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테이프 면(52)은, 제1 테이프 면(51)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테이프 면(52)은, 외부 물체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테이프 면(52)은, 접착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테이프 면(51)은, 비접착면일 수 있다.
테이프(50)는 절연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50)는,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탈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그리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50)는, 이차 전지의 전극 탭에 부착되어 전극 탭을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제2 테이프 면(52)에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는 테이프 공급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공급 유닛(100)은, 롤(110)을 포함할 수 있다. 롤(110)은, 회전할 수 있다. 롤(110)은, 테이프(50)를 권취(wind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50)는 권취된 상태에서 롤(110)에 결합될 수 있다. 테이프(50)는, 롤(110)에 감겨진 상태에서 풀릴 수 있다.
테이프 공급 유닛(100)은, 테이프 가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가이드(120)는, 테이프(50)를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50)는, 테이프 가이드(120)를 관통할 수 있다. 테이프 가이드(120)는, 테이프(50)를 정렬할 수 있다. 테이프 가이드(120)의 일단은 롤(110)을 마주할 수 있다. 테이프 가이드(120)의 일단에 투입된 테이프(50)는, 테이프 가이드(120)를 통과하여, 테이프 가이드(120)의 타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테이프 공급 유닛(100)은, 테이프 홀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홀더(130)는, 테이프 가이드(120)에 인접할 수 있다. 테이프 홀더(130)의 일단은, 테이프 가이드(120)의 타단을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가이드(120)에서 배출되는 테이프(50)는, 테이프 홀더(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테이프 홀더(130)는, 제1 홀더(131)와 제2 홀더(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131)와 제2 홀더(132)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홀더(131)와 제2 홀더(132)는,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다. 테이프(50)는, 제1 홀더(131)와 제2 홀더(13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홀더(131)와 제2 홀더(132)가 서로 접근하면, 테이프 홀더(130)는 테이프(50)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홀더(131)와 제2 홀더(132)가 서로 멀어지면, 테이프 홀더(130)와 테이프(50)의 고정은 해제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는 클램프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닛(300)은, 테이프 홀더(130)와 이격될 수 있다. 클램프 유닛(300)은 이동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닛(300)은, 테이프 홀더(130)를 향하여 접근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닛(300)은, 테이프 홀더(13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클램프 유닛(300)은, 클램프 프레임(30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프레임(301)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 프레임(301)은, 테이프 홀더(130)를 향하여 접근하거나 테이프 홀더(130)로부터 후퇴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닛(300)은, 클램프(30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302)는, 클램프 프레임(301)에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302)는,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302)는,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클램프(302)는, 클램프 프레임(301)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클램프 프레임(301)의 일면은, 테이프 홀더(130)를 마주할 수 있다. 클램프(302)는, 클램프 프레임(3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는, 클램프 프레임(301)에서 이동하되, 서로 멀어지거나 접근할 수 있다. 제2 클램프(320)는, 제1 클램프(310)를 마주할 수 있다.
도 2는, 클램프 유닛(300)이 테이프 홀더(130)에 접근하여 테이프(50)의 단부를 고정(clamping)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램프 유닛(300)은 테이프 홀더(13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클램프(302)는, 테이프 홀더(130)와 클램프 프레임(30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클램프(302)는, 테이프(50)를 고정(clamp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50)는,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는, 서로 접근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는, 테이프(50)를 파지(clamping)할 수 있다.
도 3은, 테이프 부착 유닛(200)이 테이프(50)를 파지(carrying)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이프(50)를 파지한(clamping) 클램프 유닛(300)은, 테이프 홀더(13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클램프 유닛(300)이 테이프 홀더(130)로부터 멀어지면, 테이프(50)는 롤(110)에서 풀릴 수 있다. 롤(110)은, 테이프(50)가 풀리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토크(torque)를 형성할 수 있다.
테이프 홀더(130)는 테이프(50)를 고정(clamp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더(131)와 제2 홀더(132)는, 서로 접근하여 테이프(50)를 고정할 수 있다. 테이프 홀더(130)와 클램프(302) 사이에 위치하는 테이프(50)는, 장력(tension)을 형성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는 테이프 부착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5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제1 테이프 면(51)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 홀더(130)와 클램프 유닛(3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50)를 향하여 이동하여, 테이프 홀더(130)와 클램프 유닛(3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50)를 잡을 수 있다.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50)를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진공 부착 방식을 이용하여, 테이프(50)를 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 부착 유닛(200)과 테이프(50) 사이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형성할 수 있다. “음압”은 주변 기압 보다 낮은 압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테이프 면(51)에서 압력은, 제2 테이프 면(52)에서 압력 보다 낮을 수 있다.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음압을 형성하기 위한 펌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유닛(200)의 일면은, 테이프(50)를 마주하며 접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유닛(200)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hole,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유닛(200)에 형성된 홀(미도시)은, 펌프(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테이프 공급 유닛(100)은, 테이프 커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커터(140)는, 제1 테이프 면(51)을 향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테이프 면(51)은 테이프 커터(140)를 마주할 수 있다. 테이프 커터(140)는 테이프(5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커터(140)는, 제1 테이프 면(51)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테이프 커터(140)는, 테이프(50)를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커터(140)는, 테이프 홀더(130)와 테이프 부착 유닛(200)의 사이에서 테이프(50)를 향하여 이동하여 테이프(50)를 절단할 수 있다.
도 4는 테이프(50)가 절단되고 클램프(302)에서 테이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프(302)와 테이프(50) 사이의 결합 또는 고정은,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는 이동하여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서로 멀어지면, 테이프(50)가 클램프(30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클램프 유닛(300)이 테이프 부착 유닛(2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테이프 면(52)과 제2 클램프(320) 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제2 테이프 면(52)이 접착면이므로,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서로 멀어지는 과정에서, 제2 테이프 면(52)과 제2 클램프(320) 사이의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 클램프(302)와 테이프(50)의 고정(또는 결합) 해제가 용이하도록, 클램프(302)가 디자인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램프(302)는 클램프 바디(3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 도 4 참조)는, 제1 클램프 바디(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램프(320, 도 4 참조)는, 제2 클램프 바디(321)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바디(351)는, 제1 클램프 바디(311)와 제2 클램프 바디(321)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클램프 바디(351)는, 일단(351a)에서 타단(351b)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클램프 바디(351)의 연장된 방향은, 클램프 바디(351)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클램프 바디(351)의 일단(351a)은, 클램프 프레임(301, 도 4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 바디(351)의 일단(351a)은, 근위부(351a, proximal end)라 칭할 수 있다. 클램프 바디(351)의 타단(351b)은, 원위부(351b, distal end) 또는 말단부(351b)라 칭할 수 있다.
클램프(302)는 대향면(352, facing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면(352)은, 클램프 바디(35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 도 4 참조)는 제1 대향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향면(312)은, 제1 클램프(310, 도 4 참조)에 형성되며 제2 클램프(320, 도 4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클램프(320, 도 4 참조)는 제2 대향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향면(322)은, 제2 클램프(320, 도 4 참조)에 형성되며 제1 클램프(310, 도 4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대향면(352)은, 제1 대향면(312)과 제2 대향면(322)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클램프(302)는 컨택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택부(353)는, 대향면(352)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부(353)는, 대향면(352) 중에서, 원위부(351b)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 도 4 참조)는 제1 컨택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택부(313)는 제1 대향면(312)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클램프(320, 도 4 참조)는 제2 컨택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택부(323)는 제2 대향면(322)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컨택부(353)는, 제1 컨택부(313)와 제2 컨택부(323)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컨택부(313)는 제1 대향면(312)에서 제2 클램프(320, 도 4 참조)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컨택부(323)는 제2 대향면(322)에서 제1 클램프(310, 도 4 참조)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컨택부(353)는, 예를 들어, 주름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컨택부(353)는, 주름(3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부(353)의 일부는 돌출되고 다른 일부는 함몰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부(353)는 폭 방향으로 주름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클램프 바디(351)의 폭 방향은, 대향면(352)이 위치하는 평면(plane)에서 클램프 바디(351)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일 수 있다. 클램프 바디(351)의 길이 방향은, 클램프 유닛(300, 도 3 참조)이 테이프 홀더(130, 도 3 참조)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택부(353)의 주름진 방향은, 클램프 바디(351)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컨택부(353)의 주름진 방향은, 클램프 바디(351)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에 각각 경사를 형성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컨택부(323)의 일부는 돌출되고 다른 일부는 함몰된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제2 테이프 면(52, 도 1 참조)과 제2 컨택부(323) 사이의 접촉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제2 테이프 면(52, 도 1 참조)과 제2 컨택부(323)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면, 제2 테이프 면(52, 도 1 참조)과 제2 컨택부(323)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제2 컨택부(323)가 폭 방향으로 주름진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 클램프 유닛(300, 도 4 참조)이 테이프 부착 유닛(200, 도 4 참조)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제2 컨택부(323)와 테이프(50, 도 4 참조) 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도 6은 돌기(protrusion) 형상의 컨택부(353)를 포함하는 클램프(30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클램프(302)를 A1-A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컨택부(353)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53, 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부(353)는, 복수의 돌기(35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53)는, 대향면(352)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53)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53)는, 원위부(351b)에 인접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클램프(302)를 B1-B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의 클램프(302)는 제2 클램프(320)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클램프(32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잉 홀(324, blowing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잉 홀(324)은, 제2 대향면(322)에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잉 홀(324)은, 제2 대향면(322)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로잉 홀(324)은,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로잉 홀(324)의 일단은, 제2 대향면(322)에 연결되거나 위치할 수 있다. 블로잉 홀(324)의 타단은, 제2 클램프 바디(321)의 타면에 연결되거나 위치할 수 있다.
블로잉 홀(324)은, 블로잉 유닛(400, blowing unit, 도 15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블로잉 홀(324)은, 블로잉 유닛(400, 도 15 참조)으로부터 가스(또는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잉 홀(324)은, 타단을 통해 가스(또는 공기)를 제공받아 제2 대향면(322)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잉 유닛(400, 도 15 참조)에서 제공되는 가스(또는 공기)는, 블로잉 홀(324)을 통과하여 테이프(50, 도 4 참조)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테이프(50, 도 4 참조)를 향해 가스(또는 공기)가 분사되면, 테이프(50, 도 4 참조)와 제2 클램프(320) 사이의 결합(또는 고정) 해제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9는, 탄성을 가진 제2 컨택부(323)를 포함하는 제2 클램프(3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탄성을 가진 제2 컨택부(32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컨택부(323)는, 제2 대향면(322)에서 돌출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컨택부(323)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컨택부(323)는, 예를 들어, 고리(hook)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컨택부(323)는, 코일(coil)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컨택부(323)는, 고정부(323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231)는, 제2 대향면(322)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231)는, 제2 대향면(322)에서 연장되어 돌출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컨택부(323)는, 탄성부(323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3232)는, 고정부(323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3232)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3232)는 고정부(32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컨택부(323)는, 지지부(32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33)는, 탄성부(3232)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233)는 제1 클램프(310, 도 4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클램프(320, 도 4 참조)가 제1 클램프(310, 도 4 참조)를 향하여 이동하면, 지지부(3233)는 테이프(50, 도 4 참조)에 접하며 테이프(50, 도 4 참조)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3233)는 탄성부(32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컨택부(323)는, 금속을 포함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231), 탄성부(3232), 그리고 지지부(32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3232)는, 고정부(3231)와 지지부(3233)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컨택부(323)가 코일(coil)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고정부(3231)와 탄성부(3232)는, 제2 대향면(322)에서 돌출된 코일(coil)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탄성부(3232)는 코일(coil)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클램프 바디(321)는, 일단(321a)에서 타단(321b)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클램프 바디(321)의 일단(321a)은, 제2 근위부(321a)라 칭할 수 있다. 제2 클램프 바디(321)의 타단(321b)은, 제2 원위부(321b)라 칭할 수 있다. 제2 근위부(321a)는, 클램프 프레임(301, 도 4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오목한 부분이 형성된 제1 클램프(3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클램프(310)를 C1-C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클램프 바디(311)는, 일단(311a)에서 타단(311b)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클램프 바디(311)의 일단(311a)은, 제1 근위부(311a)라 칭할 수 있다. 제1 클램프 바디(311)의 타단(311b)은, 제1 원위부(321b)라 칭할 수 있다. 제1 근위부(311a)는, 클램프 프레임(301, 도 4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근위부(351a, 도 5 참조)는, 제1 근위부(311a)와 제2 근위부(321a, 도 9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원위부(351b, 도 5 참조)는, 제1 원위부(311b)와 제2 원위부(321b, 도 9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는 제1 오목면(3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목면(3121)은, 제1 대향면(312)의 적어도 일부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목면(3121)은, 제1 원위부(311b)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오목면(3121)은, 제2 컨택부(323, 도 9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는 제1 미세 홀(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세 홀(314)은, 제1 오목면(31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미세 홀(314)은, 제1 오목면(3121)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미세 홀(314)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미세 홀(314)은, 제1 오목면(3121)에서 연장되어, 제1 클램프(310)의 면(surface) 중에서 제1 대향면(312)을 제외한 면(surface)에 이어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미세 홀(314)은, 제1 클램프(310)를 관통하되 제1 오목면(31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1 클램프(310)와 도 9에 도시된 제2 클램프(320)가 서로 접근하여 테이프(50)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를 D1-D2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서로 접근하면,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는, 테이프(5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서로 접근하면, 제1 테이프 면(51, 도 3 참조)은 제1 오목면(3121, 도 11 참조)을 마주하며 접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테이프(50)와 제1 오목면(3121, 도 11 참조) 사이의 공기(또는 가스)는, 제1 미세 홀(3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서로 접근하면, 제2 테이프 면(52, 도 3 참조)은 제2 컨택부(323)를 마주하며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테이프 면(52, 도 3 참조)은 지지부(3233, 도 10 참조)를 마주하며 접할 수 있다. 제2 컨택부(323)는 테이프(5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컨택부(323)는, 제2 클램프(320)에서 제1 클램프(310)를 향하는 방향의 힘(또는 압력)을 테이프(5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서로 멀어지면, 테이프(50)의 점착성으로 인해, 테이프(50)와 제2 컨택부(323) 사이에 결합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서로 멀어지면, 테이프(50)는 중력(gravity)에 의하여 제1 오목면(3121, 도 11 참조)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테이프(50)가 제1 오목면(3121, 도 11 참조)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테이프(50)와 제1 오목면(3121, 도 11 참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테이프(50)와 제1 오목면(3121, 도 11 참조) 사이 공간에서 기압은, 테이프(50) 아래에서 기압 보다 일시적으로 낮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멀어지면, 기압 차이에 의하여 테이프(50)에서 제1 오목면(3121, 도 11 참조)을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테이프(50)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가 서로 멀어지면, 테이프(50)에서 제1 오목면(3121, 도 11 참조)을 향하는 방향의 압력이, 테이프(50)와 제2 컨택부(323) 사이의 결합력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상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는 블로잉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로잉 유닛(400)은 제2 클램프(320)의 블로잉 홀(324)에 연결될 수 있다. 블로잉 유닛(400)은 블로잉 홀(324)에 가스(또는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는 제어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신호(signal) 또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프로세서(processor), 컴퓨터(computer), 서버(server)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신호(또는 정보)를 수신하여 새로운 신호(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는 입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00)는 외부로부터 신호(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600)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의 작동에 관한 신호(또는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유닛(5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600)는 제1 신호(S1)를 제어 유닛(5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1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입력 신호라 칭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입력 신호(S1)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S2, S3, S4, S5)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신호(S2, S3, S4, S5)는, 제2 신호(S2), 제3 신호(S3), 제4 신호(S4), 그리고 제5 신호(S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입력 신호(S1)에 기초하여 제2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제2 신호(S2)를 테이프 공급 유닛(100)에 제공할 수 있다. 테이프 공급 유닛(100)은, 제2 신호(S2)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제2 신호(S2)에 따라, 테이프 홀더(130)는 테이프(50)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제2 신호(S2)에 따라, 테이프 커터(140)는 테이프(50)를 절단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입력 신호(S1)에 기초하여 제3 신호(S3)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제3 신호(S3)를 테이프 부착 유닛(200)에 제공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제3 신호(S3)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제3 신호(S3)에 따라,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50)를 파지할 수 있다. 제3 신호(S3)에 따라,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이동할 수 있다. 제3 신호(S3)에 따라,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50)를 이차 전지에 부착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입력 신호(S1)에 기초하여 제4 신호(S4)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제4 신호(S4)를 클램프 유닛(300)에 제공할 수 있다. 클램프 유닛(300)은 제4 신호(S4)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제4 신호(S4)에 따라, 클램프 프레임(301)은 이동할 수 있다. 제4 신호(S4)에 따라,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는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입력 신호(S1)에 기초하여 제5 신호(S5)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유닛(500)은 제5 신호(S5)를 블로잉 유닛(400)에 제공할 수 있다. 블로잉 유닛(400)은 제5 신호(S5)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제5 신호(S5)에 따라, 블로잉 유닛(400)은 블로잉 홀(324)에 가스(또는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방법(S10)을 나타낸 플로우차트(flowchart)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방법(S10)은, 테이프 연장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00)에서, 제어 유닛(500)은 제4 신호(S4)를 생성하여 클램프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단계(S100)에서, 클램프 유닛(300)은 테이프(50)를 파지하여 연장할 수 있다.
테이프 연장 단계(S100)는, 접근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10)에서, 클램프 유닛(300)은 테이프 홀더(13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단계(S110)에서, 클램프 유닛(300)은 테이프 홀더(130)에 접근할 수 있다.
테이프 연장 단계(S100)는, 클램핑(clamping)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20)에서, 제1 클램프(310)와 제2 클램프(320)는, 서로 접근하여 테이프(50)를 고정(또는 파지)할 수 있다.
테이프 연장 단계(S100)는, 후퇴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30)에서, 클램프 유닛(300)은 이동하여 테이프 홀더(13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이 단계(S130)가 완료된 이후, 테이프 홀더(130)는 테이프(5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단계(S130)가 완료된 이후, 제1 홀더(131)와 제2 홀더(132)가 서로 접근하여, 테이프 홀더(130)가 테이프(5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방법(S10)은, 테이프 이송 준비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200)에서 테이프 커터(140)는 테이프(50)를 절단할 수 있다.
이 단계(S200)에서,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절단된 테이프(50)를 파지할 수 있다. 이 단계(S200)에서, 제어 유닛(500)은, 제2 신호(S2), 제3 신호(S3) 및 제4 신호(S4)를 생성하여, 테이프 공급 유닛(100), 테이프 부착 유닛(200) 및 클램프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테이프 이송 준비 단계(S200)는, 커플링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210)에서,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5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단계(S210)에서, 제어 유닛(500)은 제3 신호(S3)를 생성하여 테이프 부착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단계(S210)에서,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테이프(50)를 향해 이동하여 제1 테이프 면(51)과 결합할 수 있다.
테이프 이송 준비 단계(S200)는, 커팅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220)에서, 제어 유닛(500)은 제2 신호(S2)를 생성하여 테이프 커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단계(S220)에서, 테이프 커터(140)는 테이프(50)를 절단할 수 있다. 이 단계(S220)에서, 테이프 커터(140)는, 테이프 홀더(130)와 테이프 부착 유닛(200)의 사이에서, 테이프(50)를 절단할 수 있다. 이 단계(S220) 이후, 테이프 홀더(130)는 테이프(50)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테이프 이송 준비 단계(S200)는, 언클램핑(unclamping)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230)에서, 제어 유닛(500)은 제4 신호(S4)를 생성하여 클램프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단계(S230)에서, 클램프 유닛(300)은 테이프(50)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단계(S230)에서, 제어 유닛(500)은 제5 신호(S5)를 생성하여 블로잉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단계(S230)에서, 블로잉 유닛(400)은 블로잉 홀(324)에 가스(또는 공기)를 제공하거나 불어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방법(S10)은, 테이프 부착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300)에서 제어 유닛(500)은 제3 신호(S3)를 생성하여 테이프 부착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단계(S300)에서, 테이프 부착 유닛(200)은 이동하여 이차 전지에 테이프(50)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 방법(S10)은, 종료 사유 발생 여부 판단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400)에서 제어 유닛(500)은 테이프 부착 방법(S10)의 종료 사유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방법(S10)의 종료 사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 유닛(500)은 테이프 부착 방법(S10)을 종료할 수 있다. 테이프 부착 방법(S10)의 종료 사유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 유닛(500)은 테이프 연장 단계(S100)를 실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100: 테이프 공급 유닛
200: 테이프 부착 유닛 300: 클램프 유닛
400: 블로잉 유닛 500: 제어 유닛
600: 입력부

Claims (18)

  1. 클램프 프레임; 그리고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클램프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클램프를 마주하는 제1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 바디;
    상기 제2 클램프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를 마주하는 제2 대향면; 그리고
    상기 제2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컨택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부는,
    주름진 형상을 형성하는,
    클램프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 바디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2 클램프 바디의 일단은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컨택부는,
    상기 제2 클램프 바디의 폭 방향으로 상기 주름진 형상을 형성하는,
    클램프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부는,
    상기 제1 클램프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2 대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클램프 바디를 관통하는, 블로잉 홀(blowing hole)을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홀은,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블로잉 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2 대향면에 연결되고,
    상기 블로잉 홀은,
    상기 블로잉 홀의 상기 타단에 제공되는 가스를 통과시켜 상기 제2 대향면에 제공하는,
    클램프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부는,
    상기 제2 대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부; 그리고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클램프를 마주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부는,
    고리(hook) 형상을 형성하는,
    클램프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coil) 형상을 형성하는,
    클램프 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제1 대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대향면에서 함몰되어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컨택부를 마주하는, 제1 오목면을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제1 오목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클램프 바디를 관통하는, 제1 미세 홀을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
  12. 이차 전지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감고 있는 롤(roll)과 상기 테이프를 고정할 수 있는 테이프 홀더를 구비하는, 테이프 공급 유닛;
    이동 가능한 클램프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구비하는, 클램프 유닛; 그리고
    상기 테이프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테이프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 바디;
    상기 제2 클램프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를 마주하는 제2 대향면; 그리고
    상기 제2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프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컨택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 유닛은,
    상기 테이프 홀더와 상기 테이프 부착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커터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 바디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2 클램프 바디의 일단은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컨택부는,
    상기 제2 클램프 바디의 폭 방향으로 주름진 형상을 형성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2 대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블로잉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블로잉 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2 대향면에 연결되고,
    상기 블로잉 홀은,
    상기 블로잉 홀의 상기 타단에 제공되는 가스를 통과시켜 상기 제2 대향면에 제공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16. 제12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부는,
    상기 제2 대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부; 그리고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클램프를 마주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클램프 바디;
    상기 제1 클램프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클램프를 마주하는 제1 대향면; 그리고
    상기 제1 대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대향면에서 함몰되어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컨택부를 마주하는, 제1 오목면을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18. 이차 전지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 방법에 있어서,
    클램프 유닛이 상기 테이프를 파지하여 연장하는, 연장 단계(S100);
    테이프 부착 유닛이 상기 테이프와 결합하고, 테이프 커터가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이송 준비 단계(S200); 그리고
    상기 테이프 부착 유닛이 상기 절단된 테이프를 이송하여 상기 이차 전지에 상기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이송 준비 단계(S200)는,
    상기 클램프 유닛이 상기 테이프와 분리되는, 언클램핑 단계(S230)를 포함하며,
    상기 언클램핑 단계(S230)에서 상기 클램프 유닛에 가스가 분사되는,
    테이프 부착 방법(S10).
KR1020210181657A 2021-12-17 2021-12-17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KR20230092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657A KR20230092350A (ko) 2021-12-17 2021-12-17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657A KR20230092350A (ko) 2021-12-17 2021-12-17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350A true KR20230092350A (ko) 2023-06-26

Family

ID=8694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657A KR20230092350A (ko) 2021-12-17 2021-12-17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3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534A (ko) 2020-05-25 2021-12-02 (주) 티원시스템 전지 셀에 부착 가능한 접착 테이프용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534A (ko) 2020-05-25 2021-12-02 (주) 티원시스템 전지 셀에 부착 가능한 접착 테이프용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2420B2 (en) Battery power source device including rechargeable battery and circuit board joined thereto
KR101094024B1 (ko) 이차전지
KR20040066412A (ko) 전지부 유니트와,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2580234B1 (ko) 이차 전지
JP2008305774A (ja) バッテリパック
US20080226978A1 (en) Support foot for battery pack, battery pack with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22805B2 (en) Battery pack
KR102234286B1 (ko) 커브드 이차 전지
JP2022515783A (ja) 二次電池の製造装置及び方法
KR20230092350A (ko) 클램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프 부착 디바이스
EP3392933A1 (en) Secondary cell and method for supplementing electrolyte of secondary cell
EP3641045A1 (en) Cable type battery
KR102221781B1 (ko) 배터리 팩
US8895183B2 (en) External terminal assembly including a terminal holder coupled to a protection circuit substrat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2019091563A (ja) 蓄電素子
KR100322096B1 (ko) 리튬 폴리머 전지
JP7222589B2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CN116762226A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US20240116732A1 (en) Tape feeding device
KR20210155240A (ko) 배터리 팩,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US2023026862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20230085522A1 (en) Battery cell transfer apparatus
US202302078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Coupling Clip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KR200396721Y1 (ko)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KR20230096646A (ko) 측면 외부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