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931A - 절단 공구 조립체용 냉각제 도관 - Google Patents

절단 공구 조립체용 냉각제 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931A
KR20230091931A KR1020237016557A KR20237016557A KR20230091931A KR 20230091931 A KR20230091931 A KR 20230091931A KR 1020237016557 A KR1020237016557 A KR 1020237016557A KR 20237016557 A KR20237016557 A KR 20237016557A KR 20230091931 A KR20230091931 A KR 20230091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ing
tool assembly
extension
cut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리 에를리히
길 헥트
Original Assignee
이스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카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스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9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0Cutting tools with special provision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8Cutting tools with blade- or disc-like main parts
    • B23B27/086Cutting tools with blade- or disc-like main parts with yieldable support for the cutting inse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절단 공구 조립체는 블레이드 홀더,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되어 그에 의해 클램핑되는 절단 블레이드, 절삭 인서트 및 절단 블레이드에 장착된 냉각제 도관을 포함한다. 절삭 인서트가 절삭 에지 폭(CW)과 동일한 폭의 연장-폭 절삭 평면을 정의한다. 출구를 갖는 냉각제 도관은 연장-폭 절삭 평면 내에 위치된 제1 연장 부분으로 개방된다.

Description

절단 공구 조립체용 냉각제 도관
본 출원의 주제는 절삭 인서트를 향해 냉각제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냉각제 도관, 및 더 구체적으로는 절단 블레이드(parting-blade) 및 블레이드 홀더와 함께 사용을 위해 구성된 냉각제 도관, 뿐만 아니라 이를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 그와의 조립 방법 및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절단(또한 "파팅-오프(parting-off)" 또는 "컷오프(cutoff)"라고도 지칭됨) 작업을 위한 공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단을 수행할 수 있는 공구 조립체는 또한 그루빙(grooving)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절단 블레이드는 큰 절삭 깊이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신장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절단 블레이드는 여전히 상이한 오버행 길이에 대해 유리하게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면서, 강한 클램핑을 허용하기 위해 테이퍼진 종방향 에지를 갖고 신장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또한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US 2019/0240741에서 절단 공구 조립체를 또한 더 설명하였다. 상기 공보에서, 예를 들어 거기의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정사각형의 규칙적인 형상의 절단 블레이드 및 홀더가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공구 조립체는 더 안정한 장착 배열을 위해 조정 가능한 오버행 길이의 장점을 포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S 2019/0240741에는 개선될 수 있는 수많은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코너에 인서트 포켓을 갖는 규칙적인 형상의 블레이드에서 절삭 인서트(cutting insert)의 양 측면에 냉각제를 제공하는 어려움으로 인해(그리고 블레이드의 입구는 절삭 깊이를 최대화하기 위해 비-중앙 위치에 있음) 냉각제는 절삭 인서트의 일 측면에만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블레이드를 견고하게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나사와 플러그는 블레이드가 "숄더에 가깝게" 절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당한 측방향 돌출을 유발한다. 부가적으로, 절단 블레이드 내에 내부 냉각제 구멍을 제공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어려운 제조 작업이다.
냉각제의 제공과 관련하여, 모든 기계 공구와 마찬가지로, 그 공구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공 중에 절삭 인서트를 냉각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공구와는 달리, 절단 블레이드에 의해 보유되는 절삭 인서트에 냉각제를 제공하는 데 고유한 어려움이 있다. 즉, 절단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얇고(재료의 낭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작업편 내에 깊게 진입한다. 냉각제의 제공은 냉각제 출구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덜 효과적이다. 부가적으로, 절삭 인서트가 작업편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절삭 인서트의 측면에 냉각제 노즐을 제공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절삭 인서트 위로 칩이 흘러 위에서부터 냉각제를 편향시킨다.
수많은 해결책이 상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냉각제가 절단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외부 도관(많은 상이한 공구를 위해 사용됨)을 통해 제공되었지만, 이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고 칩과 작업편은 냉각제가 절삭 인서트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한다. 다른 해결책은 절단 블레이드 내에 냉각제 통로를 형성하고, 절단 블레이드 자체를 통해 냉각제를 유도하는 것인데, 이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비용이 많이 든다. 또 다른 해결책은 절단 블레이드를 통해 그리고 또한 절삭 인서트를 통해 냉각제를 유도하는 것인데, 이는 절삭 인서트의 생산을 복잡하게 만든다. 또 다른 해결책은 냉각제 유동이 칩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절삭 인서트의 후방 단부에만 냉각제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최근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해결책은 절단 블레이드를 통해 고압 냉각제를 제공하는 것이었다(시판중인 대부분의 이러한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 홀더는 최대 70 bar까지 냉각제를 제공하도록 지정되고, 본 출원인의 제품은 최대 심지어 140 bar까지 냉각제를 제공하도록 구성됨). 그러나, 블레이드를 통한 고압 냉각제는 냉각제가 냉각될 필수 영역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문제를 극복하지만, 블레이드 내부의 이러한 통로는 비용이 많이 들고 느린 제조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된다. 블레이드는 제한된 공구 수명을 갖고 이어서 일단 통상적으로 탄력성의 인서트 포켓이 마모되면 비교적 신속하게 폐기되기 때문에, 이는 일회용 블레이드의 이러한 통로 비용이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게 한다. 탄력성 인서트 포켓은 통상적으로 극도로 얇고 바람직한 절단 블레이드 폭에 나사를 위한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사용된다.
인덱서블(indexable) 인서트는 절단 블레이드의 대안이지만, 인서트 재료가 통상적으로 강철 블레이드보다 훨씬 더 고가인 것으로 인해 더 소형이고, 극도로 대형 인서트를 가압하는 것이 어렵거나 비실용적이다. 절삭 인서트는 더 소형이기 때문에, 공구 홀더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냉각제가 더 큰 절삭 깊이를 갖는 절단 블레이드의 경우보다 더 효과적이고(즉, 절삭 에지가 공구 홀더로부터 비교적 더 멀리 있음), 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특히 공구 홀더로부터 비교적 큰 거리에 있는 절삭 에지에 효과적인 냉각제를 제공하는 고유한 어려움으로 인한 절단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냉각제 도관, 절단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냉각제 도관에 관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절삭 인서트에 효과적으로 냉각제를 제공하기 위해 그 출구가 절삭 인서트에 근접하도록 절단 블레이드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냉각제 도관이다.
도면 및 "체결된" 또는 "장착된" 또는 "현수된"과 같은 다양한 용어로부터, 명칭 "냉각제 도관"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램핑 기능을 갖고 구성된 클램프가 아닌데, 즉 절단 블레이드를 공구 홀더에 고정하도록 설계되지 않고 임의의 절단 블레이드 클램핑 기능이 없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냉각제 도관 이외는 절단 블레이드 자체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냉각제 도관은 단지 절단 블레이드와만 접촉한다(따라서 공구 홀더와 접촉하지 않음). 달리 말하면, 절단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된다고 언급될 때, 이는 절단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홀더에 의해 블레이드 홀더에 클램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즉, 블레이드 홀더는 절단 블레이드를 클램핑하는 공구 조립체의 유일한 구성요소임). 그러나, 이는 냉각제 도관이 블레이드 홀더에 접촉하거나 고정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가공하는 동안 절단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에 보유하기 위해 클램핑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가 냉각제 도관이 아니라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절단 블레이드는 냉각제 도관이 절단 블레이드에 장착되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블레이드 홀더에 클램핑된다. 몇몇 실시예는 단지 절단 블레이드와만 접촉하는(즉, 블레이드 홀더와 접촉하지 않음) 냉각제 도관을 형성하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냉각제 도관의 일부는 절단되는 작업편 내의 좁은 슬릿의 인벨로프 내에서 다가오는 칩을 향해 진입할 수 있다.
가공되는 칩이 냉각제 도관을 이탈시키거나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다수의 고유한 안전 메커니즘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냉각제 도관은 냉각제가 단지 일 측면에만 제공되어 있는 전술된 규칙적인 형상의 블레이드 개념에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부가적으로, 냉각제 도관은 가공력으로부터 마모를 경험하지 않기 때문에(내부 냉각제 구멍을 갖는 절단 블레이드에 대조적으로), 이는 많은 상이한 절단 블레이드 상에 재장착될 수 있고, 이는 이제 내부 냉각제 구멍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인해 생산이 더 저렴하고 더 간단하다. 유사하게, 냉각제 도관은 강한 클램핑력으로부터의 마모를 경험하지 않기 때문에, 즉,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에 클램핑하는 클램프가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절단 블레이드 상에 제자리에 보유하기 위한 비교적 적당한 체결 기능을 갖지만, 이는 많은 절단 블레이드 상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최대 140 bar 압력으로 제한되는 냉각제 구멍을 갖는 전술된 절단 블레이드와 달리, 냉각제 도관은 더 높은 냉각제 압력으로 그 입구에서 공급될 수 있는 것(더 큰 냉각제 공급을 야기하고 따라서 절삭 인서트 공구 수명이 더욱 더 연장됨)이 발견되었다.
냉각제 도관은 유리하게는 냉각제 구멍을 갖고 구성되지 않은 것일지라도 표준 블레이드 홀더와 함께 사용될 수 있어, 제조자의 입수 비용을 감소시킨다.
부가적으로, 냉각제 도관은 표준(통상적으로 세장형) 절단 블레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절단 블레이드로의 냉각제 도관의 안전한 장착을 보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전 특징부를 갖는 개선된 절단 블레이드가 개발되었다.
용어 "냉각제 도관"은 대안적으로 "냉각제 부속품"이라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 또는 다른 공구의 일체형 부분이 아니고 원하는 위치에 냉각제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클램핑 또는 가공 기능을 갖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냉각제 도관 또는 냉각제 부속품은 임의의 공구 조립체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조립체의 기본 가공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냉각제가 없거나 적은 냉각제(이용 가능한 다른 냉각제 구성이 있는 경우)가 원하는 위치에 제공되더라도, 조립체는 그것 없이 가공할 수 있다.
냉각제 도관이 공구 조립체의 가공 구성요소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더 명료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냉각제 도관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입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출구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통로를 갖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냉각제 도관은 냉각제 통로를 둘러싸는(적어도 하나의 입구로부터의 냉각제가 적어도 하나의 출구에 도달하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벽 또는 인벨로프를 더 포함한다.
추가의 독립적으로 개발된 고유한 양태가 아래에 열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블레이드 홀더, 절단 블레이드 및 냉각제 도관을 포함하고;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되는, 공구 조립체가 제공된다.
달리 말하면, 절단 공구 조립체는 블레이드 홀더; 블레이드 홀더에 의해 블레이드 홀더에 클램핑되고, 인서트 포켓을 포함하는 절단 블레이드; 및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된 냉각제 도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양태에 따르면, 블레이드 홀더;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되어 그에 의해 클램핑되고, 적어도 제1 인서트 포켓을 포함하는, 절단 블레이드; 제1 인서트 포켓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 및 절단 블레이드에 장착된 냉각제 도관을 포함하고; 절삭 인서트는: 절삭 에지 폭(CW) 및 절삭 에지 폭(CW)과 동일한 폭인 연장-폭 절삭 평면을 정의하는 최전방 절삭 에지를 포함하고; 절단 블레이드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 및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을 연결하는 주연 블레이드 에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1 인서트 포켓이 주연 블레이드 에지를 따라 형성되고; 주연 블레이드 에지는: 제1 인서트 포켓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포함하고; 냉각제 도관은: 적어도 제1 연장 부분; 적어도 하나의 입구;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입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출구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통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제1 연장 부분에서 개방되고 연장-폭 절삭 평면 내에 위치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와만 접촉한다. 달리 말하면 냉각제 도관은 블레이드 홀더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와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와만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의 오버행 부분과만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냉각제 도관은 블레이드보다 절삭 방향에 더 많이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냉각제 도관은 블레이드 홀더를 둘러쌀 수 있다. 또 다른 실현 가능한 가능성은 냉각제 도관이 블레이드 홀더를 따라 연장된다는 것이다.
냉각제 도관은 냉각제 도관을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에 압력 끼워맞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즉, 따라서 체결 부분이 없음). 예를 들어, 냉각제 도관은 평행 연장 부분 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평행 연장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절단 블레이드의 높이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평행 연장 부분의 모두는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된다.
연장 부분은 대안적으로 "아암"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단 블레이드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냉각제 도관으로서 개발되었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절삭 인서트에 효과적으로 냉각제를 제공하기 위해 그 출구가 절삭 인서트에 근접하도록 절단 블레이드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냉각제 도관이다.
냉각제 도관은 절삭 인서트 절삭 폭보다 더 얇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냉각제 도관의 일부는 절단되는 작업편 내의 좁은 슬릿의 인벨로프 내로 그리고 다가오는 칩을 향해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가공되는 칩이 냉각제 도관을 이탈시키거나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다수의 고유한 안전 메커니즘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냉각제 도관은 냉각제가 단지 일 측면에만 제공되어 있는 전술된 규칙적인 형상의 블레이드 개념에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부가적으로, 냉각제 도관은 가공력으로부터 마모를 경험하지 않기 때문에(내부 냉각제 구멍을 갖는 절단 블레이드에 대조적으로), 이는 많은 상이한 절단 블레이드 상에 재장착될 수 있고, 이는 이제 내부 냉각제 구멍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인해 생산이 더 저렴하고 더 간단하다. 부가적으로, 최대 140 bar 압력으로 제한되는 냉각제 구멍을 갖는 전술된 절단 블레이드와 달리, 냉각제 도관은 더 높은 냉각제 압력으로 그 입구에서 공급될 수 있는 것(더 큰 냉각제 공급을 야기하고 따라서 절삭 인서트 공구 수명이 더욱 더 연장됨)이 발견되었다. 부가적으로, 절단 블레이드는 최대 가공 강도를 허용하는 더 적은 재료를 갖는 것보다 더 강하다(공극, 즉, 냉각제 구멍의 제공으로 인해). 달리 말하면, 절단 블레이드는 냉각제 통로가 없을 수 있다. 이는 냉각제 도관이 냉각제 통로를 갖는 절단 블레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냉각제 도관이 냉각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절단 블레이드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가 고가의 내부 냉각제 통로가 없다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연장-폭 절삭 평면에서 냉각제 통로의 단면을 신장함으로써, 부가의 냉각제가 각각의 출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전통적인 원형 도관 출구와 비교하여).
추가의 독립적으로 개발된 고유한 양태가 아래에 열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공구 조립체로 작업편에 슬릿을 절단하거나 그루빙하는 방법이며, 작업편이 절삭 인서트의 절삭 에지에 의해 접촉될 때까지 작업편을 향해 상대적으로 공구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제1 단계; 절삭 인서트와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어 있는 절단 블레이드가 작업편에 슬릿을 가공하도록 또한 작업편을 향해 상대적으로 공구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단계 동안 냉각제 도관의 부분이 작업편에 형성된 슬릿에 진입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절단 블레이드에 냉각제 도관을 고정하는 방법이며, 방법은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된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냉각제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절단 블레이드 상에 냉각제 도관을 현수하는 제1 단계; 및 체결 부분으로 냉각제 도관을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절단 블레이드에 냉각제 도관을 고정하는 방법이며, 방법은 냉각제 도관에 형성된 삽입 간극을 통해 절단 블레이드를 삽입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간극은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선형 형상 연장 부분을 갖는, 냉각제 도관이 제공된다.
"세장형"이라는 것은, 연장 부분의 최대 길이(LM)가 연장 부분의 최대 높이(HE)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최대 길이 대 최대 높이 비는 바람직하게는 조건: LM > HE를 충족한다.
더 큰 최대 높이(HE)는 더 큰 단면(높이 방향으로)을 허용하고 따라서 더 많은 냉각제가 연장 부분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절삭 깊이를 제한하거나 인접한 공구 조립체에 필요한 영역을 방해할 수 있는 더 큰, 덜 콤팩트한 구성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냉각제 도관은 충분한 냉각제를 제공하고 따라서 그 출구가 가능한 한 절삭 인서트에 가까운 것을 허용하도록 연장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최대 길이 및 최대 높이 비는 조건: LM > 2HE 또는 심지어 LM > 3HE를 충족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비선형 형상 연장 부분의 경우, 최대 길이(LM)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측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LM = LM2 + LM3이다. 따라서, 최대 길이 대 최대 높이 비는 심지어 조건: LM > 4HE를 충족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양의 냉각제를 제공하기 위해, 인서트 포켓에 인접하여 위치된 연장 부분의 각각의 선형 섹션(도 6c에서 각각 LM1 및 LM3으로 식별됨)이 조건: LM < 8HE, 또는 심지어 LM < 6HE를 충족하는 최대 길이 대 최대 높이 비를 갖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연장 부분은 서로로부터 이격된 정확히 2개의 연장 부분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연장 부분은 연장-폭 절삭 평면(PC)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연장 부분은 연장-폭 절삭 평면(PC) 내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연장 부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말하면, 연장 부분은 절단 블레이드로서 공통 평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냉각제 도관은 연장 부분으로 개방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냉각제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냉각제 도관은 연장 부분으로 개방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냉각제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출구가 경사진 전방 연장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진다는 것은, 연장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것을 의미한다. 더 정확하게는,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임의의 양태에 따르면, 냉각제 도관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안전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갖고 구성될 수 있다.
연장 부분은 안전 돌출부 또는 안전 오목부, 바람직하게는 안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될 때, 안전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없이 안전 오목부 내에 수용된다.
연장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절단 블레이드에 대해 편향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편향되는 표면은 각각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부분은 절단 블레이드보다 더 얇을 수 있다.
연장 부분은 내부 연장 표면으로부터 외부 연장 표면까지 신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원통형 도관보다 추가의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고, 절단 또는 그루빙 용례에 대한 고유한 공간 제한에 주목한다. 달리 말하면
연장 부분은 다가오는 칩을 편향시키기 위한 경사진 전방 연장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전방 연장 표면은 다가오는 칩을 회피하기 위해 인서트 포켓으로부터 안전 거리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이러한 거리는 냉각제 유효성을 약간 감소시킨다.
연장 부분은 내열성 또는 내충격성이도록 코팅될 수 있다.
임의의 양태에 따르면, 절단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안전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갖고 구성될 수 있다.
절단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안전 돌출부 또는 안전 오목부, 바람직하게는 안전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될 때, 안전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없이 안전 오목부 내에 수용된다.
연장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절단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대해 편향될 수 있다.
절단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강성 냉각제 도관이 제공된다.
강성이라는 것은, 냉각제 도관이, 그에 의해 보유되는 구성요소의 형상에 적응하는 가요성 튜브 또는 파이프와 달리 기본 형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제 도관은 적어도 3개의 회전부를 포함한다.
강체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철로 제조될 수 있다.
냉각제 도관은 공급 파이프에 직접 연결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냉각제 도관의 입구는 암형 나사산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냉각제 도관은 2개의 비평행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 및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을 연결하는 주연 블레이드 에지; 및 주연 블레이드 에지를 따라 형성된 제1 인서트 포켓을 포함하고; 주연 블레이드 에지는 제1 인서트 포켓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포함하고; 제1 인서트 포켓은 베이스 조오; 제2 조오; 및 베이스 조오와 제2 조오를 연결하는 슬롯 단부를 포함하고; 베이스 조오는 제2 조오보다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더 가깝고; 제2 조오는 베이스 조오보다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더 가깝고; 이하의 2개의 조건: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가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보다 길고;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되는 제1 조건; 및 양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모두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되는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는, 절단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용어 "제2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에서 "제2"와 같은 유도어(introductory word) 및 "제1"과 같은 유사한 단어는 단지 식별 명칭으로만 고려되어야 하고 존재하는 다수의 요소를 정의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제1 조건에 관련하여: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가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보다 길다고 명시하는 다른 방식은 절단 블레이드가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따라 신장되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말하면, 절단 블레이드는 베이스 조오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신장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블레이드는 x-축 블레이드라 지칭될 것이다.
x-축 블레이드는 절단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에 클램핑하도록 의도된 그 세장형 측면을 따라(즉,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및 그에 평행한 서브 에지를 따라)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x-축 블레이드는 평탄한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만이 제공된다(따라서 그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따라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없음).
명료화를 위해, 본 발명의 경우,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의 기능은 주로 전통적인 경사진 블레이드 홀더 조오(이러한 대응 요소는 아래의 예에서 포켓 돌출 에지라 지칭됨)에 대한 것이 아니라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단일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절단 블레이드에 제공될 수 있고 주연 블레이드 에지의 잔여부(또는 일부)는 블레이드 홀더 에지(아래에서 또한 "포켓 돌출 에지"라고도 지칭됨)와의 맞접(abutment)을 위해 평탄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나사가 절단 블레이드 상에 측방향 힘을 제공하여 이를 블레이드 홀더 지지 표면(아래에서 또한 블레이드-포켓 측면 표면이라고도 지칭됨)과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어느 경우든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제공되는 절단 블레이드의 경우,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또한 측방향 힘을 제공하는 것을 보조하고 절단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 지지 표면을 향해 편향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조건에 관련하여: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가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보다 긴(달리 말하면, 베이스 조오(jaw)에 대해 수직으로 신장되어 있음) 덜 통상적인 절단 블레이드(이하 Y-축 블레이드라 지칭됨)가 존재한다. 이러한 Y-축 블레이드는 절단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에 클램핑하도록 의도된 그 세장형 측면을 따라(즉,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및 그에 평행한 서브 에지를 따라)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신장되어 있는 X-축 및 Y-축 블레이드의 모두는 인서트 포켓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양 서브 에지를 따라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말할 필요도 없이, 블레이드의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통상적으로 연삭됨)를 제공하는 데 수반되는 비용이 있고, 따라서 절단 블레이드의 대향하는 세장형 측면 상에 클램핑되는 전통적인 절단 블레이드에 대한 요구가 따라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전통적인 클램핑은 절단 블레이드 오버행 길이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유리하게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비-블레이드 양태는 단지 종래 기술의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 또는 심지어 단지 평탄한 주연 에지만을 갖는 종래 기술의 블레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블레이드의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장 부분의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한 안전 특징부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절단 블레이드는 비-블레이드 양태 중 하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연장 부분이 절단 블레이드의 대응하는 평탄한 주연 에지 맞접 표면에 대해 편향되는 평탄한 연장-맞접 표면을 갖고, 하나 이상의 나사가 절단 블레이드에 측방향 힘을 인가하도록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해, 이하는 바람직한 특징이다.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서브 에지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최전방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x-축 블레이드의 경우, 최전방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즉, 신장되어 있지 않은 블레이드 서브 에지이고; 또는 규칙적인 형상의 블레이드의 경우 최전방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될 때 블레이드 홀더 섕크로부터 가장 먼 서브 에지일 수 있음). 전술된 바와 같이, 공지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홀더에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그 측면에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제공되지 않는다.
인서트 포켓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양 서브 에지는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공지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홀더에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그 측면에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제공되지 않는다.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측방향 힘을 인가할 수 있는 임의의 기계적 구조체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평탄한 표면 이외의 임의의 기계적 구조체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를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는, 두께 치수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가 존재한다.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의 몇몇 비한정적이지만 바람직한 예는 단일 중앙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된 블레이드 서브 에지 오목부에 의해 분리된 2개 이상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 단일의 비-중앙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 또는 인서트 포켓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된 하나 초과의 비-중앙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이다. 각각의 예에서, 정점 및 정점으로부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 중 하나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이 존재한다.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은 볼록 또는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밀 연삭을 허용하는 평탄-경사진 표면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단일 중앙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절단 블레이드의 종방향 에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v-형 단면에 대응함)가 존재한다. 이는 양 측면 방향에 대해 동일한 측방향 지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더 정확하게는, 단일 중앙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는 정점을 갖고 정점으로부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은 정밀 연삭을 허용하는 평탄-경사진 표면이다. 그러나, 이들은 볼록 또는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 단일 중앙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에 대한 바람직한 내부 블레이드 각도(α)는 조건: 120° ≤ α ≤ 170°, 더 바람직하게는 140° ≤ α ≤ 160°의 α의 값을 갖는 것을 충족한다. 공지의 x-축 블레이드에 대한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에 대한 통상적인 내부 블레이드 각도(α)는 클램핑에 최적으로 고려되는 150°이지만, 약간 더 작은 각도, 예를 들어 120° ≤ α ≤ 148° 또는 135° ≤ α ≤ 145°가 본 발명의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 또는 인서트 포켓에 인접한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및/또는 적어도 최전방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대해 바람직한 것이 있을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이러한 각도를 갖는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 또는 그 부분이 절단 블레이드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고 연장 맞접 표면과의 맞접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특히, 얇은 연장 부분과 절단 블레이드의 인터로킹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더 공격적인 각도(즉, 전술된 더 작은 각도 범위)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타낸 프로토타입 예에서, 150°의 표준 각도가 양호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은 정점으로부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까지 동일한 내각으로 연장된다. 이는 동일한 블레이드가 오른손 및 왼손 블레이드 홀더의 모두에 대해 유사한 효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절단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가변 단면이 가능하지만, 균일한 단면은 용이한 생산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과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을 연결하는 주연 블레이드 에지; 및 주연 블레이드 에지를 따라 형성된 제1 인서트 포켓을 포함하고; 주연 블레이드 에지는 제1 인서트 포켓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포함하고;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를 갖고 형성되는, 절단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인서트 포켓은 베이스 조오; 제2 조오; 및 베이스 조오와 제2 조오를 연결하는 슬롯 단부를 포함하고; 베이스 조오는 제2 조오보다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더 가깝고; 제2 조오는 베이스 조오보다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더 가깝고,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의 각각 상에 형성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의 각각 상에 형성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공통 인서트 포켓에 인접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그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다.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다가오는 칩이 연장 부분과 블레이드 사이에 웨지 고정되어, 이에 의해 연장 부분을 변위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 안전 돌출부가 블레이드의 서브 에지 내로 연장될 수 있게 하는 특징부이다.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베이스 조오에 인접하기 때문에, 절단 블레이드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의 경사 표면과 연관됨)에 대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연장 부분이 얇은 블레이드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다는 시각적 표시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과 같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다가오는 칩이 웨지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이외의 기능을 위해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대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가 절단 블레이드를 측면으로부터 관찰하고 연장 안전 돌출부가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 내에 위치되면, 연장 부분이 정확하게 장착되었다고 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블레이드 양태는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가 없는 종래 기술의 블레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장 부분의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한 안전 특징부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해, 이하는 바람직한 특징이다:
a.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이유로,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인접한 블레이드 서브 에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b.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서브 에지의 모두 상에 각각 제공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일 수 있다.
c. 단일 서브 에지 상에 하나 초과의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서브 에지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이들은 서브 에지를 따라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의하면, 공통 인서트 포켓에 인접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그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조건: LR ≤ 30 mm, 바람직하게는 LR ≤ 2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LR ≤ 15 mm를 충족하는 인서트 포켓의 서브 에지로부터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까지 측정된 오목부 길이(LR) 내에 있을 수 있다.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 및 결과적으로 연장 부분이 절삭 인서트에 가까울수록, 냉각제가 더 효과적일 것이지만, 칩 또는 작업편에 의해 충돌되는(릴리프 측면에서) 위험으로 인해 얼마나 가깝게 위치될 수 있는지의 제한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따라, LR ≥ 4 mm, 바람직하게는 LR ≥ 8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d.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인서트 포켓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인서트 포켓과 서브 에지 중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임의의 절단 블레이드 양태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양태에 따르면, 이하는 바람직한 특징이다:
a. 절단 블레이드는 세장형 블레이드일 수 있다.
b. 절단 블레이드는 중실 절단 블레이드일 수 있다. "중실"이라는 것은, 절단 블레이드가 내부 냉각제 채널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훨씬 더 간단한 제조 프로세스를 허용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절단 블레이드는 인서트 포켓의 일 측면에 냉각제 채널을 가질 수도 있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절단 블레이드의 해당 측면을 따라 연장부를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 이러한 경우에, 블레이드 조립체는 예를 들어 인서트 포켓의 일 측면에 냉각제를 제공하는 하나의 연장부 및 인서트 포켓의 다른 측면에(또는 절삭 인서트에, 예를 들어 절삭 인서트 내의 구멍을 통해) 냉각제를 제공하는 내부 냉각제 채널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내부 냉각제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직선 관통 구멍이다. 적어도 직선 관통 구멍의 경우에, 막힘 단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 냉각제 채널을 갖는 공지의 종래 기술에 비해 제조 프로세스가 적어도 단순화된다.
c. 절단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각각의 인서트 포켓에 인접함)는 세장형 부분이다. 절삭 인서트는 세장형 부분을 따른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보다 넓은 절삭 폭(CW)을 갖는 인서트 포켓에 장착되어, 이에 의해 세장형 부분이 절단되는 작업편의 일부에 진입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d. 각각의 블레이드는 복수의 인서트 포켓을 갖는다. 각각의 부가의 인서트 포켓에 대해, 절단 블레이드가 더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절단 블레이드가 2 내지 5개의 인서트 포켓, 더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개의 인서트 포켓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절단 작업의 경우 수반된 칩은 5개 초과의 인서트 포켓을 수용할 수 있는 더 많은 원형 슬리팅 블레이드보다 상당히 더 많은 칩 배출 영역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절단 블레이드는 그 각각의 코너에 형성된 인서트 포켓을 갖는다.
e. 블레이드는 나사 구멍이 없을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 블레이드는 단일 중앙 제조 구멍을 갖는다. 중앙 제조 구멍은 절단 블레이드가 회전될 수 있게 하여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단일 장착 작업으로 생산되게 한다. 이에 무관하게, 블레이드는 나사 구멍이 없을 수 있다.
f. 제2 조오는 실현 가능하게는, 많은 인서트 포켓에 대해 통상적인 바와 같이, 베이스 조오 위에 위치된 유형일 수 있지만, 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조오의 후방에 위치되고 그에 비스듬히(기본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는 베이스 조오 위로 연장되는 제2 조오가 연장부가 절삭 인서트의 절삭 에지를 향해 조준되는 것을 더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더 가파른 각도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연장부는 절단 블레이드로부터 더 높은 높이를 필요로 함). 이 고려 사항은 절단 블레이드의 서브 에지의 경사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연장부에만 적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유형의 공지의 인서트 포켓이 본 발명에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g. 각각의 유형의 공지의 인서트 포켓이 본 발명에서 실현 가능하지만, 절단 블레이드가 탄력성 인서트 포켓(즉, 나사 또는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레버를 갖지 않는 것)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단 작업이 더 적은 재료를 낭비하는 더 작은 절삭 폭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절단을 위해 가장 유리하지만, 작업편을 절단하는 최종 단계 없이, 그루빙 및 특히 큰 깊이의 그루빙에도 또한 적합하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 바람직하게는 절단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DT)는 조건: 0.8 mm ≤ DT ≤ 4 mm, 더 바람직하게는 1.2 mm ≤ DT ≤ 3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4 mm ≤ DT ≤ 2.5 mm를 충족한다. 범위의 하한(즉, 0.8 mm)과 관련하여, 냉각제 제공을 위해, 블레이드 홀더 상의 일체로 형성된 구멍이 여전히 작은 거리(예를 들어, 10 내지 20 mm)에 걸쳐 효과적인 냉각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냉각제 연장부의 중요한 장점은 이것이 20 mm 초과 길이일 때이다. 그러나, 얇은 절단 블레이드가 얼마나 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절삭 깊이/오버행 제한이 존재하고, 따라서 매우 긴 절삭 깊이는 0.8 mm 미만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연장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DT)보다 작은 연장 두께(TE)를 갖는 것(릴리프를 제공하기 위해)을 주목하면, 0.8 mm 미만으로 제공되는 냉각제의 양은 작은 효과만을 제공할 것이다. 범위의 상한과 관련하여, 재료 낭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전술되었다. 그러나, 최소 두께는 여전히 요구 절삭 깊이와 관련되는 것이 이해된다.
i. 절단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DT)와 관련하여 언급된 것들과 유사한 고려 사항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인 형상의 절단 블레이드는 조건: 30 mm ≤ LS ≤ 80 mm, 더 바람직하게는 40 mm ≤ LS ≤ 7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5 mm ≤ LS ≤ 60 mm를 충족하는 서브 에지 길이(LS)를 갖는다.
규칙적인 형상의 절단 블레이드의 크기를 정의하는 대안적인 방법은 주연 블레이드 에지와 접촉하는 외접원(CC)에 의한 것이다. 외접원(CC)은 바람직하게는 조건: 40 mm ≤ CC ≤ 80 mm, 더 바람직하게는 45 mm ≤ CC ≤ 7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mm ≤ CC ≤ 65 mm를 충족한다.
j. 세장형 절단 블레이드가 더 작은 서브 에지(즉, x-축 블레이드의 경우 베이스 조오에 인접하고, Y-축 블레이드의 경우 제2 조오에 인접한 서브 에지)를 따른 서브 에지 길이(LS)를 갖는 것에 관련하는 것은 조건: 10 mm ≤ LS ≤ 40 mm, 더 바람직하게는 15 mm ≤ LS ≤ 36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4 mm ≤ LS ≤ 34 mm를 충족한다.
k. 절단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DT)와 관련하여 언급된 것들과 유사한 고려 사항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절삭 인서트의 절삭 폭(CW)은 조건: 1.0mm ≤ CW ≤ 5 mm, 더 바람직하게는 1.4mm ≤ CW ≤ 4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mm ≤ DT ≤ 3.2 mm를 충족한다.
l. 절단 블레이드의 크기와 관련하여 언급한 것과 유사한 고려 사항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절단 조립체의 절삭 깊이(CD)는 조건: 40 mm ≤ CD ≤ 160 mm, 더 바람직하게는 50 mm ≤ CD ≤ 14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mm ≤ CD ≤ 125 mm를 충족한다.
내부 구멍 내에 형성된 절단 블레이드에 대해, 구멍이 절삭 에지를 향해 지향될 수 있게 하도록 적어도 그 경사 측면에 부가의 재료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인덱서블 절단 블레이드의 각각의 측면에 재료가 추가되어 절단 블레이드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구멍 절단 블레이드(그러나 여전히 인서트 포켓에 인접한 고압 냉각제를 제공함)는 더 작고 따라서 블레이드 자체가 구조적으로 더 강하다(굽힘을 더 많이 저지하는 것이 가능함).
부가적으로, 공극(즉, 냉각제 구멍)이 없는 절단 블레이드는 중실 절단 블레이드보다 구조적으로 더 강하다.
냉각제 도관은 연장 부분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이 아래의 개시내용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냉각제 도관은 단일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제 도관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방향은 1/4 회전일 수 있다.
공구 조립체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제1 연장 부분 및 제2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실현 가능하다. 달리 말하면, 조립체는 연장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냉각제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공구 조립체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 도관, 및 그를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냉각제 구멍을 갖는 절단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실현 가능하다.
냉각제 도관의 형상에 관련하여:
적어도 내부 본체 표면(즉, 최전방 표면)은 원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부분의 형상에 관련하여:
연장 부분, 또는 출구를 포함하는 그 적어도 일부는 선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또는 선형 형상이라는 것은,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각제 도관이 측면 뷰에서 보았을 때, 직선으로 연장하지만, 그 단면은 다양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장 부분은 연장-폭 절삭 평면(PC)에만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연장 부분은 연장 부분의 신장 방향에 수직인 세장형 연장 단면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연장 단면은 내부 연장 표면으로부터 외부 연장 표면까지의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 부분은 굽힘부를 포함한다. 굽힘부는 대략 1/4 회전부일 수 있다. 이는 특히 절단 블레이드의 릴리프 측면에 맞접하도록 구성된 연장 부분에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구에 인접하여 연장 부분이 선형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제 통로 형상에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냉각제 통로는, 연장 부분에서, 연장 부분의 신장 방향에 수직으로, 세장형 통로 단면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통로 단면은 내부 연장 표면으로부터 외부 연장 표면까지의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 서브 통로는 선형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제 통로는 입구 통로로부터,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분할된다(또는 갈라짐). 2개의 방향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절단 블레이드 및 냉각제 도관을 포함하고,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되고; 절단 블레이드는 제1 인서트 포켓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갖고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를 갖고 형성되고; 냉각제 도관은 연장 안전 돌출부를 갖고 형성된 연장 부분을 포함하고; 연장 안전 돌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 내에 있는, 공구 조립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와 연장 안전 부분을 분리하는 간극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본체 단부, 제2 본체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본체 부분; 제1 본체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1 연장 부분을 포함하고; 전체 제1 연장 부분은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되는, 냉각제 도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본체 단부, 제2 본체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본체 부분; 제1 본체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1 연장 부분; 및 전방 연장 표면에 인접한 내부 연장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안전 돌출부를 포함하는, 냉각제 도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절단 블레이드 및 냉각제 도관을 포함하고,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되고;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와의 공통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1 연장 부분을 갖고 형성되는, 공구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본체 단부, 제2 본체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중간 본체 서브 부분을 포함하는 본체 부분; 및 냉각제 통로를 포함하고; 냉각제 통로는 입구; 제1 출구; 및 입구로부터 제1 출구까지 연장하는 중간 통로를 포함하는, 냉각제 도관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제 통로는 적어도 2개의 회전부, 더 바람직하게는 3개의 회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완만하게 만곡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모든 회전부는 모두 완만하게 만곡된다.
상기 양태는 전술된 서브 특징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번호 부기(예를 들어, "제1")를 사용하는 이하의 모든 요소 명칭은 단지 식별 명칭으로만 고려되어야 하고 청구범위에 존재하는 다수의 요소를 정의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청구항이 그 명칭이 "제1"을 포함하는 요소를 갖는 경우, 이는 "제2" 이러한 요소가 청구항에 요구되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이것은 단지 명칭이다. 유사하게, 단어 "상부" 등은 동일한 구성요소의 다른 요소에 대한 정의를 제공할 뿐이고 구성요소 자체의 전체 배향을 정의하지 않는다.
냉각제 도관이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된다고 언급된 경우, 이는 또한 압력 끼워맞춤의 경우를 포함한다.
관련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경사 표면은 그 위로 가공된 칩이 흐르도록 의도된 표면이고 여유 표면은 통상적으로 절삭 에지로부터 후퇴되도록 설계된다.
본 출원의 주제의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그리고 본 출원의 주제가 실제로 어떻게 수행될 수도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이제 첨부 도면이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공구 조립체의 절단 블레이드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절단 블레이드 부분의 단부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절단 블레이드의 상단 단부도이다.
도 2d는 가능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2e는 기계적 인터로크가 없는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2f는 가능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2g는 가능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2h는 가능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도 1의 공구 조립체의 냉각제 도관의 상단 단부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냉각제 도관의 정면도로서, 냉각제 통로가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c는 도 3a의 냉각제 도관의 측면도로서, 냉각제 통로가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d는 도 3a의 냉각제 도관의 후면도이다.
도 3e는 도 3a의 냉각제 도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a의 냉각제 도관의 체결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체결 요소의 제1 단부도이다.
도 5b는 체결 배향에서, 도 5a의 체결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의 라인 VC-V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d는 도 5a의 대향 방향에서 체결 요소의 제2 단부도이다.
도 5e는 도 5b에 대한 삽입 배향에서, 즉, 그에 대해 약 1/4 회전만큼 회전된 도 5a의 체결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5f는 도 5e의 라인 VF-VF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공구 조립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공구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공구 조립체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의 공구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6e는 도 6a의 공구 조립체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7a는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원통형 작업편을 절단하는 도 1의 공구 조립체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작업편을 개략적으로 절단하는 도 7a의 공구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7c는 작업편을 개략적으로 절단하는 도 7a의 공구 조립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d는 작업편을 개략적으로 절단하는 도 7a의 공구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 도관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냉각제 도관의 정면도로서, 냉각제 통로가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c는 도 8a의 냉각제 도관의 측면도로서, 냉각제 통로가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d는 도 8a의 냉각제 도관의 후면도이다.
도 8e는 도 8a의 냉각제 도관의 저면도이다.
도 9a는 도 8a의 냉각제 도관의 체결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체결 요소의 상이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a의 체결 요소의 제1 단부도이다.
도 10b는 체결 배향에서, 도 10a의 체결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b의 라인 XC-X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d는 도 10a의 대향 방향에서 체결 요소의 제2 단부도이다.
도 10e는 도 10b에 대한 상이한 체결 배향에서, 즉, 그에 대해 약 1/4 회전만큼 회전된 도 10a의 체결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10f는 도 10e의 라인 XF-XF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8a의 냉각제 도관을 제외하고는 도 1과 유사한 공구 조립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공구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a의 공구 조립체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1d는 도 1a의 공구 조립체의 후면도이다.
도 11e는 도 11a의 공구 조립체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 도관의 제3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냉각제 도관의 다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12c는 도 12a의 냉각제 도관의 측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a의 냉각제 도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냉각제 도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 도관의 제4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냉각제 도관의 저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의 냉각제 도관의 측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의 냉각제 도관의 평면도이다.
도 13e는 도 13a의 냉각제 도관의 후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 도관의 제5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냉각제 도관의 측면도로서, 원형 점선으로 작업편을, 점선 원호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더 큰 작업편의 부분을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 도관의 제6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냉각제 도관의 측면도로서, 원형 점선으로 작업편을, 점선 원호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더 큰 작업편의 부분을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제 도관의 제7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냉각제 도관의 정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의 냉각제 도관의 측면도이다.
도 16d는 도 16a의 냉각제 도관의 후면도이다.
도 16e는 도 16a의 냉각제 도관의 저면도이다.
도 17a는 도 16a의 냉각제 도관의 정면도이다.
도 17b는 도 16a의 냉각제 도관의 측면도로서, 체결 요소(나사)를 또한 도시하고 있고, 냉각제 도관은 도 17a의 라인 XVIIB-XVIIB를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7c는 도 16a의 냉각제 도관의 측면도로서, 냉각제 도관은 도 17a의 라인 XVIIC-XVIIC를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8a는 도 16a의 냉각제 도관과 함께 사용을 위해 구성된 절단 블레이드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절단 블레이드 부분의 단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준 블레이드 홀더(12), 절단 블레이드(100)(절삭 인서트(14)가 그에 장착되어 있음) 및 절단 블레이드(100)에 체결된 냉각제 도관(200)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공구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냉각제 도관(200)은 공급 호스(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직접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홀더(12)의 및 절단 블레이드 등 내의 플러그, o-링, 나사 구멍과 같은, 관련 기술 분야에 통상적인 추가의 요소에 대한 필요가 없다.
도시되어 있는 블레이드 홀더(12)는 냉각제 장치를 갖지 않는 단순한 유형이다. 즉, 사용자가 냉각제 전달을 위해 구성된 블레이드 홀더를 갖는 경우, 이는 절단 작업을 위해 절단 블레이드(100)를 보유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냉각제 공급 파이프는 여전히 냉각제 도관(200)에 연결될 것이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 홀더로부터 연장하는 임의의 절단 블레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블레이드 홀더는, 각각 테이퍼진 에지(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2d의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52)에 단면에서 대응함)를 갖고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조오(16, 18)를 갖는다.
절삭 인서트(14)는 경사 표면(26) 및 대향하는 인서트 베이스 표면(28), 경사 표면(26)으로부터 베이스 표면(28)을 향해 하향으로(뿐만 아니라 약간 내향으로) 연장하는 최전방 여유 표면(30) 및 대향하는 인서트 후방 표면(32), 경사 표면(26)과 최전방 여유 표면(30)의 교차점에 형성된 최전방 절삭 에지(34)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경사 표면(26)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칩 형성 장치를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절단 블레이드(100)가 설명될 것이다.
절단 블레이드(100)는 평행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102, 104) 및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102, 104)을 연결하는 주연 블레이드 에지(106)를 포함한다.
주어진 예에서, 전체 절단 블레이드(100)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의 중심을 통해 연장하는 횡방향 블레이드 축(AB)에 평행한 두께 치수(DT)로 측정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인서트 포켓에 근접한 더 작은 두께 치수 및 상기 인서트 포켓에 대해 말단에 있는 더 큰 두께 치수(즉, 보강된 부분)를 갖는 공지의 절단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블레이드의 더 얇은 부분(이것이 작업편에 진입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또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완전히 "평면형" 또는 "판형" 절단 블레이드를 설명한다.
냉각제 도관(200) 및 결과적으로 이를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10)는 냉각제를 제공하는 것에 추가하여, 진동 방지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이 또한 주목된다. 따라서, 냉각제 도관이 그에 체결되어 있는 절단 블레이드는 냉각제 도관의 중량 및 장착 위치로 인해, 냉각제 도관이 없는 것보다 더 안정적이다. 더 구체적으로, 임의의 부가의 중량(및 바람직하게는 더 많은 중량이 이론적으로 더 양호한 결과를 생성하는 것으로 고려됨) 및 절삭 에지에 더 가까운 위치가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된다.
주연 블레이드 에지(106)는 제1, 제2, 제3 및 제4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 112, 114, 116)를 포함한다.
주어진 예에서, 블레이드는 제2 및 제4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 116)에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고, 상기 신장은 신장 방향(DE)을 정의하고 제1 서브 에지 길이(LSI)는 상기 제2 및 제4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 116)에 평행하게 그리고 횡방향 블레이드 축(AB)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측정 가능하다. 제2 서브 에지 길이(LS2)는 상기 제1 및 제3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 114)에 평행하게 그리고 횡방향 블레이드 축(AB)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측정 가능하다. 통상적인 절단 블레이드 형상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냉각제 도관은 다른 형상의 절단 블레이드 상에 체결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된 절단 블레이드는 선택적으로 여전히 바람직하게는 인덱서블 절단 블레이드(즉, 하나 초과의 인서트 포켓; 즉, 주연 블레이드 에지(106)를 따라 형성된 제1, 제2, 제3 및 제4 동일한 인서트 포켓(118, 120, 122, 124)을 포함함)이다. 이는 고유한 절단 블레이드이고, 대부분의 공지의 절단 블레이드는 최대 2개의 인서트 포켓을 갖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각제 도관(200)은 임의의 수의 인서트 포켓을 갖는 절단 블레이드에 적합하다.
동일한 인서트 포켓 중 제1 인서트 포켓(118)이 설명을 위해 아래에 예시될 것이다.
제1 인서트 포켓은 베이스 조오(118A), 제2 조오(118B), 및 베이스 조오(118A)와 제2 조오(118B)를 연결하는 슬롯 단부(118C)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주연 블레이드 에지(106)를 따라, 베이스 조오(118A)에 인접하여 외부 포켓 릴리프 표면(또한 "릴리프 측면"이라고도 지칭됨)(126A)이 있고, 제2 조오(118B)에 인접하여 외부 포켓 경사 표면(126B)(또한 "경사 측면"이라고도 지칭됨).
임의의 기준으로서 제1 인서트 포켓(118)을 사용하여,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블레이드 전방 방향(DFB)은 제3 블레이드 서브 에지(114)로부터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를 향해 연장되고, 블레이드 후방 방향(DRB)은 블레이드 전방 방향(DFB)에 대향하고, 블레이드 상향 방향(DUB)은 블레이드 전방 방향에 수직으로 그리고 제4 블레이드 서브 에지(116)로부터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를 향해 연장되고, 블레이드 하향 방향(DDB)은 블레이드 상향 방향(DUB)에 대향하고, 블레이드 제1 측면 방향(DS1B)은 블레이드 전방 방향(DFB)에 수직으로 그리고 제1 블레이드 측면(102)으로부터 제2 블레이드 측면(104)을 향해 연장되고, 블레이드 제2 측면 방향(DS2B)은 블레이드 제1 측면 방향(DS1B)에 대향한다.
블레이드 전방 방향(DFB)은 이송 방향을 구성하고, 이 방향에서 공구 조립체(10)가 절단 작업을 위해 작업편에 대해 이동된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여기서 절단 블레이드에 대해 정의된 방향은 공구 조립체(10)가 조립될 때 홀더(12)에 대해 아래에 정의된 방향에 대응할 것이다.
특히,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 112)는 제1 인서트 포켓(118)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는 제1 인서트 포켓(118)으로부터 블레이드 하향 방향(DDB)으로 연장되고,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는 제1 인서트 포켓(118)으로부터 블레이드 후방 방향(DRB)으로 연장된다.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는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28)를 갖고 형성된다. 절삭 인서트(14)가 제1 인서트 포켓(118)에 장착될 때, 가공 방향은 블레이드 전방 방향(DFB)이고 따라서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는 소위 최전방 블레이드 서브 에지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28)는 절단 블레이드의 종방향 에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볼록한 v-형 단면이다. 더 정확하게는,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28)는 중앙 정점(128A) 및 도 2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블레이드 각도(α)에서 정점으로부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102, 104)까지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B, 128C)을 포함한다.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는 전술된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28)와 단면에서 동일한 제2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30)를 갖고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제2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30)는 중앙 정점(130A) 및 정점으로부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102, 104)까지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30B, 130C)을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는 제1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A)를 갖고 형성된다. 이 예에서, 제1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A)는 제1 인서트 포켓(118)과 제4 인서트 포켓(124) 사이의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의 중심에 위치된다. 단어 "제1"은 단지 식별 목적을 위한 명칭일 뿐이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주어진 예에서,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의 제2 안전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료화를 위해 필요한 경우, 제1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A)는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전방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A)는 제1 인서트 포켓(118)과 제1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A) 사이에 위치된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의 최후방 지점(136)보다 후방 방향(DRB)으로 더 연장된다.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는 제1 인서트 포켓(118)에 인접한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를 갖고 형성된다. 유사하게, 단어 "제2"는 상기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단지 식별 목적을 위한 명칭일 뿐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료화를 위해 필요한 경우,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는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전방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오목부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인서트 포켓의 양 측면에 단일 안전 오목부가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예에서, 2개의 안전 오목부(즉, 제1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A) 및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 즉, 제1 인서트 포켓(118)의 각각의 측면에 하나의 안전 오목부가 존재한다.
더욱이, 본 예에서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는 제2 인서트 포켓(120)에 인접한 부가의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후방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라 지칭될 수 있음)를 갖고 형성된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는 제1 인서트 포켓(118)과 부가의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 사이에 위치된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의 최전방 지점(138)보다 하향 방향(DDB)으로 더 연장된다.
따라서, 다가오는 칩이 냉각제 도관(200)을 향해 올 때, 칩이 통과하는 서브 에지가 안전 오목부의 연장 부분의 시작부보다 높기 때문에 안전 오목부 내로 연장되는 연장 안전 돌출부 사이에 재밍될(jammed) 수 없다.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의 제1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A)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의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는 제1 인서트 포켓과 기능적으로 관련된 유일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의 부가의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4B)는 절삭 인서트가 제2 인서트 포켓(120)(적어도 예시된 냉각제 도관(200)을 가짐) 등에 장착될 때 사용될 것이다.
더 정확하게는,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28)는 전체 제1 서브 에지(110)(즉,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작은 중단부를 제외한 그 대부분)를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고려되지만, 이론적으로,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28)는 단지 작은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제1 전체 서브 에지(110)의 제공의 하나의 이유는 대향 인서트 포켓을 위한 것인데, 즉, 제4 인서트 포켓(124)이 사용 중일 때이기 때문이다. 제2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30)에 관련하여, 이는 홀더(12)에 의한 클램핑을 위해 동시에 사용된다. 또 다른 이유는 생산의 용이성 때문이다. 어느 경우든, 제1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연관된 인서트 포켓에 인접 또는 근접하게만 연장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28)는 제1 서브 에지(110)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된다(즉, 제1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 제외).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의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의 위치에 관련하여: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는 다가오는 칩의 영역에 위치된다. 냉각제 도관(200)의 전방부는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의 전방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양자의 위치는 상호 관련된다. 다가오는 칩으로부터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에 인접한 냉각제 도관 부분의 안전 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냉각제 도관(200)의 전방 연장 표면(274A)(도 3c)은 바람직하게는 절삭 인서트로부터 다소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가능한 한 가까워야 하는데, 이는 냉각제의 제공을 개선하기 때문이다(근접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큰 유효성이 존재함). 따라서,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 위치는 전방 연장 표면(274A)의 최전방 지점과 연관되기 때문에,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의 위치는 또한 전방 연장 표면(274A)의 위치와 관련되거나 정의한다. 따라서, 오목부 길이(LR)(도 2c)는 연관 서브 에지로부터 측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오목부 길이(LR)는 제1 인서트 포켓(118)으로부터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B)까지 정의된다.
최적의 냉각제를 제공하기 위해,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포켓으로부터 가깝고 거의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다. 더 정확하게는, 인접한 블레이드 서브 에지로부터의 연장선(E1, E2)(도 2a)은 대략 동일한 안전 오목부 거리(DSR1, DSR2)를 정의하는 연장선 교차점(E3)에서 만날 수 있다.
도 2d 내지 도 2f를 참조하면, 용어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본 발명의 블레이드 기계적 로킹 구조체 및 연장 기계적 로킹 구조체의 모두에 유사하게 적용됨)의 설명은 개략적인 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이하 간결함을 위해 "기계적 구조체" 또는 "구조체")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에 인가되는 측방향 힘을 방해할 수 있는 마찰만을 제외한 임의의 기계적 구조체일 수 있다.
블레이드의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 및 연장부의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상보적인 형태 또는 기하학 형상을 갖는다.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대안적으로 기계적 인터로킹 형성부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d에는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는 상기에 예시되고 설명된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28)의 인터로킹 구조체에 대응한다.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가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 위에 도시되어 있고 그와 정합(즉, 상보)하기 위해 구성된다.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는 아래에 예시되고 설명되는 제1 연장 부분(208)의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0A)에 대응한다.
반복 설명하면,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는 중앙 정점(128A) 및 내부 블레이드 각도(α)에서 정점으로부터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102, 104)까지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B, 128C)을 포함한다.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는 중앙 천저부(nadir)(290A) 및 천저부(290A)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2A, 294A)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B, 128C)과 제1 및 제2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2A, 294A)은 바람직하게는 평면형이지만, 이들은 또한 만곡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2A, 294A)은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B, 128C)은 평면형 또는 임의의 다른 조합일 수 있다.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가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에 대해 편향될 때, 블레이드 제1 및 제2 측면 방향(DS1B, DS2B)(사용된 방향은 절단 블레이드를 기준으로 이루어졌지만 아래에 정의된 냉각제 도관 방향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음)에서의 측방향 이동은 마찰 뿐만 아니라 기계적 장애물(즉, 서로 방해하는 2개의 돌출부)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B)은 제1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2A)과 맞접하고,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C)은 제2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4A)과 맞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점(128A)과 중앙 천저부(290A)는 서로로부터 후퇴되어 이들이 접촉하지 않아(즉, 간극이 그 사이에 남아 있음) 상기 맞접 표면의 맞접을 보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측방향 힘이 블레이드 제2 측면 방향(DS2B)에서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에 인가되면, 제1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2A)에 대한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B)의 상기 편향(즉, 서로 맞물리는 2개의 기계적 또는 기하학적 돌출부)은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로의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의 상대 이동 또는 그로부터의 맞물림 해제를 방해한다.
유사하게, 측방향 힘이 블레이드 제1 측면 방향(DS1B)에서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에 인가되면, 제1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2A)에 대한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B)의 편향은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와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의 상대 이동 또는 맞물림 해제를 방해한다.
유사하게, 측방향 힘이 블레이드 제1 측면 방향(DS1B)에서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에 인가되면, 제2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4A)에 대한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C)의 상기 편향은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와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의 상대 이동 또는 맞물림 해제를 방해한다.
유사하게, 측방향 힘이 블레이드 제2 측면 방향(DS2B)에서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에 인가되면, 제2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4A)에 대한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C)의 상기 편향은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와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의 상대 이동 또는 맞물림 해제를 방해한다.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는 제3 인터로킹 구조체(152)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인터로킹 구조체(152), 또는 더 정확하게는 그 맞접 표면(256A)은 홀더(12)의 상부 및 하부 조오(16, 18) 중 어느 하나의 테이퍼진 에지에 대응한다.
제3 인터로킹 구조체(152)가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에 대해 편향될 때, 유일한 맞접은 맞접 표면(256A)과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C) 사이에 있다.
제3 인터로킹 구조체(152)로부터, 인터로킹 구조체가 단지 경면 대칭 이미지 구조만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이 먼저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주어진 예에서, 이는 하나의 측면 방향으로만 기계적 장애물이 있기 때문에 충분하다(이는 홀더(12)가 다른 방향에서 절단 블레이드(100)에 기계적 장애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아래의 실시예에 대해 충분함).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절단 블레이드에 맞접하는 맞접 표면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안전 특징부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단 블레이드 또는 냉각제 도관은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없을 수 있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e에는 평행한 제1 및 제2 측벽(156A, 156B) 및 제1 및 제2 측벽(156A, 156B)에 수직인 맞접 표면(156C)을 포함하는 제4 인터로킹 구조체(156); 및 평행한 제1 및 제2 측벽(158A, 158B) 및 제1 및 제2 측벽(158A, 158B)에 수직인 맞접 표면(158C)을 포함하는 제5 인터로킹 구조체(158)가 도시되어 있다.
맞접 표면(156C, 158C)이 서로에 대해 편향될 때, 측면 힘이 이들에 인가되는 경우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기계적 장애물(또는 기하학적 돌출부)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도시되어 있는 맞접 표면(156C, 158C)의 모두가 평면형이고 서로 평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이 서로에 대해 상당한 힘으로 편향되는 경우, 특정 양의 측면 힘에 대해 맞접 표면을 접촉하여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마찰력이 존재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2개의 맞접 표면을 서로에 대해 편향시키는 바로 그 행위도 안전 특징부이다. 냉각제를 제공하는 구조체가 충분히 강성이면, 칩의 진동과 충격을 견디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는 몇몇 조건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향 및 하향 방향(DUB, DDB)에서 세장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은 종래 기술의 원형 튜브 도관(상향 및 하향 방향(DUB, DDB)에 수직인 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가짐)보다 상당히 더 강성일 것이다.
전술된 내용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안전 특징부(서로에 대해 맞접 표면을 편향하는)를 포함하는 것이 물론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제공되는 것이 훨씬 더 강력하게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측면 힘을 더 견디는 것이 가능한 것 외에도,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의 안전 특징부의 다른 장점은,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 약간의 굽힘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에 대한 2개의 대향 구조체의 편향이 구성요소들의 오정렬을 보정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도하게 강한 편향은 (통상적으로 매우 얇은) 절단 블레이드를 비의도적으로 굽히는(특히 구성요소 중 하나가 장착될 때 굴곡되거나 기울어지는 경우) 위험을 생성한다는 것이 개발 중에 발견되었다. 따라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에 대한 과도하게 강한 편향도 또한 위험이다.
편향 또는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절단 블레이드는 그 동일한 연장-폭 절삭 평면(PC)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보다 항상 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e를 계속 참조하면, 예로서, 제4 인터로킹 구조체(156)가 절단 블레이드에 속하고 상부 부분이 연장 부분에 속한다고 가정하면, 연장 부분이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DT)보다 더 작은 최대 연장 두께(TE)를 갖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는 예시된 편향 및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의 모두에 적용 가능하고 또 다른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인 안전 특징부이다. 이러한 안전 특징부는 불완전한 장착의 위험을 완화하는데, 즉, 이는 인서트 절삭 폭(CW)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연장-폭 절삭 평면(PC)(도 6a)의 외부로 연장되게 하는 연장 부분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4 mm 미만 폭, 3 mm 폭, 및 심지어 2 mm 미만을 갖는 구성요소의 생산 및 정렬된 장착이 중요한 작업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계적 구조체 옵션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다양한 다른 구조체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f에는 제6, 제7 및 제8 인터로킹 구조체(160, 162, 164)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동등하게 절단 블레이드(또는 연장 부분)의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일 수 있다. 절단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절단 블레이드 상에 생성이 더 쉽기 때문에 제1 및 제3 구조체(148, 152)에 도시되어 있는 것들과 같은 수형 구조체를 갖지만, 암형 구조도 또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6 인터로킹 구조체(160)는 그 사이에 위치된 서브 에지 오목부 표면(160C)에 의해 분리된 평행한 제1 및 제2 서브 에지 표면(160A, 160B)을 포함하고 이어서 평면형 오목부 표면(160D)을 포함한다.
제7 인터로킹 구조체(162)는 단일의 오목하게 만곡된 표면(162A)을 포함한다.
제8 인터로킹 구조체(164)는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2개의 각형성된(v-형) 서브 에지 표면(164A, 164B)을 포함한다.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설명하는 다른 방식은 그 돌출부를 통하는 것이다. 다수의 돌출부(즉, 두께 치수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함)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 돌출부가 존재하고 그 위치도 또한 가변적이라는 점이 또한 주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는 중앙의 서브 에지 돌출부(170A)(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28B, 128C)에 의해 구성됨)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제3 인터로킹 구조체(152)는 단일 비중앙(또는 측면) 서브 에지 돌출부(170B)를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인터로킹 구조체(150)는 2개의 측방향으로 위치된 서브 에지 돌출부(150A, 150B)를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암형 구조체(즉, 제6, 제7 및 제8 구조체(160, 162, 164))가 또한 2개의 측방향으로 위치된 서브 에지 돌출부(170C1, 170C2, 170D1, 170D2, 170E1, 170E2)를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생산의 용이성을 위해 균일한 단면을 갖지만, 도 2g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 측면에 제1 돌출부(166A) 및 이어서 다른 측면에 소정 거리 후에 제2 돌출부(166B)를 포함하는 제9 인터로킹 구조체(166)를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는 유사하게 양 측면 방향으로 측방향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9 인터로킹 구조체(166)와 인터로킹하도록 구성된 제10 인터로킹 구조체(148A)는 유사한 불균일 단면을 가질 수 있지만, 또한 단일의 균일한 인터로킹 구조체(148A)(제1 인터로킹 구조체(148)와 동일함)를 가질 수 있지만, 제8 인터로킹 구조체(166)의 단면이 단면에서 교번한다(적어도 한 번).
도 2h에서, 제11 인터로킹 구조체(168)는 심지어 2개 초과의 돌출부(즉, 제1, 제2 및 제3 돌출부(168A, 168B, 168C))가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냉각제 도관(200)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냉각제 도관(200)은 본체 부분(202), 본체 부분(202)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연장 부분(208), 본체 부분(202)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연장 부분(210)을 포함한다. 연장 부분(208, 210)은 본체 부분(202)으로부터 돌출하는 "아암"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아래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아암(208, 210)은 절단 블레이드(100)의 표면을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예의 냉각제 도관(200)은 본체 부분(202)의 중심을 통해 연장하는 대칭 평면(PS)(도 3d)에 대해 대칭이다. 이는 냉각제 도관(200)이 오른손 및 왼손 가공 작업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행해진다. 그러나, 냉각제 도관이 비대칭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여전히 실현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단지 상기 본체 부분(202)에 의해 의미되는 바의 경계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1 및 제2 연장 부분(208, 210)은 절삭 인서트(14)에 의해 생성된 슬릿에 진입하도록 위치되고(작업편(60)의 상대적으로 다가오는 경로에) 크기 설정된다는 것(연장-폭 절삭 평면(PC) 내에서 신장되어 있음)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체 부분(202)과 같은 냉각제 도관(200)의 잔여 부분은 연장-폭 절삭 평면(PC) 외부, 즉 슬릿 외부에 체류한다.
본체 부분(202)이 이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체 부분(202)은 제1 본체 단부(220), 제2 본체 단부(222) 및 제1 본체 단부(220)와 제2 본체 단부(222)를 연결하는 중간 서브 부분(224)을 포함한다.
중간 서브 부분(224)은 내부 본체 표면(226), 내부 본체 표면(226)에 대향하여 위치된 외부 본체 표면(228); 내부 본체 표면(226)과 외부 본체 표면(228)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본체 표면(230); 내부 본체 표면(226)과 외부 본체 표면(228)을 연결하는 제2 측면 본체 표면(232); 제1 단부 본체 표면(233A) 및 제2 단부 본체 표면(233B)을 더 포함한다.
중간 서브 부분(224)은 체결 부분(234)을 더 포함한다. 체결 부분(234)은 냉각제 도관(200)을 절단 블레이드(100)에 체결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일 수 있다. 도 12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체결 부분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절단 블레이드에 대한 냉각제 도관의 사용자 친화적인 체결 및 제거를 허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캠(236)(도 4)이 상기 체결을 위해 사용되지만, 심지어 통상의 나사가 편향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아래에 설명됨).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체결 부분(234)은 상기 캠(236), 제1 측면 본체 표면(230) 및 제2 측면 본체 표면(232)을 통해 연장하는 관통 구멍(238)을 포함하고, 관통 구멍(238)은 제1 및 제2 원통형 에지(238A, 238B)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캠(236)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캠(236)은 관통 구멍(238)을 통해 삽입되고 서클립(circlips)(240)으로 제위치에 체결된다.
캠(236)은 제1 캠 단부(242), 제2 캠 단부(244) 및 그 사이에서 연장하는 캠 중간 부분(246)을 포함한다.
제1 캠 단부(242)는 육각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그를 통해 캠(236)을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 수용 오목부(242A) 및 주연 서클립 홈(242B)을 갖고 형성된다.
제2 캠 단부(244)는 또한 육각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그를 통해 캠(236)을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 수용 오목부(244A)를 갖고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절단 블레이드(100)의 양 측면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제2 캠 단부(244)는 또한 도관 스토퍼(245)(도 3d)에 맞접하여 사용자가 캠(236)이 비체결 위치에 있을 때를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절단 블레이드(100)가 냉각제 도관(200) 내에 삽입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캠 스토퍼(244B)를 갖고 형성된다. 제2 캠 단부(244)는 관통 구멍(238)보다 커서 그를 통해 우발적으로 연장될 수 없게 된다.
캠 중간 부분(246)은 제1 및 제2 원통형 표면(246A, 246B) 및 그 사이에 위치한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표면(246C)을 포함한다.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표면(246C)은 모따기 부분(246D)(도 4 및 도 5f)을 포함하고 제2 및 제4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 116)의 v-형 기하학 형상에 대응하는 기본 v-형상(제1 및 제2 나선형 맞접 표면(246C1, 246C2))을 갖는다.
캠(236)은 본체 부분(202)에 맞접하는 제2 캠 단부(244)에 의해 삽입이 정지될 때까지 캠을 관통 구멍(238) 내에 삽입함으로써 본체 부분(202)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 원통형 표면(246A, 246B)은 제1 및 제2 원통형 에지(238A, 238B) 상에 놓인다. 서클립(240)은 캠(236)을 본체 부분(202)에 고정하기 위해 서클립 홈(242B)에 체결된다.
캠 스토퍼(244B)가 도 5f에 도시되어 있는 삽입 배향으로 도관 스토퍼(245)에 맞접할 때까지 캠(236)을 회전시키기 위해 육각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공구 수용 오목부(242A, 244A) 중 하나 내에 삽입된다. 개략적인 라인(SI)은 캠(236) 위로 활주될 때(이는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한 모따기 부분(246D)의 제공으로 인해 쉽게 수행됨) 절단 블레이드(100)의 가장 낮은 에지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절단 블레이드(100)는 캠(23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육각 키는 이어서 공구 수용 오목부(242A, 244A) 중 하나 내에서 약 1/4 회전만큼 회전되어 캠(236)을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체결 배향으로 유도한다. 캠이 제위치에서 회전하기 때문에(제1 및 제2 원통형 표면(246A, 246B)이 제1 및 제2 원통형 에지(238A, 238B) 상에 놓이는 상태로)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표면(246C)은 상향으로 상승되고 절단 블레이드에 맞접한다(라인(S2)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음). 따라서, 냉각제 도관(200)은 절단 블레이드(100)에 체결된다.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표면(246C)의 v-형 기하학 형상으로 인해,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맞접 표면(130B, 130C)(도 2b)은 동등하게 맞접하고 절단 블레이드는 들어올려질 때 기울어지지 않는다.
냉각제 도관(200)을 해제하기 위해 캠은 단지 대향 방향으로 회전되고 절단 블레이드는 대향 방향으로 활주된다.
도 3d로 되돌아가면, 본체 부분(202)은 절단 블레이드(100)가 삽입되는 삽입 간극(248)을 포함한다. 간극은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DT)보다 큰 간극 두께(TG)(도 3b)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간극(248)은 절삭 인서트의 절삭 폭(CW)보다 커서 냉각제 도관(200)이 절단 블레이드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를 제거할 필요 없이 절단 블레이드 상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체 부분(202)과 절단 블레이드(100) 사이에 칩이 재밍될 최소 위험을 보장하기 위해, 2개의 폭 사이의 차이는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조건: DT < TG < 2DT, 더 바람직하게는 DT < TG < 1.4DT를 충족한다.
삽입 간극(248)은 유용한 대칭 기하학 형상이지만, 냉각제 도관이 단지 절단 블레이드(100)(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일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것도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각제가 절단 블레이드의 일 측면(이 예에서는 절단 블레이드 아래)으로부터 다른 측면(냉각제 도관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단 블레이드의 양 측면으로 연장된다고 가정하여, 그 자신의 연장 부분을 각각 갖는 2개의 별개의 구성요소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목하라)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절단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절삭 구역(ZC0) 외부로 연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연장 부분(208)은 제2 본체 단부(222)로부터 연장되고 제2 연장 부분(210)은 제1 본체 단부(220)에 근접한 본체 부분(202)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냉각제 도관(200)은 냉각제 통로(300)를 더 포함한다.
냉각제 통로(300)는 제1 본체 단부(220)에 형성된 입구(302), 제1 출구(304), 입구(302)로부터 제1 출구(304)로 연장하는 제1 중간 통로(306), 제2 출구(308), 및 입구(302)로부터 제2 출구(308)로 연장하는 제2 중간 통로(310)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입구(302)는 내부 나사산(302A)이고 외부 육각 구성(302B)을 가져 공급 파이프를 부착할 때 냉각제 도관(200)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육각 구성(302B)의 제1 및 제2 플랫(302C, 302D)은 냉각제 도관(200)에 의한 너무 많은 측방향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절삭 평면(PC)과 평행하다.
본체 부분(202)은 얇은 세장형 제1 및 제2 연장 부분(208, 210)보다 상당히 더 크다는(더 부피가 큼) 것이 주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절삭 구역(ZC) 외부에서 더 구조적으로 강한(따라서 더 큰) 구성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체 부분(202)의 크기는 조립체(10)가 제공할 수 있는 절삭 깊이(CD)를 제한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 부분(202)은 절단 또는 그루빙 작업 동안 슬롯의 외부, 즉, 연장-폭 절삭 평면(PC)의 외부로 연장되어 유지되고, 따라서 절삭 깊이(CD)를 제한한다. 이는 또한 작업편과 블레이드 홀더(12) 사이에 위치되어 절단 블레이드(100)는 내부 본체 표면(226)과 외부 본체 표면(228) 사이에 정의된 본체 높이(HB)(도 3c)와 동일한 부가의 오버행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초기에 부가의 오버행이 가공 안정성에 상당히 유해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테스트 중에 본 발명의 조립체(10)가 고려되었던 것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게는 본체 중간 서브 부분(224)은 이에 의해 야기되는 부가의 오버행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호 형상(즉, 오목 형상)이다. 본체 중간 서브 부분(224)은 삽입 간극(248)을 형성하면서 여전히 그를 통해 상당한 냉각제를 통과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2개의 평행한 서브 중간 분기로 분할된다.
제1 및 제2 연장 부분(208, 210)의 각각은 가까운 연장 단부(260A, 260B)(본체 부분(202)에 연결됨), 먼 연장 단부(262A, 262B)(동일한 연장 부분의 연관된 가까운 연장 단부보다 본체 부분(202)으로부터 더 멀리 있음), 세장형 중간 연장 서브 부분(264A, 264B), 내부 연장 표면(266A, 266B), 내부 연장 표면(266A, 266B)에 대향하여 위치된 외부 연장 표면(268A, 268B), 내부 연장 표면(266A, 266B)과 외부 연장 표면(268A, 268B)을 연결하는 제1 측면 연장 표면(270A, 270B), 내부 연장 표면(266A, 266B)과 외부 연장 표면(268A, 268B)을 연결하는 제2 측면 연장 표면(272A, 272B), 먼 연장 단부(262A, 262B)에 위치되고 내부, 외부,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연장 표면(266A, 266B, 268A, 268B, 270A, 270B, 272A, 272B)을 연결하는 전방 연장 표면(274A, 274B)을 포함한다.
제1 연장 부분(208)의 요소가 이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제2 연장 부분(208, 210)은 동일하기 때문에, 더 적은 상세가 제2 연장 부분(210)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가까운 연장 단부(260A)는 본체 부분(202)에, 더 정확하게는 제2 본체 단부(222)에 연결된다.
내부 연장 표면(266A)은 먼 연장 단부(262A)에 연장 안전 돌출부(278A)를 포함한다.
내부 연장 표면(266A)은 먼 연장 단부(262A)에, 연장 안전 돌출부(278A)보다 가까운 연장 단부(260A)에 더 가깝게 위치된 제1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0A)를 더 포함한다.
내부 연장 표면(266A)은 중간 연장 서브 부분(264A)에 제2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2A)를 더 포함한다.
내부 연장 표면(266A)의 양 제1 및 제2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0A, 282A)는 중앙 천저부(290A) 및 천저부(290A)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2A, 294A)을 포함한다(도 2d).
도 3c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 연장 단부(262A)에 근접한 제1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0A)와 중간 연장 서브 부분(264A)에 있는 제2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2A) 사이에 약간의 오목부(또는 릴리프)가 존재한다. 제1 기준 평면(PR1)(아래에 설명됨)과 내부 연장 표면(266A) 사이의 간극은 내부 연장 표면(266A)과 제2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2A) 사이의 오목부(또는 릴리프)를 나타낸다.
이는 내부 연장 표면(266A)과 절단 블레이드(100)의 의도된 맞접 영역(또한 "제1 연장 맞접 표면"이라고도 지칭됨)이 주로 또는 단지 먼 연장 단부(262A)에만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이 예에서 제1 연장 맞접 표면은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 즉, 제1 연장 부분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0A)를 갖고 형성됨). 먼 연장 단부(262A)에서 내부 연장 표면(266A)에 특히 맞접하기를 원하는 이유는, 특히 먼 연장 단부(262A)가 절단 블레이드(100)에 대해 단단히 편향되어 다가오는 칩이 그 사이에 걸리게 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 조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중간 연장 서브 부분에서 절단 블레이드에 또한 맞접하는 평면형 내부 연장 표면(266A)을 갖는 것이 실현 가능한 옵션이다.
중간 연장 서브 부분(264A)은 절단 블레이드와 내부 연장 표면(266A)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켜 칩이 그 사이에 걸리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2A)가 제공된다.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제1 기준 평면(PR1)(도 3c)이 먼 연장 단부(262A)에 근접한 제1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0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기준은 절단 블레이드(100)와의 맞접 영역이기 때문에 선택된다.
도 3c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장 안전 돌출부(278A)는 제1 기준 평면(PR1) 아래로 연장되고 따라서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 아래로 연장될 것이다.
제1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2A)는 제1 기준 평면(PR1) 위로 연장되고(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되거나 "릴리프됨"), 따라서 절단 블레이드로부터 릴리프될 것이다.
제1 전방 방향(DF1)이 제1 기준 평면(PR1)과 평행하게 그리고 가까운 연장 단부(260A)로부터 먼 연장 단부(262A)를 향한 방향으로 정의된다.
제1 후방 방향(DR1)이 제1 전방 방향(DF1)에 대향하여 정의된다.
제1 상향 방향(DU1)은 제1 기준 평면(PR1)에 수직으로 그리고 내부 연장 표면(266A)으로부터 외부 연장 표면(268A)을 향한 방향으로 정의된다.
제1 하향 방향(DR1)이 제1 상향 방향(DU1)에 대향하여 정의된다.
제1 측면 방향(DS1)이 제2 측면 방향(DS2)에 대향하여 정의되고, 양 방향 모두 대칭 평면(PS)으로부터 이격하여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 신장 축(AE1)이 제1 연장 부분(208)의 중심을 통해 정의된다.
제1 신장 축(AE1) 및 제1 기준 평면(PR1)은 제1 후방 방향(DR1)에서 예각 냉각제 각도(E)(도 4c)에 대한다. 이는 냉각제가 절삭 인서트(14)를 향해, 바람직하게는 그 절삭 에지를 향해 유도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 연장 표면(274A)은 경사진 편향 표면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방 연장 표면(274A)과 제1 기준 평면(PR1)은 제1 예각 편향각(μ1)을 이루고, 내부 연장 표면(266A)과 제1 기준 평면(PR1)은 제1 예각 편향각(μ1)보다 작은 제2 예각 편향각(μ2)을 이룬다. 제1 연장 부분(208)이 절삭 인서트(14) 위로 충분히 연장되기 때문에, 다가오는 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상당한 기회가 존재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편향각(μ1)이 더 클 것인 경우, 즉, 제1 기준 평면(PR1)에 대한 직교에 더 가까운 경우, 제1 연장 부분(208)은 다가오는 칩에 의해 상당히 손상될 수 있다. 제1 편향각(μ1)이 제2 예각 편향각(μ2)과 유사하게 더 작을 것인 경우, 냉각제는 절삭 인서트(14)로부터 더 멀리 냉각제 도관(200)을 빠져나갈 것이고 덜 효과적일 것이다. 부가적으로, 경사진 출구는 연장 부분을 빠져나가는 냉각제의 형상/방향을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예각 편향각(μ1)은 조건: 25° ≤ μ1 ≤ 65°, 더 바람직하게는 35° ≤ μ1 ≤ 55°를 충족한다.
제2 예각 편향각(μ2)이 더 클 것인 경우, 제1 연장 부분(208)은 상당히 더 강할 것이다(연장 부분이 더 세장형 단면을 가질 것이어서, 칩에 의해 충돌될 때 후방으로 굽힘에 대해 강성을 추가하기 때문에). 그러나, 이는 덜 콤팩트한 구성을 야기할 것이다(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높이(HE)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됨). 2개의 연장 부분이 존재하고 냉각제 도관(200)이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용 공구에 대해 회전 대칭인 본 예에서, 이는 또한 공구 조립체의 전방 돌출을 증가시키고 절단될 수 있는 작업편의 크기를 제한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예각 편향각(μ2)은 조건: 2° ≤ μ2 ≤ 15°, 더 바람직하게는 4° ≤ μ2 ≤ 10°를 충족한다.
또 다른 선택적 안전 특징부는 냉각제 도관, 또는 적어도 그 연장 부분, 또는 적어도 그 먼 연장 단부(262A)를 내열 또는 보호 코팅으로 코팅하는 것이다.
제1 및 제2 측면 연장 표면(270A, 272A)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하고 제1 기준 평면(PRE)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는 절삭 평면(PC)의 연장된 폭 내에 제1 연장 부분(208)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최대량의 냉각제가 운반될 수 있게 한다(주 - 이 맥락에서, 절삭 평면(PC)의 연장된 폭("연장-폭 절삭 평면(PC)")이 절삭 인서트(14)의 절삭 에지 폭(CW)과 동일한 폭이 되도록 형성됨; 달리 말하면, 연장-폭 절삭 평면(PC)은 최전방 절삭 에지(34)의 위치에 의해 형성되고, 절삭 인서트(14)의 절삭 에지 폭(CW)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블레이드 전방 방향(DFB)인 이송 방향에 평행함, 연장-폭 절삭 평면(PC)은 결과적으로 이 평면의 모든 4개의 방향, 즉 블레이드 전방 방향(DFB), 블레이드 후방 방향(DRB), 블레이드 상향 방향(DUB) 및 블레이드 하향 방향(DDB)으로 연장한다는 것을 주목하라). 달리 말하면, 제1 측면 연장 표면(270A)으로부터 제2 측면 연장 표면(272A)까지 정의된 연장 두께(TE)(도 6a)는 절삭 인서트(14)의 절삭 폭(CW)보다 작다. 이는 제1 연장 부분(208)이 작업편에 충돌하지 않도록 릴리프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DT)는 동일한 이유로 항상 절삭 폭(CW)보다 작다. 안전 조치로서, 최대 연장 두께(TE)는 블레이드의 두께 치수(DT)보다 작아서 장착 중에 발생하는 원하지 않는 기울어짐을 릴리프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더 얇은 연장 부분을 통해 공급될 수 있는 냉각제의 양을 감소시키지만, 충돌의 위험은 더 상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실시예에서, 절삭 구역 내에 있는(따라서 연장-폭 절삭 평면(PC) 내에 있는) 냉각제 도관의 부분은 정의에 의해 제1 및 제2 측면 방향에서 매우 얇기 때문에, 이들은 냉각제 도관의 측면 뷰(도 3c)에서 상향 및 하향(높이) 방향에서 신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조적 강도를 허용할 수 있고(연장 부분이 냉각제 통로가 없는 경우에도) 냉각제 통로가 있는 경우 냉각제 통로 단면(따라서 냉각제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한 인자(칩에 의한 충돌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 또는 자동 공구 교환기에서 공구를 교환하기 위한 콤팩트성을 단지 유지하기 위한 것과 같은)가 존재하기 때문에, 연장 부분이 가질 수 있는 높이 정도에 대한 바람직한 제한이 존재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연관된 연장 부분의 신장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내부 연장 표면(266A)으로부터 외부 연장 표면(268A)까지 정의되는 최대 연장 부분 높이(HE) 및 최대 연장 두께(TE)가 도시되어 있다(도 6a). 바람직하게는 이들 치수는 조건: 1.5TE < HE < 8TE, 더 바람직하게는 2TE < HE < 5TE, 가장 바람직하게는 2TE < HE < 4TE를 충족한다.
완전성을 위해, 동일한 제2 연장 부분(210)의 몇몇 대응 요소, 즉: 연장 안전 돌출부(278B); 연장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80B); 중앙 천저부(290B); 및 제1 및 제2 연장 서브 에지 맞접 표면(292B, 294B)이 도 3d에 식별되어 있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냉각제 통로(300)는 복수의 회전부를 갖는 것이 주목된다. 더 정확하게는, 제1 중간 통로(306)는 입구(302)로부터 중간 서브 부분(224)까지의 제1 회전부(314A); 제2 회전부(314B)(본체 부분(202)은 또한 2개의 서브 중간 부분(306A, 306B)으로 분할됨); 및 제1 연장 부분(208)까지의 제3 회전부(314C)(대략 1/4 회전부임)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중간 통로(310)는 대응 회전부(첫번째 2개는 제1 회전부(314A) 및 제2 회전부(314B)와 공유됨), 즉, 제1, 제2 및 제3 회전부(316A, 316B, 316C)를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는, 제2 중간 통로(310)는 입구(302)로부터 중간 서브 부분(224)까지의 제1 회전부(316A); 제2 연장 부분(210)까지의 제2 회전부(316B); 및 제2 연장 부분(210) 내의 제3 회전부(316C)(대략 1/4 회전부임)를 포함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작업편(60)을 절단하는 조립체(10)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작업편(60)은 중앙 작업편 축(AW)을 갖고 가공 중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DC)으로 회전된다.
홀더(12)는 블레이드 전방 방향(DFH)(도 7c)에 대응하는 이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작업편(60)에 완전히 진입한 후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절삭 깊이(CD)(도 7a)는 최전방 절삭 에지(34)로부터 최전방 에지(34)의 절삭 폭(CW)보다 넓은 공구 조립체(10)의 부분, 즉, 연장-폭 절삭 평면(PC)의 외부에 있는 절삭 에지에 가장 가까운 공구 조립체(10)의 부분까지이다. 주어진 예에서, 가장 가까운 부분은 냉각제 도관(200)의 내부 본체 표면(226)이다.
특히, 전체 본체 부분(202)은 절삭 구역(ZC) 외부에 있고, 따라서 도 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편(60)의 경로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절삭 구역(ZC)을 더 정의하기 위해, 모든 공구 조립체는 주어진 절삭 깊이(CD)에 대해 설계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절삭 구역은 도시되어 있는 작업편(60)에 형상이 대응하는 가상 실린더(IC)(도 7a)이고, 가상 실린더(IC)는 절삭 깊이(CD)와 길이가 동일한 반경에 의해 형성된다(이는 이어서 내부 본체 표면(226)으로부터 절삭 인서트(14)의 최전방 절삭 에지(34)까지 형성됨). 실제 작업편 직경은 공차(예를 들어, 1 mm)를 제공하기 위해 절삭 깊이(CD)보다 약간 작아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 실린더(IC)의 외부에서, 냉각제 도관(200)은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절단 중에 작업편(60)에 의해 충돌되지 않을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절삭 인서트(14)에 근접하여 냉각제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및 제2 연장 부분(208, 210)은 작업편(60) 내에 형성된 세장형 슬릿(S) 내에서 완전히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도 7b 내지 도 7d).
도 7a에는 연장 안전 돌출부(278A, 278B)가 어떻게 각각의 서브 에지 아래로 연장되고 각각의 연장 안전 돌출부(278A, 278B)와 연관된 제1 및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A, 132B) 사이에 간극(G1, G2)이 존재하는지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연장 안전 돌출부가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와 접촉하면, 이는 연장 부분 및 블레이드의 의도된 맞접 표면 사이의 편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특히,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의 인터로크를 약화시킴)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냉각제 도관(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냉각제 도관(200')은 체결 부분(234')을 제외하고 전술된 냉각제 도관(200)과 동일하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체결 부분(234')은 캠(236'), 제1 측면 본체 표면(230') 및 제2 측면 본체 표면(232')을 통해 연장하는 관통 구멍(238'), 및 선택적으로, 냉각제 도관(200')의 후방에 형성된 캠 삽입 및 제거 구멍(233')을 포함한다.
캠(236')은 본체 부분(202) 내에서 적층 제조에 의해 유리하게 생산될 수 있고 캠 삽입 및 제거 구멍(233')이 이어서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d를 참조하면, 본체 부분(202)은 관통 구멍(238')에 인접한 내부 제1 및 제2 경사 지지 표면(238A', 238B')을 포함한다.
도 9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캠(236')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캠(236')은 사용 전에 캠 삽입 및 제거 구멍(233')을 통해 삽입된다.
캠(236')은 제1 캠 단부(242'), 제2 캠 단부(244') 및 그 사이에서 연장하는 캠 중간 부분(246')을 포함한다.
제1 캠 단부(242')는 또한 육각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그를 통해 캠(236')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1 공구 수용 오목부(242A')를 갖고 형성된다.
제2 캠 단부(244')는 또한 육각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그를 통해 캠(236')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공구 수용 오목부(244A')를 갖고 형성된다. 이는 절단 블레이드(100)의 양 측면으로부터 사용자에 접근을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공구 수용 오목부(242A', 244A')는 연속적이지만(따라서 단일 공구 수용 오목부로 고려될 수 있음), 스토퍼 또는 벽(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이들 사이에 형성되어 육각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과잉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된 제2 캠 단부(244')는 캠 스토퍼를 갖고 형성되지 않지만, 이는 예를 들어 체결 부분(234')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도관 스토퍼(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맞접하도록 구성된 이러한 스토퍼를 갖는 실현 가능하고 바람직한 옵션이다.
캠 중간 부분(246')은 제1 및 제2 경사 표면(246A', 246B') 및 그 사이에 위치한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표면(246C')을 포함한다.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표면(246C')은 모따기 부분(246D')(상기 도 4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을 포함하고 제2 및 제4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 116)의 v-형 기하학 형상에 대응하는 기본 v-형상(제1 및 제2 나선형 맞접 표면(246C1', 246C2'))을 갖는다.
캠(236')은 제1 및 제2 경사 표면(246A', 246B')이 내부 제1 및 제2 경사 지지 표면(238A', 238B') 상에 놓인 상태로 캠을 삽입 및 제거 구멍(233') 내에 삽입함으로써 본체 부분(202')에 장착된다.
도 10f에 도시되어 있는 삽입 배향이 될 때까지 캠(236')을 회전시키기 위해 육각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공구 수용 오목부(242A', 244A') 중 하나 내에 삽입된다. 개략적인 라인(SI')은 캠(236') 위로 활주될 때(이는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한 모따기 부분(246D')의 제공으로 인해 쉽게 수행됨) 절단 블레이드(100)의 가장 낮은 에지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절단 블레이드(100)는 캠(23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육각 키는 이어서 공구 수용 오목부(242A', 244A') 중 하나 내에서 약 1/4 회전만큼 회전되어,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표면(246C')이 절단 블레이드(라인(S2')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맞접하는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체결 배향으로 캠(236')을 유도한다.
도 11a 내지 도 11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예시적인 체결 부분(234')은 유리하게는 본체 부분(202)의 외부에 돌출 부분을 갖지 않는다.
이제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냉각제 도관(2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수많은 차이점이 설명될 것이고 각각은 이전의 냉각제 도관 실시예와 독립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제3 실시예의 예시된 냉각제 도관(200")은 제1 및 제2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종류의 체결 부분이 없다. 오히려, 연장 부분(208", 210")의 평행한 제1 및 제2 내부 부분(211", 213")의 가장 가까운 지점은 그를 통해 연장된 절단 블레이드(100) 상에 웨지 효과 또는 압력 끼워맞춤을 생성하는 제2 서브 에지 길이(LS2)보다 작은 연장 거리(DEI)만큼 이격된다.
이 예에서 제2 연장 부분(210"), 또는 더 정확하게는 그 제2 내부 부분(213")은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15")가 제공되는 유일한 부분이고 전방 스토퍼 부분(217")은 평면형이다. 이는 제2 내부 부분(213")의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15")와 제1 내부 부분(211") 상에 형성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219")가 모두 비교적 길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에 따라, 그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를 따라 기계적인 인터로킹 구조체(128)가 없는 표준 절단 블레이드(도시되어 있지 않음)도 이러한 냉각제 도관(2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입구(302")에 육각형 표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제1 본체 단부(220) 자체가 렌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보유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제공되었기 때문이다.
더 구체적으로, 대향하여 지향하는 제1 및 제2 하부 본체 표면(226", 228")은 표준 렌치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렌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필요한 경우 입구(302")와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한 이어(ears)(303", 30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또한 임의의 연장 안전 돌출부가 없는 예를 제공한다. 압력 끼워맞춤 구성의 경우 적어도 제1 연장 부분(208") 상에 돌출 부분을 갖는 것이 더 복잡하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13a 내지 도 13e를 참조하면, 냉각제 도관(20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가 절단 블레이드의 가변 오버행 능력을 제한하기 때문에, 하나의 해결책은 블레이드 홀더(12)(도 1)를 둘러싸는(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시되어 있는 냉각제 도관(200"')을 제공하는 것이고 따라서 냉각제 도관(200"')의 어떤 부분도 그 사이에 연장하지 않기 때문에 절삭 구역(ZC)은 절삭 인서트(14)로부터 홀더(12)까지 연장한다.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절단 블레이드(100)는 연장 부분의 부분 상에(예를 들어, 하부 부분(213"') 및/또는 스토퍼 부분(217"') 및 211"'로 지정된 부분 상에) 형성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에 맞접할 때까지 삽입 간극(248"')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예는 대략 홀더(12)의 길이이지만 연장-폭 절삭 평면(PC)만큼 얇을 필요는 없는 세장형 부분(221"', 223"')을 갖는다(더 얇은 부분은 211"', 213"' 및 217"'로 지정되어 있고, 뿐만 아니라 전이 부분(225"', 227"')이 그 사이에서 연장함).
편향 나사(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절단 블레이드에 대한 냉각제 도관(200"')의 고정된 위치(편향 등에 의해)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제 도관(200"')은 229"', 231"', 233"'로 지정된 임의의 부분에 나사산 형성 나사 수용 구멍(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냉각제 도관(200"")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개발 중에, 냉각제 도관을 오버행 절단 블레이드에 현수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안정성이 달성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전술된 바와 같이, 필요한 증가된 오버행으로 인해 더 적은 안정성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었을 때).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냉각제 도관은 댐핑 웨이트로서 작용하여, 진동 방지 효과를 생성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냉각제 도관(200"")은 상기 진동 방지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여분의 웨이트부(400)가 추가된 것(선택적으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그와 일체로 형성됨)을 제외하고는 이전 실시예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트부(400)는 가능한 한 절삭 인서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가깝고, 따라서 절삭 구역(ZC) 내의 웨이트부(400)의 적어도 제1 웨이트 부분(402)은 얇아야 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1 웨이트 부분(402)은 연장 두께(TE)와 대략 동일하거나 더 넓지 않은 중량 두께(TW)를 가져야 한다.
절삭 깊이는 도시되어 있는 가상 실린더(IC)에 의해 정의되지만, 이러한 조립체는 훨씬 더 큰 직경의 작업편을 그루빙할 수 있고(작업편의 중심에 도달하는 것은 절단을 위해서만 요구되기 때문에), 따라서 그 직경이 절단될 수 있는 작업편의 직경보다 큰 IA로 지정된 가상 원호에 의해 최대 그루빙 치수가 표시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웨이트부(400)의 제2 웨이트 부분(404)은 가상 실린더 및 가상 원호 구역(즉, 절삭 구역(ZC))의 모두의 외부에 있고 따라서 원하는 경우 확장될 수 있다.
이제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냉각제 도관(200)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웨이트부(400')는, 절삭 구역(ZC) 내에 있고 따라서 연장 두께(TE)와 동일한 두께(TW)를 갖는 제1 웨이트 부분(402') 및 절삭 구역의 외부의 제2 웨이트 부분(404')을 포함한다.
제2 웨이트 부분(404')은 진동 방지 디바이스(406')(그 예는 US 9,993,876과 같은 본 출원인의 이전 특허 공보에서 발견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특히, 제2 웨이트 부분(404')은 연장 두께(TE)보다 상당히 큰 제2 부분 폭(TW')을 갖는다.
도 16a 내지 도 18b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전술된 것과 동일한 절삭 인서트(14)를 갖는 다른 절단 블레이드(1000)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다른 냉각제 도관(2000)이 도시되어 있다.
기본 원리는 전술된 것들과 동일하므로, 단지 주목할 만한 차이점만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절단 블레이드(1000)는 이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인서트 포켓(118) 그러나 상이한 주연 블레이드 에지(1060)를 포함한다.
주연 블레이드 에지의 제1, 제2 및 제3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0, 1120, 1160)만이 도시되어 있다(이전 예에서 여기서 "제3" 블레이드 서브 에지라고 지칭되는 것이 "제4" 블레이드 서브 에지라고 지칭되지만, 전체 절단 블레이드 형상은 주로 대안적인 체결 장치인 나타낸 원리에 필수적이지 않은 것을 주목하라).
이전 예와 달리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0)는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없다. 달리 말하면, 이는 평면형이다. 이는 절단 블레이드가 전통적인 대향하는 제2 및 제3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0, 1160)를 따라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만을 갖고 유리하게 생산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먼 연장 단부(2620B)가 동작 중에 절단 블레이드(1000)와 위험하게 오정렬될 더 많은 위험이 존재하지만, 이 위험은 먼 연장 단부(2620B)에서 제2 연장 부분(2100)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및/또는 그 가까운 연장 단부(2600B)에서 제1 내부 연장 표면(2660B)을 따라 비교적 긴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는 제2 연장 부분(2100)에 의해 유리하게(그러나 선택적으로) 감소된다.
더 정확하게는,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0)는 인서트 포켓(118)에 근접한 근접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부분(1102), 및 인서트 포켓(118)에 대해 말단인 말단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부분(1104)을 포함한다.
근접 및 말단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2, 1104)의 모두는 평면형 형상이지만, 말단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부분(1104)은 블레이드 후방 방향(DRB)으로 오목하게 되고 따라서 또한 제1 안전 오목부(1104)를 구성한다.
오목하게 된 제1 안전 오목부(1104)는 제3 블레이드 서브 에지(116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이는 절단 블레이드의 코너까지 연장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0)는 상기에 예시된 것에 대응하는 제2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30)를 갖고 형성된다.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0)는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0)(이 예에서 신장되어 있을 수 있음)를 갖고 형성된다.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0)는 제1 인서트 포켓(118)과 부가의 제2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0) 사이에 위치된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1120)의 최전방 지점(1380)보다 하향 방향(DDB)으로 더 연장된다. 따라서, 다가오는 칩에 대해 냉각제 도관(2000)에 보호가 제공되어 있다.
최전방 지점(1380)의 전방에는 통상적인 릴리프 부분(1382)이 있을 수 있다.
이제 도 16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절두원추형 맞접 표면(2364) 및 나사산 형성 섕크(2366)를 갖는 원추형 나사 헤드(2362)를 포함하는 체결구(2360)(이 예에서는 표준 나사임)가 존재한다.
냉각제 도관(2000)은 본체 부분(2020), 본체 부분(2020)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연장 부분(2080), 본체 부분(2020)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연장 부분(2100)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2020)은 가장 특히 나사산 형성 나사 보어(2342) 및 가요성 슬릿(2344)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체결 부분(2340)을 포함한다.
나사산 형성 나사 보어(2342)는 나사산 형성 부분(2346)과 절두원추형 맞접 부분(2348)을 포함한다.
제1 연장 부분(2080)은 가까운 연장 단부(2600A), 먼 연장 단부(2620A), 가까운 연장 단부(2600A)에 근접하고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된(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연장 표면(2660A), 및 평면형인 제2 내부 연장 표면(2662A)(따라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0)와 맞접을 위해 적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접촉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 부분(2100)은 가까운 연장 단부(2600B), 먼 연장 단부(2620B) 및 그 사이의 굽힘부(26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 연장 표면(2660B)은 가까운 연장 단부(2600B)에 근접하고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전술된 바와 같이)를 갖고 형성되고, 제2 내부 연장 표면(2662B)은 평면형이다(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로서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말단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1104)에 대한 맞접에 적합하지만, 기능은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연장 표면(2662A) 및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1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
어느 하나의 안전 오목부가 생략될 수 있고 단지 하나만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안전 오목부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또한 스토퍼를 구성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즉, 냉각제 도관(200)과 원하는 접촉이 존재함).
본 예에서, 절단 블레이드(1000)에 냉각제 도관(2000)을 장착하는 경우: 절단 블레이드(1000)는 말단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부분(1104)이 제2 내부 연장 표면(2662B)에 맞접할 때까지 냉각제 도관(2000)에 삽입된다. 이어서, 체결구(2360)는 체결 부분(2340)에 대해 회전/나사 결합되어 절두원추형 맞접 표면(2364)이 제1 연장 부분(2080)을 전방으로 편향하게 되어 그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가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의 제2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130)와 단단히 맞물리도록 한다.
냉각제 도관(2000)을 해제하기 위해 체결구(2360)는 단지 대향 방향으로 회전되고 절단 블레이드(1000)는 대향 방향으로 활주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이전 실시예에서, 도시되어 있는 전체 냉각제 도관은 강체이기 때문에, 체결 중에 절단 블레이드에 대해 그 몇몇 원하지 않는 회전이 존재하였다. 본 예(냉각제 도관(2000))에서, 이는 그 단지 일부(즉, 제1 연장 부분(2080))만이 냉각제 도관(2000)의 잔여부에 대해 동적이거나 굴곡됨으로써 회피되었다.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최종 일반적인 코멘트는 다음과 같다:
그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성요소를 절단 블레이드의 오버행 부분에 체결하는 것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심지어 냉각제 통로, 즉 절단 블레이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진동 방지 디바이스가 없는 양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진동 방지 디바이스는 절단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제한된 사용 후에 인서트 포켓을 포함하는 절단 블레이드가 가공으로부터 마모를 경험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대조적으로, 본 양태는 인서트 클램핑 또는 가공력을 경험하지 않고 아마도 다수 회 재사용될 수 있다.
물론, 유리한 실시예에서 절삭 인서트의 추가된 공구 수명의 부가의 이점을 위해 냉각제 통로가 포함된다.
디바이스가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되기 위한 기계적 인터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덜 바람직하지만, 나사에 의한 것과 같은 다른 장착 옵션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상기 예는 모든 예시된 2개의 연장 부분을 갖지만, 냉각제 도관이 단지 하나의 연장 부분 또는 2개 초과의 연장 부분을 갖고 여전히 절단 블레이드에 이점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위의 모든 시스템은 그를 통한 냉각제 통로를 갖는 것으로부터 부가적으로 이점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클램핑에 추가하여, 절삭 인서트의 공구 수명을 증가시키고 심지어 칩 파괴를 돕는 높은 냉각제 압력에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공지의 고압 절단 블레이드는 칩 압력 파괴(공지 문헌에 의하면 대략 100 bar(절단 블레이드를 빠져나가는 압력) 초과에서 발생함)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이는 블레이드 홀더 내의 압력 손실, 블레이드 홀더로부터 절단 블레이드로의 전이, 블레이드 홀더와 절단 블레이드 내의 수많은 회전부, 절단 블레이드를 통한 작은 통로 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위에 예시된 냉각제 도관(200)은 테스트되었고 심지어 소위 고압 냉각제 블레이드로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높은 냉각제 압력에서 더 낮은 냉각제 압력에서 더 작은 칩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이는 지점에 도달하였다.

Claims (81)

  1. 절단 공구 조립체이며,
    블레이드 홀더;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되어 그에 의해 클램핑되고, 적어도 제1 인서트 포켓을 포함하는, 절단 블레이드;
    제1 인서트 포켓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 및
    절단 블레이드에 장착된 냉각제 도관을 포함하고;
    절삭 인서트는:
    절삭 에지 폭(CW) 및 절삭 에지 폭(CW)과 동일한 폭인 연장-폭 절삭 평면을 정의하는 최전방 절삭 에지를 포함하고;
    절단 블레이드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 및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을 연결하는 주연 블레이드 에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1 인서트 포켓이 주연 블레이드 에지를 따라 형성되고;
    주연 블레이드 에지는:
    제1 인서트 포켓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포함하고;
    냉각제 도관은:
    적어도 제1 연장 부분;
    적어도 하나의 입구;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입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출구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통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제1 연장 부분에서 개방되고 연장-폭 절삭 평면 내에 위치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블레이드 홀더의 접촉이 없는, 절단 공구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서브 에지와 접촉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그 주연 블레이드 에지를 따라서만 절단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그로부터 하나의 방향으로 블레이드 홀더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절단 블레이드의 오버행 부분에만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냉각제 도관은 블레이드 홀더를 둘러싸고; 또는 냉각제 도관은 블레이드 홀더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의 위와 아래의 모두에서 연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강체이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강철로 제조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삽입 간극을 포함하고, 삽입 간극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 절단 공구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본체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1 연장 부분은 본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본체 부분은 연장-폭 절삭 평면(PC)의 외부로 연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본체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연장-폭 절삭 평면(PC)보다 넓은, 절단 공구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의 높이보다 작은 그 평행 연장 부분 부품의 거리만큼 절단 블레이드에 압력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고; 또는 냉각제 도관은 냉각제 도관을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 부분을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냉각제 도관을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체결 부분은 냉각제 도관의 본체 부분에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회전 가능 체결구는 나사 또는 캠인, 절단 공구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체결구는 아르키메데스 나선형 표면을 포함하는 캠인, 절단 공구 조립체.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부분은 가요성 슬릿을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가요성 슬릿은 절단 블레이드에 이를 체결하기 위해 냉각제 도관의 단지 하나의 부분만을 굴곡하도록 구성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제1 연장 부분은 연장-폭 절삭 평면(PC) 내에만 놓여 있는, 절단 공구 조립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대향하는 내부 및 외부 연장 표면, 및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 연장 표면을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연장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된 절단 블레이드의 제1 및 제2 측면 사이에서 측정할 때보다, 제1 및 제2 측면 연장 표면 사이에서 측정할 때 더 얇은, 절단 공구 조립체.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내부 연장 표면으로부터 외부 연장 표면까지의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세장형 연장 단면을 갖는, 절단 공구 조립체.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통로는, 연장 부분에서, 연장 부분의 신장 방향에 수직으로, 세장형 통로 단면을 갖는, 절단 공구 조립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통로는 입구로부터,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갈라지는, 절단 공구 조립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통로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는 완만하게 만곡되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회전부는 모두 완만하게 만곡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최대 길이(LM) 대 최대 높이(HE)가 조건: LM > HE, 바람직하게는 LM > 2HE,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LM > 3HE를 충족하도록 신장되어 있는, 절단 공구 조립체.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조건: LM < 8HE, 또는 심지어 LM < 6HE를 충족하는 최대 길이 대 최대 높이 비를 갖는, 절단 공구 조립체.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의 측면 뷰에서, 제1 연장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포함하는 그 적어도 일부에서 선형 형상을 갖는, 절단 공구 조립체.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의 측면 뷰에서, 제1 연장 부분은 그 전체로 선형 형상으로 연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의 측면 뷰에서, 제1 연장 부분은 인서트 포켓에 근접하게 선형 형상으로 연장되고 인서트 포켓에 근접한 선형 형상에 대해 말단에 굽힘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굽힘부는 대략 1/4 회전부인, 절단 공구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에는 단지 단일의 굽힘부만이 형성되어 있는, 절단 공구 조립체.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출구까지 적어도 3개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안전 돌출부 또는 안전 오목부를 포함하고, 절단 블레이드는 상보적인 안전 돌출부 또는 안전 오목부를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그 내부 연장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안전 돌출부를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안전 돌출부는 제1 연장 부분의 먼 연장 단부에 위치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돌출부는 절단 블레이드와 접촉하지 않고 절단 블레이드의 안전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인서트 포켓에 대해 절단 블레이드의 경사 측면에서 절단 블레이드의 주연 에지에 대해 편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인서트 포켓에 대해 절단 블레이드의 릴리프 측면에서 절단 블레이드의 주연 에지에 대해 편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가까운 연장 단부보다 인서트 포켓에 더 가까운 먼 연장 단부를 포함하고, 단지 먼 연장 단부만이 절단 블레이드의 주연 에지에 대해 편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포함하고 절단 블레이드의 주연 에지를 따라 형성된 상보적인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에 대해 편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제1 연장 부분의 전방 연장 표면으로 개방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제1 연장 부분은 인서트 포켓에 근접하여 선형 형상이고 전방 연장 표면은 선형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절단 공구 조립체.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공급 파이프에 직접 연결을 위해 구성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는 나사산, 바람직하게는 암형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4.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제2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5. 제4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장 부분은 주연 블레이드 에지의 2개의 비평행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장 부분의 모두는 연장-폭 절삭 평면(PC) 내에서 연장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7.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연장 부분은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8.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진동 방지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49. 제48항에 있어서, 웨이트부의 적어도 제1 웨이트 부분은 제1 측면 연장 표면(270A)으로부터 제2 측면 연장 표면(272A)까지 정의된 연장 두께(TE)보다 넓지 않은 웨이트 두께(TW)를 갖는, 절단 공구 조립체.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냉각제 도관은 제1 측면 연장 표면(270A)으로부터 제2 측면 연장 표면(272A)까지 정의된 연장 두께(TE)보다 큰 제2 부분 웨이트 두께(TW')를 갖는 웨이트부의 제2 웨이트 부분을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51.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연 블레이드 에지는 안전 돌출부 또는 안전 오목부를 포함하고, 냉각제 도관은 상보적인 안전 돌출부 또는 안전 오목부를 포함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52. 제51항에 있어서, 안전 돌출부는 절단 블레이드와 접촉하지 않고 절단 블레이드의 안전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53.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인서트 포켓에 대한 절단 블레이드의 경사 측면, 인서트 포켓에 대한 절단 블레이드의 릴리프 측면의 어느 하나에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를 갖고 형성되고, 또는 인서트 포켓에 대한 절단 블레이드의 경사 및 릴리프 측면의 모두에 형성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가 존재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54. 제5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서트 포켓에 대해 절단 블레이드의 경사 및 릴리프 측면의 모두에는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인서트 포켓으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55. 제51항 또는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는, 조건: LR ≤ 30 mm, 바람직하게는 LR ≤ 2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LR ≤ 15 mm를 충족하는 인서트 포켓의 서브 에지로부터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까지 측정된 오목부 길이(LR) 내에 있는, 절단 공구 조립체.
  56. 제51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건: LR ≥ 4 mm, 바람직하게는 LR ≥ 8 mm를 충족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57. 제54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블레이드의 코너로 연장하는, 인서트 포켓에 대해 절단 블레이드의 릴리프 측면에 형성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가 존재하는, 절단 공구 조립체.
  58. 제1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인서트 포켓은 베이스 조오; 제2 조오; 및 베이스 조오와 제2 조오를 연결하는 슬롯 단부를 포함하고; 베이스 조오는 제2 조오보다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더 가깝고; 제2 조오는 베이스 조오보다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에 더 가깝고; 이하의 2개의 조건: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가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보다 길고;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되는 제1 조건; 및 양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모두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되는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59. 제1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제1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되고;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는 모두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되며; 또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의 모두는 블레이드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60. 제1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블레이드는 내부 냉각제 채널이 없을 수 있는, 절단 공구 조립체.
  61. 제1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블레이드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철로 제조되는, 절단 공구 조립체.
  62. 제1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블레이드는 나사 구멍이 없는, 절단 공구 조립체.
  63. 제1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블레이드는 나사산 형성 구멍이 없는, 절단 공구 조립체.
  64. 제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블레이드는 단일 중앙 제조 구멍을 갖는, 절단 공구 조립체.
  65. 냉각제 도관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 따른, 냉각제 도관.
  66. 절단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단 블레이드.
  67.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냉각제 도관.
  68. 그 출구가 절삭 인서트에 근접하도록 절단 블레이드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냉각제 도관.
  69. 공구 조립체로 작업편에 슬릿을 절단하거나 그루빙하는 방법이며, 작업편이 절삭 인서트의 절삭 에지에 의해 접촉될 때까지 작업편을 향해 상대적으로 공구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제1 단계; 절삭 인서트와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어 있는 절단 블레이드가 작업편에 슬릿을 가공하도록 또한 작업편을 향해 상대적으로 공구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단계 동안 냉각제 도관의 부분이 작업편에 형성된 슬릿에 진입하는, 방법.
  70. 절단 블레이드에 냉각제 도관을 고정하는 방법이며, 방법은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된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냉각제 도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절단 블레이드 상에 냉각제 도관을 현수하는 제1 단계; 및 체결 부분으로 냉각제 도관을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1. 절단 블레이드에 냉각제 도관을 고정하는 방법이며, 방법은 냉각제 도관에 형성된 삽입 간극을 통해 절단 블레이드를 삽입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2.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선형 형상 연장 부분을 갖는, 냉각제 도관.
  73.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과 제1 및 제2 블레이드 측면을 연결하는 주연 블레이드 에지; 및 주연 블레이드 에지를 따라 형성된 제1 인서트 포켓을 포함하고; 주연 블레이드 에지는 제1 인서트 포켓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포함하고;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를 갖고 형성되는, 절단 블레이드.
  74. 절단 블레이드 및 냉각제 도관을 포함하고,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되고; 절단 블레이드는 제1 인서트 포켓의 상이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를 갖고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 서브 에지 및 제2 블레이드 서브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를 갖고 형성되고; 냉각제 도관은 연장 안전 돌출부를 갖고 형성된 연장 부분을 포함하고; 연장 안전 돌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블레이드 안전 오목부 내에 있는, 공구 조립체.
  75. 제1 본체 단부, 제2 본체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본체 부분; 제1 본체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1 연장 부분을 포함하고; 전체 제1 연장 부분은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체를 갖고 형성되는, 냉각제 도관.
  76. 제1 본체 단부, 제2 본체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을 포함하는 본체 부분; 제1 본체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1 연장 부분; 및 전방 연장 표면에 인접한 내부 연장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안전 돌출부를 포함하는, 냉각제 도관.
  77. 절단 블레이드 및 냉각제 도관을 포함하고,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되고; 냉각제 도관은 절단 블레이드와의 공통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1 연장 부분을 갖고 형성되는, 공구 조립체.
  78. 제1 본체 단부, 제2 본체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연결하는 중간 본체 서브 부분을 포함하는 본체 부분; 및 냉각제 통로를 포함하고; 냉각제 통로는 입구; 제1 출구; 및 입구로부터 제1 출구까지 연장하는 중간 통로를 포함하는, 냉각제 도관.
  79. 절단 블레이드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80. 제79항에 있어서, 냉각제 통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81. 제79항 또는 제80항에 있어서, 진동 방지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237016557A 2020-10-20 2021-10-18 절단 공구 조립체용 냉각제 도관 KR20230091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93880P 2020-10-20 2020-10-20
US63/093,880 2020-10-20
PCT/IL2021/051228 WO2022084988A2 (en) 2020-10-20 2021-10-18 Coolant conduit for a parting-off tool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931A true KR20230091931A (ko) 2023-06-23

Family

ID=7859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557A KR20230091931A (ko) 2020-10-20 2021-10-18 절단 공구 조립체용 냉각제 도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81868A1 (ko)
KR (1) KR20230091931A (ko)
CN (1) CN116419810A (ko)
DE (1) DE112021005527T5 (ko)
IL (1) IL301360A (ko)
TW (1) TW202220767A (ko)
WO (1) WO2022084988A2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1370A (en) * 1994-10-23 1998-08-16 Iscar Ltd Cutting tool system with replaceable adapter
EP2745963B2 (en) * 2012-12-19 2021-03-17 Seco Tools Ab Coupling for a cooling system in a cutting tool
ES2796260T3 (es) * 2014-11-18 2020-11-26 Walter Ag Hoja perforadora y herramienta de ranurado y corte
US9993876B2 (en) 2015-12-21 2018-06-12 Iscar, Ltd. Cutting tool holder with vibration damping weight assembly
CA3083200A1 (en) 2017-11-21 2019-05-31 Iscar Ltd. Tool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19810A (zh) 2023-07-11
TW202220767A (zh) 2022-06-01
DE112021005527T5 (de) 2023-09-21
IL301360A (en) 2023-05-01
US20230381868A1 (en) 2023-11-30
WO2022084988A3 (en) 2022-07-21
WO2022084988A2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5546B1 (en) Hole machining tool, method for adjusting a height of a guide pad, and adjustable guide pad assembly
US9669467B2 (en) Tool system
JP4918799B2 (ja) 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US10780505B2 (en) Face grooving tool body for metal cutting
CA2719311A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therefor
KR20060047244A (ko) 칩 제거 기계가공용 회전 공구
US8943933B2 (en) Cutting edge replacement type groove forming tool and end face groove forming method
KR101202224B1 (ko) 기계가공 공구용 공구 헤드
KR20230091936A (ko) 절단 블레이드 클램프, 절단 블레이드 및 절단 블레이드 홀더
CN212793066U (zh) 用于切削加工的工具
WO2008051161A1 (en) Cutting portion with a friction surface cooperating with a wrench
KR20230091931A (ko) 절단 공구 조립체용 냉각제 도관
WO2017178155A1 (en) A metal cutting grooving insert for face grooving
JP2006187820A (ja) 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WO2023223308A1 (en) Tool holder having a cylindrical fixation bore extending rearwardly from a front fixation surface and a fastening bore intersecting the front fixation surface
KR101442688B1 (ko) 절삭 공구
JP2007210051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JP2014121757A (ja) サイドカッ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