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852A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852A
KR20230091852A KR1020230077105A KR20230077105A KR20230091852A KR 20230091852 A KR20230091852 A KR 20230091852A KR 1020230077105 A KR1020230077105 A KR 1020230077105A KR 20230077105 A KR20230077105 A KR 20230077105A KR 20230091852 A KR20230091852 A KR 2023009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ground music
audio
music
informat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훈
김명재
유영준
진장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852A/ko
Publication of KR2023009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8Audio watermarking, i.e. embedding inaudible data in the audio sign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57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processing of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04N21/811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comprising music, e.g. song in MP3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배경음악 제공방법은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단계,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DISPLAY ARRARATUS, BACKGROUND MUSIC PROVIDING METHOD THEREOF AND BACKGROUND MUSIC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기기를 통해 배경음악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 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음악(Background Music)이란 영화, 드라마 등의 작품에 있어 전면에 표출되지는 않으나, 작품의 특정 분위기를 강조하거나 관객들의 감정을 고조시키기 위하여 삽입되는 음악을 말한다.
최근 TV 방송이나 영화 등의 컨텐츠에 삽입되는 배경음악의 소비패턴이 컨텐츠 시청 중뿐만 아니라 컨텐츠 시청 후에도 관심 있는 배경음악을 검색하여 감상하는 등 능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TV 방송이나 영화 OST(Original Sound Track)가 각종 음원 차트에서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송 또는 영화 OST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방송 및 영화 시청 중에 들었던 OST를 재감상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은 음악정보 검색 및 다운로드 등의 다소 번거로운 사용자의 수고를 요구한다. 특히, 시청 동영상 내 배경음악 제목 등의 정보를 식별하고 검색하는 것은 일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음악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나, 해당 서비스는 식별대상이 실시간으로 재생 중인 배경음악에만 국한되며, 또한, 현재 컨텐츠를 재생 중인 장치를 통해 식별된 배경음악의 청취 여부를 묻게 되어 컨텐츠 시청에 방해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 중인 컨텐츠 감상에 방해 없이 용이하게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음악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은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단계,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 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음악 앨범 리스트를 통해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음악 앨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 각각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 프린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 프린트를 음악 식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 식별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 프린트 각각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 재생 중인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일부에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배경음악을 확인할 수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 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악 앨범 리스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악 앨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영상의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오디오 출력부,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저장부 및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 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음악 앨범 리스트를 통해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음악 앨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 각각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 프린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외부의 음악 식별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핑거 프린트를 상기 음악 식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음악 식별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 프린트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 재생 중인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되면,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배경음악을 확인할 수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일부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 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 앨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을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청 중인 컨텐츠 감상에 방해 없이 용이하게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음악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미 재생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배경음악 식별 모드 및 배경음악 식별명령을 통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에 음악 앨범 리스트가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의 배경음악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또는 FPGA,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부"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주소를 가진 저장매체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는 소프트웨어 요소, 객체 지향적 소프트웨어 요소, 클래스 요소 및 작업 요소와 같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기능, 속성, 과정, 서브 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구간,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들을 처리한다. 요소 및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은 더 적은 수의 요소 및 유닛으로 결합될 수 있고, 더 많은 수의 요소 및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배경음악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 기기(200), 음악 식별 서버(300) 및 음원 서버(4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음악이 포함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재생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배경음악 식별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배경음악을 식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로서,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배경음악은 그 오디오 파라미터가 추출되어 저장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된 동안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재생되는 컨텐츠에는 배경음악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되는 각 배경음악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각 배경음악을 식별하기 위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파라미터는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요약한 핑거 프린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외부의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하고, 음악 식별 서버(300)로부터 각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음악 식별 서버(300)는 복수의 오디오 파라미터 및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 각각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을 식별하고, 식별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는 배경음악의 제목, 가수, 장르, 작곡가, 작사가, 앨범명, 앨범 수록곡, 앨범 표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과 같은 각종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음악 식별 서버(300)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위와 같이 획득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을 생성 또는 편집하거나 이미 생성된 음악 앨범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성, 편집 또는 업데이트된 음악 앨범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200)는 디스플레이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통한 사용자의 재생 명령에 따라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배경음악을 선택하고 재생 명령을 입력하면, 외부 기기(200)는 음원 서버(400)로부터 배경음악에 대응되는 음원을 스트리밍 받아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음원을 음원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거나, 해당 음원이 기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여 기저장된 경우 이를 바로 재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 시청에 방해 없이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 및 배경음악을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의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마트 TV이고, 외부 기기(200)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기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노트북, PMP, 패블릿(Ph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 탑 PC, 전자 액자, 스마트 TV 중 어느 두 개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드시 하나로 구성된 장치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TV 와 사운드 바(Sound Bar)가 연결되어 TV 화면을 통해서는 컨텐츠의 영상이 재생되고, 사운드 바를 통해서는 배경음악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역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음악 식별 서버(300)를 통해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1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오디오 파라미터 및 각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배경음악 식별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악 식별 서버(300)를 이용할 필요없이 직접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된 때부터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된 때까지 저장된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을 식별하고, 식별된 각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오디오 출력부(120), 입력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방송국이나 외부 장치(CD나 DVD 플레이어 등)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진 또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에 포함된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되는 UI(User Interface) 등의 그래픽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10)는 배경음악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20)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20)는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피커, 오디오 출력 단자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30)는 배경음악 식별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배경음악 식별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배경음악 식별 모드는 디스플레이(110) 및 오디오 출력부(120)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음악을 식별하기 위한 모드로서,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에는, 디스플레이(110) 및 오디오 출력부(120)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가 추출되어 저장된다.
한편, 배경음악 식별명령은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으로, 사용자가 배경음악 재생 중에 배경음악 식별명령을 입력하면,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에 재생 중인 배경음악의 오디오 파라미터 및 저장된 오디오 파라미터(배경음악 식별 모드 활성화 동안 추출되어 기저장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게 된다.
이를 위해,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터치 패널(디스플레이(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또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의 리모컨을 통해 제어되는 경우, 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50)는 외부 기기(200), 음악 식별 서버(300) 및 음원 서버(400) 등과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외부 기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50)는 외부기기(150)로부터 배경음악 재생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음악 식별 서버(300)와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하고, 음악 식별 서버(300)로부터 오디오 파라미터 각각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50)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서버(400)와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배경음악에 대응되는 음원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및 무선랜 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200)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써,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NFC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통신 모듈(미도시)은 와이파이(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통신부(150)는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tronics Engineers) 1394, RS-232 등의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60)에는 제어부(140)에 의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는 배경음악이 재생되는 순서대로 추출되어 그 순서대로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에는 제어부(140)에 의해 획득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음악 앨범 리스트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원이 저장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60)는 램(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 각종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60)는 버퍼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재생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입력부(130)를 통해 배경음악 식별 모드 활성화 명령이 수신되면, 이후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비활성화될 때까지,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디오 파라미터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필립스(philips) 오디오 핑거프린팅 알고리즘, 샤잠(Shazam) 오디오 핑거프린팅 알고리즘, 구글(google) 오디오 핑거프린팅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된 핑거 프린트일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상기 핑거프린팅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배경음악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핑거 프린트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파라미터가 핑거 프린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경음악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배경음악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오디오 파라미터라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 오디오 파라미터가 핑거 프린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제어부(140)가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재생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추출하기 위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에서 배경음악 부분과 그 외의 오디오 신호를 구별하고, 배경음악 부분을 이용하여 배경음악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생성함으로써, 재생되는 배경음악에서 핑거 프린트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배경음악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재생되면, 제어부(14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의 일부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신호가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오디오 신호의 일부로부터 배경음악과 그 외의 오디오 신호를 구별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검출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를 구별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배경음악이 갖는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MFCC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스펙트럼 중심(Spectral Centroid), 스펙트럼 감쇠(Spectral Rolloff), 영 교차 횟수의 변화량(High Zero Crossing Rate Ratio, HZCRR), 단구간 에너지 변화량(Low Short Time Energy Ratio, LSTER), 스펙트럼 흐름(Spectrum Flux, SF), 선스펙트럼 쌍(Line Spectrum Pairs, LSP)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음소인식 기반의 파라미터 등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검출된 파라미터를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 GMM), k-근접이웃 알고리즘(k-Nearest Neighbor, k-NN), 은닉 마르코브 모델(Hidden Markov Model, HMM) 중 어느 하나에 적용하여 배경음악과 그 외의 오디오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
이때, 가우시안 혼합 모델(GMM)은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가우시안 확률 분포를 구성하여, 가우시안 확률 분포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부터 배경음악을 분류해주는 모델이다. k-근접이웃 알고리즘(k-NN)은 오디오 신호와 파라미터의 거리를 계산하고, 가까운 거리를 갖는 k개의 오디오 신호를 찾아 분류해주는 알고리즘으로, 최근접이웃(1-NN)이 배경음악에 해당된다. 은닉 마르코브 모델(GMM)은 검출된 파라미터를 통해 숨겨진 파라미터를 추론하고, 이중 확률 분포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부터 배경음악을 분류해주는 모델이다.
이와 같이, 배경음악 부분이 그 외의 오디오 신호와 구별되면, 제어부(140)는 상술한 각종 핑거프린팅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경음악 부분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생성함으로써,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추출된 핑거 프린트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추출된 핑거 프린트를 추출된 순서대로 버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입력부(130)를 통해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입력부(130)로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부(1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외부의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경음악 식별 명령은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음악 식별 서버(300)는 복수의 오디오 파라미터 및 각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음악 식별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 각각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음악 식별 서버(300)에 저장된 오디오 파라미터의 형식과 동일한 형식의 오디오 파라미터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디오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음악 식별 서버(300)에 저장된 복수의 오디오 파라미터가 필립스 오디오 핑거프린팅 알고리즘으로 생성된 핑거 프린트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 역시 필립스 오디오 핑거프린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배경음악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추출 및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통신부(150)를 통해 음악 식별 서버(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 각각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식별 서버(300)로부터 획득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는 해당 배경음악의 제목, 가수, 장르, 작곡가, 작사가, 앨범명, 앨범 수록곡, 앨범 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내용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배경음악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재생될 때, 시간에 따라 배경음악이 재생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예에서, 컨텐츠 재생 중 배경음악 1(31)이 재생된 후 사용자가 배경음악 식별 모드를 활성화 시키면, 제어부(130)는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된 후에 재생되는 배경음악 2(32), 배경음악 3(33)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각각 추출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후, 배경음악 4(34)가 재생 중에 사용자에 의해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배경음악 4(34)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배경음악 4(34)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 및 저장부(160)에 저장된 배경음악 2(32) 및 3(33)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배경음악 4(34)에 대해 추출된 오디오 파라미터 역시 저장부(160)에 저장된 후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음악 식별 서버(300)는 각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 2(32), 배경음악 3(33) 및 배경음악 4(34)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며, 제어부(140)는 통신부(150)를 통해 이를 수신하여, 배경음악 2(32), 배경음악 3(33) 및 배경음악 4(34)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재생되는 배경음악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추출되는 순서대로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고,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된 역순으로 오디오 파라미터를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에서, 제어부(130)는 배경음악 4(34)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 배경음악 3(33)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 및 배경음악 2(32)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 순으로 오디오 파라미터를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음악 식별 서버(300)는 수신된 오디오 파라미터 순서대로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배경음악 식별명령을 입력하는 시점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배경음악이 사용자가 가장 관심 있어하는 즉, 정보를 알고 싶어하는 배경음악일 개연성이 높으므로,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재생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배경음악 4(34)에 대한 정보가 우선적으로 획득될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계속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이후 배경음악 5(35)가 재생되면, 배경음악 5(35)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가 추출되어 저장부(160)에 저장되게 되고, 배경음악 6(미도시) 재생 중에 사용자가 다시 배경음악 식별명령을 입력하면, 배경음악 5(35) 및 6(미도시)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만일, 배경음악 4(34) 재생 이후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비활성화된 경우라면, 배경음악 5(35)부터는 재생되더라도 오디오 파라미터가 추출 및 저장되지 않으며, 그 배경음악에 관한 정보 역시 획득되지 않게 될 것이다.
한편, 제어부(14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2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이 확인된 경우, 외부 기기(200)의 전원을 온 시키는 명령을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여 외부 기기(200)의 전원을 온시킨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 기기(100)는 수신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악 앨범을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해당 음악 앨범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외부 기기(200)는 각 배경음악 별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나열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200)에 이미 배경음악을 포함하는 음악 앨범이 만들어져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외부 기기(100)는 수신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기생성되어 있는 배경음악을 포함하는 음악 앨범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해당 음악 앨범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외부 기기(200)는 배경음악이 업데이트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200)에 장르별, 가수별 등과 같이 카테고리별로 음악 앨범이 생성되어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외부 기기(200)는 수신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음악 앨범에 해당 배경음악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수 X가 부른 노래를 포함하는 음악 앨범 X가 기생성되어 있고, 수신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에 가수 X가 부른 배경음악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외부 기기(200)는 가수 X가 부른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배경음악 제목)를 기생성되어 있는 가수 X의 음악 앨범에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해당 음악 앨범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외부 기기(200)는 배경음악이 업데이트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음악 앨범의 리스트에는 배경음악 및 배경음악이 아닌 음악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부 기기(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포함된 앨범을 편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 기기(200)는 배경음악이 포함된 앨범에서 특정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복사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다른 앨범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외부 기기(200)는 디스플레이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음악 앨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200)는 외부의 음원 서버(400)와 연결되어 음원 서버(40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응되는 음원을 스트리밍 받거나 다운로드 받아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200)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음원 서버(400)로 전송하고, 음원 서버(400)가 수신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배경음악에 대한 음원을 검색하여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재생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외부 기기(200)는 재생하고자 하는 배경음악에 대한 음원이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기저장된 음원을 재생하여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외부 기기(200)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전송된 경우, 외부 기기(200)의 동작의 일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외부 기기(200)의 화면(210)에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일 예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외부 기기(200)의 화면(210)에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일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외부 기기(200)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외부 기기(200)는 이를 수신하여, 도 4의 (a)와 같이 수신된 각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 시청에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 기기(200)는 알림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배경음악이 식별되었음을 알리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기기(200)에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의 (a)의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가수 XX가 부른 ABC라는 제목의 배경음악, 가수 Y가 부른 EEF라는 제목의 배경음악 및 가수 ZZZ가 부른 GMI라는 제목의 배경음악이 식별되어 전송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외부 기기(200)는 배경음악 앨범에 추가할 배경음악을 선택하는 UI 및 선택된 배경음악을 앨범에 추가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식별되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 중 음악 앨범에 추가할 배경음악을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다.
도 4의 (a)의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수 XX가 부른 ABC라는 제목의 배경음악을 선택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 명령(YES)를 입력하면, 해당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배경음악 앨범 리스트에 추가될 것이다. 도 4의 (b)를 보면, 배경음악 앨범 리스트 4번에 가수 XX가 부른 ABC라는 배경음악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외부 기기(100)는 도 4의 (b)와 같은 배경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배경음악 앨범 리스트는 재생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UI(211) 및 음악 앨범 리스트를 편집하기 위한 UI(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배경음악 앨범 리스트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배경음악을 선택하고, 재생 키(211-1)를 통해 재생 명령을 입력하여, 선택된 배경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도 4의 (b)를 보면, 사용자는 YYY라는 가수가 노래한 bbb라는 제목의 배경음악을 선택하고 있으므로,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 키(211-1)를 입력하면, 외부 기기(200)는 YYY라는 가수가 노래한 bbb라는 제목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음원 서버(400)로 전송하고, 해당 음원을 수신하여 재생하게 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편집 키(212)를 선택하면, 외부 기기(200)는 음악 앨범 리스트의 편집 UI(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하고, 편집 UI(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술한 다양한 편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에 따르면, 음악 앨범 리스트 화면(210)에는 음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213)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200)는 각종 통신 방법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배경음악을 재생하고자 TV로 전송 UI(213)을 선택하면, 외부 기기(200)는 선택된 배경음악에 대응되는 음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배경음악을 청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외부 기기(2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는 음원은 외부 기기(200)가 음원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음원이거나 외부 기기(200)에 기저장되어 있던 음원일 수 있다.
다시 도 2의 제어부(140)에 관한 설명으로 돌아오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배경음악 식별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어 외부 기기(200)로 전송되면, 외부 기기(200)에서 배경음악을 확인할 수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10)의 일부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10)의 일부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에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에 안내 메시지(111)가 디스플레이된 일 예를 나타낸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이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외부 기기(200)로 전송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기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을 확인하세요"와 같은 간단한 알림 메시지가 그 일부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방해를 최소화 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배경음악 식별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 재생 중인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디스플레이(110) 및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해당 배경음악에 대한 곡명 및 가수와 같은 간략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100)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경음악 식별명령을 입력하는 당시에 재생 중인 배경음악에 대하여는 사용자가 즉시 그에 관한 정보를 알고 싶어할 경우가 많을 것이므로,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알고 싶어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가지고 있으므로, 제어부(140)는 획득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로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지 않고,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획득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악 앨범을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이미 배경음악을 포함하는 음악 앨범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만들어져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획득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기생성되어 있는 배경음악을 포함하는 음악 앨범에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음악 앨범이 장르별, 가수별 등과 같이 카테고리별로 기생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획득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음악 앨범에 해당 배경음악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이와 같이 생성 또는 업데이트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음악 앨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213)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배경음악에 대응되는 음원이 전송되면, 제어부(140)는 통신부(150)를 통해 이를 수신하여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생성하여 생성된 음악 앨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생성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음악 앨범 리스트 상에서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음악 앨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음원 서버(400)로 전송하고, 음원 서버(400)로부터 배경음악에 대응되는 음원을 수신하여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경음악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오디오 파라미터가 핑거 프린트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다양한 핑거프린팅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재생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배경음악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배경음악 식별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외부의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하고, 음악 식별 서버(300)에서 배경음악이 식별되어 각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 재생 중인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된 동안 재생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재생되는 순서대로 추출하여 버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파라미터가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역순으로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된 오디오 파라미터는 버퍼 메모리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악 식별 서버(300)가 오디오 파라미터를 수신하면, 음악 식별 서버(300)는 수신된 순서대로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 재생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63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외부 기기(200)로 전송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일부에 외부 기기(200)에서 배경음악을 확인할 수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을 생성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고, 생성 또는 업데이트된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생성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생성 및 업데이트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면, 외부 기기(200)는 이를 수신하여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기기(20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음악 앨범 리스트 상에서 배경음악이 선택되고, 선택된 배경음악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외부 기기(200)는 선택된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200)는 외부의 음원 서버(400)로부터 선택된 배경음악에 대한 음원을 수신하여 해당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200)는 음원 서버(400)를 운영하는 CP(Contents Provider)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음원을 스트리밍 받거나 음원 자체를 다운로드하여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으나, 외부 기기(200)가 배경음악에 대한 음원을 획득하여 재생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음악 앨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가 생성 또는 업데이트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생성 또는 업데이트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통해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배경음악에 대한 음원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의 음원 서버(400)와 통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배경음악에 대한 음원을 수신하여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 기기(200) 및 음악 식별 서버(300)를 포함하는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의 배경음악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7을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것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고(S705),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재생되면(S7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S715). 이후,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S720),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된 오디오 파라미터를 음악 식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725).
이에 따라, 음악 식별 서버(300)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예를 들어, 오디오 파라미터와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가 맵핑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신된 오디오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S730), 추출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면(S735), 디스플레이 장치(100) 획득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740).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는 수신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이 포함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고(S745), 생성 또는 업데이트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750). 또한, 외부 기기(200)는 디스플레이된 음악 앨범 리스트를 통한 사용자의 배경음악 재생 명령에 따라 배경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S755).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청 중인 컨텐츠 감상에 방해 없이 용이하게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음악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미 재생된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컨텐츠를 다시 재생해야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40)의 동작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들은 소프트웨어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음악 식별 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재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오디오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단계, 배경음악 식별명령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배경음악에 대한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경음악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미들웨어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                 120 : 오디오 출력부
130 : 입력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저장부

Claims (14)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고,
    오디오 인식에 대응하는 기능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인식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중에 상기 수신된 오디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영상과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는,
    상기 영상에 대한 배경음악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 모듈을 통해 유선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인식에 대응하는 기능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에 대한 핑거 프린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핑거 프린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핑거 프린트에 기초한 오디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배경음악의 제목, 가수, 장르, 작곡가, 작사가, 앨범명, 앨범 수록곡, 앨범 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동안, 상기 수신된 오디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UI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에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영상과 중첩하여 상기 UI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오디오 인식에 대응하는 기능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인식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출력되는 오디오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수신된 오디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영상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는,
    상기 영상에 대한 배경음악인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에 대한 핑거 프린트인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배경음악의 제목, 가수, 장르, 작곡가, 작사가, 앨범명, 앨범 수록곡, 앨범 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되는 동안, 상기 수신된 오디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UI를 출력하는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이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에 출력되는 동안, 상기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영상과 중첩하여 상기 UI를 출력하는 제어 방법.



KR1020230077105A 2015-09-04 2023-06-1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KR20230091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105A KR20230091852A (ko) 2015-09-04 2023-06-1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696A KR102369985B1 (ko) 2015-09-04 2015-09-04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KR1020220025403A KR102545837B1 (ko) 2015-09-04 2022-02-2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KR1020230077105A KR20230091852A (ko) 2015-09-04 2023-06-1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403A Division KR102545837B1 (ko) 2015-09-04 2022-02-2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852A true KR20230091852A (ko) 2023-06-23

Family

ID=5713013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696A KR102369985B1 (ko) 2015-09-04 2015-09-04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KR1020220025403A KR102545837B1 (ko) 2015-09-04 2022-02-2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KR1020230077105A KR20230091852A (ko) 2015-09-04 2023-06-1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696A KR102369985B1 (ko) 2015-09-04 2015-09-04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KR1020220025403A KR102545837B1 (ko) 2015-09-04 2022-02-2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0528622B2 (ko)
EP (1) EP3139624A1 (ko)
KR (3) KR102369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8245A (zh) * 2017-08-18 2019-03-01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数据的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872115B2 (en) * 2018-03-19 2020-12-22 Motorola Mobility Llc Automatically associating an image with an audio track
CN110544474B (zh) * 2018-05-28 2022-02-08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语音助理系统的启动方法及电子装置
CN112825245B (zh) * 2019-11-20 2023-04-28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实时修音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014971B (zh) * 2019-12-20 2023-08-18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电视控制方法、电视机、电视系统及存储介质
CN111681630A (zh) * 2020-04-29 2020-09-1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识别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3938744B (zh) * 2020-06-29 2024-01-23 抖音视界有限公司 视频转场类型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598242B1 (ko) * 2021-11-16 2023-11-0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8464B2 (ja) * 1996-09-13 2004-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作曲方法
US6407325B2 (en) * 1999-12-28 2002-06-18 Lg Electronics Inc. Background music 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obile station
US7668936B1 (en) * 2000-05-26 2010-02-23 Krikorian Thomas M Continuous media playback system controlled over a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95379A1 (en) * 2002-11-15 2004-05-20 Chirico Chang Method of creating background music for slideshow-type presentation
JP2005010664A (ja) 2003-06-20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7105736B2 (en) * 2003-09-09 2006-09-12 Igt Gaming device having a system for dynamically aligning background music with play session events
KR100689485B1 (ko) * 2003-11-1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용단말기
KR100616530B1 (ko) 2004-05-14 2006-08-28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과추출/전송 제어방법
JP4423550B2 (ja) 2004-05-19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タイトル表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タイトル表示プログラム
US8107595B2 (en) * 2004-12-01 2012-01-31 Wheelock, Inc. Supervised paging, messaging background music and emergency voice evacuation system
JP2006190027A (ja) 2005-01-05 2006-07-20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KR100659460B1 (ko) 2005-05-02 2006-12-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배경음악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7054229A (ja) 2005-08-24 2007-03-08 Aruze Corp 遊技機
KR100630204B1 (ko) * 2005-08-30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JP4423568B2 (ja) * 2006-12-08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090000A2 (en) * 2006-12-22 2009-08-19 Apple, Inc. Communicating and stor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edia broadcasts
US8261178B2 (en) * 2008-09-12 2012-09-04 Sony Corporation Audio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hoto slideshow which automatically selects music
JP5039020B2 (ja) 2008-12-25 2012-10-0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映像コンテンツ情報表示方法
US9183881B2 (en) * 2009-02-02 2015-11-10 Porto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semantic trick play
US8185445B1 (en) * 2009-09-09 2012-05-22 Dopa Music Ltd.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music
US20140081682A1 (en) * 2009-09-09 2014-03-20 Dopa Music Ltd.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music
KR101649644B1 (ko) 2010-02-04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8245253B2 (en) * 2010-12-15 2012-08-14 Dish Network L.L.C. Displaying music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elevision program
US20120159327A1 (en) * 2010-12-16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interaction with entertainment content
US9098579B2 (en) * 2011-06-07 2015-08-04 Kodak Alaris Inc. Automatically selecting thematically representative music
KR20140001498A (ko) 2012-06-27 2014-01-07 네이버 주식회사 Tv에서의 음악 인식을 통한 음악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2235492A (ja) 2012-07-04 2012-11-29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再生方法
KR20140087196A (ko) 2012-12-28 2014-07-0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배경음악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72013B1 (ko) 2013-07-25 2014-12-24 주식회사 케이티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KR102101410B1 (ko) 2013-10-07 2020-04-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배경음악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150301718A1 (en) * 2014-04-18 2015-10-22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usic items relating to media content
US10290027B2 (en) * 2014-09-29 2019-05-14 Pandora Media, Llc Dynamically selected background music for personalized audio advertis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04778A1 (en) 2020-01-02
KR102369985B1 (ko) 2022-03-04
KR20170028716A (ko) 2017-03-14
EP3139624A1 (en) 2017-03-08
US20170068730A1 (en) 2017-03-09
US20240176817A1 (en) 2024-05-30
KR20220031881A (ko) 2022-03-14
US11921781B2 (en) 2024-03-05
US10528622B2 (en) 2020-01-07
KR102545837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8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US11449221B2 (en) User interface for media content playback
US11650787B2 (en) Media content identification and playback
US11340862B2 (en) Media content playback during travel
US11514098B2 (en) Playlist trailers for media content playback during travel
US201900501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terminal device
US1137917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ssociating media content with contexts
CN103517094A (zh) 服务器和控制该服务器的方法
JP6477822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8737809B2 (en) Content p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163497A1 (en) Portable speaker
US20200081681A1 (en) Mulitple master music playback
KR10252418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260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컨텐츠 제공 방법들
US20170060523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237992A1 (en) Variable wake word detectors
CN107340968B (zh) 一种基于手势来播放多媒体文件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296612A (zh) 音频播放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202101354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컨텐츠 제공 방법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