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530B1 -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과추출/전송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과추출/전송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530B1
KR100616530B1 KR1020040034118A KR20040034118A KR100616530B1 KR 100616530 B1 KR100616530 B1 KR 100616530B1 KR 1020040034118 A KR1020040034118 A KR 1020040034118A KR 20040034118 A KR20040034118 A KR 20040034118A KR 100616530 B1 KR100616530 B1 KR 10061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ound source
multimedia
internet
sour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890A (ko
Inventor
정성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Priority to KR102004003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53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4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강의 동영상 정보로부터의 자동 음원파일 추출 및 추출된 음원파일을 소정의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기에만 전송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강의 동영상 내용중에서 음원데이터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인증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전송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수강생들로 하여금 이동중 또는 독서실 등에서 인터넷방송 교재와 함께 그 내용을 반복청취 복습 가능하도록 하며, 인터넷 강의 콘텐츠에 대한 수익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강의, 수능, 수능특강, EBS, 인터넷교육방송, MP3, 멀티미디어파일

Description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과 추출/전송 제어방법{System for The Internet lecture sound file extraction/transmission and play}
도 1은 본 발명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음원 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 인터넷 강의 음원 파일/추출 전송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정보 등록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인터넷 강의 동영상 정보로부터의 자동 음원파일 추출 및 추출된 음원파일을 소정의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기에만 전송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터넷을 즐기며 인터넷안에서 새로운 정보 등을 얻고 있으며, 인터넷은 생활의 일부로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더더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멀티미디어 대학이라 하여, 인터넷안에서 사이버 대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교육비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인터넷 EBS방송에서는 수능 특강을 진행하고 있으며, 많은 학생들로 하여금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강의를 진행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강의를 듣는 수강생들은 강의를 들은 후 재수강하고자 할 경우 해당 인터넷 방송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강의를 다시 선택하여 듣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시 한번 듣고 싶은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컴퓨터 등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동중이나 이와 같은 수단이 구비되어있지 않은 학교나, 독서실에서는 목적한 바를 달성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 강의 동영상 내용중에서 음원데이터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인증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전송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수강생들로 하여금 이동중 또는 독서실 등에서 인터넷방송 교재와 함께 그 내용을 반복청취 복습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시스템은 컴퓨터에 설치(install)되어 시스템내에 상주하며,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가 접속됨에 따라 지정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실행되는 동영상 강의에 대하여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고,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재생가능한 데이터로 변환(encoding)하여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음원데이터추출/전송프로그램과, 컴퓨터에 접속하여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재생 선택시 재생(decoding)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원데이터 추출/전송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인증정보를 읽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프로세스와, 자동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사이트 정보를 갖고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접속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프로세스와, 접속된 인터넷 사이트의 인터넷 강의 동영상 실행여부를 판별하여 인터넷 강의 동영상으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원데이터 추출 프로세스와,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압축파일(MP3)로 변환(encoding)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변환 프로세스와, 변환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지정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만 재생 가능하도록 소정의 지정된 코드로 암호화시키는 부호화 프로세스(encoding processor)와, 부호화된 음원데이터의 저장 및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저장수단과,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재생시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decoder)과,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시켜 오디오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재생수단(decoder)과, 재생시키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키이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음원 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PC(100)에 설치되어 PC(100) 동작시 상주하며, 지정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접속여부를 판별하여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EBSi) 사이트에 접속하여 인터넷 수능 특강 교육방송 사이트를 통해 실행되는 인터넷 수능특강 동영상으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추출하고, 재생 가능한 엠피3(MP3) 파일로 변환하여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음원데이터추출/전송프로그램(200)과, PC(100)에 접속하여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에 의해 전송되는 MP3 파일을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재생 선택시 해당 MP3 파일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원데이터 추출/전송프로그램(200)은 PC(100)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 생장치(300)의 인증 정보를 읽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프로세스(201)와,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 접속정보를 갖으며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접속여부를 판별하여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프로세스(202)와, 접속된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의 인터넷 강의 동영상 실행여부를 판별하여 인터넷 강의 동영상으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원데이터 추출 프로세스(203)와,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MP3로 변환하는 MP3파일변환 프로세스(204)와, MP3파일의 재생 제한을 위하여 소정의 지정된 코드로 부호화하는 부호화 프로세스(205)와, 부호화된 MP3 파일의 저장 및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제어 프로스세스(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는 인증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301)와, 접속된 PC(100)로 부터 전송받은 MP3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302)와,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재생시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는 복호화부(303)와, MP3파일을 재생시키는 MP3파일재생부(304)와, MP3파일의 재생 제어, MP3파일의 삭제 등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이(Key)를 포함하는 사용자 키이입력부(305)와, 사용자 키이선택에 따라 MP3 파일의 재생 및 저장된 MP3 파일의 삭제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06)와, PC(100)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부(3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키이입력부(305)는 자동접속 수능특강 MP3파일 수신 기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설정 키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300)의 메모리부(301)는 사용자의 모드 설정키이에 의해 설정되는 모드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의 접속프로세스(202)는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접속여부를 판별하여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함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자동접속 수능특강 MP3파일 수신 기능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수신 기능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에 접속되도록 모드판단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은,
지정된 접속사이트정보로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EBSi)이 구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MP3 player)(300)를 통해서만 PC(100)를 이용하여 인터넷 수능 특강 교육방송에 접속하여 자동으로 인터넷 수능특강 동영상으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제공받아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를 통해 재생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C(100)에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구입시 CD-ROM, 플로피디스켓 등과 같은 기록매체를 통해 제공되거나, 제품제작사의 홈페이지등을 통해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한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와 PC(100)는 일반적인 USB 데이터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PC(100)의 USB포트에 연결하기 위하여 접속수단으로 USB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메모리부(301)에는 PC(100)에서 음원데이터 추출/전송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증 정보에는 수능 특강 음원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정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임을 입증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로서 인증정보를 구성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인증 정보는 제품제작시의 제품 모델번호를 이용하거나, 모델번호 소정의 고유정보를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여기서 제품 생산시 각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마다 부여되는 제품 번호(serial number)를 인증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음원 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의 인증 프로세스(201)에 PC(100)에 음원 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을 설치시 사용자에 의한 제품을 인증 등록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는 동일한 모델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라 하더라도 각 개인별로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만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개별적인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PC(100)에 설치되는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은 PC(100)에 설치되어 운영체제(OS)상에 상주하며,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접속여부에 따라서 그 동작 수행여부가 결정된다.
인증프로세스(201)에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갖고 있는 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체 인증정보로서 예를 들면 정해진 모델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모델번호)일 수 있으며, 음원 데이터 추출/전송 프 로그램(200)의 설치과정에서 사용자가 등록한 인증정보 일 수 있다.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의 접속 프로세스(202)는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가 PC(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인터넷 강의 즉 수능 특강 음원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수능 특강 교육방송 사이트의 주소(URL) 정보를 포함한다.
음원 데이터 추출 프로세스(203)는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동영상을 인식하고, 실행되는 동영상에 있어 음원데이터만을 추출하도록 하는 바, 윈도우의 핸들(windows handle)값을 이용하거나, 화면상에 실행되는 동영상의 타이틀을 캡처하고 그 캡처된 이미지를 인식하여 수능 특강 동영상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음원 데이터 추출프로세스(203)에서는 수능 특강 동영상에 포함된 소정의 정해진 신호(데이터)를 인식하여 수능 특강 동영상을 인식하고, 동영상의 음원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인터넷 수능 특강 교육방송과의 협의에 의해 소정의 정해진 신호를 수능 특강 동영상에 포함시키도록 하여야 가능하다.
파일변환 프로세스(204)는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바, MP3 파일 포맷의 다른 예로 새로운 디지털 파일 포맷인 오그보비스(OGG)를 이용 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에 이와 같은 파일 포맷을 재생 가능한 복호화수단(decoder)를 구성하면 된다.
부호화 프로세스(205)는 변환(부호화)된 MP3파일의 사용제한을 위해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에서만 재생(decoding)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부호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 시스템에서는 전송 파일 생성을 위한 엔코딩 프로세서(encoding processor)로서 MP3파일변환, 제한 재생을 위한 암호화과정을 포함하며, MP3파일변환시 소정의 코드를 포함시켜 엔코딩을 완료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와 같이 MP3파일 변환후 암호화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에 상기 엔코더 과정에 상응하는 디코더(decoder)만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은 부호화 프로세스(205)는 소정의 코드를 MP3파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파일변환 프로세스(204)의 MP3파일 엔코딩 작업시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부호화 완료된 파일을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전송하는 전송제어 프로세스(206)가 구성되며, 전송제어 프로세스(206)는 전송하는 파일을 저장 및 전송하도록 하며, 또한 저장된 파일을 이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전송 가능하도록 하는 파일 관리제어(file management)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는 부호화된 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한 1차의 디코더 복호화부(303)와 MP3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디코딩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2차 디코더 MP3복호화부(304)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 디코더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접속 수능특강 MP3파일을 수신받기 위한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기 위한 환경설정을 위한 모드 설정을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의 접속 프로세스(202)에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설정된 모드를 판단하여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행수순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 시스템이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인증정보를 읽어, 올바른 인증 정보를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가 접속되었는 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인증과정과,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가 수능 특강 파일수신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모드 판단과정과,
수능특강 파일 수신모드이면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에 접속하여 수능특강 동영상의 실행여부를 판단하고, 수능특강 파일 수신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일반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기능이 수행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 접속과정과,
수능특강 동영상이 실행되면 음원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원데이터 추출과정과,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MP3파일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MP3파일을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를 통해서만 재생이 가능하도록 부호화하는 과정과,
부호화된 MP3파일을 전송하는 과정의 실행수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 있어서, 모드판단과정을 수행하여 수능특강 파일 수신모드인가를 판단하고, 인증과정을 수행하도록 그 실행수순을 구성할 수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최초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PC(100)에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에서 요구되는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을 PC(100)에 설치한다.
이후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를 PC(100)의 USB포트에 연결하게 되면, PC(100)에 설치된 음원 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에서는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인증정보를 읽어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로 판단되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에 설정된 모드를 읽어 수능특강 파일수신모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수능특강 파일 수신모드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에서는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로 접속하게 된다.
사용자는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의 로그인과정을 거쳐 최종 접속완료하고, 정해진 수능특강 동영상을 선택하여 동영상을 실행하게 된다.
음원 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은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로 접속후 수능특강 동영상의 실행여부를 판단하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상기에 서와 같이 수능특강 동영상을 실행하게 되면, 음원데이터 추출프로세스(203)에서는 수능특강 동영상으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음원데이터는 MP3 파일변환 프로세스(204)에서 재생 가능한 MP3파일로 변환되고, 부호화 프로세스(205)에서 소정의 정해진 코드를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이후 전송제어 프로세스(206)에서는 MP3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MP3파일을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전송한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에서는 PC(100)로부터 전송받은 MP3파일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키이입력부(305)를 통해 해당 파일의 재생을 선택하게 되면, 복호화부(303)를 통해 제한 사용을 위해 부호화된 코드를 복호화하여 재생가능한 상태로 변환하고, MP3재생부(304)를 통해 재생하여 오디오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능특강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에서는 수능특강모드가 설정되어있지 않으면, 수능특강 교육방송 사이트로 접속하여 음원데이터를 추출하는 상기의 과정을 진행하지 않는다.
한편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의 인증정보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제품번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원데이터 추출/전송프로그램(200)을 PC(100)에 설치할 경우 제품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도 5는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을 PC(100)에 설치할 경우 제품 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사용자가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을 PC(100)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설치프로그램에서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제품번호의 입력을 요구하게 된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제품번호를 입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설치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제품번호를 인증정보로 등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설치완료 후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를 사용자가 PC(100)에 접속하는 경우,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200)에서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의 제품번호를 읽어들여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인가를 판단하여 수능 특강 동영상 MP3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모델의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라 하더라도 최초 설치시 등록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300)가 아닐 경우 수능 특강 동영상 MP3파일을 전송받을 수 없다.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넷 강의로 진행되는 수능 특강을 그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터넷 강의를 그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인터넷 강의를 제공하는 인터넷주소정보를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300)에 접속정보로 구성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수능특강 교육방송에서 제공 하는 수능특강 동영상 실행시 실시간으로 자동 음원데이터만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파일을 재생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파일을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는 수능 특강 동영상을 자유롭게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강의내용 장면을 연상하면서 반복청취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대해서만 파일 전송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인터넷 강의 콘텐츠에 대한 수익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컴퓨터에 설치(install)되어 시스템내에 상주하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가 접속됨에 따라 지정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실행되는 동영상 강의에 대하여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고,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환(encoding)하여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음원데이터추출/전송프로그램과, 컴퓨터에 접속하여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재생 선택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decoding)시키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데이터 추출/전송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인증정보를 읽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프로세스와, 자동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사이트 정보를 갖고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접속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프로세스와, 접속된 인터넷 사이트의 인터넷 강의 동영상 실행여부를 판별하여 인터넷 강의 동영상으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원데이터 추출 프로세스와,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로 변환(encoding)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변환 프로세스와, 변환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저장 및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저장수단과,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전송 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시켜 오디오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재생수단(decoder)과, 재생시키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키이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지정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만 재생 가능하도록 변환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소정의 지정된 코드로 암호화시키는 부호화 프로세스(encoding processo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재생시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가능한 상태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decode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사용자 키이입력수단은 자동접속 수능특강 MP3파일 수신 기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설정 키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은 사용자의 모드 설정키이에 의해 설정되는 모드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의 접속프로세스는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접속여부를 판별하여 접속정보에 설정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함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자동접속 멀티미디어파일 수신 기능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수 신 기능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되도록 모드판단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인증프로세스의 인증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등록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제품번호이고,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인증정보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제품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멀티미디어 재생장치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인증정보를 읽어, 올바른 인증 정보를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가 접속되었는 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인증과정과,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가 접속되면, 접속정보에 지정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인터넷 강의 동영상의 실행여부를 판단하고, 멀티미디어 재생장치가 인터넷 강의 파일수신모드인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설정된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여부를 결정하는 모드 판단과정을 포함하며, 인터넷 강의 파일 수신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일반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기능이 수행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강의 사이트 접속과정과,
    인터넷 강의 동영상이 실행되면 음원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원데이터 추출과정과,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과,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 및 전송하는 과정의 실행수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변환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인증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통해서만 재생이 가능하도록 부호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의 설치가 선택되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제품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입력한 제품번호를 인증정보로 등록하는 과정과, 제품번호의 등록이 완료되면 음원데이터 추출/전송프로그램의 설치를 진행하는 과정의 실행과정을 포함하는 음원데이터 추출/전송 프로그램 설치에 있어서의 인증정보 등록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제어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음원데이터 추출과정에 있어서, 인터넷 강의 동영상의 실행여부는 윈도우 핸들값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제어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음원데이터 추출과정에 있어서, 인터넷 강의 동영상의 실행여부는 해당 동영상에 포함된 소정의 약속된 신호를 검출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제어방법.
  13. 삭제
KR1020040034118A 2004-05-14 2004-05-14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과추출/전송 제어방법 KR10061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118A KR100616530B1 (ko) 2004-05-14 2004-05-14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과추출/전송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118A KR100616530B1 (ko) 2004-05-14 2004-05-14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과추출/전송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90A KR20050108890A (ko) 2005-11-17
KR100616530B1 true KR100616530B1 (ko) 2006-08-28

Family

ID=3728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118A KR100616530B1 (ko) 2004-05-14 2004-05-14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과추출/전송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9510A1 (en) * 2008-08-13 2010-02-18 Apollo Systems, Llc Method and DEVICE for PRINT INSPECTION
KR102369985B1 (ko) 2015-09-04 2022-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90A (ko)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0818B2 (en) License source component, license destination component, and method thereof
JP3590577B2 (ja) 再生モード切替方法及びマルチメディア情報再生方法及びマルチメディア情報再生装置
US20060059105A1 (en) Move component, program, and move method
US776560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ntents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018526B1 (ko) 휴대 통신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7877328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ntents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060069652A1 (en) Copy component, program and method thereof
US20090013027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60235956A1 (en) Information process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 distribution method
US20070009230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60059103A1 (en) Return component, program, and return component method
US20060059101A1 (en) Reproduction component, program and method thereof
US20060059104A1 (en) Rent component, program, and rent component method
US20050053354A1 (en) Audio/video reproducing system, audio/video device therein, and audio/video reproducing method therewith
KR100616530B1 (ko) 인터넷 강의 음원파일 추출/전송 및 재생 시스템과추출/전송 제어방법
JP2009301332A (ja) 端末装置
KR20070047065A (ko) 디지털 컨텐츠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와 디지털 컨텐츠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2113695A (ja) クライアント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734397B1 (ko)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그멀티미디어 파일을 제공받아 재생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930396B1 (ko) 휴대단말기용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방법
KR20060003488A (ko)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와 사용자pc의 원격접속제어시스템과 원격접속제어방법
KR100875769B1 (ko) 식별코드와 유효성검사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재생 방법
JP2003199000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ネットワークサーバー、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及び番組録画再生方法
KR100749405B1 (ko)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간 전송되는 스트리밍 파일의저장시스템 및 그 저장방법
TWI595378B (zh) 多媒體資訊授權系統及多媒體資訊授權系統的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