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772A - Sorting and separating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garbage - Google Patents

Sorting and separating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garb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772A
KR20230091772A KR1020220125466A KR20220125466A KR20230091772A KR 20230091772 A KR20230091772 A KR 20230091772A KR 1020220125466 A KR1020220125466 A KR 1020220125466A KR 20220125466 A KR20220125466 A KR 20220125466A KR 20230091772 A KR20230091772 A KR 20230091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yclable waste
discharge
guid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4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70166B1 (en
Inventor
이종혁
전승혁
김지윤
송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르
Publication of KR2023009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7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1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8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relating to the adaptation of receptacles to carry 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65F1/08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with a plurality of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가지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한 쌍의 배출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배출 경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수거하는 복수의 수거 용기; 상기 배출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안착부에 투입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 모델; 및 상기 인공지능 모델에서 판단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도록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unit having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recyclable waste is seated and discharging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into one discharge path among a pair of discharge paths;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for collecting the recyclable waste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th by type; a guide unit provided on the discharge path and guiding the recyclable waste by type to be selectively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seating unit and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analyzes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recyclable waste put into the seating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charge unit and the guide unit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based on the type of the recyclable waste determin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t's about the device.

Description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SORTING AND SEPARATING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GARBAGE}Separating collection device for recycling waste {SORTING AND SEPARATING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GARBAGE}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ing wast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음료용 캔이나 병 또는 각종 포장재 등의 재활용 쓰레기는 금속재, 종이재와 유리병 및 플라스틱재, 비철금속 등의 종류별로 분류 및 분리 수거한 후, 재활용 공장 등으로 보내어 재활용할 수 있다.Recyclable waste such as beverage cans, bottles, or various packaging materials, among wastes generally generated at homes or factories, is classified and collected by type such as metal, paper, glass, plastic, and non-ferrous metal, and then sent to a recycling plant. can be sent for recycling.

그런데, 재활용 쓰레기의 분류가 주로 인력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재활용 쓰레기의 분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classification of recyclable waste is mainly performed by manpow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classification of recyclable waste is not performed properly.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활용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ing waste that can automatically classify recycling waste has been developed.

기존의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분리 수거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재활용 쓰레기에 이물질, 뚜껑, 라벨 등이 포함되는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함에 따라, 별도의 분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분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Existing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s classify and collect recyclable waste by type. 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foreign substances, lids, labels, etc. are included in recycling waste, recycling is impossible, and thus, despite the need for separate classification, there is a problem in not being able to classify them.

예를들면, 종래기술은 재활용 쓰레기를 페트병, 유리병, 종이류 등과 같은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었으나, 이를 이물질, 뚜껑, 라벨 등이 포함 여부에 따라 추가적으로 분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in the prior art, recycling waste could be classified by type, such as PET bottles, glass bottles, and paper,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could not be additionally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foreign substances, lids, labels, etc. were included.

즉, 종래기술은 재활용 쓰레기를 분류하는 기준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prior art had a problem in which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recyclable waste were limited.

국내 등록 실용 제20-0462664호(2012.09.17.)Domestic Registered Utility No. 20-0462664 (2012.09.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재활용 쓰레기를 분류함으로써, 재활용 쓰레기를 분류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재활용 쓰레기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ying recycling garbage by classifying recycling garbage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o classify recycling garbage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It is to provide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sortable recyclable wast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재활용 쓰레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가지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한 쌍의 배출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배출 경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수거하는 복수의 수거 용기; 상기 배출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안착부에 투입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 모델; 및 상기 인공지능 모델에서 판단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도록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ting portion in which recyclable waste is seated, and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recyclable wast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into one of a pair of discharge paths. ;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for collecting the recyclable waste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th by type; a guide unit provided on the discharge path and guiding the recyclable waste by type to be selectively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seating unit and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analyzes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recyclable waste put into the seating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charge unit and the guide unit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based on the type of the recyclable waste determin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t's about the device.

또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이미지를 학습데이터 세트로 구축하고, 구축된 상기 학습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를 딥러닝하고, 딥러닝된 상기 학습데이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uilds an image of the recycling garb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s a learning data set, deep-learns the type of recycling based on the built-up learning data set, and deep-learns the Based on the learning data se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cyclable waste by type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또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특정 색상, 이물질, 뚜껑 및 라벨 포함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폐기 여부를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지능 모델에서 판단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폐기 여부에 의거하여, 해당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도록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cycling garbage includes a specific color, a foreign substance, a lid, and a label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classifies whether or not the recycling garbage is discarded. Based on whether the recyclable waste is discarded or not determined by the model, the discharge unit and the guide unit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한 쌍의 배출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시키는 배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recyclable waste is seated; and a discharge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seating portion forward and backward to discharge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long one of a pair of discharge paths.

또한, 상기 배출 구동부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안착부용 회전축; 및 상기 안착부용 회전축을 정역회전시키는 안착부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driving unit is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sea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seating portion; And it may include an actuator for the seat portion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for the seat portion.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출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상기 수거 용기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슈트; 및 상기 가이드 슈트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슈트로 유입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include a guide chute provided on the discharge path and guiding the recyclable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to move to the collection container; and a guide driver configured to rotate the guide chute forward and backward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recyclable waste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ntroduced into the guide chute is selectively receiv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또한, 상기 가이드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 슈트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슈트를 회전시키는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을 정역회전시키는 가이드 슈트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driving unit is coupled to the guide chute for rotating the guide chute for rotating the guide chute; And it may include an actuator for the guide chute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for the guide chute.

또한,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수거 용기는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출부로 유입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는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수거 용기로 수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the guide unit,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cyclable wast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unit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passed through the guide unit to be stor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

또한, 상기 배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안착부용 회전축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부용 장착홈을 갖는 안착부용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and a mounting frame for the seat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 the seating portion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housing and selective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for the seating portion.

또한, 상기 배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슈트용 장착홈을 갖는 가이드 슈트용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frame for a guide chute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 a guide chute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housing and to which a rotating shaft for the guide chute is selectively rotatably coupled.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재활용 쓰레기를 분류함으로써, 재활용 쓰레기를 분류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재활용 쓰레기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ing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ying the recycling waste by classifying the recycling waste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can classify the recycling waste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It work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하우징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배출부, 가이드부, 촬영부 및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제어부와 이송부에 의해 재활용 쓰레기가 종류별로 복수의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수거 용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제어부와 이송부에 의해 재활용 쓰레기가 종류별로 복수의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housing of a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charge unit, a guide unit, a photographing unit, and a control unit of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states in which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nd collects recycling wast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5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by type by a control unit and a transfer unit of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llection container of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24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by type by the control unit and the transfer unit of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that is shown in a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typical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component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re described. Let's expla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하우징(100)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배출부, 가이드부, 촬영부 및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ing was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n open state of a housing 100 of the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ing was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charge unit, a guide unit, a photographing unit, and a control unit of a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ing wast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하우징(100), 배출부(200), 복수의 수거 용기(300), 가이드부(400), 촬영부(500), 인공지능 모델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활용 쓰레기는 캔, 유리 제품, 플라스틱 제품, 종이제품, 비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discharge unit 200,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and a guide unit 400. ), a photographing unit 500,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a control unit 600. Here, the recycling was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ans, glass products, plastic products, paper products, and vinyl.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기본 몸체이며, 투입부(110), 한 쌍의 지지부(120), 도어부(130) 및 용기 수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is a basic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pair of support units 120, a door unit 130, and a container accommodating unit 140.

투입부(110)는 하우징(100)의 상부 전방에 형성되는 개구일 수 있으며,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낱개로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투입부(110)는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낱개로 투입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be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front of the housing 100, and a plurality of recyclable wastes may be input individually. Here, the input unit 110 may input a plurality of recyclable wastes supplied from the conveyor individually.

한 쌍의 지지부(120)는 각각 투입부(1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투입부(110)로 투입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후술할 안착부(21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지지부(120)는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A pair of support units 1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put unit 110, respectively, and serve to guide the recyclable waste input into the input unit 110 to the seating unit 21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support 120 may have a plate shape.

도어부(130)는 투입부(11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도어부(13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투입부(110)를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unit 13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input unit 110 . For example, the door unit 130 is slidably provided on the top of the housing 100 to open and close the input unit 110 .

용기 수납부(140)는 하우징(100)의 하부 전방에 틸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거 용기(30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용기 수납부(140)는 하우징(100)의 외측을 향해 틸팅되어 복수의 수거 용기(300)를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시키기나 또는,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틸팅되어 복수의 수거 용기(300)를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The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40 may be tiltably provided at the lower front of the housing 100 and serves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40 is til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o expose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or is tilted inward of the housing 100 to expose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e container 3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0 .

하우징(100)은 용기 수납부(140)의 틸팅을 위한 손잡이(150) 및 발판(160)이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150 and a footrest 160 for tilting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40 .

손잡이(150)는 용기 수납부(140)의 상부 전방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15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용기 수납부(140)를 틸팅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The handle 150 is provided at the upper front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40, and may be used for tilting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40 by pulling or pushing the handle 150 by a user's hand.

발판(160)은 용기 수납부(140)의 하부 전방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발로 발판(160)을 밟거나 떼서, 용기 수납부(140)를 틸팅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The scaffold 160 is provided at the lower front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40, and may be used for tilting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40 by stepping on or removing the scaffold 160 with a user's foot.

배출부(200)는 재활용 쓰레기가 안착되는 안착부(210)를 가지며,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를 한 쌍의 배출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배출 경로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discharge unit 200 has a seating portion 210 on which the recyclable waste is seated, and serves to discharge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10 into one of a pair of discharge paths.

배출부(200)는 안착부(210) 및 배출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200 may include a seating unit 210 and a discharge driving unit 220 .

안착부(21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안착부(210)에 안착되는 재활용 쓰레기는 하우징(100)의 투입부(110)를 통해 낱개로 투입되는 재활용 쓰레기일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2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10 may be recycled waste that is input individually through the input portion 110 of the housing 100. .

안착부(210)는 평판 형태의 안착판(212)과, 안착판(212)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어 한 쌍의 지지부(120)에 접촉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판(2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seating plate 212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lates 214 extending obliquely from both ends of the seating plate 212 and contacting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20. can

배출 구동부(220)는 안착부(210)를 정역회전시켜,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를 한 쌍의 배출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회전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고, 역회전 방향은 반시계방향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을 기준으로, 배출 구동부(220)가 안착부(210)를 역회전시키면,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가 안착부(210)의 좌측의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출 구동부(220)가 안착부(210)를 정회전시키면,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가 안착부(210)의 우측의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driving unit 220 rotates the seating unit 210 forward and backward to discharge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unit 210 along one of the pair of discharge paths. Here,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may be clockwise, and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may be counterclockwise. Therefore, based on the drawing, when the discharge driving unit 220 reversely rotates the seating portion 210,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10 may be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th on the lef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210. .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driving unit 220 rotates the seating portion 210 forward,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10 may be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th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portion 210.

배출 구동부(220)는 안착부용 회전축(222) 및 안착부용 액츄에이터(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driving unit 220 may include a rotational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and an actuator 224 for the seating portion.

안착부용 회전축(222)은 안착부(210)에 결합되어 안착부(2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안착부용 회전축(222)은 안착부(210)의 중심축선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210 and serves to rotate the seating portion 210 . For example, the rotation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may be coupl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seating portion 210 .

안착부용 액츄에이터(224)는 안착부용 회전축(222)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안착부용 액츄에이터(224)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actuator 224 for the seating portion may forward and reverse rotate the rotational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For example, a moto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actuator 224 for the seating part.

가이드부(400)는 배출 경로 상에 마련되어,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복수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unit 400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path and serves to guide the recycling waste to be selectively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for each type.

가이드부(400)는 가이드 슈트(410) 및 가이드 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400 may include a guide chute 410 and a guide driving unit 420 .

가이드 슈트(410)는 배출 경로 상에 마련되어,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된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 용기(3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 슈트(410)는 인접하는 한 쌍의 수거 용기(300)와 안착부(210) 사이에 마련되어,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된 재활용 쓰레기를 인접하는 한 쌍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로 수거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guide chute 410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path and may guide the recyclable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00 to move to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 In other words, the guide chute 410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adjacent collection containers 300 and the mounting portion 210, and the recyclable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200 is transferred to the pair of adjacent collection containers 300. ) can be guided to be collected by any one of them.

가이드 구동부(420)는 가이드 슈트(410)를 정역회전시켜, 가이드 슈트(410)로 유입된 재활용 쓰레기를 복수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재활용 쓰레기의 배출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정회전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고, 역회전 방향은 반시계방향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을 기준으로, 가이드 구동부(420)가 가이드 슈트(410)를 역회전시키면, 가이드 슈트(410)로 유입된 재활용 쓰레기가 가이드 슈트(4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수거 용기(300)로 수거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구동부(420)가 가이드 슈트(410)를 정회전시키면, 가이드 슈트(410)에 유입된 재활용 쓰레기가 가이드 슈트(4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수거 용기(300)로 수거될 수 있다.The guide driving unit 420 rotates the guide chute 410 forward and backward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recyclable waste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ntroduced into the guide chute 410 is selectively receiv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there is. Here,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may be clockwise, and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may be counterclockwise. Therefore, based on the drawing, when the guide driving unit 420 rotates the guide chute 410 in reverse, the recyclable waste introduced into the guide chute 410 is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guide chute 410. may be collected. In addition, when the guide driver 420 rotates the guide chute 410 forward, the recyclable waste flowing into the guide chute 410 may be collected into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guide chute 410 .

가이드 구동부(420)는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422) 및 가이드 슈트용 액츄에이터(4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driving unit 42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422 for a guide chute and an actuator 424 for a guide chute.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422)은 가이드 슈트(410)에 결합되어 가이드 슈트(4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422)은 가이드 슈트(410)의 중심축선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422 for the guide chute serves to rotate the guide chute 410 by being coupled to the guide chute 410 . For example, the rotation shaft 422 for the guide chute may be coupl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chute 410 .

가이드 슈트용 액츄에이터(424)는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422)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가이드 슈트용 액츄에이터(424)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actuator 424 for the guide chute may forward and reverse rotate the rotation shaft 422 for the guide chute. For example, an actuator 424 for a guide chute may be a motor or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배출부(200)와 가이드부(400)와 수거 용기(300)는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배출부(200)로 유입된 재활용 쓰레기는 배출부(200)로부터 낙하하여 가이드부(400)를 거쳐 수거 용기(300)로 수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unit 200, the guide unit 400,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n up-and-down direction, and the recyclable wast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unit 200 falls from the discharge unit 200.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via the guide part 400.

촬영부(500)는 안착부(210)와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촬영부(500)는 투입부(110)에 마련되어,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를 포함하며, 안착부(210)의 모든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들어, 촬영부(500)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500 serves to photograph the seating unit 210 and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unit 210 . Specifically, the photographing unit 500 is provided in the inlet unit 110 , includes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unit 210 , and can capture all areas of the seating unit 210 . For example, a camera may be used as the photographing unit 500 .

일 실시예에서, 투입부(110)에는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에 빛을 조사하는 간접 조명(10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간접 조명(1000)은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의 밝기를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간접 조명(1000)은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로 조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촬영부(500)에 촬영되는 재활용 쓰레기의 색상이 빛의 반사에 의해 변색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촬영부(500)에 재활용 쓰레기의 올바른 색상이 촬영되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direct lighting 1000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recyclable waste seated in the seating unit 210 may be provided in the input unit 110 . The indirect lighting 1000 may serve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10 . In addition, the indirect lighting 1000 may minimize the reflectance of light irradiated to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210 . Through this, the correct color of the recyclable waste can b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by preventing the color of the recyclable wast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from being discolored due to the reflection of light.

이러한 간접 조명(1000)은 도 7 내지 도 2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기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미리 밝힌다.Although this indirect lighting 1000 is not shown in FIGS. 7 to 25 , it is revealed in advance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following second to sixth embodiments.

인공지능 모델은 촬영부(5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안착부(210)에 투입된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analyze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to determine the type of recyclable waste put into the seating unit 210 .

인공지능 모델은 촬영부(500)에서 촬영된 재활용 쓰레기의 이미지를 학습데이터 세트로 구축하고, 구축된 학습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를 딥러닝하고, 딥러닝된 학습데이터 세트에 의거하여, 촬영부(50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판단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uilds an image of recycling garb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as a learning data set, deep-learns the type of recycling garbage based on the built learning data set, and based on the deep-learned training data set Accordingly, the recyclable waste may be determined by type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모델은 촬영부(50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재활용 쓰레기의 특정 색상, 이물질, 뚜껑 및 라벨 포함 유무를 판단하여, 재활용 쓰레기의 폐기 여부를 분류하고, 제어부(600)는 인공지능 모델에서 판단한 재활용 쓰레기의 폐기 여부에 의거하여, 해당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도록 배출부(200)와 가이드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모델은 재활용 쓰레기의 폐기 여부와 같은 특정 기준에 따라, 재활용 쓰레기를 분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cycling garbage includes a specific color, foreign matter, lid, and label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classifies whether or not the recycling garbage is discarded, and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whether the recycling garbage is discarded or not. The discharge unit 200 and the guide unit 4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based on whether or not the recyclable waste is discarded determined by the model. In other words, AI models can classify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such as whether the recyclable waste is discarded or not.

예를들어, 인공지능 모델은 콘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이하 CNN이라고 명칭함)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구조의 신경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includ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N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neural networks having various structures.

CNN은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해 복수의 필터를 적용하여 특징 지도(Feature Map)를 만들어 내는 콘볼루션 층(Convolution Layer)과 특징 지도를 공간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위치나 회전의 변화에 불변하는 특징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층(Pooling Layer)을 번갈아 수차례 반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 선, 면 등의 낮은 수준의 특징에서부터 복잡하고 의미 있는 높은 수준의 특징까지 다양한 수준의 특징을 추출해낼 수 있다.CNN extracts features that are invariant to changes in position or rotation by spatially integrating feature maps with a convolution layer that applies multiple filters to each region of an image to create a feature map. It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ooling layer is alternately repeated several times. Through this, features of various levels can be extracted, ranging from low-level features such as points, lines, and planes to complex and meaningful high-level features.

일 예로, 인공지능 모델은 재활용 쓰레기 중 캔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찌그러진 캔, 일부분이 절단된 캔, 종이 또는 비닐 등이 부착된 캔 등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학습데이터 세트로 구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uild as a training data set images taken from various angles for cans among recycling garbage, cans that have been crushed in various shapes, cans that have been partially cut, and cans with paper or vinyl attached. there is.

여기서, 인공지능 모델은 재활용 쓰레기 중 종이 또는 비닐 등이 부착된 캔에 대해 상기 종이 또는 비닐이 아닌 캔으로 판단하도록 딥러닝할 수 있다.He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perform deep learning to determine a can with paper or vinyl attached thereto as a can other than the paper or vinyl among the recycled garbage.

또한, 인공지능 모델은 재활용 쓰레기 중 유리 제품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깨진 유리 제품, 종이 또는 비닐 등이 부착된 유리 제품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학습데이터 세트로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uild as a learning data set images taken from various angles for glass products among recycling trash, broken glass products in various shapes, and glass products with paper or vinyl attached.

또한, 인공지능 모델은 재활용 쓰레기 중 종이 또는 비닐 등이 부착된 유리 제품에 대해 상기 종이 또는 비닐이 아닌 유리 제품으로 판단하도록 딥러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perform deep learning to determine glass products with paper or vinyl attached thereto as glass products other than the paper or vinyl among the recycled garbage.

또한, 인공지능 모델은 재활용 쓰레기 중 종이제품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찌그러진 종이제품, 일부분일 절단된 종이제품, 비닐이 부착된 종이제품 등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학습데이터 세트로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an build images taken from various angles as a learning data set for paper products among recycling garbage, paper products that have been crushed in various shapes, paper products that have been partially cut, and paper products with vinyl attached. there is.

여기서, 인공지능 모델은 재활용 쓰레기 중 비닐이 부착된 캔에 대해 비닐이 아닌 종이제품으로 판단하도록 딥러닝할 수 있다.He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perform deep learning to determine that plastic-attached cans among recycling garbage are paper products rather than vinyl.

또한, 인공지능 모델은 재활용 쓰레기 중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찌그러진 플라스틱 제품, 일부분이 절단된 플라스틱 제품, 종이 또는 비닐 등이 부착된 플라스틱 제품 등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학습데이터 세트로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uses images taken from various angles as a learning data set for plastic products among recycling garbage, plastic products that have been distorted in various shapes, plastic products that have been partially cut, and plastic products that have paper or vinyl attached. can be built

여기서, 인공지능 모델은 재활용 쓰레기 중 종이 또는 비닐 등이 부착된 플라스틱 제품에 대해 종이 또는 비닐이 아닌 플라스틱 제품으로 판단하도록 딥러닝할 수 있다.He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perform deep learning to determine plastic products with paper or vinyl attached thereto as plastic products other than paper or vinyl among the recycled garbage.

제어부(600)는 인공지능 모델에서 판단한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에 의거하여,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도록 배출부(200)와 가이드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부(600)는 마이컴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ntroller 600 may control the discharge unit 200 and the guide unit 400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based on the type of recyclable waste determin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 For example, a microcompute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controller 60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by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process can also be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의 과정은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states in which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nd collects recycling waste. The follow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0 .

우선, 촬영부(500)가 안착부(210)와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를 촬영한다.First, the photographing unit 500 photographs the seating unit 210 and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unit 210 .

다음으로, 인공지능 모델이 촬영부(5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를 판단한다.Nex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alyzes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to determine the type of recyclable waste seated in the seating unit 210 .

여기서, 인공지능 모델은 촬영부(50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재활용 쓰레기의 특정 색상, 이물질, 뚜껑 및 라벨 포함 유무를 판단하여, 재활용 쓰레기의 폐기 여부를 분류할 수 있다.He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classify whether or not the recyclable garbage is discard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cyclable garbage includes a specific color, a foreign substance, a lid, and a label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

이때, 인공지능 모델은 촬영부(50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재활용 쓰레기에 특정 색상, 이물질, 뚜껑 및 라벨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폐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인공지능 모델은 촬영부(50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재활용 쓰레기에 특정 색상, 이물질, 뚜껑 및 라벨이 모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At this tim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termines that disposal is necessary when at least one of a specific color, a foreign substance, a lid, and a label is included in the recyclable waste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termines that recycling is possible when the recyclable waste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does not contain all of a specific color, foreign matter, lid, and label.

이어서, 제어부(600)가 인공지능 모델에서 판단한 재활용 쓰레기의 폐기 여부에 의거하여, 해당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도록 배출부(200)와 가이드부(400)를 제어한다.Next,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discharge unit 200 and the guide unit 400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based on whether or not the recyclable waste determin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discarded. Control.

예를들어, 제어부(600)는 인공지능 모델이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를 폐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재활용 쓰레기가 제일 좌측의 수거 용기(300)로 수거되도록 배출부(200)와 가이드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termines that the recyclable waste seated in the seating unit 210 needs to be discarded, the control unit 600 sets the discharge unit 200 to collect the recyclable waste into the leftmost collection container 300. ) and the guide unit 400 can be controlled.

또한, 제어부(600)는 인공지능 모델이 안착부(210)에 안착된 재활용 쓰레기를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재활용 쓰레기가 종류별로 제일 좌측 외의 나머지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로 수거되도록 배출부(200)와 가이드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termines that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unit 210 is recyclable, the control unit 600 discharges the recyclable waste by type so that it is collected in any one of the remaining collection containers 300 other than the leftmost collection container 300. The unit 200 and the guide unit 400 may be controll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제1실시예와 달리, 하우징(100)이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전방과 후방은 유리로 커버되며, 안착부용 장착 프레임(700)과 가이드 슈트용 장착 프레임(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to 8 ,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00 is formed in a frame shape, and the housing 100 The front and rear are covered with glass, and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frame 700 for a seating portion and a mounting frame 800 for a guide chute.

안착부용 장착 프레임(700)은 하우징(100)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며 안착부용 회전축(222)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용 회전축(222)이 복수의 안착홈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하우징(100)에서의 안착부용 회전축(222)의 상하 및 좌우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우징(100)에서의 배출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 700 for the seating portion forms a lattice shap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housing 100 and may have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to which the rotating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is selectively and rotatably coupled. Therefor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of the rotation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in the housing 1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rotation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is selective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Through this,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unit 200 in the housing 100 can be adjusted.

본 실예에서, 안착부용 장착 프레임(70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안착부용 장착 프레임(700)은 하우징(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안착부용 장착 프레임(700)의 복수의 안착홈에는 각각 안착부용 회전축(222)의 양단부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mounting frame 700 for the seating part is composed of a pair, and the pair of mounting frames 700 for the seating part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housing 100, respectively. Here, both ends of the rotational shaft 222 for the seating part may be selective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of the pair of mounting frames 700 for the seating part.

가이드 슈트용 장착 프레임(800)은 하우징(100)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며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422)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슈트용 장착홈(810)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422)이 복수의 가이드 슈트용 장착홈(810)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하우징(100)에서의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422)의 상하 및 좌우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우징(100)에서의 가이드부(4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 800 for the guide chute forms a lattice shap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n the housing 100 and has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810 for the guide chute to which the rotating shaft 422 for the guide chute is selectively rotatably coupled. can Therefore,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rotation shaft 422 for the guide chute is sel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810 for the guide chut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rotation shaft 422 for the guide chute in the housing 100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nd through this, the position of the guide part 400 in the housing 100 can be adjusted.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슈트용 장착 프레임(80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 슈트용 장착 프레임(800)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 슈트용 장착 프레임(800)의 복수의 가이드 슈트용 장착홈(810)에는 각각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422)의 양단부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frame 800 for the guide suit is configured as a pair, and the pair of mounting frames 800 for the guide suit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Here, both ends of the rotational shaft 422 for the guide suits may be sel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810 for the guide suits of the pair of mounting frames 800 for the guide suits.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용 회전축(222)의 수동 회전을 위하여, 안착부용 회전축(222)에는 안착부용 노브(226)가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anually rotate the rotation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a knob 226 for the se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422)의 수동 회전을 위하여, 안착부용 회전축(222)에는 가이드 슈트용 노브(226)가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for manual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22 for the guide chute, a knob 226 for the guide chute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222 for the seating por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제2실시예와 달리, 안착부용 장착 프레임(700`)과 가이드 슈트용 장착 프레임(800`)이 솔리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frame 700' for a seating portion and a mounting frame 800' for a guide chute. It can be formed in solid form.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하우징(100), 촬영부(500), 수거 용기(300), 구동부(9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참고로,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인공지능 모델이 제외되며, 배출부와 가이드부가 구동부로 대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to 11 ,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photographing unit 500, a collection container 300, a driving unit 900, and a control unit. includes For referenc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urth embodiment,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excluded, and the discharge unit and the guide unit may be replaced with a driving unit.

하우징(100)은 재활용 쓰레기를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면, 하우징(100)은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가 저장된 저장소로부터 재활용 쓰레기를 낱개로 공급받을 수 있다.The housing 100 serves to receive recycling waste. 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be individually supplied with recyclable waste from a storage in which a plurality of recyclable waste is stored.

하우징(100)은 하면이 개구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하면의 개구는 후술할 구동부(900)의 제1회전부재(9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s opened. The ope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rotating member 910 of the driving unit 900 to be described later.

촬영부(500)는 하우징(100)에 공급된 재활용 쓰레기를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촬영부(500)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500 may capture the recyclable waste supplied to the housing 100 as an image. For example, a camera may be used as the photographing unit 500 .

복수의 수거 용기(300)는 하우징(100)에서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의 배출 경로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수거 용기(30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are installed on a discharge path of recyclable waste discharged from the housing 100 .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구동부(900)는 하우징(100)과 복수의 수거 용기(300) 사이에 마련되어, 하우징(100)으로부터 재활용 쓰레기를 배출하고. 배출된 재활용 쓰레기를 복수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로 가이드한다.The drive unit 900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and discharges recyclable waste from the housing 100. The discharged recyclable waste is guid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

구동부(900)는 하우징(100)의 하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제1회전부재(910)와, 한 쌍의 제1회전부재(910)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2회전부재(920)와, 한 쌍의 제1회전부재(910)와 제2회전부재(920)를 각각 회전시키는 복수의 가이드 모터(9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900)는 한 쌍의 제1회전부재(910)에 각각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3회전부재(9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회전부재(940)는 제1회전부재(910)보다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3회전부재(940)는 인조가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ive unit 900 includes a pair of first rotation members 9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 second rotation member 92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first rotation members 91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motors 930 respectively rotating the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910 and second rotating members 920 .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900 may include a pair of third rotation members 940 respectively freely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rotation members 910 . Here, the third rotating member 940 may be made of a relatively softer material than the first rotating member 910 . For example, the third rotating member 940 may be made of artificial leather.

제어부는 촬영부(500)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활용 쓰레기를 분류하고, 분류된 재활용 쓰레기가 그 종류에 따라 복수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도록 구동부(90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lassifies the recyclable waste based on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500,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900 so that the classified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according to the type. do.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제어부와 이송부에 의해 재활용 쓰레기가 종류별로 복수의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2 to 15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by type by a control unit and a transfer unit of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가이드 모터(9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부(900)의 한 쌍의 제1회전부재(910)와 제2회전부재(9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하우징(100)으로부터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되고. 배출된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로 수거되게 할 수 있다.12 to 15,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rotational angle of the pair of first rotation members 9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920 of the driving unit 900 through control of the plurality of guide motors 930. By doing so, recycling waste is discharged from the housing 100. The discharged recyclable waste may be collec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수거 용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llection container of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 용기(300)에는 복수의 지지대(310)가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 a plurality of supports 310 may be provid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

복수의 지지대(310)는 수거 용기(300)의 둘레로부터 수거 용기(30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s 310 protru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toward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and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복수의 지지대(310)는 수거 용기(300)로 주입되는 재활용 쓰레기의 낙하 속도를 저감하여, 재활용 쓰레기의 낙하로 인한 소음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The plurality of supports 310 reduce the falling speed of the recyclable waste injected into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and reduce noise caused by the falling recyclable waste.

복수의 지지대(31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복수의 지지대(310) 중 제일 상측에 위치하는 것은 다른 지지대(310)들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나머지는 하측에 배치될수록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upports 310 may have different lengths. For example, the upp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310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other supports 310, and the rest are disposed on the lower side. It can have a relatively long length.

도 17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의 제어부와 이송부에 의해 재활용 쓰레기가 종류별로 복수의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7 to 24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by type by the control unit and the transfer unit of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제4실시예와 달리, 구동부(900)는 한 쌍의 제2회전부재(9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회전부재(920)는 재활용 쓰레기의 움직임 및 낙하시점을 제어하기 위해서, 낙하의 충격을 줄여주는 충격흡수재를 사용하거나 제2회전부재(920)의 양단부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7 to 24 , unlike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900 includes a pair of second rotation members 920. can include Her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rotating member 920 uses a shock absorber that reduces the impact of falling or uses both ends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92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ecyclable waste and the point at which it falls. It can be installed inclined at a certain angle.

도 17, 도 19, 도 21, 도 23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가이드 모터(9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부(900)의 한 쌍의 제1회전부재(910)와 한 쌍의 제2회전부재(9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하우징(100)으로부터 재활용 쓰레기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7, 19, 21, and 23 , the control unit controls a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910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members 910 of the driving unit 900 through control of a plurality of guide motors 930.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ember 920, recycling waste may be discharged from the housing 100.

이후, 도 18, 도 20, 도 22,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가이드 모터(930)의 제어를 통해 구동부(900)의 한 쌍의 제1회전부재(910)와 한 쌍의 제2회전부재(9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된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수거 용기(300) 중 어느 하나로 수거되게 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S. 18, 20, 22, and 24,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910 and the pair of first rotating members 910 of the driving unit 900 through the control of the plurality of guide motors 930. By adjus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920, the discharged recyclable waste may be collec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300.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2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제1실시예와 달리, 구동부(900)는 복수의 제4회전부재(950), 복수의 제5회전부재(960), 복수의 제6회전부재(9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5 ,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ourth rotating members 950 and a plurality of fifth A rotating member 960 and a plurality of sixth rotating members 970 may be included.

복수의 제4회전부재(950)는 하우징(100)의 하면에 마련되는 가이드 모터(930)의 구동축에 방사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4회전부재(950) 사이에는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될 수 있는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4회전부재(950)의 정역회전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4회전부재(950) 사이에 적재된 재활용 쓰레기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ourth rotation members 950 are provided radially on the drive shaft of the guide motor 93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 Here, recycling waste may be loaded between the two neighboring fourth rotating members 950, and according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two neighboring fourth rotating members 950, the two neighboring fourth rotating members 950 Recyclable waste stacked between the members 950 may be discharged to the left or right.

복수의 제5회전부재(960)는 복수의 제4회전부재(950)의 좌하측에 마련되는 제1구동기어(992)에 방사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5회전부재(960) 사이에는 복수의 제4회전부재(950)의 좌하측으로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제5회전부재(960)의 정역회전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5회전부재(960) 사이에 적재된 재활용 쓰레기는 복수의 제5회전부재(960)의 좌하측에 위치하는 수거 용기(300)로 배출되거나 또는 복수의 제5회전부재(960)의 우하측에 위치하는 수거 용기(300)로 배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fth rotating members 960 are radially provided on the first driving gear 992 provided at the lower left side of the plurality of fourth rotating members 950 . Here, recycling waste discharged to the left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fourth rotating members 950 may be loaded between two adjacent fifth rotating members 960 . Thereafter, as the plurality of fifth rotation members 960 rotate forward and backward, the recyclable waste loaded between the two adjacent fifth rotation members 960 is locat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plurality of fifth rotation members 960. or may be discharged to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located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plurality of fifth rotating members 960.

복수의 제6회전부재(970)는 복수의 제4회전부재(950)의 우하측에 마련되는 제2구동기어(994)에 방사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6회전부재(970) 사이에는 복수의 제4회전부재(950)의 우측으로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가 재활용 쓰레기가 적재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제6회전부재(970)의 정역회전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6회전부재(970) 사이에 적재된 재활용 쓰레기는 복수의 제6회전부재(970)의 좌하측에 위치하는 수거 용기(300)로 배출되거나 또는 복수의 제5회전부재(960)의 우하측에 위치하는 수거 용기(300)로 배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xth rotating members 970 may be radially provided on the second driving gear 994 provided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plurality of fourth rotating members 950 . Recyclable waste discharged to the right of the plurality of fourth rotating members 950 may be loaded between the two adjacent sixth rotating members 970 . Then, as the plurality of sixth rotation members 970 rotate forward and backward, the recyclable waste loaded between the two adjacent sixth rotation members 970 is locat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plurality of sixth rotation members 970. or may be discharged to the collection container 300 located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plurality of fifth rotating members 960.

제1구동기어(992)와 제2구동 기어(994)는 구동 벨트(996)에 의해 치합되어, 구동 벨트(996)에 대한 구동 모터(998)의 정역회전에 의해 제1구동기어(992)와 제2구동 기어(994)가 정역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drive gear 992 and the second drive gear 994 are engaged by a drive belt 996, and the first drive gear 992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e motor 998 relative to the drive belt 996. and the second driving gear 994 may rotate forward and backward.

한편, 복수의 제4회전부재(950) 및 복수의 제5, 6회전부재 사이(960, 970)에는 낙하가이드(980)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 drop guide 98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ourth rotation members 950 and the plurality of fifth and sixth rotation members 960 and 970 .

낙하가이드(980)는 복수의 제4회전부재(950)의 좌측으로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복수의 제5회전부재(960)로 안내하거나, 또는 복수의 제4회전부재(950)의 우측으로 배출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복수의 제5회전부재(960)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들어, 낙하가이드(980)는 삼각형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rop guide 980 guides recyclable waste discharged to the left side of the plurality of fourth rotation members 950 to the plurality of fifth rotation members 960, or discharges it to the right side of the plurality of fourth rotation members 950. Recyclable waste may be guided to the plurality of fifth rotating members 960 . For example, the drop guide 980 may have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고, 재활용 쓰레기의 분류 및 분리 수거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has an effect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and separately collecting recycling waste.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재활용 쓰레기를 분류함으로써, 재활용 쓰레기를 분류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재활용 쓰레기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ing garb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recycling garbage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classifying the recycling garbage, and classifying the recycling garbage according to a specific standar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하우징
110: 투입부
120: 지지부
130: 도어부
140: 용기 수납부
150: 손잡이
160: 발판
200: 배출부
210: 안착부
212: 안착판
214: 이탈방지판
220: 배출 구동부
222: 안착부용 회전축
224: 안착부용 액츄에이터
226: 안착부용 노브
300: 수거 용기
310: 지지대
400: 가이드부
410: 가이드 슈트
420: 가이드 구동부
422: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
424: 가이드 슈트용 액츄에이터
426: 가이드 슈트용 노브
500: 촬영부
600: 제어부
700, 700`: 안착부용 장착 프레임
710: 안착부용 장착홈
800, 800`: 가이드 슈트용 장착 프레임
810: 가이드 슈트용 장착홈
900: 이송부
910: 제1회전부재
920: 제2회전부재
930: 가이드 모터
940: 제3회전부재
950: 제4회전부재
960: 제5회전부재
970: 제6회전부재
980: 낙하가이드
992: 제1구동 기어
994: 제2구동 기어
996: 구동 벨트
998: 구동 모터
1000: 간접 조명
100: housing
110: input unit
120: support
130: door unit
140: container storage unit
150: handle
160: scaffolding
200: discharge unit
210: seating part
212: seating plate
214: departure prevention plate
220: discharge drive unit
222: rotation axis for seating part
224: actuator for seating part
226: knob for seating part
300: collection container
310: support
400: guide unit
410: guide chute
420: guide driving unit
422: axis of rotation for guide chute
424: actuator for guide chute
426: knob for guide chute
500: shooting unit
600: control unit
700, 700`: Mounting frame for seating part
710: mounting groove for seating part
800, 800`: Mounting frame for guide chute
810: mounting groove for guide chute
900: transfer unit
910: first rotating member
920: second rotating member
930: guide motor
940: third rotating member
950: fourth rotating member
960: fifth rotating member
970: 6th rotating member
980: drop guide
992: first drive gear
994: second driving gear
996: drive belt
998: drive motor
1000: indirect lighting

Claims (10)

재활용 쓰레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가지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한 쌍의 배출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배출 경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수거하는 복수의 수거 용기;
상기 배출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안착부에 투입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 모델; 및
상기 인공지능 모델에서 판단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도록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 discharge unit having a seating portion for recyclable waste to be seated and discharging the recyclable wast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to one of a pair of discharge paths;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for collecting the recyclable waste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ath by type;
a guide unit provided on the discharge path and guiding the recyclable waste by type to be selectively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seating unit and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analyzes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recyclable waste put into the seating unit; and
Based on the type of the recyclable waste determin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wast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charge unit and the guide unit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s stor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이미지를 학습데이터 세트로 구축하고, 구축된 상기 학습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를 딥러닝하고, 딥러닝된 상기 학습데이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판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uilds an image of the recycling garb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s a learning data set, deep-learns the type of recycling based on the built-up learning data set, and deep-learns the learning data. Based on the set,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determines the recyclable waste by type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델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특정 색상, 이물질, 뚜껑 및 라벨 포함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폐기 여부를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지능 모델에서 판단한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폐기 여부에 의거하여, 해당 재활용 쓰레기가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도록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제어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cycling garbage includes a specific color, a foreign substance, a lid, and a label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classifies whether the recycling garbage is discard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charge unit and the guide unit so that the recyclable trash is stor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based on whether the recyclable trash is discarded or not determin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재활용 쓰레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한 쌍의 배출 경로 중 어느 하나의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시키는 배출 구동부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part,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recycling waste is seated; and
and a discharge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seating portion forward and backward to discharge the recyclable wast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long one of a pair of discharge path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구동부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안착부용 회전축; 및
상기 안착부용 회전축을 정역회전시키는 안착부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discharge drive unit,
A rotating shaft for the seating portion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to rotate the seating portion; and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able waste, comprising an actuator for the seating portion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for the se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출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상기 수거 용기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슈트; 및
상기 가이드 슈트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슈트로 유입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복수의 상기 수거 용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상기 재활용 쓰레기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art,
a guide chute provided on the discharge path and guiding the recyclable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to move to the collection container; and
and a guide driver configured to rotate the guide chute forward and backward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recyclable waste so that the recyclable waste introduced into the guide chute is selectively receiv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 슈트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슈트를 회전시키는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 및
상기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을 정역회전시키는 가이드 슈트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guide drive unit,
A rotating shaft for a guide chute coupled to the guide chute to rotate the guide chute; and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ing waste, comprising an actuator for a guide chute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for the guide chu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수거 용기는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출부로 유입된 상기 재활용 쓰레기는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하여 상기 가이드부를 거쳐 상기 수거 용기로 수납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unit, the guide unit,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cyclable garbag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unit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passed through the guide unit to be stor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안착부용 회전축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부용 장착홈을 갖는 안착부용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5,
a housing accommodating the discharge part and the guide part; and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 mounting frame for seating parts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 seating parts forming a lattice shap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housing and selective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for the seating part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 슈트용 회전축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슈트용 장착홈을 갖는 가이드 슈트용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7,
a housing accommodating the discharge part and the guide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guide chute mounting frame having a plurality of guide chute mounting grooves in the housing in a grid shape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o which a rotating shaft for the guide chute is selectively and rotatably coupled. .
KR1020220125466A 2021-12-15 2022-09-30 Sorting and separating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garbage KR10267016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79687 2021-12-15
KR1020210179687 2021-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772A true KR20230091772A (en) 2023-06-23
KR102670166B1 KR102670166B1 (en) 2024-05-30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64Y1 (en) 2010-06-15 2012-09-24 엔솜 주식회사 Separate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64Y1 (en) 2010-06-15 2012-09-24 엔솜 주식회사 Separate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065A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8107B (e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KR102162265B1 (en) Collection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CN110589282A (en)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automatic garbage sorting device
EP3732118A1 (en) Device for waste segregation and collection of segregated waste
CN109516032B (en) Assembled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263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bottle
KR20230091772A (en) Sorting and separating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garbage
KR102670166B1 (en) Sorting and separating collection device for recyclable garbage
CN108792341A (en) A kind of automatic classification dustbin
CN110733773A (en) Household garbage recycling bin and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sorting and classifying
KR20200081920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abel of plastic waste and collection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having the same
KR102214151B1 (en) Recycled container sorting and compressing device
CN109867071A (en) A kind of intelligent medical refuse sorting vehicle and its classification method
KR102449264B1 (en) Sorting and Treating Apparatus of Plastic Container
CN209271938U (en) A kind of improvement device of jujube pickout apparatus
KR20230082836A (en) System for supporting fruit sor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214823964U (en) Water surface garbage collecting and classifying device based on machine vision
KR102349660B1 (en) Segregated Collection Apparatus of Recycled Product
KR102551306B1 (en) Apparatus for sorting fruit based on image
KR102615225B1 (en) Smart separate collection system
RU2815930C1 (en) Robotic module for sorting solid household wastes
KR102537738B1 (en) Method for automatic classficating of recycling resource
KR20230082835A (en) Apparatus for sorting frui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7208432B (en) AI-driven garbage classification recycling device and method
KR20240050768A (en) Apparatus for sorting fruit based on image using rotating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