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543A - 다목적 방제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543A
KR20230091543A KR1020210180741A KR20210180741A KR20230091543A KR 20230091543 A KR20230091543 A KR 20230091543A KR 1020210180741 A KR1020210180741 A KR 1020210180741A KR 20210180741 A KR20210180741 A KR 20210180741A KR 20230091543 A KR20230091543 A KR 2023009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ug
loading box
spray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102021018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543A/ko
Publication of KR2023009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09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궤도를 이용한 운반차에 적재함을 설치하고 상기 적재함에 약제탱크를 설치하여 노즐을 이용하여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함과 동시에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적재함의 후부에 비료 살포기를 교체 설치하여 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개선함으로써 다용도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소형 경량화시킴으로써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다목적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진 및 후진 그리고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송 주행부(102)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좌우 한쌍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프레임(10,11)을 구비하는 프레임부(104)와;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함 수납부(12)와 적재함 도어부(14)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함 수납부(12)에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 탱크부(114)가 수납 설치되는 적재함부(106)와; 상기 적재함부(106)의 후부에 구비된 적재함 도어부(14)에 고정 설치되되, 하부가 개구된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부에는 전방 브라켓(16)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후방 브라켓(18)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브라켓(16)과 후방 브라켓(18)의 상단부가 연결바(20)에 의해 고정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비료 살포기(122)가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부(112)와; 상기 적재함 수납부(12)에 수납 설치되고 다양한 종류의 약제를 저장하고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약제 탱크부(114)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일측부에 좌우 한쌍으로 대응하여 설치되고 약제를 분사하는 약제 노즐부(116)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타측부에 고정 설치되고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장비나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노즐대(118)와; 상기 약제 노즐부(116) 및 세척 노즐대(118)에 약제를 공급하거나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무기(120)를 포함하여, 물품을 운반하는 운반차 기능과 약제를 분사하는 방제 기능과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 기능과 비료 및 퇴비를 살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는 다목적 방제기를 운반차의 적재부에 다목적 방제기를 조립하여 싣고 다니면서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과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로 해제하여 보관하거나 적재함으로 사용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으로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궤도를 이용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엔진부를 이용한 휠타입 및 배터리를 동력으로 이용한 운반차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약제탱크를 싣고 다니면서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작업을 함과 동시에 세척기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으며, 비료 살포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뛰어나며 살포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방제기{SPRINKLER OF AGRICULTURAL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목적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궤도를 이용한 운반차에 적재함을 설치하고 상기 적재함에 약제탱크를 설치하여 노즐을 이용하여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함과 동시에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적재함의 후부에 비료 살포기를 교체 설치하여 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개선함으로써 다용도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소형 경량화시킴으로써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다목적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제기는 농작물의 병충해 방제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농작물이 재배되는 규모와 농작물이 재배되는 장소에 따라 농약 방제기의 사용이 달라지고 그로 인하여 농작물의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제기 역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규모 농가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간편하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등짐용 분무기를 주로 사용하고, 좀 더 넓은 규모인 경우에는 경운기에 분무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며, 농작물을 대규모로 재배하는 계획 농가에서는 선진 농약방제기 또는 공중분사가 가능한 드론 분무기를 이용한 방제를 하고 있다.
선등록 발명은 내부에 농약이 수장되는 약제탱크와, 약제탱크 내에 수장된 농약 배출 또는 재유입되어지는 배관부와, 배관부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수동식으로 농약을 살포시킬 수 있도록 되는 수동식 약제분사장치와, 배관부를 통해 유입된 농약에 송출압력을 부여시키기 위한 펌프 및 터보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이 각각 장착되는 엔진룸과, 엔진룸 내의 엔진 출력과 연결된 임펠라와, 상기 임펠라의 회전으로 발생된 송풍압력이 토출되는 터보팬 케이싱으로 구성된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서 발생된 송풍압력이 배출되는 한편, 각도변환장치에 의해 각도 위치 변환이 자유롭게 된 약제분사장치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약제분사장치는 자바라식 튜브의 하단에 회전판을 일체로 결합시키고 이 회전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오목홈에는 D.C 모터의 선단에 구비된 체인스프라켓과 결합된 체인이 감겨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자바라식 튜브의 일측에는 회전판의 외주면은 D.C모터의 체인 스프로켓과 결합된 체인이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자바라식 튜브의 위치 및 각도가 상기 D.C모터의 회전에 변환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등록 발명은 약제분사장치를 작동시키는 구동시스템이 정역회전하는 D.C모터의 동력을 체인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어서, 오랜 기산 사용할 경우, D.C모터의 토크현상에 의해 체인이 늘어나 정확한 각도조절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동에 따른 작동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약제분사장치의 각도조절 및 굴절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바라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팬(임펠라)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배출될 때 자바라튜브에 강한 송풍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간섭이 일어나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과 송풍압력이 떨어지고 풍량이 손실되는 등의 송풍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자바라튜브의 재질이 고무와 천으로 구성되어 각도조절 및 굴절작용, 풍압의 간섭 등에 의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제분사장치에 약제분사노즐만을 가지고 있어서 농작물에 농약을 살포하는 것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선등록 발명은 분사장치가 농약 방제기의 본체로 부터 분리되어 있어서 농약 방제기가 탑재된 차량의 적재함 등에 따로 얹어서 사용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되어 기계적 고장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방제기는 트랙터와 연결되어 사용해야 하므로 적재함에 농약과 비료, 퇴비등을 실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므로 운반차기능이 불가능하였고, 크기와 무게가 무거워서 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다목적 방제기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방제기는 물품을 적재하고 운반하기 위한 적재함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별도로 트랙터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반 적재함을 다목적 방제기에 설치할 수 없어서 별도로 운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일반 농가에서는 운반차와 방제기와 비료 살포기를 각각 별도로 구입하여야 함으로써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농가의 보관장소가 좁아서 보관관리가 어려웠으며, 방제기를 사용한 후에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유지보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148호(1997.11.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4449호(2004.1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는 적재함을 구비하여 약제, 비료, 퇴비 등을 싣고 운반이 가능한 운반기능과, 약제를 분사하여 병충해를 방제하기 위한 방제기능과,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세척기능과, 비료를 싣고 다니면서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비료살포기능과, 퇴비를 살포할 수 있는 퇴비 살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궤도식 또는 엔진식 휠타입 또는 배터리를 동력으로 이루어진 운반차나 차량 등의 적재함 상부에 약제탱크를 싣고 다니면서 다목적 방제기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목적 방제기를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차량 상부면에 약제탱크를 결합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비료 살포기를 적재함의 후부에 용이하게 교체 장착하여 다목적 방제기와 함께 비료를 살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다목적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부에 설치된 방제 살포노즐부를 이용하여 비료 또는 퇴비를 양방향 또는 어느 일방향 또는 좌우측방 및 전방 등 180도 전면으로 살포할 수 있고, 회전살포도 가능한 다목적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도밭, 감귤밭 등의 과수원과 비닐하우스 등 좁은 지역에서도 주행 및 살포가 가능함으로써 주행이동성과 방제 및 비료 및 퇴비살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목적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형 경량화시킨 방제기의 무게가 가볍고 조작이 편리하여 포도밭, 감귤밭 등 과수원과 비닐하우스, 오리농장 등의 좁은 지역에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비료살포 및 방제 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나 과수원 등 회전하기 어렵고 협소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미살포지역을 차단하여 살포 작업성 및 방제 작업성 등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다목적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목적 방제기를 이용하여 방제뿐만 아니라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이 가능하고, 알갱이 비료, 유박비료 등 작은 알갱이의 다양한 비료를 살포 할 수 있는 다용도 다목적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진 및 후진 그리고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송 주행부(102)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좌우 한쌍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프레임(10,11)을 구비하는 프레임부(104)와;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함 수납부(12)와 적재함 도어부(14)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함 수납부(12)에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 탱크부(114)가 수납 설치되는 적재함부(106)와; 상기 적재함부(106)의 후부에 구비된 적재함 도어부(14)에 고정 설치되되, 하부가 개구된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부에는 전방 브라켓(16)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후방 브라켓(18)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브라켓(16)과 후방 브라켓(18)의 상단부가 연결바(20)에 의해 고정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비료 살포기(122)가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부(112)와; 상기 적재함 수납부(12)에 수납 설치되고 다양한 종류의 약제를 저장하고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약제 탱크부(114)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일측부에 좌우 한쌍으로 대응하여 설치되고 약제를 분사하는 약제 노즐부(116)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타측부에 고정 설치되고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장비나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노즐대(118)와; 상기 약제 노즐부(116) 및 세척 노즐대(118)에 약제를 공급하거나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무기(120)를 포함하여, 물품을 운반하는 운반차 기능과 약제를 분사하는 방제 기능과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 기능과 비료 및 퇴비를 살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주행부(102)는,
상기 프레임부(104)의 전부 상측부에 이동 및 주행을 위한 동력원으로서 엔진부(108)가 설치되고, 상기 엔진부(108)는 엔진 또는 전기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노즐부(116)는,
상기 적재함부(106)의 적재함 도어부(14)에 안착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절 브라켓(24)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 브라켓(24)의 상부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서 설치되는 세로 고정바(22)와;
상기 세로 고정바(22)의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는 가로 고정바(26)와;
상기 가로 고정바(26)의 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부(28)와;
상기 힌지부(28)에 연결되어 회동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노즐바(30)와;
상기 노즐바(30)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32)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32)들은 힌지축(33)에 의해 상기 노즐바(30)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33)을 기준으로 회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360도 회전 분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브라켓(112)의 일측부에 비료 살포기를 설치하여 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퇴비 살포기(124)를 설치하여 퇴비를 살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일측부 또는 내측부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세척 노즐대(118)를 구비하여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비료살포, 퇴비살포 또는 약제살포가 끝났을 때에는 상기 약제 탱크부(114)를 분해하여 적재함부(106)에 물품을 싣고 운반 및 이동이 가능한 운반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기 분무기(120)와 엔진부(108)의 엔진동력전달을 차단하는 동력차단장치가 구비되어 운반차 주행시에 상기 분무기(120)의 동작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는 다목적 방제기를 운반차의 적재부에 다목적 방제기를 조립하여 싣고 다니면서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과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로 해제하여 보관하거나 적재함으로 사용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으로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궤도를 이용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엔진부를 이용한 휠타입 및 배터리를 동력으로 이용한 운반차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약제탱크를 싣고 다니면서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작업을 함과 동시에 세척기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으며, 비료 살포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뛰어나며 살포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형경량화를 구현하여 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운반 적재함의 조립성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다목적 방제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비료와 퇴비를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장치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고 작업 효율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가에서 일반 작업시에는 운반차나 다목적 방제기를 별도로 각각 1대씩 구입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를 구입한 후 운반차에 싣고 작업할 수 있어서 농민들에게는 매우 경제적이고 작업성이 쉬워지고 장치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쉬워지며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약제노즐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6은 도 5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도 7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비료 살포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퇴비 살포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두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간의 상호작용하는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약제노즐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7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비료 살포기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퇴비 살포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를 설명하면, 먼저, 먼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100)는 먼저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송 주행부(102),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04)와,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재함부(106)와, 상기 적재함부(106)의 전부에 설치되는 엔진부(108) 및 조작부(110)와, 상기 적재함부(106)의 후부에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부(112)와, 상기 적재함부(106)에 적재되는 약제 탱크부(114)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와 연결되어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약제 노즐부(116)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와 연결되어 상기 물세척이 가능한 세척 노즐대(118)와, 상기 약제 노즐부(116) 및 세척 노즐대(118)에 약제와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분무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약제 노즐부(116)와 약제 탱크부(114)는 분해하여 탈착 한 후, 적재물을 운반이송하기 위한 운반차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진 및 후진의 이동 주행이 가능한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이송 주행부(102)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한쌍의 프레임(10,11)이 구비된 프레임부(104)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는 적재함 수납부(12)가 구비된 적재함부(106)가 설치된다.
상기 적재함부(106)의 전부에는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구동시키기 위해 동력원을 공급하는 엔진부(108)가 설치되고 상기 엔진부(108)의 전부에는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전진이동 및 후진 이동시킴과 동시에 좌우로 방향을 조절하여 이동하기 위한 조작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부(106)의 후부에는 비료 살포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브라켓(112)이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부(106)의 적재함 수납부(12)에는 제초제, 살균제, 액체비료, 농약, 살충제 등 각종 약제와 세척수를 별도로 수납하도록 저장하는 악제 탱크부(114)가 설치되며,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우측부에는 상기 약제 탱크부(114)에 저장된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약제 노즐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약제 탱크부(114)에는 별도의 세척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일측부, 바람직하기로는 좌측부에는 세척 노즐대(118)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각종 약제와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부(120)가 상기 엔진부(108)와 연동되어 동력을 공급받아 동작되도록 상부에 얹혀져서 설치되고 상기 분무기(120)가 상기 약제 노즐부(116)로 약제를 공급하여 분사시키거나 상기 세척 노즐대(118)를 통해서 세척수를 공급하여 약제가 묻어 있는 부위나 각종 장치들을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 주행부(102)가 무한궤도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더 나아가서는 휠타입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엔진부(108)에는 동력차단장치 또는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동력차단장치에 의해 분무기와 엔진의 동력전달이 단속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운반차로서 방제기가 주행하는 경우, 상기 분무기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분무기가 함께 동작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는 프레임부(104)가 설치되는바, 상기 프레임부(104)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10,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면부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면에는 적재함부(106)가 설치되는바, 상기 적재함부(106)의 중간부에는 적재함 수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재함부(106)의 후부에는 상기 약제 탱크부(114)를 싣고 내리고 편리하도록 열고 닫힐 수 있는 오픈구조로 적재함 도어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적재함부(106)는 그 측면부도 오픈/클로즈가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적재함부(106)의 전부에는 이송 주행부(102)를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엔진부(108)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킴과 동시에 정지 및 좌우 회전 이송시키기 위한 조작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적재함부(106)의 적재함 도어부(14)에는 연결 브라켓(112)이 설치되는바, 상기 연결 브라켓(112)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방 브라켓(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브라켓(16)의 후방에는 후방 브라켓(18)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브라켓(16)과 후방 브라켓(18)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바(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전방 브라켓(16)과 후방 브라켓(18)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개방된 하단부가 상기 적재함 도어부(14)에 걸쳐지도록 끼워져서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연결 브라켓(112)에는 후술되는 비료 살포기(122)가 설치되어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적재함부(106)의 적재함 수납부(12)에는 약제 탱크부(114)가 수납 적재된다.
상기 약제 탱크부(1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초제, 살균제, 액체비료, 농약, 살충제 등 다양한 종류의 약제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약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약제를 선택하여 약제 탱크부(114)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때에는 상기 약제 탱크부(114)에 다른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저장탱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우측부에는 방제를 하기 위한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약제 노즐부(116)가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약제 노즐부(116)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 노즐부(116)는 전면 살포 및 360도 회전 살포가 가능하도록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약제 노즐부(116)의 상기 적재함부(106)의 우측부 또는 후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약제가 전후방향으로 살포되거나 좌우로 살포되도록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약제 노즐부(116)에는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릴(34)이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호스릴(34)은 수회 권취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분무기(120)와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좌측부, 바람직하기로는 전부에는 세척 노즐대(118)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 노즐대(118)는 건타입으로 형성되고 세척을 하기 위한 호스릴(35)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 노즐부(116)를 이용하여 방제한 후, 방제시 이송 주행부 및 적재함부 등에 묻어 있는 잔여 약제들을 세척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약제 노즐부(116)와 세척 노즐대(118)에는 분무기(120)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무기(120)는 상기 엔진부(108)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분무기(120)와 상기 엔진부(108)의 사이에는 동력차단장치가 구비되어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분무기(120)는 다수의 공급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노즐부(116)와 연동되는 두 개의 공급밸브와 상기 세척 노즐대(118)와 연동되는 한개의 공급밸브를 구비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두개의 공급밸브를 이용하여 좌측부의 약제 노즐부(116)를 통하여 약제를 좌측으로 살포하거나 우측부의 약제 노즐부(116)를 통하여 우측으로 살포할 수 있고 좌우 양측의 약제 노즐부(116)를 모두 동작시켜서 전면 살포를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세척 노즐대(118)와 연동되는 공급밸브를 세척수를 이용하여 분사함으로써 바퀴와 차량 등을 세차할 수 있다.
상기 엔진부(108)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분무기(120)가 동작하고 상기 분무기(120)는 약제를 펌핑하여 상기 약제 노즐부(116)의 노즐들을 통해서 약제가 분사되도록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노즐부(116)는 이송 주행부(102)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부(108) 및 분무기(120)는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부(104)에 설치되되, 상기 엔진부(10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분무기(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부(108)의 우측부에는 이송 주행부(102)를 주행시키고 정지 시키며 좌우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약제 노즐부(116)의 약제 분사 및 세척 노즐대(118)를 통한 세척수의 분사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적재함부(104)의 후부에 구비된 적재함 도어부(14)에 상기 한 쌍의 약제 노즐부(116)가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거리가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약제 노즐부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약제 노즐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약제 노즐부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약제 노즐부(10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디귿자(ㄷ) 형상의 단면을 갖는 조절 브라켓(24)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 브라켓(24)의 상면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서 세로 고정바(22)가 고정된다.
상기 조절 브라켓(24)은 미도시된 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적재함 도어부(14)에 전후방향으로 볼트 체결됨으로써 조여져서 고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세로 고정바(22)의 상단부에는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기역자 형상으로 가로 고정바(2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로 고정바(26)에는 힌지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28)에는 노즐바(30)의 중간부분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바(30)가 힌지부(28)를 기준으로 회동된다.
상기 노즐바(3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바(30)는 중간부가 일정한 각도만큼 절곡되어 소정의 회전각도(A)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회전각도(A)는 10도 내지 180도 범위 내에서 노즐바(30)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절곡 설치되는바, 상기 소정의 각도(A)가 10도 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노즐바(30)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사각도가 너무 좁아져서 방제효과가 저하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A)가 180도 클 경우에는 약제의 분사각도가 너무 넓어져서 방제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노즐바(30)에는 다수의 노즐(32)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노즐(32)들은 각각 힌지축(33)에 의해 상기 노즐바(3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 설치되는 바, 노즐(32)들은 상기 힌지축(33)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노즐(32)들은 2개의 노즐공을 구비하며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약제 노즐부(116)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조절 브라켓(24)을 조여주고 있는 볼트를 풀어서 해제한 후, 좁은 범위에 약제를 분사할 경우에는 상기 약제 노즐부(116)를 연결 브라켓(112)에 가까운 안쪽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약제 노즐부(116)의 간격을 좁혀서 약제를 분사하고 넓은 범위에 약제를 분사할 경우에는 상기 약제 노즐부(116)를 연결 브라켓(112)에서 먼 바깥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약제 노즐부(116)의 간격을 넓혀서 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약제 노즐부(116)의 간격을 좁히고 넓혀줌에 따라서 약제의 분사시 발생되는 사각지역은 상기 노즐바(30)의 각도를 회전시켜서 약제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방제지역의 사각지역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약제 노즐부(116)의 힌지부(28)를 기준으로 상기 노즐바(30)를 회동시키면서 분사되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방제지역의 사각지역을 해소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약제 노즐부(116)의 노즐바(30)에는 다수의 노즐(32)들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노즐(32)들의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노즐(32)들은 각각 힌지축(33)에 의해 상기 노즐바(3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3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축(33)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노즐(32)들의 분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 할 수 있게 되어 사각지역의 방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에 비료 살포기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먼저,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프레임부(104)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적재함부(10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부(106)의 후부에는 연결 브라켓부(1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 브라켓부(112)에 비료 살포기(122)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비료 살포기(122)에는 평판형상의 연결 프레임(12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 프레임(123)는 전술된 연결 브라켓부(112)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123)의 좌우측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이탈방지판(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 방지판(36)이 상기 연결 브라켓부(112)와 고정 결합시 상기 비료 살포기(122)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프레임부(16)의 전부에는 엔진부(08)가 설치되고 상기 엔진부(108)의 전부에는 조작부(110)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주행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비료 살포기(122)를 이동시키면서 비료 살포가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다목적 방제기에 퇴비 살포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다목적 방제기(100)의 이송 주행부(102)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프레임부(104)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는 적재함부(107)가 설치된다.
상기 적재함부(107)는 니은자(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함부(107)의 하부면에는 리프팅 유닛(105)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부(107)가 상하로 승강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적재함부(107)의 상부면에는 퇴비 살포기(124)가 설치되어 퇴비를 살포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퇴비 살포기(124)는 퇴비 살포프레임(126)과, 퇴비살포유닛(128)과 호퍼부(130)와, 살포 엔진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퇴비 살포 프레임(126)은 상기 적재함부(107)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퇴비 살포 프레임(126)의 후부에는 퇴비를 살포하기 위한 퇴비살포유닛(128)이 구비되며, 상기 퇴비 살포 프레임(128)의 전부에는 살포 엔진부(1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퇴비 살포 프레임(126)의 상부에는 퇴비를 담고 상기 퇴비살포유닛(128)으로 이동시켜서 살포하기 위한 호퍼부(13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104)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이동시키고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부(108)가 설치되고 상기 엔진부(108)의 전부에는 조작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110)는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이동 및 주행 그리고 좌우회전을 조절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11 : 프레임 12 : 적재함 수납부
14 : 적재함 도어부 16 : 전방 브라켓
18 : 후방 브라켓 20 : 연결바
22 : 세로 고정바 24 : 조절 브라켓
26 : 가로 고정바 28 : 힌지부
30 : 노즐바 32 : 노즐
34 : 호스릴
100 : 다목적 방제기 102 : 이송 주행부
104 : 프레임부 106 : 적재함부
108 : 엔진부 110 : 조작부
112 : 연결 브라켓부 114 : 약제 탱크부
116 : 약제 노즐부 118 : 세척 노즐대
120 : 분무기

Claims (9)

  1. 전진 및 후진 그리고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송 주행부(102)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좌우 한쌍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프레임(10,11)을 구비하는 프레임부(104)와;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재함 수납부(12)와 적재함 도어부(14)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함 수납부(12)에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 탱크부(114)가 수납 설치되는 적재함부(106)와;
    상기 적재함부(106)의 후부에 구비된 적재함 도어부(14)에 고정 설치되되, 하부가 개구된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부에는 전방 브라켓(16)이 형성되고 후부에는 후방 브라켓(18)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브라켓(16)과 후방 브라켓(18)의 상단부가 연결바(20)에 의해 고정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비료 살포기(122)가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부(112)와;
    상기 적재함 수납부(12)에 수납 설치되고 다양한 종류의 약제를 저장하고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약제 탱크부(114)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일측부에 좌우 한쌍으로 대응하여 설치되고 약제를 분사하는 약제 노즐부(116)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타측부에 고정 설치되고 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장비나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노즐대(118)와;
    상기 약제 노즐부(116) 및 세척 노즐대(118)에 약제를 공급하거나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무기(120)를 포함하여,
    물품을 운반하는 운반차 기능과 약제를 분사하는 방제 기능과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 기능과 비료 및 퇴비를 살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방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주행부(102)는,
    상기 프레임부(104)의 전부 상측부에 이동 및 주행을 위한 동력원으로서 엔진부(108)가 설치되고, 상기 엔진부(108)는 엔진 또는 전기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방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노즐부(116)는,
    상기 적재함부(106)의 적재함 도어부(14)에 안착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절 브라켓(24)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 브라켓(24)의 상부에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서 설치되는 세로 고정바(22)와;
    상기 세로 고정바(22)의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고정 설치되는 가로 고정바(26)와;
    상기 가로 고정바(26)의 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부(28)와;
    상기 힌지부(28)에 연결되어 회동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노즐바(30)와;
    상기 노즐바(30)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32)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방제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32)들은 힌지축(33)에 의해 상기 노즐바(30)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33)을 기준으로 회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360도 회전 분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방제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112)의 일측부에 비료 살포기(122)를 설치하여 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방제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퇴비 살포기(124)를 설치하여 퇴비를 살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방제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일측부 또는 내측부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세척 노즐대(118)를 구비하여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방제기.
  8. 비료살포, 퇴비살포 또는 약제살포가 끝났을 때에는 상기 약제 탱크부(114)를 분해하여 적재함부(106)에 물품을 싣고 운반 및 이동이 가능한 운반차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방제기.
  9. 제 1항에 있어서,
    싱기 분무기(120)와 엔진부(108)의 엔진동력전달을 차단하는 동력차단장치가 구비되어 운반차 주행시에 상기 분무기(120)의 동작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방제기.









KR1020210180741A 2021-12-16 2021-12-16 다목적 방제기 KR20230091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41A KR20230091543A (ko) 2021-12-16 2021-12-16 다목적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41A KR20230091543A (ko) 2021-12-16 2021-12-16 다목적 방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543A true KR20230091543A (ko) 2023-06-23

Family

ID=8699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741A KR20230091543A (ko) 2021-12-16 2021-12-16 다목적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54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148B1 (ko) 1995-05-17 1998-04-02 김남훈 농약 방제기
KR200364449Y1 (ko) 2004-07-15 2004-10-11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발광다이오드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148B1 (ko) 1995-05-17 1998-04-02 김남훈 농약 방제기
KR200364449Y1 (ko) 2004-07-15 2004-10-11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발광다이오드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068B2 (en) Portable induction electrospraying apparatus and method
US3301487A (en) Sprayer construction for yard tractors employing electro-magnetic clutch and solenoid valves
SK75996A3 (en) An agricultural sprayer unit and an air-flow generating assembly of an agricultural sprayer unit
US7377453B2 (en) Dry material surface applicator
KR101762929B1 (ko) 무인 방제기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20100009157A (ko) 비닐하우스용 작물 약액 살포기
KR101071095B1 (ko)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
KR20230091543A (ko) 다목적 방제기
KR100899870B1 (ko) 비료·농약 살포기
JP3161267U (ja) 農業用噴霧装置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20160118451A (ko) 관리기 부착형 약제 살포장치
KR20230172065A (ko)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KR101960094B1 (ko) 비료살포기용 거치대
CN210101825U (zh) 一种多功能园艺作业车
KR101673313B1 (ko) 비닐하우스용 액비살포장치
KR102089670B1 (ko) 멀티형 영농 살포기
KR102465257B1 (ko) 분사 높이와 방향이 조절되는 조향이동방제장치
KR102609066B1 (ko) 충전분무기 운반용 수레
US20190110399A1 (en) Materials Spraying Lawn Maintenance Vehicle
KR20160003343U (ko) 멀티 회전 송풍기를 갖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20080059539A (ko) 수레형 농약살포기
KR20230038940A (ko) 다목적 농업용 원격주행차량
KR20150034020A (ko) 손수레 탑재식 비료 및 농약 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