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065A -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 Google Patents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065A
KR20230172065A KR1020220072109A KR20220072109A KR20230172065A KR 20230172065 A KR20230172065 A KR 20230172065A KR 1020220072109 A KR1020220072109 A KR 1020220072109A KR 20220072109 A KR20220072109 A KR 20220072109A KR 20230172065 A KR20230172065 A KR 20230172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est control
blower
control device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102022007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065A/ko
Publication of KR2023017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2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provided with auxiliary arrangements, e.g. pumps, agitators,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8Tanks, chassis or related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4Distributing under pressure; Distributing mud; Adaptation of watering systems for fertilising-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4Protection shields
    • A01M7/0067Protection shields with recovering of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71Construction of the spray 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3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comprising enclosure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prayed and surrounding or confining the discharged spray or jet but not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5Fan or ventilator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6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륜 또는 궤도를 이용한 운반차에 적재함을 설치하고 상기 적재함에 약제탱크를 설치하여 노즐을 이용하여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함과 동시에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용도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소형 경량화시킴으로써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송 주행부(102)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04)와,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얹혀져서 설치되는 적재함부(106)와, 상기 이송주행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이송 엔진부(108)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이동시키고 주행하며 방향을 전환하도록 이루어진 운반차(200)와; 상기 적재함부(106)에 적재되어 약제를 분사하여 각종 농작물의 방제를 하기 위한 송풍식 방제기(300)를 탑재하되,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는, 약제가 담겨지는 약제 탱크부(114)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펌프부(116)와; 상기 구동 펌프부(116)를 동작시켜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방제 엔진부(120)와;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동작에 의해서 약제 탱크부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서 노즐(46)을 통해서 약제를 분사하는 약제 노즐부(122)와; 상기 방제 엔진부(12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흡입팬(58)을 동작시키고 상기 흡입팬(58)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빨아들여서 배출하면서 약제를 분사시키기 위한 약제 송풍부(12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운반차의 적재부에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조립하여 싣고 다니면서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과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로 해제하여 보관하거나 적재함으로 사용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으로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Automatic pest control machine for mounted and blower type}
본 발명은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륜 또는 궤도를 이용한 운반차에 적재함을 설치하고 상기 적재함에 약제탱크를 설치하여 노즐을 이용하여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함과 동시에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다용도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소형 경량화시킴으로써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제기는 농작물의 병충해 방제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농작물이 재배되는 규모와 농작물이 재배되는 장소에 따라 농약 방제기의 사용이 달라지고 그로 인하여 농작물의 병충해를 방제하는 방제기 역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규모 농가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간편하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등짐용 분무기를 주로 사용하고, 좀 더 넓은 규모인 경우에는 경운기에 분무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며, 농작물을 대규모로 재배하는 계획 농가에서는 선진 농약방제기 또는 공중분사가 가능한 드론 분무기를 이용한 방제를 하고 있다.
선등록 발명은 내부에 농약이 수장되는 약제탱크와, 약제탱크 내에 수장된 농약 배출 또는 재유입되는 배관부와, 배관부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수동식으로 농약을 살포시킬 수 있도록 되는 수동식 약제분사장치와, 배관부를 통해 유입된 농약에 송출압력을 부여시키기 위한 펌프 및 터보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이 각각 장착되는 엔진룸과, 엔진룸 내의 엔진 출력과 연결된 임펠라와, 상기 임펠라의 회전으로 발생된 송풍압력이 토출되는 터보팬 케이싱으로 구성된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서 발생된 송풍압력이 배출되는 한편, 각도변환장치에 의해 각도 위치 변환이 자유롭게 된 약제분사장치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약제분사장치는 자바라식 튜브의 하단에 회전판을 일체로 결합시키고 이 회전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오목홈에는 D.C 모터의 선단에 구비된 체인스프라켓과 결합된 체인이 감겨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자바라식 튜브의 일측에는 회전판의 외주면은 D.C모터의 체인 스프로켓과 결합된 체인이 감기도록 구성되어 자바라식 튜브의 위치 및 각도가 상기 D.C모터의 회전에 변환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등록 발명은 약제분사장치를 작동시키는 구동시스템이 정역 회전하는 D.C모터의 동력을 체인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어서, 오랜 기산 사용할 경우, D. 토크 현상에 의해 체인이 늘어나 정확한 각도조절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동에 따른 작동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약제분사장치의 각도조절 및 굴절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바라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팬(임펠라)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배출될 때 자바라튜브에 강한 송풍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간섭이 일어나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과 송풍압력이 떨어지고 풍량이 손실되는 등의 송풍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자바라튜브의 재질이 고무와 천으로 구성되어 각도조절 및 굴절작용, 풍압의 간섭 등에 의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제분사장치에 약제분사노즐만을 가지고 있어서 농작물에 농약을 살포하는 것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선등록 발명은 분사장치가 농약 방제기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서 농약 방제기가 탑재된 차량의 적재함 등에 따로 얹어서 사용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되어 기계적 고장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방제기는 트랙터와 연결되어 사용해야 하므로 적재함에 농약과 비료, 퇴비 등을 실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므로 운반차기능이 불가능하였고, 크기와 무게가 무거워서 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방제기는 물품을 적재하고 운반하기 위한 적재함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별도로 트랙터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반 적재함을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에 설치할 수 없어서 별도로 운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일반 농가에서는 운반차와 방제기와 비료 살포기를 각각 별도로 구입하여야 함으로써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농가의 보관장소가 좁아서 보관관리가 어려웠으며, 방제기를 사용한 후에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유지보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148호(1997.11.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4449호(2004.1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는 적재함을 구비하여 약제, 비료, 퇴비 등을 싣고 운반이 가능한 운반기능과, 약제를 분사하여 병충해를 방제하기 위한 방제기능과,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세척기능과, 비료를 싣고 다니면서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비료살포기능과, 퇴비를 살포할 수 있는 퇴비 살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궤도식 또는 차륜식 또는 배터리를 동력으로 이루어진 운반차나 차량 등의 적재함 상부에 약제탱크를 싣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로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차량 상부면에 약제탱크를 결합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비료 살포기를 적재함의 후부에 용이하게 교체 장착하여 비료를 살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부에 설치된 방제 살포노즐부를 이용하여 비료 또는 퇴비를 양방향 또는 어느 한 방향 또는 좌우측방 및 전방 등 180도 전면으로 살포할 수 있고, 회전살포도 가능한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도밭, 감귤밭 등의 과수원과 비닐하우스 등 좁은 지역에서도 주행 및 살포가 가능함으로써 주행이동성과 방제 및 비료 및 퇴비살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형 경량화시켜서 방제기의 무게가 가볍고 조작이 편리하여 포도밭, 감귤밭 등 과수원과 비닐하우스, 오리농장 등의 좁은 지역에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비료살포 및 방제 작업이 가능한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나 과수원 등 회전하기 어렵고 협소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미살포지역을 차단하여 살포 작업성 및 방제 작업성 등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이용하여 방제뿐만 아니라 방제 후, 장비의 세척을 할 수 있도록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이 가능한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4개의 지지 프레임들로 구성된 브라켓 프레임을 이용하여 운반차에 탑재 및 적재가 용이하고, 약액 살포시에는 전후좌우로 살포 및 분사가 가능하고, 세척 노즐부를 이용하여 차량 등을 세차할 수 있으며 경운기 등에 탑재하여 약제의 살포가 가능하며 운반차와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여 약제를 분사 및 살포할 수 있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송 주행부(102)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04)와,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얹혀져서 설치되는 적재함부(106)와, 상기 이송주행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이송 엔진부(108)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이동시키고 주행하며 방향을 전환하도록 이루어진 운반차(200)와; 상기 적재함부(106)에 적재되어 약제를 분사하여 각종 농작물의 방제를 하기 위한 송풍식 방제기(300)를 탑재하되,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는, 약제가 담겨지는 약제 탱크부(114)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펌프부(116)와; 상기 구동 펌프부(116)를 동작시켜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방제 엔진부(120)와;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동작에 의해서 약제 탱크부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서 노즐(46)을 통해서 약제를 분사하는 약제 노즐부(122)와; 상기 방제 엔진부(12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흡입팬(58)을 동작시키고 상기 흡입팬(58)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빨아들여서 배출하면서 약제를 분사시키기 위한 약제 송풍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는,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일측부에 연결 설치되어 장비나 잔류 약제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노즐부(11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하부에는 상기 운반차(200)에 송풍식 방제기를 탑재하기 위해 바닥에 지지시키고 좌우 길이와 상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브라켓 프레임부(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후면에는 상기 약제 노즐부(122)를 통해서 분사되는 약제의 방제 범위와 방제 방향을 전후좌우로 조절하는 방제 조절부(1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중앙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축공을 형성하여 상기 방제 엔진부(120)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는, 구동 펌프부(116)를 동작시켜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방제 엔진부(120)와; 상기 방제 엔진부(12)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동작하는 벨트(3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약제 노즐부(122)와 약제 송풍부(126)를 동작시키는 텐션조절장치(12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약제 노즐부(122)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콘부(43)가 형성된 노즐몸체(42)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 송풍부(126)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구비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콘부(43)를 따라 사방으로 퍼지면서 유입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약제 송풍부(126)에는 상기 약제 노즐부(122)를 통해 분무된 약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약제를 받아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받침판(5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운반차의 적재부에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조립하여 싣고 다니면서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과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로 해제하여 보관하거나 적재함으로 사용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으로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륜 또는 궤도를 이용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엔진부를 이용한 휠타입 및 배터리를 동력으로 이용한 운반차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약제탱크를 싣고 다니면서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작업을 함과 동시에 세척기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으며, 비료 살포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뛰어나며 살포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형경량화를 구현하여 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운반 적재함의 조립성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비료와 퇴비를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장치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고 작업 효율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가에서 일반 작업시에는 운반차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별도로 각각 1대씩 구입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구입한 후 운반차에 싣고 작업할 수 있어서 농민들에게는 매우 경제적이고 작업성이 쉬워지고 장치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쉬워지며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방제흐름을 보여주는 계통도
도 10은 본 발명의 텐션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두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간의 상호작용하는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방제흐름을 보여주는 계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텐션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를 설명하면, 먼저, 먼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100)는, 먼저 주행 이동이 가능한 운반차(200)와, 상기 운반차(200)의 상부에 적재 설치되어 각종 약제를 분무하거나 장비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송풍식 방제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차(200)는 무한차륜 또는 궤도를 이용하여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송 주행부(102),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04)와,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재함부(106)와, 상기 적재함부(106)의 전부에 설치되는 이송 엔진부(108) 및 조작부(110)와, 상기 적재함부(106)의 상부에 적재 설치되는 송풍식 방제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는 공기를 외부에서 흡입하여 노즐을 통해서 분사되는 약제를 유입된 공기를 통하여 외부로 다시 분무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는, 브라켓 프레임부(112)와,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2)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약제 탱크부(114)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후부에 설치되어 약제 및 세척수를 공급하는 구동 펌프부(116)와,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일측부에서 연장 설치되어 장비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노즐부(118)와,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후부에 설치되고 약제 송풍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제 엔진부(120)와, 상기 약제 탱크부(120)의 전부에 연결 설치되어 약제를 분사 및 분무하면서 방제하기 위한 약제 노즐부(122)와, 상기 약제 노즐부(122)의 상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약제의 분사각도 및 분사방향을 조절하는 방제 조절부(124)와, 상기 방제 조절부(124)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약제의 방제시 분무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방제 엔진부(120)와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는 약제 송풍부(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제 엔진부(124)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분무 세척을 하기 위한 구동 펌프부(116) 및 약제 방제를 하기 위한 약제 노즐부(122)와 약제 송풍부(126)를 동작시키기 위한 텐션연결장치(128)를 포함한다.
상기 방제 엔진부(120)의 엔진 속도에 따라 분사 및 살포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탱크부(114)가 구비된 송풍식 방제기(300)를 상기 적재함부(106)에서 분리하여 탈착 한 후, 적재물을 운반이송하기 위한 운반차(200)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진 및 후진의 이동 주행이 가능한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이송 주행부(102)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한쌍의 프레임이 구비된 프레임부(104)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는 적재함 수납부가 구비된 적재함부(106)가 설치된다.
상기 적재함부(106)의 전부에는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구동시키기 위해 동력원을 공급하는 이송 엔진부(108)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엔진부(108)의 전부에는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전진이동 및 후진 이동시킴과 동시에 좌우로 방향을 조절하여 이동하기 위한 조작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부(106)의 상부에는 송풍식 방제기(30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적재함부(106)에 설치되는 송풍식 방제기(300)에는 제초제, 살균제, 액체비료, 농약, 살충제 등 각종 약제와 세척수를 별도로 수납하도록 저장하는 악제 탱크부(114)가 설치되며,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좌측부에는 상기 약제 탱크부(114)에 저장된 약제를 분사하도록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펌프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약제 탱크부(114)에는 별도의 세척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일측부, 바람직하기로는 좌측부에는 세척 노즐부(118)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약제 탱크부(114)에 저장된 각종 약제와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 노즐부(1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척 노즐부(118)의 측부에는 방제 엔진부(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제 엔진부(120)는 상기 약제 노즐부(122) 및 약제 송풍부(126)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방제 엔진부(120)의 전부에는 약제 탱크부(114)가 위치되고 상기 약제 탱크부(114)는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제 엔진부(120)의 구동축이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상기 약제 송풍부(126)의 흡입팬을 동작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전부에는 다수의 노즐이 구비되어 약제를 살포하기 위한 약제 노즐부(122)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약제 노즐부(122)는 상기 약제 송풍부(126)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되 좌측부와 우측부로 분리되어 약제를 각각 살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 노즐부(122)의 상부에는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방제를 나눠서 할 수 있도록 방제 조절부(124)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펌프부(116)에는 상기 약제 노즐부(122)로 약제를 공급하여 분사시키도록 연결 설치되거나 상기 세척 노즐부(118)가 연결 설치되어 있어서 세척수를 공급하여 약제가 묻어 있는 부위나 각종 장치들을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 주행부(102)가 무한궤도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더 나아가서는 휠을 구비하는 차륜타입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 엔진부(108)에는 동력차단장치 또는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동력차단장치에 의해 분무기와 엔진의 동력전달이 단속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운반차로서 방제기가 주행하는 경우, 상기 분무기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분무기가 함께 동작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는 프레임부(104)가 설치되는바, 상기 프레임부(104)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면부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면에는 적재함부(106)가 설치되는바, 상기 적재함부(106)의 중간부에는 적재함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재함부(106)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는 상기 약제 탱크부(114)를 싣고 내리고 편리하도록 열고 닫힐 수 있는 오픈구조의 적재함 도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적재함부(106)는 그 후면부가 오픈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를 싣고 내리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적재함부(106)의 전부에는 이송 주행부(102)를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이송 엔진부(108)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킴과 동시에 정지 및 좌우 회전 이송시키기 위한 조작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약제 탱크부(114)는 제초제, 살균제, 액체비료, 농약, 살충제 등 다양한 종류의 약제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약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약제를 선택하여 약제 탱크부(114)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때에는 상기 약제 탱크부(114)에 다른 약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저장탱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우측부에는 방제를 하기 위해서 약제를 분사할 수 있는 약제 노즐부(122)가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약제 노즐부(122)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 노즐부(122)는 좌우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살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살포각도가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약제 노즐부(122)의 상기 적재함부(106)의 우측부 또는 후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약제가 후방향으로 살포되거나 좌우로 살포되도록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약제 노즐부(122)에는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릴이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세척 노즐부(118)는 건타입으로 형성되고 세척을 하기 위한 호스릴(34)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 노즐부(122)를 이용하여 방제한 후, 방제시 이송 주행부 및 적재함부 등 장치에 묻어 있는 잔류 약제들을 세척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약제 노즐부(122)에는 방제 조절부(1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제 조절부(124)는 상하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방제 조절부(124)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약제의 살포 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후부면에는 약제 송풍부(126)가 설치되는 바, 상기 약제 송풍부(126)는 흡입팬(58)을 구비하고 외측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면서 빨아들였다가 상기 약제 탱크부(14)의 후면부와 공기가 접하면서 좌우측방향으로 흩어지면서 강하게 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로서,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라켓 프레임부(1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2)의 상부에는 약제 탱크부(114), 구동 펌프부(116), 세척 노즐부(118), 방제 엔진부(120), 약제 노즐부(122), 방제 조절부(124) 및 약제 송풍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제 조절부(124)는 상기 약제 송풍부(126)의 송풍몸체(56)의 상부에 토끼 귀형상으로 고정 설치되고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하면서 각도가 위 아래로 조절된다.
계속해서, 도 4를 살펴보면, 송풍식 방제기(300)는 좌우측 방향으로 기역자 형상으로 꺽여져서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며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브라켓 프레임부(112)가 형성되는바,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2)는, 내부가 중공인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10,11)과, 상기 고정 프레임(10,11)의 내측에 끼워져서 좌우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이송 프레임(12,13)과, 상기 이송 프레임(12,13)의 일끝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고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약제 탱크부를 받쳐주도록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4,15))과, 상기 고정 프레임(10)을 횡방향으로 수직 교차하도록 고정되고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하부면을 받쳐주도록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 프레임(11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 프레임(12,13)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길게 연장되어 상기 약제 탱크부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적재함부(106)의 크기에 따라 넣고 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4,15)은 외측 기둥부와 내측 기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기둥부가 상기 외측 기둥부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4,1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적재함부(106)에 실을 때 높이를 맞추어서 손쉽게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약제 탱크부(114)는 상기 받침 프레임(16)의 상부에 엊혀져서 설치되고 사각형상의 수납통으로 이루어지는 약제탱크(18)가 설치되며 상기 약제탱크(18)의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축공(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공(20)에는 구동축(22)이 결합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2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축(22)에 처짐과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축 지지브라켓(24)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축 지지브라켓(24)의 하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910)의 중간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전면부에는 구동 펌프부(116)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구동 펌프부(116)는 약제를 공급하고,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본체(26)와, 상기 펌프본체(26)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28)와, 상기 구동풀리(28)에 일단이 감겨져서 회전하는 벨트(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본체(26)의 일측면부에는 상기 약제 탱크부(114)와 연결되는 공급호스(3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펌프본체(26)에는 세척 노즐부(118)가 연결 되어 약제를 방제한 후 기타 설비 및 장치에 묻어있는 각종 오염물질과 약제를 세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척 노즐부(118)는 플렉시블하고 길게 연장이 가능한 호스릴(34)이 상기 펌프본체(26)과 연결되고 상기 호스릴(34)의 끝단부에는 세척 분무기(36)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세척 분무기(36)는 조절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밸브를 조절함에 따라 직사형태와 분무형태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장비들을 세척한다.
이어서,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전면부 또는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측부에는 방제 엔진부(120)가 설치되는바, 상기 방제 엔진부(120)는 엔진본체(38)와, 상기 엔진본체(38)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엔진 동력축(40)과, 상기 엔진 동력축(40)에 구비된 풀리(41)를 포함한다.
상기 방제 엔진부(120)는 약제를 살포하고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엔진 동력축(40)에는 전술된 구동축(22)이 연결되어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풀리(41)에는 전술된 벨트(30)의 타단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 설치된 벨트(30)에는 상기 구동풀리(28)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 펌프부(116)를 동작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후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약제를 분사하거나 살포하기 위한 약제 노즐부(1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약제 노즐부(122)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콘부(43)가 형성된 노즐몸체(42)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몸체(42)의 후부에는 아치형상의 공급관(4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부(43)는 후면방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되고 경사부가 전면에서 후면 중앙부를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약제 송풍부(126)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콘부(43)의 경사부를 따라서 흐르면서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빠져나가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콘부(43)에 의해 방제되는 약제가 노즐을 통해서 좌측방향또는 우측방향으로 선택하여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약제 노즐부(122)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콘부(43)가 형성된 노즐몸체(42)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 송풍부(126)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구비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콘부(43)를 따라 사방으로 퍼지면서 유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44)은 좌우 대칭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관(44)에는 다수의 노즐(46)들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약제를 분사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반원형의 공급관을 따라서 반원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46)들은 각각 힌지에 의해 상기 공급관(44)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노즐(46)들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즐(46)들은 2개의 노즐공을 구비하며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44)의 중앙 상단부에는 노즐 브라켓(48)이 전후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노즐 브라켓(48)에는 아치형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조절공(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 브라켓(48)에는 비산 조절판(52,53)이 결합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비산 조절판(52,53)은 하단부가 핀, 볼트, 너트, 리벳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조절공(50)에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아치형상의 조절공(50)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비산 조절판(52,53)은 좌측상방향과 우측상방향을 향하도록 대칭으로 이루어진 한쌍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져서 설치되고 상기 비산 조절판(52,53)은 화살포 방향과 같이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산 조절판(52,53)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분사되는 약제의 방향과 방제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좌측부의 공급관(44)에 설치된 노즐(46)들에 약제를 공급하고 우측부의 공급관(44)에는 약제 공급을 중지함으로써 좌측방향으로만 방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그 반대쪽도 마찬가지로 조절 가능하며, 상기 비산 조절판(52,53)을 화살표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약제가 분사되는 각도를 90도 내지 180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비산 조절판(52,53)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산 조절판(50)은 일정한 각도만큼 절곡되어 소정의 회전각도(A)를 갖고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회전각도(A)는 0도 내지 90도 범위 내에서 조절공(50)과 연동 결합되어 상기 조절공(50)을 따라서 하단부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소정의 각도(A)가 0도 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노즐(46)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사각도가 좌측 또는 우측 90도 방향으로 분사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A)가 수직상방으로 90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약제가 상방으로 수직하게 분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산 조절판(52,53)을 이용하여 방제 범위를 좁게 또는 넓게 조절함으로써 방제가 필요한 장소에 따라서 방제범위를 조절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므로 방제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제 조절부(124)의 하단부에는 약제를 방제한 후 흘러내리는 약제를 받을 수 있도록 받침판(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54)은 약제를 저장할 수 있도록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박스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흘러내려서 받침판에 모여진 약제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약제 노즐부(122)의 노즐몸체(42)의 후면부에 형성된 콘부(43)의 앞부분에는 약제 송풍부(126)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약제 송풍부(126)는 원통형상의 송풍몸체(56)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풍몸체(56)의 내측부에는 흡입팬(5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팬(58)은 전술된 구동축(22)의 끝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동작된다.
상기 흡입팬(58)은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약제 노즐부(122)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되는 공기의 힘을 이용하여 약제를 분사한다.
상기 외부에서 흡입된 흡입공기의 흡입팬의 힘을 이용하여 멀리 보낼수 있고 강하게 보냄으로써 분사된 약액이 작물에 강하게 흡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배면도 그리고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 프레임부(112)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2)의 상부에 형성된 받침 프레임부(16)의 상부에 약제 탱크부(114)가 놓여져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좌측부에는 구동 펌프부(116)와 방제 엔진부(120)이 각각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펌프부(116)에는 장비 세척이 가능하게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척 노즐부(11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우측부에는 노즐을 구비한 약제 노즐부(122)와 상기 약제 노즐부(122)릍 통해 약제가 분사되는 경우, 분사되는 약액의 방향과 분사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방제 조절부(124)가 설치되며 상기 약제 노즐부(122)의 우측부에는 분사되는 약제의 분사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약제 송풍부(126)가 설치된다.
상기 약제 송풍부(126)의 송풍능력과 흡입능력은 상기 방제 엔진부(120)이 출력을 높여서 사용함에 따라 멀리 보낼수도 있고 강하게 보내어서 강한 흡착력이 생기도록 분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송풍식 방제(300)는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112)의 하부에 설치된 좌우측부의 지지 프레임(12,13)를 조절하여 벌리거나 좁히면서 상기 운반차(200)의 폭보다 넓게 위치시킨 후, 상기 운반차(200)를 이동시켜서 밀어 넣어서 적재함부(106)에 적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함부(106)의 좌우측부에 설치된 적재 칸막이는 분리탈착식으로 구비하여 송풍식 방제기(300)를 빠르게 싣고 내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약제 송풍부(126)는 내측부에 흡입팬(58)이 구비되고 상기 방제 엔진부(120)와 축결합 설치되어 상기 흡입팬(58)을 동작시키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여서 상기 약제 노즐부(122)의 콘부(43)으로 강하게 내보내고 이때 상기 콘부(43)에 형성된 쐐기모양의 경사부를 따라서 공기가 배출되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노즐몸체(42)에 부딪히면서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노즐(46)에서 약제가 분사되면 상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강하게 뿜어지면서 약제가 멀리 길게 날아가면서 비산이 이루어져서 농작물에 강한 흡착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일측부에는 세척 노즐부9118)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척 노즐부(118)는 방제후 약제의 잔류물을 씻어내거나 장비를 세척하는데 사용되고 송풍식 방제기(300)의 어느 위치라도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제 조절부(124)는 비산 조절판(52)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조절공(50)에 결합되어 조절공(50)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결합수단으로 결합 고정함에 따라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8과 같이, 상기 약제 송풍부(126)의 흡입팬(58)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콘부(43)의 경사부를 따라 유입되면서 좌우측 방향으로 분산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도9는 본 발명의 송풍식 방제기의 계통도로서, 방제 엔진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방제 엔진부(120)에는 구동 펌프부(116)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펌프부9116)에는 약제 노즐부(122)가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방제 엔진부(120)에는 구동축(22)과 구동풀리(28)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22)에는 상기 약제 송풍부(126)의 흡입팬(58)이 연결되어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외부공기를 흡입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송풍식 방제기(300)는 먼저 상기 방제 엔진부(120)를 동작시키고 상기 방제 엔진부(120)가 상기 약제 송풍부(126)을 동작시키며 이와 함께 상기 구동 펌프부(116)를 동작시켜서 약제 탱크부(114)에 저장된 약제를 약제 노즐부(122)를 통해서 분사시킨다.
그리고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를 실은 운반차(200)를 이동시키면서 약제를 분사하여 방제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제 엔진부(120)와 세척 노즐부(118)의 동력 차단은 벨트(30)의 탄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차단하고 연결시키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한 약액 살포방향 및 전후좌우 분사 조절은 상기 방제 엔진부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부(121)에 의해서 용이하게 조절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텐션연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구동펌프부(116)와, 약제 노즐부(122)와 약제 송풍부(126)로 전달되는 동력을 간헐적으로 전달하고 단속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텐션연결장치(128)는 먼저 역니은자 형상으로 절곡된 조절 브라켓(60)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브라켓(60)의 우측부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결합돌부(6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62)에는 힌지핀(68)이 끼움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 브라켓(60)에는 조절 손잡이(64)가 연결 설치되는바, 상기 조절 손잡이(64)는 전후방향으로 당기고 풀어줌으로써 탄력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 손잡이(64)는 원통형상의 긴 바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밴드형상의 직사각판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우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됨과 동시에 수직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힌지핀(68)이 좌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힌지핀(68)이 상기 결합돌부(62)에 결합되어 회전동작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절 손잡이(66)에는 고정공(7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70)에는 조절 스프링(72)의 일단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조절 스프링(72)의 전부에는 고정 브라켓(7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73)에는 푸셔(74)가 연결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회동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푸셔(74)의 중간부에는 힌지부(7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76)가 상기 고정 브라켓(73)에 회동 동작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힌집(76)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푸셔(74)의 하단부에는 고정공(7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푸셔(74)의 상단부에는 가압롤러(80)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푸셔(74)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가압롤러(80)가 이동하여 벨트(43)를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조절 손잡이(64)는 조절판(82)에 수직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절판(82)에는 다수의 조절공(8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손잡이(64)를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조절공(84)에 밀어 넣음으로써 탄력적으로 푸셔(74)를 동작시키고 상기 푸셔(74)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동력전달을 단속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절 손잡이(64)를 당겨서 후방향으로 이동하여 후부의 조절공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 스프링(72)의 탄력이 느슨해지면서 상기 푸셔(74)를 들어올려서 상기 가압롤러(80)가 벨트(43)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벨트(43)를 누르지 않고 해제하게 되며 구동축(22)과 펌프 구동축(29)로의 동력전달이 단절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텐션연결장치(128)에 의해서 방제 엔진부(120)의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구동 펌프부(116), 약제 노즐부(122), 약제 송풍부(126)와 세척 노즐부(118)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11 : 고정 프레임 12,13 : 이송 프레임
14 : 지지 프레임 16 : 받침 프레임
18 : 약제탱크 20 : 축공
22 : 구동축 24 : 축지지 브라켓
26 : 펌프본체 28 : 구동풀리
30 : 벨트 32 : 공급호스
34 : 호스릴 36 : 세척 분무기
38 : 엔진본체 40 : 엔진 동력축
42 : 노즐몸체 44 : 공급관
46 : 노즐 48 : 노즐 브라켓
50 : 조절공 52,53 : 비산 조절판
54 : 받침판 56 : 송풍몸체
58 : 송풍팬 60 : 조절 브라켓
62 : 결합돌부 64 : 조절 손잡이
66 : 조절손잡이 브라켓 68 : 힌지핀
70 : 고정공 72 : 조절 스프링
73 : 고정 브라켓 74 : 푸셔
76 : 힌지부 78 : 고정공
80 : 가압롤러 82 : 조절판
84 : 조절공
100 :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102 : 이송 주행부
104 : 프레임부 106 : 적재함부
108 : 이송 엔진부 110 : 조작부
112 : 브라켓 프레임부 114 : 약제 탱크부
116 : 구동 펌프부 118 : 세척 노즐부
120 : 방제 엔진부 122 : 약제 노즐부
124 : 방제 조절부 126 : 약제 송풍부
128 : 텐션연결장치

Claims (7)

  1. 이송 주행부(102)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04)와, 상기 프레임부(104)의 상부에 얹혀져서 설치되는 적재함부(106)와, 상기 이송주행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이송 엔진부(108)와, 상기 이송 주행부(102)를 이동시키고 주행하며 방향을 전환하도록 이루어진 운반차(200)와;
    상기 적재함부(106)에 적재되어 약제를 분사하여 각종 농작물의 방제를 하기 위한 송풍식 방제기(300)를 탑재하되,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는,
    약제가 담겨지는 약제 탱크부(114)와;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펌프부(116)와;
    상기 구동 펌프부(116)를 동작시켜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방제 엔진부(120)와;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동작에 의해서 약제 탱크부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서 노즐(46)을 통해서 약제를 분사하는 약제 노즐부(122)와;
    상기 방제 엔진부(12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흡입팬(58)을 동작시키고 상기 흡입팬(58)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빨아들여서 배출하면서 약제를 분사시키기 위한 약제 송풍부(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는,
    상기 구동 펌프부(116)의 일측부에 연결 설치되어 장비나 잔류 약제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노즐부(11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하부에는 상기 운반차(200)에 송풍식 방제기를 탑재하기 위해 바닥에 지지시키고 좌우 길이와 상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브라켓 프레임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탱크부(114)의 후면에는 상기 약제 노즐부(122)를 통해서 분사되는 약제의 방제 범위와 방제 방향을 전후좌우로 조절하는 방제 조절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식 방제기(300)는,
    구동 펌프부(116)를 동작시켜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방제 엔진부(120)와;
    상기 방제 엔진부(12)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동작하는 벨트(3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약제 노즐부(122)와 약제 송풍부(126)를 동작시키는 텐션조절장치(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노즐부(122)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콘부(43)가 형성된 노즐몸체(42)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 송풍부(126)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구비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콘부(43)를 따라 사방으로 퍼지면서 유입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송풍부(126)에는 상기 약제 노즐부(122)를 통해 분무된 약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약제를 받아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받침판(5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KR1020220072109A 2022-06-14 2022-06-14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KR20230172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109A KR20230172065A (ko) 2022-06-14 2022-06-14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109A KR20230172065A (ko) 2022-06-14 2022-06-14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065A true KR20230172065A (ko) 2023-12-22

Family

ID=8930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109A KR20230172065A (ko) 2022-06-14 2022-06-14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06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148B1 (ko) 1995-05-17 1998-04-02 김남훈 농약 방제기
KR200364449Y1 (ko) 2004-07-15 2004-10-11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발광다이오드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148B1 (ko) 1995-05-17 1998-04-02 김남훈 농약 방제기
KR200364449Y1 (ko) 2004-07-15 2004-10-11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발광다이오드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068B2 (en) Portable induction electrospraying apparatus and method
US4893755A (en) Pesticide spraying apparatus
KR101460991B1 (ko) 다목적 무인 방제용 차량
US4030244A (en) Metering and spray apparatus for horticultural applications
JP6165770B2 (ja) リキャプチャ用噴霧器シェル
KR20100032975A (ko) 시설원예 수확물 이송 및 방제장치
KR20100009157A (ko) 비닐하우스용 작물 약액 살포기
JP2008125514A (ja) 肥料・農薬散布器
US6622935B1 (en) Articulated crop spraying apparatus
KR20230172065A (ko) 운반차 탑재형 송풍식 방제기
KR200482553Y1 (ko) 분무기 겸용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 방제기
KR101752769B1 (ko) 관리기 부착형 약제 살포장치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2365358B1 (ko) 자주형 농업용 분무기
KR20230091543A (ko) 다목적 방제기
US9855570B1 (en) Mist blower
CN210101825U (zh) 一种多功能园艺作业车
US2986336A (en) Fogging machine
KR20160003343U (ko) 멀티 회전 송풍기를 갖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US9771953B1 (en) Mist blower with Venturi housing
KR200334565Y1 (ko) 농약살포용 대차
JP3067878U (ja) 農業用散布剤を散布するための散布装置
KR101585500B1 (ko) 하우스용 자동살포장치
CN214071384U (zh) 一种喷药用农业机械
KR102465257B1 (ko) 분사 높이와 방향이 조절되는 조향이동방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