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399A -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399A
KR20230090399A KR1020210178458A KR20210178458A KR20230090399A KR 20230090399 A KR20230090399 A KR 20230090399A KR 1020210178458 A KR1020210178458 A KR 1020210178458A KR 20210178458 A KR20210178458 A KR 20210178458A KR 20230090399 A KR20230090399 A KR 20230090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hole
protruding
in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엄덕호
이상훈
정기열
전현정
공동혁
박기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경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경,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경
Priority to KR102021017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399A/ko
Publication of KR2023009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은 대지에 매설되는 점적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드립(1);을 포함하는 드립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드립(1)은, 일측에 유입부(15)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10); 상기 본체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되며, 타측에 상기 유입부(15)와 연통될 수 있는 통공(24)이 형성된 패드 부재(20); 및 상기 통공(24)과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유입부(15)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감압로(32)가 형성되며, 상기 감압로(32)의 끝단에 상기 유입부(15)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분출공(35)을 갖는 배출 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부재(30)는, 상기 분출공(35)이 형성된 반대 측의 상면에 위치하는 잔류공간 홈(38); 및 상기 분출공(35)과 상기 잔류 공간 홈(38)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단턱(37);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단턱(37)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드립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Drip assembly for subsurface drip lines with preventing roots clogging}
본 발명은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돌출 구성으로 인해 지중 점적관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설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용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작물의 뿌리 침투 또한 방지하여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재배에 사용되는 지중 점적관은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통상 대지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10~40㎝ 정도를 매설한 상태에서 용수를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렇게, 대지에 매설되어 사용되는 지중 점적관은 넓은 대지에 심어진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됨은 물론 각 점적관에는 일정 간격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각각 배출공이 형성된다.
더욱이, 대지로 매설되는 지중 점적관은 짧게는 몇십 미터에서 길게는 몇백 미터에 이르는 긴 길이를 가지는 관계로, 항시 일정한 양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관건이다.
여기서, 용수의 공급은 펌프 등으로 가압 된 용수는 점적관을 통하여 각 배출공에서 분출됨에 따라 농작물로 공급되는 데, 이때 펌프와 가까운 배출공과 멀리 떨어진 배출공에서 일정한 양의 용수가 배출되도록 각 배출공에는 수압을 감압하여 분출하는 각각의 드립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대지에 매설되는 점적관에 적용되는 드립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5750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막이 삽입되는 수용 부재에 덮개 부재를 덮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관('용수 공급호스'에 해당) 내의 유동 압력의 변수들과는 무관하게 용수를 공급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7323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이미터 본체, 상기 이미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접합되어 개폐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이미터에 의해 관개용 액체의 토출량을 안정화하고 적은 부품수로 인해 제작 비용이 저렴한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859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용수의 유입이 분할 유입됨과 아울러 용수의 분출양 또한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버체, 본체, 조절 패드를 포함하는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및 3은 내장된 막 또는 조절 패드가 지중 점적관 내의 압력에 상관없이 항시 드립에 형성된 분출공이 개방되어 있는 관계로, 펌프와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 드립에서는 일부 많은 양의 용수를 공급하는 단점은 물론 간혹 작물의 뿌리가 드립의 분출공을 막아 용수의 공급에 차질을 빚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는 구조가 간단한 장점은 있으나, 선행기술문헌 1 및 3에서 가지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은 지중 점적관의 미세한 배출공 또는 분출공에 드립의 배출부를 맞추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여전 하였으며, 유입 용수의 압력에 대한 고찰이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57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732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85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2161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8285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486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981495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지중 점적관의 배출공과 드립의 배출부를 맞추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드립 내로 유입 용수의 압력이 감압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감압 양이 적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지중 점적관 내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용수의 유입 차단이 더욱더 효율적으로 차단되도록 함과 아울러 설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용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지중 점적관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떨어질 경우 드립의 유입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물의 뿌리 침투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작물의 뿌리나 이물질 등이 드립 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감압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미세 분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지에 매설되는 점적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드립(1);을 포함하는 드립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드립(1)은, 일측에 유입부(15)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10); 상기 본체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되며, 타측에 상기 유입부(15)와 연통될 수 있는 통공(24)이 형성된 패드 부재(20); 및 상기 통공(24)과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유입부(15)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감압로(32)가 형성되며, 상기 감압로(32)의 끝단에 상기 유입부(15)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분출공(35)을 갖는 배출 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부재(30)는, 상기 분출공(35)이 형성된 반대 측의 상면에 위치하는 잔류공간 홈(38); 및 상기 분출공(35)과 상기 잔류 공간 홈(38)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단턱(37);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단턱(37)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드립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잔류공간 홈(38)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유도 돌출돌기(39)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단턱(37)은 상기 유도 돌출돌기(39)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턱(37) 및 상기 유도 돌출돌기(39)에 의해 상기 점적관(100)의 배출공(110)을 통해 유입되는 재배 작물의 뿌리가 상기 분출공(35) 측으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공(110)은 상기 잔류공간 홈(38) 중, 상기 돌출단턱(37)과 상기 유도 돌출돌기(39)들에 의해 규정되는 내측 공간들 중 상기 분출공(35)과 먼 내측 공간의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립(1)의 전후에 결합되는 완충부(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5)는, 상기 점적관(100)에 접하는 바닥면(51); 상기 드립(1)에 결합되는 결합면(52); 및 상기 결합면(52)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경사면(5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5)는, 상기 결합면(5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52c)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52c)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10c)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53)에 의해 상기 점적관(100)의 전체 길이로 공급되는 용수의 감압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단턱(37)에 의해 돌출된 상기 점적관(100)의 돌출부에 상기 배출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0)은 레이저 방식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상기 유입부(15)에 바닥면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 차단턱(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부재(30)는, 상기 감압로(32) 상이되, 타측에서 일측으로 교호 형성되는 감압돌기(33)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감압돌기(33) 사이에 상기 감압로(32)가 위치하고, 상기 패드 부재(20)는 본체 하우징(10)의 내측 바닥면으로 밀착되도록 결합 고정되고, 상기 배출 부재(30)는 상기 본체 하우징(10) 내측이자 상기 패드 부재(20)에 밀착되도록 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출공(35)은 팽창공간의 밑면으로부터 그 팽창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돌출턱부(36)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부(36)에는 그 돌출턱부(36)의 주변을 돌아 분출되도록 상기 분출공(35)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로(36A)가 형성되고, 상기 미세로(36A)는 상기 돌출턱부(36)의 외주연 측은 넓고 상기 분출공(35) 측은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작물의 뿌리나 이물질 등이 드립 내로 유입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용수를 분출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지중 점적관의 배출공과 드립의 배출부를 맞추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드립 내로 용수가 유입되기 전 감압 유입시켜 안정적으로 유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드립 내로 용수가 분할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입량이 적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점적관 내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용수의 유입 차단이 더욱더 효율적으로 차단되도록 함과 아울러 설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용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점적관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떨어질 경우 드립의 유입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물의 뿌리 침투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의 분출량을 안정적으로 분출시켜 작물의 재배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키는 효과와 함께 드립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 확보는 물론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작물의 뿌리나 이물질 등이 드립 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용수 공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드립 사용의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감압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미세 분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의 분출이 더욱더 안정적이면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어셈블리 중 드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이 적용된 점적관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의 저면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의 측 단면도 및 정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드립(1)의 설명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드립(1) 구성과 드립(1)이 설치되는 점적관(100)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물의 재배에 있어 사용되는 점적관(100)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대지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10~40㎝매설되어 사용되며, 특히 점적관(100)의 각 배출공(110)에는 펌프로부터 먼 거리의 배출공(110)에서도 일정량의 용수가 배출되도록 각각의 드립(1)이 부착 고정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드립 어셈블리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드립(1)을 포함하는 드립 어셈블리가 부착 고정된 후 드립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되는 점적관(100)의 돌출부를 기준으로 레이저 방식으로 절삭하여 배출공(110)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단턱(37)의 타측의 잔류공간 홈(38)의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일측 분출공(35)으로의 이물 및 뿌리 유입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잔류공간 홈(38) 중, 돌출단턱(37)과 돌출돌기(39)들에 의해 규정되는 내측 공간들 중 분출공(35)과 먼 내측 공간의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대지로 매설되는 점적관(100)의 배출공(110) 각각의 밑면에 마련되어 용수의 분출 양을 조절하는 드립(1)은 본체 하우징(10), 패드 부재(20) 및 배출 부재(30)를 포함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점적관(100)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드립(1)이 마련되고, 이후 드립(1)에 의해 형성되는 점적관(100) 외부면 돌출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에 배출공(110)이 마련될 수 있다. 불투명 재질로 제조되는 점적관(100)의 특성을 고려하면, 정확한 위치에 배출공(110)을 타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립(1)이 점적관(100) 내측면에 마련되는 경우, 배출 부재(30)에 마련된 돌기들에 의해 점적관(100)가 돌출된 부분을 점적관(100) 외측에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배출공(110)을 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 하우징(10)은 직육면체 형태의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측에 패드 부재(20)와 배출 부재(3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단 테두리면은 배출 부재(30)와 함께 점적관(100)의 내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단 테두리면이 점적관(100)의 내측면과 컨포멀(conformal)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0)은 밑면의 일측에 점적관(1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용수가 분할 유입될 수 있는 복수의 유입공(12)이 형성되며, 내부 측의 바닥면에 상기 복수의 유입공(12)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면보다 더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 차단턱(14)이 형성되는 유입부(1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15)의 유입공(12)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용수가 하나의 유입공을 통하여 일괄적으로 유입되는 것에 비하여 분할 유입으로 인한 용수의 유입 압력이 강하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에 따라 드립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유입 압력을 감압하는 역할을 겸하게 됨은 물론 그로 인해 용수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후술할 완충부와 상승효과도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테두리 차단턱(14)은 후술할 패드 부재(20)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상면은 패드 부재(20)와 접촉시 선 접촉이 이루어져 긴밀하고 신속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4A)이 형성된다. 이는 패드 부재(20)가 압력 변화에 따라 신속하고 민감하게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테두리 차단턱(14)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것이다.
아울러, 바닥면에는 유입부(15)의 외측과 그 유입부(15)의 반대 측, 즉 타 측으로 유입된 용수가 흐를 수 있는 통로 공간홈(16)이 형성된다. 이는 패드 부재(20)에 형성되는 통공(24)을 통하여 용수가 상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패드 부재(2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유입 용수의 압력에 의해 공간이 열리며 용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유입부(15)의 반대 측, 즉 타 측에 유입된 용수가 통과되도록 통공(24)이 형성된다.
패드 부재(20)는 본체 하우징(10)의 바닥면과 배출 부재(30)의 밑면에서 기밀성이 우수하면서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등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통공(24)은 용수의 흐름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시 통공(24)의 직경을 필요로 하는 직경으로 형성함으로써, 용수의 흐르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통공(24)은 하나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조건이나 혹은 공급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것이다.
또한, 통공(24)은 본체 하우징(10)의 유입부(15) 및 배출 부재(30)의 분출공과 반대 측, 즉 타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는 유입부(15)를 통하여 유입된 용수가 통로 공간홈(16)으로 흐르면서 패드 부재(20) 타측에 위치한 통공(24)을 거쳐 통과한 후 다시 배출 부재(30)의 감압로(32)를 통하여 감압과 함께 반대 측, 즉 일 측으로 흐른 다음 팽창공간(34)에 형성된 분출공(35)을 통하여 분출된다.
그에 따라 용수 또한 유입부(15)에서 분출공(35)으로 직접 분출되는 것이 아니라 선회와 함께 감압 된 후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용수가 안정적으로 흐르면서 분출되는 것이다. 이는 용수가 분출시 고압으로 분출되지 않아 작물의 뿌리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구성요소 중의 하나이다.
특히, 패드 부재(20)에 유입부(15)의 테두리 차단턱(14)을 개폐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점적관(100) 내의 설정 압력에 따라 민감하게 개폐되는 중요한 기술적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패드 부재(20)는 평상시 유입부(15)의 테두리 차단턱(14)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여,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점적관(100)에 펌프 가동에 따른 용수가 점적관(100) 전체로 채워진 상태가 될 때까지 유입부(15)를 개방하지 않게 된다. 이는 펌프와 가까운 부분에서 먼저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점적관(100) 내에 전체적인 압력이 고르게 상승하여 설정 압력이 될 때까지 용수를 공급하기 않는 것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점적관(100)에 용수가 전체적으로 채워진 후 설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 패드 부재(20)는 탄성에 의해 유입부(15)의 테두리 차단턱(14)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승 됨으로써, 용수가 패드 부재(20)로 유입되고 배출 부재(30)를 통해 용수를 분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펌프의 가동이 중단됨에 따라 용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순간적으로 점적관(100) 내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는 데, 이때 패드 부재(20)는 신속하게 유입부(15)의 테두리 차단턱(14)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혹여 모를 점적관(100)의 배출공(110)과 드립(10)의 잔류공간홈(38)을 통하여 유입된 흙의 입자나 미세한 이물질로 인해 분출공(35), 통공(24) 또는 유입부(15)의 유입공(1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배출 부재(30)는 본체 하우징(10)의 내측이자 패드 부재(20)의 상부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패드 부재(20)를 본체 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 밀착시키도록 결합 고정되어 그 본체 하우징(10)과 함께 점적관(100)에 형성된 부착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하우징(10)의 상단 테두리면 내측으로 배출 부재(30)가 위치할 것이며, 배출 부재(30)의 후술할 돌출단턱(37)을 제외한 구성들은 상단 테두리면의 높이와 같거나 보다 낮게 형성될 것이다.
또한, 배출 부재(30)의 밑면에 용수의 감압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0.5~2㎜ 깊이의 통공(24)이 위치한 타 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교호로 형성되는 각각 감압돌기(33) 사이에 감압로(32)가 형성된다.
감압로(32)의 끝단에 형성되는 팽창공간(34) 상에 유입부(15)와 동일 선상으로 위치하는 분출공(35)이 형성된다.
분출공(35)은 팽창공간(34)의 밑면으로부터 그 팽창공간(3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돌출턱부(36)의 중앙에 형성된다.
돌출턱부(36)에는 그 돌출턱부(36)의 주변을 돌아 분출되도록 분출공(35)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로(36A)가 형성된다.
감압로(32) 및 감압돌기(33)는 0.5~2㎜ 깊이로 배출 부재(30)의 밑면에서 최대한 낮은 높이로 형성시켜 감압되는 용수의 양을 최소화시켜 원활한 감압과 함께 분출량 또한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깊이가 0.5㎜ 이하일 경우에는 용수의 공급이 너무 적고, 2㎜ 이상일 때에는 많은 양의 용수가 공급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배출 부재(30)는 본체 하우징(10)과 패드 부재(20)를 거친 용수가 최종적으로 대지로 분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패드 부재(20)의 통공(24)을 거친 용수를 교호로 형성되는 감압돌기(33)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로(32)에서 감압시켜 높은 압력이 아닌 감압 된 낮은 압력에 의해 더욱더 안정적으로 분출공(35)을 통하여 분출되고, 분출된 용수는 잔류 공간 홈(38)을 통해 점적관(100)의 배출공(110)으로 분출되어 작물의 뿌리로 공급된다.
특히, 돌출턱부(36)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로(36A)는 점적관(100) 내에 이상 압력 발생시 패드 부재(20)가 분출공(35)을 차단하게 되는데, 이때 돌출턱부(36)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로(36A)에 의해 용수는 지속적으로 분출된다.
그로 인해 점적관(100) 내의 이상 압력 발생시에도 작물로의 용수 공급이 끊이지 않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점적관(100) 내의 압력에 따라 용수를 더욱더 균일하고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용수 공급의 차단시에도 이물질로 인한 유입부(15)의 유입공(1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한 작물의 재배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
한편, 점적관(100)는 대지에 매설된 상태로 사용됨으로 인해 간혹 작물의 뿌리가 드립(1)의 내부로 유입되어 드립(1)의 분출공(35)을 막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본 발명의 드립(1)에서는 이러한 작물의 뿌리가 드립(1)의 분출공(35)을 막는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배출 부재(30)의 분출공(35)이 형성된 반대 측, 즉 타 측의 상면에는 재배 작물의 뿌리가 분출공(35)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용수의 일부가 잔류하여 점적관(100)의 배출공(110)으로 배출되는 잔류 공간 홈(38)이 형성되며, 잔류 공간 홈(38)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유도 돌출돌기(39)와, 그리고, 분출공(35)과 잔류 공간 홈(38) 사이에서 유도 돌출돌기(39)보다 더 돌출 형성(유도 돌출돌기(39)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짐)되며, 본체 하우징(10)의 상단 테두리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턱(37)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작물의 뿌리가 생장하면서 점적관(100)의 배출공(110)을 통하여 유입되어 분출공(35)까지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적관(100)의 배출공(110)은 잔류 공간 홈(38) 중 돌출단턱(37)과 유도 돌출돌기(39)들에 의해 규정되는 내측 공간들 중 분출공(36)과 먼 내측 공간에 상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유입된 뿌리는 잔류 공간 홈(38)으로 유도될 것이며, 그 유도된 작물의 뿌리는 복수의 유도 돌출돌기(39) 사이에 끼워지면서 분출공(35)까지의 진행이 방해되어 작물의 뿌리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분출공(35)과 잔류 공간 홈(38) 사이에 위치하되 더 높게 형성되는 돌출단턱(37)에 의해 분출공(36) 측 복수의 유도 돌출돌기(39)로 진행되기 전 작물의 뿌리가 차단될 것이다.
아울러, 용수가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작물의 뿌리는 용수의 일부가 잔류하는 잔류 공간 홈(38) 구체적으로, 돌출단턱(37)의 타 측으로 유도됨에 따라 분출공(35)이 작물의 뿌리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원천 봉쇄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드립(1)은 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작물의 뿌리나 이물질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에 드립(1)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한편, 이를 위한 점적관(100)에 형성되는 각 배출공(110)은 돌출단턱(37)의 타 측, 즉, 잔류 공간 홈(38) 중 돌출단턱(37)과 유도 돌출돌기(39)들에 의해 규정되는 내측 공간들 중 분출공(36)과 먼 내측 공간에 상응 하도록 원형 또는 장방형의 타원 형태로 형성될 것이다. (도 4 참조)
이에 따라, 돌출턱부(36)에 형성된 분출공(35)을 통하여 분출되는 용수가 더욱더 안정적으로 분출되어 작물의 뿌리로 원활하게 용수를 공급할 것이다.
그리고 점적관(100) 내에 이상 압력으로 인해 패드 부재(20)가 분출공(35)을 차단하여도 미세로(36A)가 용수를 공급하여 팽창공간(34) 내의 용수는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미세로(36A)는 돌출 턱부(36)의 외주연 측은 넓고 분출공(35) 측은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출공(35)이 패드 부재(20)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도 팽창공간(34) 내의 용수는 돌출 턱부(36)의 외주연 측으로 넓게 형성된 부분을 통하여 미세로(36A)로 유입되는데, 언급한 바와 같이 미세로의 분출공(35) 쪽은 좁게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동일한 폭을 가지는 미세로(36A)에 비해 더욱 원활하게 유입되고 분출될 것이다.
완충부(5)의 설명
도 7 내지 도 8를 더 참고하여 드립(1)의 전후에 결합되는 완충부(5)를 설명한다.
완충부(5)는 점적관(100) 내의 용수가 드립(1)으로 유입되기 전 유입 압력을 1~2차 감압하여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바닥면(51), 결합면(52), 경사면(53) 및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바닥면(51), 결합면(52) 및 경사면(53)의 좌우 측면으로 구비된다.
바닥면(51)은 점적관(100)에 접하는 부분으로, 본체 하우징(10)의 상단 테두리면과 동일하게 곡면으로 컨포멀하게 형성되어 점적관(100)에 밀착될 것이다.
결합면(52)은 드립(511)에 결합되는 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면(52)에 형성된 결합돌기(52c)가 본체 하우징(10)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10c)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끼움 결합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걸쇠 잠금 방식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경사면(53)은 결합면(52)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본체 하우징(10)의 상단 테두리면과 동일한 높이에서 결합면(52)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질 것이다.
완충부(5)가 없이 드립(1) 만이 점적관(100)에 설치될 경우, 드립(1)의 측부로 인해 감압되는 용수의 압력이 커져서 점적관(10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유압이 유지되기 쉽지 않은데,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5)를 드립(1)의 전후로 설치할 경우, 완충부(5)의 경사면(53)에 의해 드립(1)에 감압되는 압력이 최소화되어 점적관(100)의 전체 길이에 따라 최초 공급된 용수의 유압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8 참조)
1: 드립
10: 본체 하우징 10c: 결합홈
12: 유입공
14: 테두리 차단턱 14A: 경사면
15: 유입부 16: 통로 공간홈
19: 홈부
20: 패드 부재 22: 차단 돌출부
24: 통공
30: 배출 부재
32: 감압로 33: 감압돌기
34: 팽창공간 35: 분출공
36: 돌출 턱부 36A: 미세로
38: 잔류 공간 홈 39: 유도 돌출 돌기
5: 완충부
50: 본체 51: 바닥면
52: 결합면 52c: 결합돌기
53: 경사면
100: 점적관 110: 배출공

Claims (9)

  1. 대지에 매설되는 점적관(100)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드립(1); 및
    상기 드립(1)의 전후에 결합되는 완충부(5);를 포함하는 드립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드립(1)은,
    일측에 유입부(15)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10);
    상기 본체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되며, 타측에 상기 유입부(15)와 연통될 수 있는 통공(24)이 형성된 패드 부재(20); 및
    상기 통공(24)과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유입부(15)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감압로(32)가 형성되며, 상기 감압로(32)의 끝단에 상기 유입부(15)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분출공(35)을 갖는 배출 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부재(30)는,
    상기 분출공(35)이 형성된 반대 측의 상면에 위치하는 잔류공간 홈(38); 및
    상기 분출공(35)과 상기 잔류 공간 홈(38)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단턱(37);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단턱(37)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드립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공간 홈(38)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유도 돌출돌기(39)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단턱(37)은 상기 유도 돌출돌기(39)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턱(37) 및 상기 유도 돌출돌기(39)에 의해 상기 점적관(100)의 배출공(110)을 통해 유입되는 재배 작물의 뿌리가 상기 분출공(35) 측으로 유입되지 않는,
    드립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110)은 상기 잔류공간 홈(38) 중, 상기 돌출단턱(37)과 상기 유도 돌출돌기(39)들에 의해 규정되는 내측 공간들 중 상기 분출공(35)과 먼 내측 공간의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드립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1)의 전후에 결합되는 완충부(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5)는,
    상기 점적관(100)에 접하는 바닥면(51);
    상기 드립(1)에 결합되는 결합면(52); 및
    상기 결합면(52)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경사면(53)을 포함하는,
    드립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5)는,
    상기 결합면(5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52c)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52c)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10c)과 결합되는,
    드립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53)에 의해 상기 점적관(100)의 전체 길이로 공급되는 용수의 감압이 최소화되는,
    드립 어셈블리.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턱(37)에 의해 돌출된 상기 점적관(100)의 돌출부에 상기 배출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10)은 레이저 방식에 의해 형성된 것인,
    드립 어셈블리.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상기 유입부(15)에 바닥면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 차단턱(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부재(30)는,
    상기 감압로(32) 상이되, 타측에서 일측으로 교호 형성되는 감압돌기(33)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감압돌기(33) 사이에 상기 감압로(32)가 위치하고,
    상기 패드 부재(20)는 본체 하우징(10)의 내측 바닥면으로 밀착되도록 결합 고정되고, 상기 배출 부재(30)는 상기 본체 하우징(10) 내측이자 상기 패드 부재(20)에 밀착되도록 결합 고정되는,
    드립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공(35)은 팽창공간의 밑면으로부터 그 팽창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돌출턱부(36)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부(36)에는 그 돌출턱부(36)의 주변을 돌아 분출되도록 상기 분출공(35)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세로(36A)가 형성되고,
    상기 미세로(36A)는 상기 돌출턱부(36)의 외주연 측은 넓고 상기 분출공(35) 측은 좁게 형성되는,
    드립 어셈블리.
KR1020210178458A 2021-12-14 2021-12-14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 KR20230090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458A KR20230090399A (ko) 2021-12-14 2021-12-14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458A KR20230090399A (ko) 2021-12-14 2021-12-14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399A true KR20230090399A (ko) 2023-06-22

Family

ID=8698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458A KR20230090399A (ko) 2021-12-14 2021-12-14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39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750A (ko) 1997-10-14 2001-02-26 미하우다 라팰 개선된 관개 에미터 유닛
KR100748604B1 (ko) 2007-02-14 2007-08-10 소재용 용수도관의 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분출공을갖는 용수도관
JP2016073238A (ja) 2014-10-07 2016-05-1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KR101828597B1 (ko) 2016-08-05 2018-02-13 주식회사 남경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
KR101981495B1 (ko) 2017-08-31 2019-05-23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포그 드립
KR102216180B1 (ko) 2020-06-22 2021-02-16 소인철 매설형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750A (ko) 1997-10-14 2001-02-26 미하우다 라팰 개선된 관개 에미터 유닛
KR100748604B1 (ko) 2007-02-14 2007-08-10 소재용 용수도관의 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분출공을갖는 용수도관
JP2016073238A (ja) 2014-10-07 2016-05-1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KR101828597B1 (ko) 2016-08-05 2018-02-13 주식회사 남경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
KR101981495B1 (ko) 2017-08-31 2019-05-23 남경이엔지 주식회사 포그 드립
KR102216180B1 (ko) 2020-06-22 2021-02-16 소인철 매설형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2759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CN107613757B (zh) 发射器及滴灌用输送管
CN108289424B (zh) 发射器和滴灌用输送管
US10542683B2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
US8496193B2 (en) Fluid control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drip irrigation emitters
BR112016002731B1 (pt) emissor elastomérico e métodos relacionados ao mesmo
US9022059B2 (en) Flow regulator for agricultural drip emitter
US4502631A (en) Trickle irrigation unit
CN107920479B (zh) 发射器及滴灌用输送管
WO2008035335A2 (en) Drip irrigation hoses of the labyrinth type and flow–control elements for producing such hoses
CN108024516B (zh) 发射器及滴灌用输送管
KR20190122778A (ko) 점적급수노즐
KR20230090399A (ko) 뿌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 점적관용 드립 어셈블리
US20160227716A1 (en) Drip irrigation tube
KR102216180B1 (ko) 매설형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
KR101390952B1 (ko) 점적급수노즐 및 이를 갖는 점적급수호스
KR20220063614A (ko) 지중 관수 호스용 드립
KR102191010B1 (ko) 용수 도관용 띠 드립
US6186423B1 (en) Irrigation system
KR100804020B1 (ko)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
KR20160027729A (ko) 관수 시설용 점적 버튼
KR101883098B1 (ko) 물의 공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점적호스
US20190255465A1 (en) Irrigation Coupling with Integral Filter
KR20200011746A (ko) 감압라이너를 구비한 점적호스
WO2021045032A1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