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020B1 -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 - Google Patents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020B1
KR100804020B1 KR1020070000100A KR20070000100A KR100804020B1 KR 100804020 B1 KR100804020 B1 KR 100804020B1 KR 1020070000100 A KR1020070000100 A KR 1020070000100A KR 20070000100 A KR20070000100 A KR 20070000100A KR 100804020 B1 KR100804020 B1 KR 10080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derground
outlet
inlet
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김진현
Original Assignee
김기동
김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동, 김진현 filed Critical 김기동
Priority to KR1020070000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building block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에 관한 것으로, 관수기를 지중에 매설할 때 상기 관수기에서 용수가 흐르는 통로에 흙 등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중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는 몸체 상부에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지표면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이 뾰족한 첨단부가 형성된 공지의 관수기에 있어서, 몸체 내부에 유입구에서 첨단부 부근으로 연결되는 유도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로에 연결된 배출구를 첨단부 부근에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를 복수개로 형성하거나 또는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양측에 배출구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전방으로 외향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된 커버를 배출구의 개구부에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관수기의 지중 매설시 상기 관수기에서 용수가 흐르도록 하는 통로가 흙 등에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농작물이나 기타 식물이 식재된 지중 근역으로 용수를 원활하게 관수할 수 있어 농작물이나 기타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Sprinkler of Subterranean Sprinkle Apparatus}
도 1은 종래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를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관수 장치와 관수기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관수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관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부호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수기 11 : 몸체 12 : 첨단부
13 : 유입구 14 : 유도로 15 : 배출구
16 : 커버 17 : 통공 18 : 돌출편
19 : 저수조 20 : 펌프 21 : 연결호스
22 : 메인호스 23 : 지중관수 장치
본 발명은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물에 물을 공급할 때 지중 근역에 용수를 직접 공급하기 위하여 작물의 인근에 매설되는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작물에 물을 공급할 때 지중 근역에 용수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관수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물의 인근에 관수기를 매설하고, 상기 관수기에 용수공급하여 관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지중관수 장치와 관수기를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10-2005-0069851호(지중관수 시스템)으로 출원한 바 있으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지중관수 장치(109)는 저수조(107)에 저장된 용수를 펌핑하여 공급하기 위한 펌프(108)와, 상기 펌프(108)에 의하여 공급된 용수를 지중으로 공급하기 위한 관수기(100)와, 펌프(108)와 관수기(100)를 연결하는 메인호스(106) 및 연결호스(105)로 되며, 상기 관수기(10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101) 상부에 연결호스(105)가 연결되는 유입구(10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1) 하부에 지표면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이 뾰족한 첨단부(10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03)로 공급된 용수가 흐르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유입구(103)에서 첨단부(102)에 까지 연장된 유도홈(104)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 지중관수 장치(110)는 펌프(108)에 의하여 저수조(107)에 저장된 용수가 메인호스(106) 및 연결호스(105)를 통해 관수기(100)의 유입구(103)로 공급되고, 이어서 유도홈(104)을 타고 첨단부(102) 측으로 흘러내린 후 지중 근역에 관수되어 농작물 또는 기타 식물에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관수기(100)는 몸체(101)의 상측으로 공급된 용수가 하측으로 흘르도록 하는 통로인 유도홈(104)이 개방된 것이어서 이를 지중에 삽입 설치할 때 흙 등이 상기 유도홈(104)의 내부에 삽입되어 채워지게 되므로 유도홈(104)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공급받은 용수를 지중 근역으로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수기에서 용수가 흐르는 통로를 상기 관수기의 몸체 내부에 형성하고 흙 등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중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는 몸체 상부에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지표면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이 뾰족한 첨단부가 형성된 공지의 관수기에 있어서, 몸체 내부에 유입구에서 첨단부 부근으로 연결되는 유도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로에 연결된 배출구를 첨단부 부근에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를 복수개로 형성하거나 또는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양측에 배출구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전방으로 외향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된 커버를 배출구의 개구부에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관수기의 지중 매설시 상기 관수기에서 용수가 흐르도록 하는 통로가 흙 등에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농작물이나 기타 식물이 식재된 지중 근역으로 용수를 원활하게 관수할 수 있어 농작물이나 기타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관수 장치와 관수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되는 몸체(11)의 상측에 연결호스(21)가 연결되는 유입구(13)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의 하측에 지중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을 원추형으로 형성한 첨단부(12)를 형성하며, 아울러 상기 몸체(11)의 첨단부(12) 부근에 통공(17)을 형성한다.
또한, 몸체(11)의 내부에 용수가 흐르는 통로인 유도로(14)를 형성하는데, 상기 유도로(14)의 일측은 유입구(13)에 연결하고, 타측은 배출구(15)에 연결하여 형성하며, 배출구(15)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관수기(10)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러한 관수기(10)를 농작물이나 기타 식물이 식재된 부근의 지중에 매설하고, 저수조(19)에 연결된 펌프(20)에 메인호스(22)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메인호스(22)와 관수기(10)의 유입구(13)를 연결하는 연결호스(21)를 설치하여 지중관수 장치(23)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된 지중관수 장치(23)는 펌프(20)의 작동에 의해 저수조(19)에 저장된 용수가 메인호스(22)와 연결호스(21)를 거쳐 관수기(10)의 유입구(13)로 공급된 후, 유도로(14)를 통해 배출구(15) 측으로 흘러내린 다음, 상기 배출구(15)를 통해 지중 근역으로 관수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중관수 장치(23)의 관수기(10)는 유도로(14)를 몸체(11) 내부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관수기(10)를 지중에 매설할 때 흙 등이 유도로(14)에 채워져 상기 유도로(14)가 폐쇄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며, 그러므로 용수의 원활한 관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관수기(10)의 하부에 배출구(15)를 복수개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충분한 범위의 근역에 관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관수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7)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7)의 전방으로 외향 돌출된 돌출편(18)이 형성된 커버(16)를 관수기(10)의 배출구(15) 개구부측에 설치하여 된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는 유도로(14)를 통해 배출구(15)로 유입된 용수가 통공(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지중 근역으로 관수되는 것이며, 상기 관수기(10)의 매설시 커버(16)에 의하여 흙 등이 배출구(15)와 유도로(14)로 삽입 채워지는 현상이 더욱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16)와 일체로 되며 통공(17)의 전방 위치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18)이 통공(17)을 통해 흙 등이 배출구(15)로 삽입될 우려가 더욱 배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흙 등에 의한 배출구(15)나 유도로(14)의 막힘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농작물이나 기타 식물이 식재된 지중 근역에 효과적인 관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관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관수기(10)의 배출구(15)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관수기(10)의 몸체(11)를 완전 관통시켜 상기 몸체(11)의 양측으로 배출구(15)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된 것이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는 배출구(15)를 몸체(11)의 양측에 형성함으로써 용수가 지중의 다양한 방향으로 배출 관수되도록 한 것이며, 이에 따라 충분한 범위의 지중 근역에 효과적으로 관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농작물이나 기타 식물이 식재된 지중에 관수를 위하여 매설되는 관수기의 유도로와 배출구에 흙 등이 삽입되어 상기 유도로나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된 것으로, 상기 관수기를 지중에 매설할 때 유도로나 배출구가 흙 등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용수를 지중 근역에 원활하게 공급 관수할 수 있고, 배출구를 복수개로 함과 아울러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범위의 지중 근역에 용수를 관수할 수 있게 되는 등 효과적인 관수가 이루어져 농작물이나 기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11)상부에 연결호스(21)와 연결되는 유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의 하부에 지표면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선단이 원추형인 첨단부(12)가 형성되며, 몸체(11) 내부에 형성되며 유입구(13)에서 첨단부(12)부근으로 연결되는 유도로(14)와, 첨단부(12) 부근에 형성되며 유도로(14)에 연결된 배출구(15)를 구비한 공지의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에 있어서, 배출구(15)의 개구부에 통공(17)이 형성된 커버(16)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장치의 관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전술한 커버(16)와 일체로 되며, 통공(17)의 전방으로 외향 돌출된 돌출편(18)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관수장치의 관수기.
KR1020070000100A 2007-01-02 2007-01-02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 KR10080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100A KR100804020B1 (ko) 2007-01-02 2007-01-02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100A KR100804020B1 (ko) 2007-01-02 2007-01-02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020B1 true KR100804020B1 (ko) 2008-02-18

Family

ID=3938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100A KR100804020B1 (ko) 2007-01-02 2007-01-02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0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789B1 (ko) 2011-05-02 2013-08-29 김민수 지중 관수기
KR20200073754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단용 지중 유체 공급장치
KR20200001481U (ko) * 2018-12-26 2020-07-06 이상복 물과 액형비료 주사 내장 말뚝
KR20240057120A (ko) 2022-10-24 2024-05-02 국립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팜을 위한 작물재배용 지중관비 스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5622A1 (fr) 1987-09-01 1989-03-08 Roger Mobillion Dispositif de micro-irrigation en sous-s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5622A1 (fr) 1987-09-01 1989-03-08 Roger Mobillion Dispositif de micro-irrigation en sous-so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789B1 (ko) 2011-05-02 2013-08-29 김민수 지중 관수기
KR20200073754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단용 지중 유체 공급장치
KR102234476B1 (ko) * 2018-12-14 2021-03-31 대한민국 화단용 지중 유체 공급장치
KR20200001481U (ko) * 2018-12-26 2020-07-06 이상복 물과 액형비료 주사 내장 말뚝
KR200493470Y1 (ko) * 2018-12-26 2021-04-06 이상복 물과 액형비료 주사 내장 말뚝
KR20240057120A (ko) 2022-10-24 2024-05-02 국립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팜을 위한 작물재배용 지중관비 스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437B2 (en)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moting deep root growth of a plant
US2536196A (en) Subsurface irrigation system
KR100804020B1 (ko) 지중관수 장치의 관수기
JP2008503225A (ja) 潅水装置
US20230086006A1 (en) Sub-surface soil irrigation
US20150373934A1 (en)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moting deep root growth of a plant
US20150013220A1 (en) Save-A-Tree-System Apparatus
CN205161389U (zh) 一种农业水利灌溉装置
CN105028131B (zh) 一种果园小管出流灌溉系统终端的设置结构
RU2685139C1 (ru) Способ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плодово-ягодных, кустарниковых культур и цветочных растений
CN207692594U (zh) 一种乔木地下分根滴灌装置
US11818989B2 (en) Irrigation device for promoting deep root growth of a plant
CN109122223A (zh) 一种立体绿化智能节水灌溉系统
CN108934967A (zh) 一种多功能农田灌溉系统
CN204146126U (zh) 一种农用灌溉装置
WO2020019013A1 (en) Irrigation device
US5984202A (en) Hybrid low flow and spray irrig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712961B1 (ko) 지중관수 시스템
CN217905140U (zh) 一种滴灌水肥装置
KR101024597B1 (ko) 스프링클러
GB2263853A (en) Underground watering apparatus
CN205567310U (zh) 多用途灌溉装置
US20230040694A1 (en) Root irrigation system
US20220369576A1 (en) Irrigation system and reservoir with self-sealing openings
KR200420132Y1 (ko) 휴대용 지하 주수기(携帶用 地下 注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