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908A - Dish having concave bottom - Google Patents

Dish having concave bott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908A
KR20230089908A KR1020210178678A KR20210178678A KR20230089908A KR 20230089908 A KR20230089908 A KR 20230089908A KR 1020210178678 A KR1020210178678 A KR 1020210178678A KR 20210178678 A KR20210178678 A KR 20210178678A KR 20230089908 A KR20230089908 A KR 20230089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present
curve
concave
concave bot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0972B1 (en
Inventor
이혁
Original Assignee
(주)거창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창유기 filed Critical (주)거창유기
Priority to KR102021017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972B1/en
Publication of KR2023008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9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는, 음식물이 놓이는 상측면 및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측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측면은 상기 상측면의 외주연 중 임의의 두 지점을 연결한 선 중 가장 긴 선에 수직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좌우가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면은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dish with a concave bottom. A dish with a concav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rface on which food is placed and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upper surface connects any two point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around an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longest line of one line, and the lower side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surface.

Description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DISH HAVING CONCAVE BOTTOM}A dish with a concave bottom {DISH HAVING CONCAVE BOTTOM}

본 발명은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시와 맞닿는 접촉면 방향으로 바닥이 오목하게 돌출된 형상의 접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 with a concave bott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 with a concave bottom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ish.

접시는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접시는 음식을 먹기 좋도록 담거나 음식이 담긴 그릇의 밑에 사용된다.Dish is a general term for a flat bowl with a low bowl. These plates are used to serve food or to serve under a bowl of food.

통상적인 접시는 바닥면에 놓였을 때, 접시가 흔들리지 않도록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접시의 형상에 따라 바닥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굽이 형성되어 굽이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굽은 접시의 바닥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돌출하여 형성된 구조물을 의미한다.A typical dish has a flat bottom so that the dish does not shake when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ish, if the bottom is not flat, at least one heel is formed to bring the heel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Here, it means a structur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ent plate toward the ground.

즉, 기존의 접시들은 접시가 바닥면에 놓였을 때 접시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였다.That is, existing plates are manufactured in a shape to prevent the plate from shaking when the plate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r include a separate configuration to prevent the plate from shaking.

상술한 바와 같은 음식물이 담긴 접시가 바닥면에서 흔들리면 안된다는 고정관념은 다양한 형상으로 접시를 제작하거나 사용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접시를 만드는데 한계점으로 작용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stereotype that a plate containing food should not be shaken on the floor has served as a limitation in manufacturing plates in various shapes or providing a special experience to users.

이에, 독특한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접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Accordingly, a need for a dish that has a unique structure and can provide a unique experience to a user has emerg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그릇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 with a concave bottom that has a different shape from existing dishes and can provide a unique experience to user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는, 음식물이 놓이는 상측면 및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측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측면은 상기 상측면의 외주연 중 임의의 두 지점을 연결한 선 중 가장 긴 선에 수직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좌우가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면은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A dish with a concav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upper surface on which food is placed and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upper surface is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It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on the left and right around an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longest line among the lines connecting any two points,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측면은, 상기 하측면의 종단면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ide surface, a curv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may b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ower side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측면의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은, 상기 곡선의 모든 지점에서의 곡률이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ower surface may have the same curvature at all points of the cur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측면의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은, 상기 곡선의 임의의 지점 중 적어도 두 지점의 곡률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rv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ower surface, at least two points among arbitrary points of the curve may have different curvatures.

상술한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에 따르면, 기존의 접시의 형상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다양한 형상의 접시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dish having a concave bottom,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dishes of various shapes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stereotypes about the shape of the dish.

또한, 접시를 사용하는데 있어 사용자들에게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ffect of providing a new and different experience to users in using the dis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이 오목현 형상이 접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면의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dish having a concav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plate having a bottom concave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lower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present in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dish having a concav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100)는 음식물이 놓이는 상측면(110)을 포함한다.A plate 100 having a concav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rface 110 on which food is placed.

상기 상측면(110)은 상기 상측면(110)의 외주연 중 임의의 두 지점을 연결한 선 중 가장 긴 선인 제1 가상의 선의 중심에서 수직하는 제2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upper side surface 110 is asymmetrical on the left and right based on a second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first imaginary line, which is the longest line among lines connecting arbitrary two point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ide surface 110. formed into a shape

여기에서 상측면(110)의 외주연이란, 상측면의 바깥 둘레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측면(110)의 외주연 중 임의의 두 지점을 연결한 선 중 가장 긴 선 제1 가상의 선은 선 a를 의미한다.Here,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ide surface 110 mean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surface. Therefore, among the lines connecting arbitrary two point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ide surface 110, the first imaginary line, the longest line, means line a.

또한, 제1 가상의 선 a에 수직인 또 다른 가상의 제2 가상의선은 a'이 된다. 따라서, 제1 가상의 선의 중심에서 수직하는 제2 가상의 선을 지준으로 좌우가 비대칭이라는 것의 의미는 제2 가상의 선 a'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인 형상임을 의미한다. In addition, another imaginary second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imaginary line a becomes a'. Therefore, the meaning that the left and right are asymmetrical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first imaginary line means that the left and right are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imaginary line a'.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면(110)이 제2 가상의 선 a'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측면(110)에 음식물이 담겼을 때 그릇이 자연스럽게 잘 흔들리게 하기 위해서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upper side 110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econd imaginary line a' is to allow the bowl to shake naturally when food is put on the upper side 110. am.

통상적으로, 음식물은 접시의 중앙부에 담기게 되는데 음식물이 담기는 상측면(110)이 임의의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그릇이 하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라 하더라도 그릇이 흔들리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Normally, food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If the upper side 110 containing the food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on the left and right based on an arbitrary imaginary line, the bowl will not shake even if the lower side is concave. There may be cases where it does not.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100)의 상측면(110)을 제2 가상의 선 a'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측면(110)의 중앙부에 음식물이 담기더라도 그릇이 자연스럽게 잘 흔들리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pper side 110 of the dish 100 having a concav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asymmetric shape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econd imaginary line a', so that the upper side 110 Even if food is put in the center of the bowl, it is made to shake well natural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이 오목한 형상의 접시(100) 하측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lower surface of the dish 100 having a concav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이 오목현 형상이 접시의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a plate having a bottom concave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측면(120)은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측면(120)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하측면(120)의 종단면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12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surface. Since the lower side surface 12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a curv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ower side surface 120 .

여기에서 종단면은 바닥면에 수직하는 면, 즉, 바닥이 오목한 형성인 접시(100)의 높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의미한다.Here, the longitudinal section mean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that is, a section cu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ish 100 having a concave botto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측면(110)의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은 상기 곡선의 모든 지점에서의 곡률이 동일한 곡선일 수 있다. 곡률(curvature)은 곡선의 휨 정도를 나타내는 변화율로, 곡선 위의 가상의 점 P가 곡선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일 때 진행 방향이 변화한 정도로 측정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ower side surface 110 may be a curve having the same curvature at all points of the curve. Curvature is the rate of change representing the degree of curvature of a curve, and is measured by the degree to which the direction of travel changes when an imaginary point P on the curve moves along the curve at a constant speed.

따라서,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의 모든 지점에서의 곡률이 동일하다는 것의 의미는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이 임의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의 일부, 즉, 원호임을 의미한다.Therefore, the fact that the curvature at all points of the curv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is the same means that the curv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is a part of a circle having an arbitrary radius, that is, an arc.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측면(110)의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은 임의의 지점 중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곡률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s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ower side surface 110 may have different curvature values at at least two points among arbitrary points.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의 곡률이 임의의 두 지점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는 것의 의미는,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이 원호가 아닌 다른 형태의 곡선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포물선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 fact that the curvature of the curv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has different values at two arbitrary points means that the curv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is a curve of a different shape than a circular arc. For example, it may have a shape such as a parabola.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면(120)의 종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바, 상측면(110)에 음식이 담겼을 때 자연스럽게 흔들리도록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ertical section of the lower side 12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t can be implemented to naturally shake when food is put on the upper side 11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면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a lower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면(120)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The lower surfa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v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시가 바닥면에 놓였을 때, 하측면(120)의 일부만이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 방향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면만이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only a part of the lower side surface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pecifically, only the surface protruding the most toward the bottom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따라서, 상측면(110)에 음식물이 놓인 상태나 음식물이 덜어졌을 때, 접시 전체가 자연스럽게 흔들리게 된다.Therefore, when food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110 or when food is removed, the entire plate is naturally shaken.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100)에 따르면, 기존의 접시의 형상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다양항 형상의 접시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h 100 having a concave botto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ishes of various shapes by breaking away from existing stereotypes about the shape of a dish, and to provide users with a new experienc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that can provide.

한편, 상술한 오목한 형상인 접시(100)의 표면 일부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목한 형상인 접시(100)가 금속 재질인 유기로 제조되는 경우 공기와의 접촉 등에 의해 산화작용이 진행되어 표면의 광택이 저하되거나 표면에 유막이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a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concave dish 100 . This is because when the dish 100 having a concave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organic material, which is a metal material, oxidation may progress due to contact with air, thereby reducing the gloss of the surface or forming an oil film on the surface. am.

반면, 금속 재질의 오목한 형상인 접시(100)의 경우 코팅액이 표면에서 박리될 수도 있는바 소정의 전처리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ish 100 having a concave shap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coating liquid may be peeled off from the surface, so a predetermined pretreatment process should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인 접시(100)의 표면 중 코팅액이 도포되는 부분인 제1 영역과 코팅액이 도포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거칠기가 상이해지도록 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divide the surface of the concave plate 100 into a first area where the coating liquid is appli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coating liquid is not applied, and the roughnes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different. can be d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의 거칠기는 중심선 평균 거칠기(Ra)값이 0.2μm 내지 1.6μm이다. 이때, 컷오프값은 0.8mm이고 평가 길이는 4mm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value of the roughness of the first region is 0.2 μm to 1.6 μm. At this time, the cutoff value is 0.8 mm and the evaluation length is 4 mm.

여기에서 중심선 평균 거칠기(Ra)란, 기물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의 단면에 일정한 길이(L)를 가지는 가상의 중심선을 설정하고, 그 중심선의 위쪽에 형성된 산과 아래쪽의 형성된 골의 면적의 총합을 가상의 중심선 길이(L)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Here,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is a virtual centerline having a certain length (L) set on the cross section of th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total area of the peak formed above the centerline and the valley formed below the virtual centerline. It means the value divided by the center line length (L) of

컷오프값은 측정기로 기물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을 측정하였을 때, 제거되는 한계 파장으로, 측정기기에서 발생된 노이즈 제거 기준을 의미한다.The cut-off value is the limiting wavelength to be removed when the roughness curve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is measured with the measuring device, and refers to the standard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from the measuring device.

평가 길이는 요철의 단면에 설정된 가상의 중심선의 길이(L)이다.The evaluation length is the length (L) of an imaginary center line set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avo-convex.

제1 영역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을 가지도록 가질 작업이 수행되는 이유는,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이 0.2μm 미만으로 가질 작업이 수행될 경우 유기 제조 과정에서 기물 표면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기공이 모두 손상되어 유기 고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work to have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valu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for the first region is that when the work to have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value is less than 0.2 μm, pores natur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the organic manufacturing process This is because all of them are damaged and cannot exhibit the function inherent in organic matter.

유기 표면에는 육안으로는 확인이 어려운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그릇 내부로의 공기 유입과 그릇 외부로의 유해 가스 배출을 통해 그릇에 보관된 내용물의 신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이 0.2μm 미만으로 가공되면 그 기능성을 상실하게 된다.Micropores, which are difficult to see with the naked eye, are formed on the organic surface, so that the freshness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bowl can be maintained through air inflow into the bowl and harmful gas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bowl.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value is 0.2 If it is processed to less than μm, its functionality is lost.

반면,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이 1.6μm을 초과하는 경우 유기 고유의 빛깔과 광택을 발현할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value exceeds 1.6 μm, organic color and gloss cannot be expressed.

한편, 전처리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 제2 영역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값은 6.3μm 내지 25μm이다. 이때, 컷오프값은 8mm이고 평가 길이는 40mm이다.Meanwhile, the average roughness value of the center line of the second region in which the pretreatment process is not performed is 6.3 μm to 25 μm. At this time, the cutoff value is 8 mm and the evaluation length is 40 mm.

제2 영역은 담금질 과정에서 표면에 형성된 요철을 제거하는 정도의 전처리 공정만이 수행되는 것이다.In the second region, only a pretreatment process to the extent of removing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during the quenching process is performed.

다만,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이 6.3μm보다 작은 값을 가지도록 가질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담금질 과정에서 형성된 요철을 제거하는 것이 상의 손상이 가해지므로 상술한 범위의 수치값을 가져한다.However, if the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value is smaller than 6.3 μm, the removal of the irregularities formed during the quenching process may damage the image, so the numerical value i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required.

반면, 25μm를 초과하는 경우 유기 표면에 형성된 그을음, 과도한 요철 등이 제거되지 않아 사용성을 저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25 μm, soot formed on the organic surface, excessive irregularities, etc. are not removed, impairing usability.

따라서, 제2 영역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값은 상술한 범위의 값을 가지도록 가질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Accordingly, an operation to obtain the average roughness value of the center line of the second region must be within the aforementioned range.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에 있어서,
음식물이 놓이는 상측면; 및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측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측면은 상기 상측면의 외주연 중 임의의 두 지점을 연결한 선 중 가장 긴 선에 수직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좌우가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면은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
In the dish with a concave bottom,
an upper side where food is placed; and
Including the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side surface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on the left and right around an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longest line among lines connecting arbitrary two point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ide surface,
The dish with a concave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면은,
상기 하측면의 종단면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ide is
A dish with a concave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a curv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ow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면의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은,
상기 곡선의 모든 지점에서의 곡률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
According to claim 2,
The curv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ower surface,
A dish with a concave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at all points of the curve is the s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면의 종단면에 형성된 곡선은,
상기 곡선의 임의의 지점 중 적어도 두 지점의 곡률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이 오목한 형상인 접시.
According to claim 2,
The curv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lower surface,
A dish with a concave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s of at least two points among arbitrary points of the curve have different values.
KR1020210178678A 2021-12-14 2021-12-14 Dish having concave bottom KR102590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678A KR102590972B1 (en) 2021-12-14 2021-12-14 Dish having concave bott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678A KR102590972B1 (en) 2021-12-14 2021-12-14 Dish having concave bott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908A true KR20230089908A (en) 2023-06-21
KR102590972B1 KR102590972B1 (en) 2023-10-19

Family

ID=8699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678A KR102590972B1 (en) 2021-12-14 2021-12-14 Dish having concave bott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97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5A (en) * 1995-06-21 1997-01-07 Takamitsu Morizaki Falling down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5A (en) * 1995-06-21 1997-01-07 Takamitsu Morizaki Falling down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972B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6939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RU2669311C2 (en) Non-stick coating for cooking container
KR102128763B1 (en) Articles with enhanced non-tacky cooking surfaces
EP1375118A4 (en) Rubber strip,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ire and tire component using the rubber strip
CN103347669B (en) Mold for tire
KR20230089908A (en) Dish having concave bottom
JPS6314964Y2 (en)
JP5462762B2 (en) Pneumatic tire
KR101889637B1 (en) Base panel material for use as heat exchange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base panel material
JPH08258515A (en) Pneumatic tire
JP6704902B2 (en) Component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nent cover
JP2023155254A (en) Glass-ceramic plate comprising liquid-retaining bead
JP6945900B1 (en) Drainer plate
DK172147B1 (en) Cheese mold pa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92266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oking vessel using copper plating
JPS63195006A (en) Pneumatic tire
CN108249750B (en) Scribing wheel
TW201546005A (en) Cover pl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0143086A (en) Mold for tire
TWM578701U (en) Wafer protection film structure
JPH09266264A (en) Green sheet laminate cutting method
CN213588026U (en) Pot tool
JP2764501B2 (en) Ceramic end tab for welding
JP7261008B2 (en) pneumatic tire
WO2024095881A1 (en) Glass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