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818A -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818A
KR20230089818A KR1020210178518A KR20210178518A KR20230089818A KR 20230089818 A KR20230089818 A KR 20230089818A KR 1020210178518 A KR1020210178518 A KR 1020210178518A KR 20210178518 A KR20210178518 A KR 20210178518A KR 20230089818 A KR20230089818 A KR 20230089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hion
artificial intelligence
information
style
rec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헌
Original Assignee
이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헌 filed Critical 이종헌
Priority to KR102021017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818A/ko
Publication of KR2023008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제어신호 입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보유중인 다수 의상과 액세서리의 다측면 또는 3 차원으로 촬영하고 신체 각 부위의 치수를 입력하여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며 코디되어 수신된 3 차원 이미지의 패션스타일과 그 이력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며 해당 요청신호에 의하여 출력 제공하는 패션스타일단말기; 상기 패션스타일단말기와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2 기가 비피에스 이상의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 접속하며 선호 의상과 보유의상과 액세서리 정보가 입력되면 세부 분석에 의하여 3 차원 이미지로 변환하고 선호의상 기준으로 보유의상과 액세서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종합 코디된 패션스타일을 우선순위로 다수 선정하여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하며 해당 요청신호에 의하여 출력하고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발표하거나 매체에 게재한 디자인과 패션스타일에 관한 3 차원의 빅데이터 정보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수집하고 할당된 영역에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하여 관리하는 인공지능서버; 상기 인공지능서버와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2 기가 비피에스 이상의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 접속하며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직접 발표하거나 매스컴을 통하여 발표한 패션스타일의 3 차원 정보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수집하고 각각 할당된 영역에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 관리하는 코디패션스타일 서버; 및 상기 인공지능서버와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2 기가 비피에스 이상의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 접속하며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발표하여 방송되거나 매체에 게재된 패션스타일의 3 차원 정보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 관리하고 해당 요청 신호에 의하여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다수로 이루어지는 매스컴디비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FASHION STYLING CURATION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아래 실시예들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패션스타일을 기록 관리하고 사용자의 선호의상, 얼굴사진, 신체 각 부위의 치수 등을 반영하며 보유의상과 코디되는 패션 스타일을 분석된 선호도에 따라 상위 그룹을 선별 제시하며 선호하는 의상을 기준으로 추천하는 3 차원 이미지의 패션스타일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장 크기의 한계, 경제성장률, 소비자 환경 등으로 인해 가파른 성장세가 주춤할 즈음 모바일 트렌드가 나타났다. 모바일 서비스의 개인화 즉시 접속성, 편재성 등의 강력한 장점 등을 어필하며 SNS와 결합, 활용하는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의 성장세는 가파르게 상승중이며, 이에 다방면으로 생산되는 데이터는 정보과잉 시대를 화두로 떠올리며 마이닝 서비스, 정형 데이터 서비스 니즈를 등장시켰다. 이에 소셜미디어를 비롯, 전문가와 지인에 의한 추천서비스 형태인 큐레이션 서비스가 모바일 서비스 모델의 최신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다.
이때, 큐레이션 기반 코디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60195호에는, 패션 아이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코디 기반의 콘텐츠를 공유할 때 큐레이션 콘텐츠를 기반으로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코디 콘텐츠 정보를 위한 패션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자 또는 리셀러로부터 수신되는 패션 콘텐츠 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된 코디 콘텐츠 정보를 특정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며, 거래 완료된 코디 콘텐츠를 분석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은 개인의 코디를 위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개인의 취향을 반영 및 큐레이팅(Curating)하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코디가 된 옷을 공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코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예들은 인공지능으로 의상 코디 패션 스타일 관련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칼라, 스타일, 계절, 유행 등으로 구분 분석한 의상 코디 패션 스타일 방식을 기준으로 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선택된 선호의상이 보유중인 의상과 매칭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종합 분석하여 신속하게 제공하므로 불필요한 충동구매를 방지하고 경제적인 쇼핑에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제어신호 입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보유중인 다수 의상과 액세서리의 다측면 또는 3 차원으로 촬영하고 신체 각 부위의 치수를 입력하여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며 코디되어 수신된 3 차원 이미지의 패션스타일과 그 이력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며 해당 요청신호에 의하여 출력 제공하는 패션스타일단말기; 상기 패션스타일단말기와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2 기가 비피에스 이상의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 접속하며 선호 의상과 보유의상과 액세서리 정보가 입력되면 세부 분석에 의하여 3 차원 이미지로 변환하고 선호의상 기준으로 보유의상과 액세서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종합 코디된 패션스타일을 우선순위로 다수 선정하여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하며 해당 요청신호에 의하여 출력하고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발표하거나 매체에 게재한 디자인과 패션스타일에 관한 3 차원의 빅데이터 정보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수집하고 할당된 영역에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하여 관리하는 인공지능서버; 상기 인공지능서버와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2 기가 비피에스 이상의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 접속하며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직접 발표하거나 매스컴을 통하여 발표한 패션스타일의 3 차원 정보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수집하고 각각 할당된 영역에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 관리하는 코디패션스타일 서버; 및 상기 인공지능서버와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2 기가 비피에스 이상의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 접속하며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발표하여 방송되거나 매체에 게재된 패션스타일의 3 차원 정보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 관리하고 해당 요청 신호에 의하여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다수로 이루어지는 매스컴디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지정된 선호의상을 기준으로 인공지능의 종합 분석과 선택에 의하여 다수 디자이너가 코디한 패션 스타일 같으면서 해당 계절, 환경, 장소 등에 따라 대중적으로 유행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조건에 적합하며 추천 가능한 패션 스타일의 상위 그룹을 해당 헤어스타일 및 액세서리 등과 함께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선택된 선호의상이 사용자 보유의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과 매칭되는 패션 스타일로 코디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인공지능으로 종합 분석하여 즉석에서 신속하게 확인하고 제공하므로 충동구매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션스타일단말기의 상세 기능 구성 블록도이다.
도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서버의 상세 기능 구성 블록도이다.
도4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t)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고 특정 분야의 정보에 대하여 인터넷으로 검색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또는 빅데이터를 수집하며 분류와 분석하여 필요로 하는 결과를 비교적 매우 정확하게 추출하는 첨단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잘 알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정보 데이터의 기록은 자체 구비된 해당 메모리의 제어되고 관리되는 할당 영역에 각각 기록되고 저장되며, 신호는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 또는 모든 신호가 포함되고, 이력 또는 이력정보는 해당 시간, 장소, 주변의 온도와 밝기, 일기 등이 포함되며, 각각의 프로그램은 운용되는 과정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각 갱신되어 최신 버전으로 자동 설치되고 운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며 이해한다. 또한, 단수 표현은 복수 표현을 포함하고, 3 차원 정보는 3 차원 이미지 정보와 같은 의미로 기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900)은 패션스타일단말기(1000), 공중통신망(2000), 인공지능서버(3000), 코디패션스타일서버(4000), 매스컴디비서버(50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패션스타일단말기(1000)는 일반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또는 노트북 또는 컴퓨터(p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용의 데이터 단말기가 더 포함되고, 전용의 해당 앱(app) 프로그램이 최신버전으로 자동으로 무선 다운로드되어 자동설치 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패션스타일단말기(10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보유중인 다수의 보유 의상과 액세서리 등을 촬영하고 신체 각 부위의 치수 정보를 입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촬영은 전면과 배면 그리고 측면 등이 포함되는 다측면을 촬영하거나 또는 3 차원(3D)으로 촬영하는 것이 포함되는 의미로 해석하고 이해하기로 한다. 그러나 정면의 2차원 이미지만 확보가 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며, 이러한 경우는 2 차원 이미지를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3 차원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션스타일단말기의 상세 기능 구성 블록도이다.
패션스타일단말기(1000)는 입력된 모든 정보를 해당 이력정보와 연계시켜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과 관리하며, 종합 코디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패션스타일과 해당 이력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하고 관리한다.
패션스타일단말기(1000)는 해당 요청신호 또는 허용된 검색신호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기록되고 관리되는 모든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며,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모든 정보는 자체 구비된 헤당 입출력부를 통하여 동시에 표시 또는 출력한다.
패션스타일단말기(1000)는 터치입출력부(1100), 단말중앙제어부(1200), 보유의상디비부(1300), 얼굴정보디비부(1400), 신체지수디비부(1500), 패션스타일이력디비부(1600), 3차원 이미지처리부(1650), 액세서리디비부(1700), 패션카메라부(1800), 패션통신부(19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패션스타일단말기(1000)는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경우 400 바이트(byte) 단위로 이루어지는 패킷 또는 단말패킷으로 기록하며, 필요한 경우 하나의 정보를 해당 일련번호가 기록된 다수의 패킷 또는 다수의 단말패킷(이하, ‘패킷’이라고 한다.)으로 분할하여 기록한다.
터치입출력부(11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신호에 의하여 특정하게 해당되는 명령신호, 제어신호,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고 오디오 신호를 각각 입력하며 또한,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입력된 모든 신호를 단말중앙제어부(1200)에 인가하고, 단말중앙제어부(120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비디오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단말중앙제어부(1200)는 터치입출력부(1100)를 포함하며 패션스타일단말기(1000)에 구비된 각 기능부에 모두 각각 접속하고 자체 내장되며 자체 설치되고 운용되는 해당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비된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패션스타일단말기(1000)의 전체 운용을 제어와 감시한다.
보유의상디비부(1300)는 단말중앙제어부(120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패션카메라(1800)가 보유의상이 포함되는 다수 의상을 각각 촬영하고 입력한 영상 또는 이미지 신호를 인가받아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한다.
보유의상디비부(1300)는 단말중앙제어부(12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미지 신호로 기록된 의상의 해당 정
보를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DIP: digital image processing) 방식으로 분석하고 색상, 상의와 하의, 원피스, 치마, 외투, 가디건, 양복, 한복, 긴팔, 짧은팔, 반바지 등이 포함되는 의상스타일로 분류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보유의상디비부(1300)는 단말중앙제어부(12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의상의 두께와 형태 등등을 분석하고 착용 가능한 계절, 행사장소, 시기 등으로 분류하며 해당 의상정보와 연계된 상태로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하며 기록된 모든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를 모두 출력한다.
얼굴정보디비부(1400)는 단말중앙제어부(120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영상 또는 이미지 신호로 입력된 얼굴의 정보를 분석하여 얼굴 윤곽과 헤어스타일을 분류하며 필요와 선택에 의하여 연령대도 분류하고 분류한 시기와 장소와 주변환경 등이 포함된 해당 이력정보를 연계된 상태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한다.
얼굴정보디비부(1400)가 얼굴 윤곽에 의한 분류는 일 예로 얼굴의 전체적인 형상을 원형, 계란형, 역삼각형, 네모형, 마름모형, 다각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헤어스타일도 유사하면서 일 예에 의하여 단발머리형, 긴머리형, 생머리형, 파마머리형, 숏커트형, 왼가름마형, 오른가름마형, 앞대머리형을 포함하며 머리의 색상 분류에 의하여 흑발, 노랑머리, 빨강머리, 반백발, 백발 등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신체치수디비부(1500)는 단말중앙제어부(120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된 신체 각 부위의 치수 정보를 해당 이력정보와 함께 연계된 상태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한다.
패션스타일이력디비부(1600)는 단말중앙제어부(120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종합 코디되어 인공지능서버(3000)로부터 인가된 다수의 패션스타일 정보를 해당 이력정보와 함께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한다. 여기서 이력정보에는 해당 디자인 스타일이 반영된 의상디자이너의 정보와 발표되거나 수집된 시기와 장소정보 등이 포함된다.
3차원이미지처리부(1650)는 단말중앙제어부(120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신된 다수의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하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하좌우의 360도 범위에서 선택되거나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이미지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액세서리디비부(1700)는 단말중앙제어부(120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패션카메라부(1800)로부터 액세서리가 다측면 또는 3 차원으로 촬영되어 입력된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스타일, 외형, 크기, 색상, 종류 등으로 분류하며 해당 이력정보와 함께 연계된 상태로 기록한다.
패션카메라(1800)는 단말중앙제어부(120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의상, 얼굴, 액세서리 등이 포함되는 대상물의 영상을 3 차원으로 촬영한 칼라의 이미지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입력하여 단말중앙제어부(1200)에 인가한다.
패션통신부(1900)는 공중통신망(2000)과 2 기가(G: giga) 비피에스(bps: bit per second)의 데이터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하고 접속하여 통신하는 구성이다.
공중통신망(2000)은 패션통신부(1900)와 대응되는 상태의 통신부를 모두 동시에 구비 또는 구성하며 이와 같이 구비 구성된 해당 각 통신부는 2 기가 비피에스의 전송속도 채널로 패션스타일단말기(1000)와 접속하며, 해당신호를 송신과 수신 또는 전송하는 채널(CH)은 하나 이상 다수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서버의 상세 기능 구성 블록도이다.
인공지능서버(3000)는 인공지능모듈(3100), 딥러닝모듈(3200), 빅데이터디비모듈(3300), 세부분석모듈(3400), 종합코디모듈(3500), 패션스타일이력디비모듈(3600), 3차원이미지모듈(37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인공지능모듈(3100)은 내장 설치되어 운용되는 해당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공지능서버(3000)를 구성하는 각 모듈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한다.
딥러닝모듈(3200)은 인공지능모듈(31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지구상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 필요한 해당 방식으로 각각 접속하며 다양한 정보를 기계적 학습으로 분석하고 최적의 해당 정보를 검색 추출하고 수집하는 구성이다.
빅데이터디비모듈(3300)은 인공지능모듈(31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딥러닝모듈(3200)이 수집한 것으로 다수 의상디자이너가 발표하거나 매스컴의 각 매체에 게재하거나 방송된 의상 디자인 또는 패션스타일이 포함되는 해당 빅데이터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출력하는 구성이다.
세부분석모듈(3400)은 인공지능모듈(31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빅데이터디비모듈(3300)이 기록한 빅데이터를 인가받고 의상의 색상, 유행, 계절, 시기, 적용 장소, 스타일, 신체조건, 헤어스타일, 선호도, 가격 등이 포함되는 세부사항으로 분석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구성이다.
종합코디모듈(3500)은 인공지능모듈(31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호의상을 기준으로 보유의상과 액세서리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패션스타일과 가장 최근에 유행하거나 높은 선호도를 가지는 패션스타일로 각각 종합 코디하며 종합 코디된 하나 이상의 다수 패션스타일을 사용자의 선호도와 일반대중의 평균적인 선호도가 높은 순서로 각각 정열하여 해당 이력정보와 함께 연계되도록 기록하고 추천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선호도는 선택된 횟수, 매스컴에서 발표되거나 검색 횟수가 많은 순서로 설정하거나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패션스타일이력디비모듈(3600)은 인공지능모듈(31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종합코디모듈(3500)이 다수 패션스타일이 각각 추천되고 선택된 이력정보를 추천되거나 선택되지 않은 해당 이력정보의 다른 패션스타일 정보와 함께 연계된 상태로 기록하고 출력하는 구성이다.
3차원이미지모듈(3700)은 인공지능모듈(31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된 3 차원 이미지가 패션스타일단말기(1000)에서 잘 표시되도록 화소 숫자, 이미지 크기, 형식 등을 변환한다. 또한, 하나의 대상물에 대한 다측면이 촬영된 이미지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동일한 위치를 일치시키는 처리와 곡면화 처리하므로 3 차원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한편, 2 차원의 이미지만이 입력된 경우 선택에 의하여 전면과 배면을 2 차원 이미지로 동일하게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처리하면서 필요한 부분을 곡면화 처리하여 3차원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로 변환시킨다. 이때, 배면을 흑색 또는 선택된 단색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처리된 신호는 상기의 단위 패킷으로 기록되어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된다.
도4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패션스타일단말기(1000), 공중통신망(2000), 인공지능서버(3000), 코디패션 스타일서버(4000), 매스컴디비서버(50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패션스타일단말기에 의하여 패션스타일을 코디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S110),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보유의상과 액세서리와 얼굴을 촬영하여 입력하며 신체치수 정보를 입력하여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인공지능서버에 전송한다(S120).
패션스타일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고 기록된 다수 보유의상과 액세서리와 촬영된 얼굴과 신체치수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된 선호의상의 해당 정보를 인공지능서버에 전송하면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의상을 기준으로 하여 종합 코디된 패션스타일을 추천해주도록 인공지능서버에 요청한다(S130).
인공지능서버에 의하여 다수 의상 디자이너의 패션스타일을 수집하는 설정된 주기가 도래 되었는지를 판단(S140)하고, 설정된 주기가 도래된 것으로 판단되면 코디패션스타일서버를 검색하므로 다수 의상 디자이너에 의한 패션스타일 정보를 딥러닝에 의한 인공지능 방식으로 수집하고 해당 이력과 연계된 상태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고 관리한다(S150).
인공지능서버에 의하여 패션스타일 단말기로부터 패션스타일의 추천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60), 패션스타일의 추천 요청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패션스타일 루틴을 운용한다((S170).
인공지능서버에 의하여 코디패션스타일서버가 다수 의상 디자이너에 의한 패션스타일을 수집하여 업데이트하는 설정된 주기가 도래 되었는지를 판단(S180)하고, 설정된 주기가 도래된 것으로 판단되면 코디패션스타일서버를 제어하여 코디패션스타일서버가 다수의 매스컴디비서버에 각각 접속하여 딥러닝에 의한 인공지능 방식으로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발표하거나 특정 매체를 통하여 게재하거나 방송한 등의 패션스타일 정보를 모두 수집하고 해당 이력도 함께 수집하여 연계된 상태로 코디패션스타일서버 내부의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190).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501)는 프로세서(502) 및 메모리(503)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501)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4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4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503)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0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502)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50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2)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503)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501)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900: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0: 패션스타일단말기
1100: 터치입출력부
1200: 단말중앙제어부
1300: 보유의상디비부
1400: 얼굴정보디비부
1500: 신체치수디비부
1600: 패션스타일이력디비부
1700: 액세서리디비부
1800: 패션카메라
1900: 패션통신부
2000: 공중통신망
3000: 인공지능서버
3100: 인공지능모듈
3200: 딥러닝모듈
3300: 빅데이터모듈
3400: 세부분석모듈
3500: 종합코디모듈
3600: 패션스타일이력디비모듈
4000: 코디패션스타일서버
5000: 매스컴디비서버

Claims (3)

  1.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제어신호 입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보유중인 다수 의상과 액세서리의 다측면 또는 3 차원으로 촬영하고 신체 각 부위의 치수를 입력하여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며 코디되어 수신된 3 차원 이미지의 패션스타일과 그 이력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며 해당 요청신호에 의하여 출력 제공하는 패션스타일단말기;
    상기 패션스타일단말기와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2 기가 비피에스 이상의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 접속하며 선호 의상과 보유의상과 액세서리 정보가 입력되면 세부 분석에 의하여 3 차원 이미지로 변환하고 선호의상 기준으로 보유의상과 액세서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종합 코디된 패션스타일을 우선순위로 다수 선정하여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하며 해당 요청신호에 의하여 출력하고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발표하거나 매체에 게재한 디자인과 패션스타일에 관한 3 차원의 빅데이터 정보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수집하고 할당된 영역에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하여 관리하는 인공지능서버;
    상기 인공지능서버와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2 기가 비피에스 이상의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 접속하며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직접 발표하거나 매스컴을 통하여 발표한 패션스타일의 3 차원 정보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수집하고 각각 할당된 영역에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 관리하는 코디패션스타일 서버; 및
    상기 인공지능서버와 공중통신망을 경유하여 2 기가 비피에스 이상의 전송속도 채널을 선택 접속하며 다수 의상 디자이너가 각각 발표하여 방송되거나 매체에 게재된 패션스타일의 3 차원 정보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패킷 프레임 단위로 기록 관리하고 해당 요청 신호에 의하여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다수로 이루어지는 매스컴디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션스타일단말기는
    외부의 터치에 의하여 해당 명령, 제어, 데이터의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터치입출력부;
    상기 터치입출력부에 접속하고 내장 설치 운용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비된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전체 운용을 제어 감시하고 이중화 구비되어 각 기능부의 운용 오류 발생을 방지하는 단말중앙제어부;
    상기 단말중앙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미지 신호로 입력된 다수 의상의 정보를 분석하여 색상, 상하의, 원피스, 긴팔, 짧은팔이 포함되는 의상스타일을 분류하며 해당 의상과 연계된 상태로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하는 보유의상디비부;
    상기 단말중앙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미지 신호로 입력된 얼굴의 정보를 분석하여 얼굴윤곽과 헤어스타일을 분류하며 연계된 상태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얼굴정보디비부;
    상기 단말중앙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된 신체 각 부위의 치수 정보를 연계된 상태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신체치수디비부;
    상기 단말중앙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종합 코디된 다수의 패션스타일을 해당 이력과 함께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패션스타일이력디비부; 및
    상기 단말중앙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신된 2 차원 또는 3 차원 이미지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며 검색된 이미지를 지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되도록 이미지 프로세싱 처리하는 3차원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중앙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패션카메라부로부터 액세서리가 다측면으로 촬영되어 입력된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액세서리디비부;
    상기 단말중앙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의상, 얼굴, 액세서리가 포함되는 대상물의 영상을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으로 동시 촬영하여 JPG 프레임으로 각각 입력하는 패션카메라;
    상기 단말중앙제어부에 접속하고 유선통신부, 이동통신 무선부, 와이파이 무선부, 블루투스 무선부, 광통신부를 모두 구비하며 동시에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며 동시에 구동시켜 동일한 신호를 2 기가 비피에스의 데이터 전송 속도로 동시에 송신과 수신하는 패션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3.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패션스타일단말기에 의하여 패션스타일을 코디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다수의 보유의상과 액세서리와 얼굴을 다측면 또는 3 차원으로 촬영 입력하고 신체치수 정보를 입력하여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며 인공지능서버에 전송하고 지정된 어느 하나의 선호의상을 기준으로 종합 코디된 패션스타일의 추천을 요청하는 패션스타일요청과정;
    상기 인공지능서버에 의하여 코디패션스타일서버에 접속하며 다수 의상 디자이너의 패션스타일에 관한 3 차원의 빅데이터 정보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수집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패션스타일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수 보유의상과 액세서리와 얼굴의 이미지 정보와 신체치수 정보를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며 패션스타일 추천 요청신호에 의하여 분석되고 종합 코디된 패션스타일을 패션스타일루틴 운용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제공하며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인공지능추천과정;
    상기 인공지능서버에 의하여 패션스타일 수집 주기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코디패션스타일서버에 접속하여 다수 의상디자이너의 패션스타일 정보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수집하고 해당 이력과 연계시켜 기록 관리하는 패션스타일수집과정; 및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코디패션 스타일서버의하여 패션스타일 정보 업데이트 주기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매스컴디비서버에 각각 접속하여 다수 의상디자이너가 각각 디자인한 패션스타일이 매체에 게재되거나 방송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이력과 연계시켜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는 패션스타일 업데이트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78518A 2021-12-14 2021-12-14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89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18A KR20230089818A (ko) 2021-12-14 2021-12-14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18A KR20230089818A (ko) 2021-12-14 2021-12-14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818A true KR20230089818A (ko) 2023-06-21

Family

ID=8698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518A KR20230089818A (ko) 2021-12-14 2021-12-14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98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638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 종합 코디네이션 제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2102872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all-in-one personal fashion coaching and assista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eer-to-peer network databases
TWI760299B (zh) 銷售物件資訊的圖片展示方法及裝置
EP40629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character
CN107993131B (zh) 穿搭推荐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N108037823B (zh) 信息推荐方法、智能镜子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558862B2 (en) Emotion heat mapping
CN108292425A (zh) 自动引导的图像捕获和展示
CN103440587A (zh) 基于网络购物的个人形象设计与产品推荐的方法
CN106202317A (zh) 基于视频的商品推荐方法及装置
US10755487B1 (en) Techniques for using perception profiles with augmented reality systems
KR102087362B1 (ko) 사용자 보유 의류에 기초한 패션 코디 추천 방법 및 장치
US9877058B2 (en) Presenting personalized advertisements on smart glasses in a movie theater based on emotion of a viewer
CN109117779A (zh) 一种穿搭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60267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Sharing Online Images of Merchandise
KR102550214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신체부위 및 상황별 스타일링 추천 시스템
KR102433408B1 (ko) 아이템에 대한 추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842457B2 (en) Method for processing slider for virtual character,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8184502A1 (zh) 媒体文件的投放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虚拟现实设备
US20190378172A1 (en) Fashion display system, method,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apparatus
US201501426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al of related items for online and in-person shopping through image and contextual information analysis
KR20230089818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90213613A1 (en) Segmenting market data
US11587316B2 (en) Segmenting visual surrounding to create template for user experience
KR1023921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타일 추천과 스타일 피팅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