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271A -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 Google Patents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271A
KR20230089271A KR1020210177763A KR20210177763A KR20230089271A KR 20230089271 A KR20230089271 A KR 20230089271A KR 1020210177763 A KR1020210177763 A KR 1020210177763A KR 20210177763 A KR20210177763 A KR 20210177763A KR 20230089271 A KR20230089271 A KR 20230089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lination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ing
generating member
correc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342B1 (ko
Inventor
배대영
임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21017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42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에 있어서, 상세하게는, 리모컨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범위를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 커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PCB에 마련된 신호 발생부재의 외부 노출 정도를 제어하는 편각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REMOTE CONTROL WITH DECLINATION CORRECTION FUCTION}
본 발명은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리모컨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범위를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컨은 텔레비전, 셋탑 박스, 에어컨, 선풍기 등 다양한 전자 제품을 원격 조종하는 장치이다.
리모컨은, 전자 제품을 원격 조정하기 위해 각 전자 제품마다 다르게 설정된 코드를 무선 전송하는데, 한 가정에서 여러 종류의 전자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자 제품에 상응하는 리모컨을 갖추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여러 개의 리모컨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전자 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때 각각의 전자 제품에 상응하는 리모컨을 교체해야 함으로 그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하나의 리모컨으로 여러 개의 전자 제품을 원격 조정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이 상용화되었고, 상기 통합 리모컨으로 등장으로 복수개의 전자 제품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 통합 리모컨은 그 선단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각도 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전자 제품이 배치된 장소에서 특정 전자 제품만 제어를 원할 경우, 의도치 않게 다른 전자 제품에 신호를 전달하여 동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과 셋탑 박스는 서로 근접한 위치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텔레비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리모컨을 작동하였으나, 의도치 않게 셋탑 박스가 작동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리모컨의 IR LED의 전류를 내부의 저항 값으로 변경하여 리모컨의 신호 출력을 낮추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전자 제품의 배치 환경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리모컨의 신호 출력을 변경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리모컨의 정상적인 신호 출력을 상황에 맞게 변경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564764호의 '회전형 리모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모컨의 선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각도 범위를 사용자가 간편한 조작으로 인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에 있어서, 상부 커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PCB에 마련된 신호 발생부재의 외부 노출 정도를 제어하는 편각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각 조절부는, 상기 상부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의 폭방향을 따라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신호 발생부재의 적외선 방출 범위를 제어하는 편각 보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각 보정수단은, 상기 신호 발생부재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본값 영역; 상기 기본값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재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 중에서 가장자리 일부를 가리는 제1편각부재; 및 상기 기본값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재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 중에서 가장자리 일부를 상기 제1편각부재보다 더 가리는 제2편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의 가이드 프레임에 마련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은, 상기 편각 보정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기본값 영역, 상기 제1편각부재, 상기 제2편각부재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며, 상기 기본값 영역과 상기 제1편각부재 및 상기 제2편각부재가 각각 구획하는 공간의 수직 방향 중심 축선과 일치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상부 커버의 윗면으로 노출되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은, 신호 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방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동일한 장소에 마련된 다양한 전자 제품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 제품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그 외 전자 제품에서 오작동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에서 편각 조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의 기본값 영역에 신호 발생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의 제1편각부재에 신호 발생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의 제2편각부재에 신호 발생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에 의해 신호 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범위를 상부 커버의 하부측에서 바라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에서 편각 조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의 기본값 영역에 신호 발생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의 제1편각부재에 신호 발생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의 제2편각부재에 신호 발생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조절부에 의해 신호 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범위를 상부 커버의 하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100)은, 상부 커버(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PCB에 마련된 신호 발생부재(10)의 외부 노출 정도를 제어하는 편각 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구성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리모컨(100)을 구성하는 하부 커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편각 조절부(200)는, 상부 커버(110)의 선단측에 마련되며, 적외선을 방출하는 신호 발생부재(10)의 전방에서 상부 커버(110)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성을 가진다.
편각 조절부(200)는 상부 커버(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0)의 상부에서부터 하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홈(112)에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홈(112)은 상부 커버(110)의 내측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11)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111)의 하단에는 후크(111a)가 형성되는바, 이 후크(111a)는 편각 조절부(200)의 걸림홈(213)과 체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각 조절부(200)는, 상기 상부 커버(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110)의 폭방향을 따라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몸체(210); 및 상기 몸체(210)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2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신호 발생부재(10)의 적외선 방출 범위를 제어하는 편각 보정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가이드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110)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구성요소이며, 그 상단에는 상부 커버(110)의 윗면으로 노출되는 손잡이(212)가 마련되고, 그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11)에 형성된 후크(111a)가 걸림되는 걸림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편각 보정수단(220)은, 상기 신호 발생부재(10)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본값 영역(221); 상기 기본값 영역(221)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재(10)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 중에서 가장자리 일부를 가리는 제1편각부재(222); 및 상기 기본값 영역(221)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재(10)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 중에서 가장자리 일부를 상기 제1편각부재보다 더 가리는 제2편각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값 영역(221)은, 몸체(2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발생부재(10)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보다 큰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값 영역(221)이 신호 발생부재(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신호 발생부재(10)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이 손실되지 않고 외부 수신부로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발생부재(10)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은 신호 발생부재(10)의 전면 중심에서부터 30도의 방사각도를 가진 채 상부 커버(110)의 선단에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편각부재(222)는, 몸체(210)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값 영역(22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편각부재(222)는, 신호 발생부재(10)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제1관통구멍(222a)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210)의 이동에 의해 신호 발생부재(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의 손잡이(212)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제1편각부재(222)의 제1관통구멍(222a)이 신호 발생부재(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신호 발생부재(10)의 전면 면적 일부가 제1편각부재(222)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신호 발생부재(10)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이 일부 손실된 채 외부 수신부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발생부재(10)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은 제1편각부재(222)에 의해 신호 발생부재(10)의 전면 중심에서부터 20도의 방사각도를 가진 채 상부 커버(110)의 선단에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편각부재(222)는, 몸체(210)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값 영역(22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편각부재(222)는, 신호 발생부재(10)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되, 상기 제1편각부재(222)의 제1관통구멍(222a)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제2관통구멍(223a)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210)의 이동에 의해 신호 발생부재(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의 손잡이(212)를 타측으로 이동시켜 제2편각부재(223)의 제2관통구멍(223a)이 신호 발생부재(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신호 발생부재(10)의 전면 면적 일부가 제2편각부재(223)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신호 발생부재(10)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이 일부 손실된 채 외부 수신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2편각부재(223)에 형성된 제2관통구멍(223a)은 제1편각부재(222)의 제1관통구멍(222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신호 발생부재(10)에 방출되는 적외선의 손실량이 상대적으로 제1편각부재(222)보다 작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발생부재(10)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은 제2편각부재(223)에 의해 신호 발생부재(10)의 전면 중심에서부터 25도의 방사각도를 가진 채 상부 커버(110)의 선단에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편각 조절부(200)에 의하여 신호 발생부재(10)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편각 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자 제품이 배치된 장소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 제품에게만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각 조절부(200)는, 상기 몸체(210)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제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11)에 마련되는 체결돌기(미도시) 및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112)에 삽입된 상기 몸체(210)의 일면에 마련되는 체결홈(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홈(21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체결돌기는, 몸체(210)의 일면과 마주하는 가이드 프레임(111)의 일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결홈(211)은, 가이드 프레임(111)과 마주하는 몸체(210)의 일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체결돌기와 체결홈(2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각 보정수단(220)을 구성하는 상기 기본값 영역(221), 상기 제1편각부재(222), 상기 제2편각부재(222)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며, 상기 기본값 영역과 상기 제1편각부재 및 상기 제2편각부재가 각각 구획하는 공간의 수직 방향 중심 축선(Y)과 일치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돌기 및 체결홈에 의하여, 기본값 영역(221)이나 제1편각부재(222) 또는 제2편각부재(222)가 신호 발생부재(10)와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몸체(210)가 슬라이딩 이동되었을 때, 몸체(210)가 설정된 위치에서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따른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은(100), 신호 발생부재(10)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방출 각도를 조절하는 편각 조절부(200)를 제공하므로, 동일한 장소에 마련된 다양한 전자 제품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 제품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그 외 전자 제품에서 오작동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111 : 가이드 프레임
112 : 가이드홈
200 : 편각 조절부
210 : 몸체
211 : 체결홈
212 : 걸림홈
220 : 편각 보정수단
221 : 기본값 영역
222 : 제1편각부재
222a : 제1관통구멍
223 : 제2편각부재
223a : 제2관통구멍

Claims (6)

  1.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에 있어서,
    상부 커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PCB에 마련된 신호 발생부재의 외부 노출 정도를 제어하는 편각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각 조절부는,
    상기 상부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의 폭방향을 따라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신호 발생부재의 적외선 방출 범위를 제어하는 편각 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각 보정수단은,
    상기 신호 발생부재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본값 영역;
    상기 기본값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재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 중에서 가장자리 일부를 가리는 제1편각부재; 및
    상기 기본값 영역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재가 형성하는 전면 면적 중에서 가장자리 일부를 상기 제1편각부재보다 더 가리는 제2편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의 가이드 프레임에 마련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편각 보정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기본값 영역, 상기 제1편각부재, 상기 제2편각부재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며,
    상기 기본값 영역과 상기 제1편각부재 및 상기 제2편각부재가 각각 구획하는 공간의 수직 방향 중심 축선과 일치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상부 커버의 윗면으로 노출되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KR1020210177763A 2021-12-13 2021-12-13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KR10264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763A KR102640342B1 (ko) 2021-12-13 2021-12-13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763A KR102640342B1 (ko) 2021-12-13 2021-12-13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71A true KR20230089271A (ko) 2023-06-20
KR102640342B1 KR102640342B1 (ko) 2024-02-23

Family

ID=8699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763A KR102640342B1 (ko) 2021-12-13 2021-12-13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3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1893A (ja) * 1994-10-12 1996-04-30 Canon Inc 遠隔操作装置
JP2007306067A (ja) * 2006-05-08 2007-11-22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器
JP2008258751A (ja) * 2007-04-02 2008-10-23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コ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1893A (ja) * 1994-10-12 1996-04-30 Canon Inc 遠隔操作装置
JP2007306067A (ja) * 2006-05-08 2007-11-22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器
JP2008258751A (ja) * 2007-04-02 2008-10-23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コ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342B1 (ko)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63890S1 (en) Indoor wall with built-in home appliances
US7055966B2 (en) Illuminator and projector
US10712529B2 (en) Lens assembly with integrated feedback loop for focus adjustment
US20180084921A1 (en) Projector Fixed on Electric Bed
US7649453B2 (en) Remote control device
US7442161B2 (en) Position adjuster for a device
WO2020038053A1 (zh) 飞行时间模组及其控制方法、控制器和电子装置
US20180324974A1 (en) Secure tablet mount
KR20230089271A (ko) 편각 보정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US20170272716A1 (en) Projection apparatus, proje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5151496A (ja) リモコン送信機
CN106707675A (zh) 投影机自动调位系统
JP4806980B2 (ja) プロジェクタ用台座
JP2019206308A (ja) 風向制御装置
JP2008249906A (ja) プロジェクタ及び表示システム
US20100127912A1 (en) Remote control
JP4654661B2 (ja) 風向き調整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US20160219198A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US6273285B1 (en) Structure of a whistling device for a cooker lid
CN109901137A (zh) 广角tof模组的标定方法及其标定设备
JP2008242159A (ja) プロジェクタ
KR200472385Y1 (ko) 양방향 시청이 가능한 프로젝션 방식의 벽면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310791A (ja) 光線式センサ
KR100352069B1 (ko) 세탁기의 높이 조절장치
KR101504947B1 (ko) 유도관을 이용한 적외선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