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221A -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 - Google Patents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221A
KR20230088221A KR1020220087683A KR20220087683A KR20230088221A KR 20230088221 A KR20230088221 A KR 20230088221A KR 1020220087683 A KR1020220087683 A KR 1020220087683A KR 20220087683 A KR20220087683 A KR 20220087683A KR 20230088221 A KR20230088221 A KR 20230088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hread
pole flange
pressure tank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주)하이파워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파워랩 filed Critical (주)하이파워랩
Priority to KR102022008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221A/ko
Publication of KR2023008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involving reinforcing arrangements
    • F17C1/04Protecting sheathings
    • F17C1/06Protecting sheathings built-up from wound-on bands or filamentary material, e.g.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6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constructed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58Synthetics
    • F17C2203/0663Synthetics in form of fibers or filaments
    • F17C2203/067Synthetics in form of fibers or filaments helically w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58Synthetics
    • F17C2203/0663Synthetics in form of fibers or filaments
    • F17C2203/0673Poly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및 액화 가스의 보관 및 운송에 주로 사용되는 복합 고압 탱크의 생산과 관련되어, 폴 플랜지의 목 부분에 대한 교대 부위의 하단부에 있는 파워 셸의 권선 방식을 개선하여 탱크 제조 품질을 향상시키고, 극 구멍 영역 내 전원 셸의 보강도를 개선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높이는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폴 플랜지가 있는 원통형 부품과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실링 라이너에 폴리머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감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품과 폴 플랜지가 있는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씰링 라이너를 섬유질 실 리본으로 감싼 후 폴 플랜지의 목을 테이프로 폴 플랜지의 바닥에 위치한 코일에 닿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접촉 영역의 테이프 나사산은 아크로 구부러지고, 테이프는 원형 단면의 다발로 변형되며, 아크 나사산 배열은 폴 플랜지의 목 부분의 크림핑 링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A method of winding the power film of a high-pressure tank with a polymer composite material and a high-pressure tank wrapped with a polymer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기계공학 분야, 특히 압축 및 액화 가스의 보관 및 운송에 주로 사용되는 복합 고압 탱크를 형성하기 위한 폭발과 아력에 견딜 수 있는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은 고압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료 공급 시스템 중, 수소 공급계에 구비되는 수소 탱크에는 약 700bar 정도의 고압 압축 수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저장된 압축 수소는 수소 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고압 조절기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고압 라인으로 방출된 후, 시동 밸브와 수소 공급 밸브를 거치면서 감압되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된다.
이때, 고압의 가스가 연료(수소)로서 사용되며, 따라서 가스를 필요에 따라 저장, 배출하기 위하여 가스의 저장 용기가 필요하다. 특히 가스는 용기 내 저장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고압으로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고압으로 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용기의 실링성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대체연료가스 차량 등의 경우 그 저장 용기의 탑재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면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료가스 저장용기 중 복합재 용기의 경우, 수소 가스의 높은 내압을 견디기 위해 비강도 및 비강성이 높은 섬유강화 복합재료로 외피가 보강되어야 하며, 내부에는 가스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라이너가 삽입된다.
상세하게는, 필라멘트 와인딩 기법에 기초한 압력용기 제작방법은 탱크의 틀을 이루는 라이너를 형성하는 공정, 및 라이너 외곽에 연속된 섬유를 권취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일예로, 고분자 복합 물질로 만든 고압 탱크와 동력 피막을 감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방법을 구현할 때, 나선형 레이어는 원통형 부품과 폴 플랜지가 있는 구형 하단으로 구성된 실링 라이너에 섬유질 나사 리본으로 감겨져 하단에 위치한 코일의 테이프로 폴 플랜지의 목에 닿는다.
알려진 고분자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고압 탱크는 섬유질 실로 테이프를 감아 만든 극 구멍이 있는 라이너와 동력 피막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 방법의 단점은 폴 플랜지의 씰링 유닛의 강도가 낮고 이 구역에서 테이프로 감을 때 나사산의 장력이 불균일하기 때문에 설계의 품질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극단적인 압력으로 탱크를 시험할 때 폴 플랜지의 목 부분에 초점을 맞춰 하단부를 따라 파워 셸이 파괴된다.
또한, 다른 단점은 폴 홀 구역의 동력 피막의 강도가 낮고 이 구역의 리본 나사난의 부하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의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극단적인 압력으로 탱크를 시험할 때 동력 피막의 파괴는 폴 홀의 영역에 초점을 두고 하단 부분을 따라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65403호(2021.06.04)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 및 액화 가스의 보관 및 운송에 주로 사용되는 복합 고압 탱크에 관한 것으로, 탱크의 목부분감싸도록 형성하여 약한 부분을 보강하여 견고하게 형성한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단부분을 감싸도록 하여 어떠한 환경에서도 폭발하지 않고, 특히 파변이 발생하지 않는 압축 및 액화 가스의 보관 및 운송에 주로 사용되는 복합 고압 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은, 폴 플랜지가 있는 원통형 부품과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실링 라이너에 폴리머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감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품과 폴 플랜지가 있는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씰링 라이너를 섬유질 실 리본으로 감싼 후 폴 플랜지의 목을 테이프로 폴 플랜지의 바닥에 위치한 코일에 닿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접촉 영역의 테이프 나사산은 아크로 구부러지고, 테이프는 원형 단면의 다발로 변형되며, 아크 나사산 배열은 폴 플랜지의 목 부분의 크림핑 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는 다음의 수식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l은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
H는 테이프의 넓이(mm),
r은 폴 플랜지의 목 반경,
c=1.02-1.25(링 내 나사산의 최적 위치로부터의 편차; 테이프의 "하네싱"에서 나사산 길이의 변화를 고려한 실험 계수이며, 테이프의 장력, 바인더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는, 폴 플랜지가 있는 원통형 부품과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실링 라이너에 폴리머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고압 탱크에 있어서, 섬유질의 실 리본으로 감겨 폴 플랜지의 하단에 위치한 코일에 닿는 나선형 레이어; 아크로 구부러지고 테이프는 원형 단면 번들로 변형되는 접촉 영역의 테이프 나사산; 폴 플랜지의 목 부분의 크림핑 링을 형성하는 아크 곡선 나사산 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더욱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에 의하면, 폴 플랜지의 목 부분에 대한 교대 부위의 하단부에 있는 파워 셸의 권선 방식을 개선하여 탱크 제조 품질을 향상시키고, 극 구멍 영역 내 전원 셸의 보강도를 개선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력 피막을 감는 방법의 전체적인 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테이프가 폴 플랜지의 목 부분에 닿는 구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라이너 바닥에 위치한 테이프의 단면도,
도 4는 폴 플랜지의 목 부분에 부분적으로 변형된 테이프의 섹션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하네스 안으로 변형된 테이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폴 플랜지의 목과 접촉 영역에 있는 이론적인 비접촉 테이프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탱크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기둥 구멍 가장자리의 세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기둥 구멍 가장자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력 피막을 감는 방법의 전체적인 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테이프가 폴 플랜지의 목 부분에 닿는 구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라이너 바닥에 위치한 테이프의 단면도, 도 4는 폴 플랜지의 목 부분에 부분적으로 변형된 테이프의 섹션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하네스 안으로 변형된 테이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폴 플랜지의 목과 접촉 영역에 있는 이론적인 비접촉 테이프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탱크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기둥 구멍 가장자리의 세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기둥 구멍 가장자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 플랜지가 있는 원통형 부품(40)과 구형 바닥(50)으로 구성된 실링 라이너(30)에서 고분자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고압 탱크(20)의 동력 피막(10)을 감는 방법에서 나선형 레이어(90)는 섬유질 나사산(80)으로 만든 테이프(70)로 감겨서 목 아래(50)에 위치한 코일에 닿는다.
s(100)의 폴 플랜지(60) 접촉 영역(110)의 테이프(70)의 나사산(80)은 아크(120)로 구부러지고, 테이프(70)는 원형 단면 다발(130)로 변형되며, 아크 곡선(120) 나사산 배열(140)은 링을 형성하기 위한 폴 플랜지(60)의 목(100)의 크림핑 링(150) 형성은 다음 수식 1로 결정된다:
[수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l는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80)의 최대 길이,
H는 테이프(70)의 폭(mm);
r는 극 플랜지(60)의 목(100) 반경(mm)
c=1.02-1.25는 테이프 7의 "하네싱"에서 나사산 길이 변화를 고려한 실험 계수로서, 테이프 Q의 장력, 바인더 점성, 링(150)에서 나사산(80)의 최적 위치로부터의 편차에 따라 달라진다.
이 방법의 변형은 동력 피막(10)의 테이프(70)를 라이너(30)에 감고, 폴 플랜지(60)의 목(100)의 크림핑 링(150)은 아크(120)로 구부러진 나사산(80)의 배열(120)로 형성되며, 길이가 다른 나사산(80)의 아크(120)는 배열(140)과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 보강 방식은 소프트웨어 제어 기능이 있는 특수 기계에서 권선이 수행된다는 점에 의해 제공되며, 폴 플랜지의 씰링 존(60)을 감을 때 프로그램 매개변수는 테이프(70)가 마지막 나사산(190)에 닿을 때까지 폴 플랜지의 목(100)에 가깝게 설정된다.
그것은 아크(210)를 따라 인접해 있다. 또한 실제로 길이 l 이하의 나사산(80)은 프로그램에서 지정한 최적성에서 계수 c로 고려한 편차가 있는 링(150)에 위치한다.
탱크(20)의 버전은 동력 피막(10)이 길이 l 이하의 아크(120)의 나사산 (80)을 포함하는 링(150)을 형성하고 겹침(180)과 함께 위치로 구성된다.
연구에 따르면 최대 길이가 l 미만인 아크(120)의 나사산(80)이 원주 방향으로 감소하면 링(150)의 강도가 감소하고, 링의 영역(150)에서 동력 피막 두께(10)가 증가하며, 곡률이 음인 섹션(220)이 형성된다. (10)을 사용하여 풍선의 강도를 크게 감소시킬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은, 폴 플랜지가 있는 원통형 부품과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실링 라이너에 폴리머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감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품과 폴 플랜지가 있는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씰링 라이너를 섬유질 실 리본으로 감싼 후 폴 플랜지의 목을 테이프로 폴 플랜지의 바닥에 위치한 코일에 닿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접촉 영역의 테이프 나사산은 아크로 구부러지고, 테이프는 원형 단면의 다발로 변형되며, 아크 나사산 배열은 폴 플랜지의 목 부분의 크림핑 링을 형성하고, 상기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는 다음의 수식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l은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
H는 테이프의 넓이(mm),
r은 폴 플랜지의 목 반경,
c=1.02-1.25(링 내 나사산의 최적 위치로부터의 편차; 테이프의 "하네싱"에서 나사산 길이의 변화를 고려한 실험 계수이며, 테이프의 장력, 바인더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내부 실링 레이어(라이너)와 외부 실링 레이어(전원)가 포함된 다층 고압 탱크로, 폴리머 바인더로 함몰된 고강도 물질 다발 또는 나사산으(강철사)로부터 형성된 테이프를 특정 모드에 따라 후속 열처리로 감아 만든다. 라이너의 충분한 고리형 및 축방향 강성으로, 권선은 맨드렐과 같이 축방향 및 고리방향으로 보강하지 않고 라이너에 수행된다. 이 경우, 동력 피막은 바닥에 기둥 구멍이 있는 "코콘(cocon)"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폴 홀은 플랜지로 닫히며 종종 라이너와 동시에 만들어진다. 플랜지 중 하나는 플러그이며 다른 하나는 작동식 넥이 있다. 이 경우 플랜지가 있는 폴 홀 구역은 극단적인 압력으로 탱크를 적재할 때 집광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의 구체적인 특징은 아래와 같다.
터치 존(touch zone)의 테이프 나사산은 아크(arc)로 구부러져 있다. 즉, 새로운 작동의 존재를 제공하고, 기술적 결과를 달성하여 작업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하단 부분의 파워 셸의 목 부분에 대한 부착 부분의 권선 체계를 개선함으로써 제조 실린더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폴 플랜지는 이 구역에서 파워 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테이프를 원형 단면 하네스로 변형하는 것을 주요 요소로 한다.
폴 플랜지의 목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서 그것의 하단 부분의 파워 셸의 권선 체계를 개선함으로써 탱크 제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작업, 이 부분에서 동력 피막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크 고정 나사산 배열은 폴 플랜지 목 부분의 크림핑 링을 형성하며 링 형성을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는 다음 수식 1에 의해 결정된다:
[수식 1]
Figure pat00004
여기서:
l은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
H는 테이프의 넓이(mm),
r은 폴 플랜지의 목 반경,
c=1.02-1.25는 테이프의 "하네싱"에서 나사산 길이의 변화를 고려한 실험 계수이며, 테이프의 장력, 바인더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 과제는 이 부분에서 동력 피막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폴 플랜지의 목 부분의 교대부 영역에서 동력 피막의 권선 체계를 개선하여 실린더의 품질을 개선함으로써 기술적 결과를 달성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학적 의존성에 의해 설명되는 특징은 도 6에서 볼 수 있다.
ADO 삼각형의 경우 다음 수식 2 내지 4와 같다.
[수식 2]
Figure pat00005
[수식 3]
Figure pat00006
[수식 4]
Figure pat00007
원 2'의 각도 α 단면의 호 lo 길이는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된다.
[수식 5]
Figure pat00008
또는 l0=0,01745 rα;
(1)의 α에 대한 식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수식 6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수식 6]
Figure pat00009
호 길이 lо는 테이프 s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고 결정되며, 호를 따라 휘어진 실은 다발의 두께 내에서 호 ABC에 등거리하게 배치되며, 그 길이는 아래 공식에 의해 결정된다.
[수식 7]
Figure pat00010
장치의 기술적 결과를 얻는 문제는 풍선이 섬유질 실로 테이프를 감아 만든 라이너와 구멍이 있는 동력 피막을 포함하고 있음으로 해결되는 반면, 발명품에 따라, 각 피막 구멍은 아르 배열의 동력 피막과 동시에 만들어진 고리의 안쪽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다. c-단면 원형 다발의 스레드, 그리고 이러한 스레드들의 최대 길이는 다음 수식 8에 의해 결정된다.
[수식 8]
Figure pat00011
여기서:
l은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강철사)의 최대 길이,
H는 테이프의 넓이, mm,
r은 폴 플랜지의 목 반경,
c=1.02-1.25는 테이프의 "하네싱"에서 나사산 길이의 변화를 고려한 실험 계수이며, 테이프의 장력, 바인더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
장치의 고유한 기능은 아래와 같다.
각각의 기둥 구멍은 동력 피막과 동시에 만들어진 고리의 안쪽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주요 요소로서, 새로운 요소(링), 새로운 관계(동력 피막과 동시에) 및 새로운 위치(극 구멍을 따라 있는 내부 가장자리)의 존재를 제공하는 것은, 그것의 영역에 있는 동력 피막의 보강 계획을 개선함으로써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 기술적 결과를 달성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집선 장치 구역에서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기둥 구멍에서, 링은 원형 단면 다발의 아크(arc) 모양 나사산 배열로 만들어져 있는 주요 요소로서, 새로운 요소(나사 배열), 새로운 형태(원호 안에 배치) 및 새로운 위치(원형 단면의 묶음 안에 배치)의 존재를 제공하는 것은 그것의 영역 내 동력 피막의 보강 계획을 개선함으로써,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술적 결과를 달성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레드들의 최대 길이는 전술한 수식 8에 의해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동력 피막 20 : 고압 탱크
30 : 실링 라이너 40 : 원통형 부품
50 : 구형 바닥 60 : 폴 플랜지
70 : 테이프 80 : 나사산
90 : 나선형 레이어 100 : 목
110 : 접촉 영역 120 : 아크
130 : 원형 단면 다발 140 : 나사산 배열
150 : 크림핑 링

Claims (4)

  1. 폴 플랜지가 있는 원통형 부품과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실링 라이너에 폴리머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감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품과 폴 플랜지가 있는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씰링 라이너를 섬유질 실 리본으로 감싼 후 폴 플랜지의 목을 테이프로 폴 플랜지의 바닥에 위치한 코일에 닿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접촉 영역의 테이프 나사산은 아크로 구부러지고, 테이프는 원형 단면의 다발로 변형되며, 아크 나사산 배열은 폴 플랜지의 목 부분의 크림핑 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는 다음의 수식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수식 1]
    Figure pat00012

    여기서:
    l은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
    H는 테이프의 넓이(mm),
    r은 폴 플랜지의 목 반경,
    c=1.02-1.25(링 내 나사산의 최적 위치로부터의 편차; 테이프의 "하네싱"에서 나사산 길이의 변화를 고려한 실험 계수이며, 테이프의 장력, 바인더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
  3. 폴 플랜지가 있는 원통형 부품과 구형 바닥으로 구성된 실링 라이너에 폴리머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고압 탱크에 있어서,
    섬유질의 실 리본으로 감겨 폴 플랜지의 하단에 위치한 코일에 닿는 나선형 레이어;
    아크로 구부러지고 테이프는 원형 단면 번들로 변형되는 접촉 영역의 테이프 나사산;
    폴 플랜지의 목 부분의 크림핑 링을 형성하는 아크 곡선 나사산 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는 다음의 수식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
    [수식 1]
    Figure pat00013

    여기서:
    l은 링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의 최대 길이,
    H는 테이프의 넓이(mm),
    r은 폴 플랜지의 목 반경,
    c=1.02-1.25(링 내 나사산의 최적 위치로부터의 편차; 테이프의 "하네싱"에서 나사산 길이의 변화를 고려한 실험 계수이며, 테이프의 장력, 바인더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
KR1020220087683A 2021-12-10 2022-07-15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 KR20230088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83A KR20230088221A (ko) 2021-12-10 2022-07-15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251 2021-12-10
KR1020220087683A KR20230088221A (ko) 2021-12-10 2022-07-15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251 Division 2021-12-10 2021-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221A true KR20230088221A (ko) 2023-06-19

Family

ID=8698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83A KR20230088221A (ko) 2021-12-10 2022-07-15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2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403A (ko) 2019-11-27 2021-06-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후프층 및 헬리컬층이 와인딩된 고압탱크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403A (ko) 2019-11-27 2021-06-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후프층 및 헬리컬층이 와인딩된 고압탱크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009B2 (en)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316359B2 (en)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930790B (zh) 高压容器
EP2418412B1 (en) Tank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5408351B2 (ja) 高圧タンクおよび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US20190170297A1 (en) Pressure vessel with a tape-based reinforcement structure
EP2425960A1 (en) Filament winding device and filament winding method
CN1306173A (zh) 贮存高压气体的容器
JP2023505037A (ja) フープ層およびヘリカル層がワインディングされた高圧タンク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20220196206A1 (en) High-pressure tank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1204132B2 (en) Tank production method and tank
KR20230088221A (ko) 고압 탱크의 동력 피막을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는 방법 및 고분자 복합재료로 감싸지는 고압 탱크
WO2010116529A1 (ja) 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83151A1 (en) Optimised vessel
JP2020131430A (ja)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JP2017145962A (ja) 高圧タンク及び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JP2020139565A (ja) 高圧タンク
JP2022144646A (ja) 高圧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093834A1 (en) Tank
US11598483B2 (en) High-pressure vessel
KR20190057482A (ko) 곡면 형상 라이너를 포함하는 고압용기
US20240068618A1 (en) High-pressure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igh-pressure tank
JP2020002965A (ja) 高圧タンク
JP2021148209A (ja) 高圧ガスタンク
JP2020037961A (ja) タンク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