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019A - Coffee powder accommodating part, connector and coffee powder accomodating part combination an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ffee powder accommodating part, connector and coffee powder accomodating part combination an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019A
KR20230087019A KR1020210175566A KR20210175566A KR20230087019A KR 20230087019 A KR20230087019 A KR 20230087019A KR 1020210175566 A KR1020210175566 A KR 1020210175566A KR 20210175566 A KR20210175566 A KR 20210175566A KR 20230087019 A KR20230087019 A KR 2023008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coffee
powd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이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102021017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019A/en
Publication of KR2023008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0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수용부,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부는 커넥터와 결합되고 하부는 커피 추출액을 저장하는 서버 용기와 결합되고 내부에 커피 분말을 구비하는 분말 수용부로서, 상기 커넥터와 체결되는 제2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내부 빈 공간에 커피 분말을 저장하는 커피 용기부와, 커피 용기부(33)에서 추출된 커피 추출액이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4직경의 제 2 출수관을 구비하며 커피 용기부와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는 제2출수관에서 배출되는 추출액의 양을 조절하는 세관부 및 세관부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서버 용기와 결합되는 제 3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피 분말 수용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수용부,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의하면 미생물이나 세균 번식을 방지하고 청결한 물을 사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der accommodating unit, a connector and a powder accommodating unit combination, and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or and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server container for storing the coffee extract and is a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coffee powder therein, and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fastened to the connector and the lower second connecting portion, A second water container having a coffee container for storing coffee powder in the space and a second outlet pipe having a fourth diameter through which the coffee extract extracted from the coffee container 33 moves downward, and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coffee container and the lower part. The coffe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including a third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tubula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and coupled to the server container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the connector and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assembly, and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or bacteria and extract the Dutch coffee using clean water.

Description

분말 수용부,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COFFEE POWDER ACCOMMODATING PART, CONNECTOR AND COFFEE POWDER ACCOMODATING PART COMBINATION AN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Powder accommodating unit, connector and powder accommodating unit combination, an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에서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공기조절 밸브를 사용하여 물이 떨어지는 속도를 조절하고, 다양한 서버용기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청소 및 소독을 하지 않아도 곰팡이나 세균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분말 수용부,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trol valve is used in the Dutch coffee brewing device to control the rate at which water falls, to make it possible to fasten with various server containers, and to prevent problems such as mold or bacteria from occurring even without cleaning and disinfec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wder accommodating unit, a connector and a powder accommodating unit combination, and a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having the same.

더치커피는 상부에 수용된 물을 커피가루가 담겨있는 분말 수용부에 조금씩 낙하하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커피 가루를 용해시켜 커피 액을 추출하고 필터를 거쳐 커피 액만 하부의 액상수용부에 담기게 하는 장치를 통하여 추출한다. In Dutch coffee, the water stored in the upper part is allowed to fall little by little into the powder container containing the coffee powder, and the coffee powder is dissolved for a long time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extract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을 사용해서 추출하는 일반적인 커피와는 달리 실온 또는 차가운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추출하는 커피이다. 차가운 물을 한 방울 씩 떨어뜨려 긴 시간을 두고 천천히 추출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로 추출한 커피보다는 쓴맛이 적고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Unlike regular coffee, which is extracted using hot water, Dutch coffee is coffee brewed for a long time using room temperature or cold water. Cold water is dropped drop by drop and extracted slow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so it is less bitter than coffe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you can feel the mild and soft flavor.

그러나, 더치커피는 열처리 없이 찬 물로 오랜 시간 추출하기 때문에 미생물이나 세균 번식에 취약해 더치커피에 사용되는 용기들은 주기적으로 끓는 물로 소독이나 살균을 해야 한다. However, since Dutch coffee is extracted with cold water for a long time without heat treatment, it is vulnerable to microorganisms or bacteria propagation, so containers used for Dutch coffee must be periodically disinfected or sterilized with boiling water.

특히, 달팽이관(유리 코일)이나 드립양 조절 밸브 내의 유로가 미세하여 청소하기가 어렵고 커피 찌꺼기가 지속적으로 쌓여 미생물이나 세균번식의 원인이 된다. 그럼에도 기존의 더치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청결도를 유지하기 위한 세척이 매우 어려우며 깨지기 쉬워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미생물이나 세균의 번식의 문제 발생이 작고, 간편한 방법으로 청결한 물을 사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 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의 필요성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In particular, since the passage in the cochlea (glass coil) or the drip amount control valve is fine, it is difficult to clean, and coffee grounds continuously accumulate to cause microorganisms or bacteria to propagate. Nevertheless, the existing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used to extract Dutch coffee has problems in that i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is very difficult to clean to maintain cleanliness, and is fragile and difficult to handl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extracting Dutch coffee using clean water in a simple and convenient way with a small problem of breeding microorganisms or bacteria.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4522호에서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어 하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물공급용기와; 상기 제1물공급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2물공급용기와; 내부로 공급된 물을 복수 개의 출수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물분배부재와; 상기 제1물공급용기에 저장된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닛을 개방하면 상기 제2물공급용기의 내부에 작용하는 진공력에 의해 상기 제1물공급용기로부터 상기 제2물공급용기로 물이 유입되고, 상기 제2물공급용기 내부의 물은 상기 제2물공급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만큼 중력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출수공을 통해 분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고,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24522 describes a first water supply container for storing water inside and supplying water to the lower part; a second water supply container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in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container is stored; a water distribution member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through a plurality of outlet holes; and a valve unit controlling a supply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supply container, and when the valve unit is opened, the second water supply container is mov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container by a vacuum force acting on the inside of the second water supply container.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water inside the second water supply container is dispers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by gravity by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water supply container. It provides a water supply device for coffee extraction using vacuum for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0306호에서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수용부; 내부에 커피가루가 수용되는 분말수용부; 상기 분말수용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말수용부 외부로 배출된 커피추출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분말수용부와 밀폐 결합하는 액상수용부;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일단이 상기 워터수용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액상수용부와 결합하며, 상기 워터수용부와 상기 액상수용부 사이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커피추출액의 생성시간을 일정하게 하도록 구비되는 압력유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90306, “a wat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water therein; A powder receiving unit in which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a liquid accommodating unit provided under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and sealedly coupled to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so that the coffee extrac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can be accommodated; an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t least one of the water accommodating unit, the powder accommodating unit, and the liquid accommodating unit;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wa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iquid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internal pressure between the wa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liquid accommodating portion is kept constant to make the production time of the coffee extract constant. It provides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ure holding pipe.

하지만 상기의 기술도 미생물이나 세균의 번식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은 아니고, 간편한 방법으로 청결한 물을 사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 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는 것도 아니다. However, the above technology is not a technology that solves the problem of breeding microorganisms or bacteria, nor does it suggest a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Dutch coffee using clean water in a simple way.

따라서, 미생물이나 세균 번식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간편한 방법으로 청결한 물을 사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 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Dutch coffee using clean water in a simple way while solving the problem of microorganisms or bacterial propag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452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245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0306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90306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공기 접촉을 최소화하여 미생물이나 세균 발생을 줄이면서 세척이 용이하고 커피 분말에 전체적으로 수분이 스며들도록 하여 커피를 원활하게 추출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need, and by minimizing air contact to reduce the occurrence of microorganisms or bacteria, it is easy to clean, and it is possible to smoothly extract coffee by allowing moisture to permeate the coffee powder as a whole. Provide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aims to do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는 커넥터와 결합되고 하부는 커피 추출액을 저장하는 서버 용기와 결합되고 내부에 커피 분말을 구비하는 분말 수용부(30)로서, 상기 커넥터와 체결되며 제1 직경의 개구부를 갖는 제2 연결부(31)와, 상기 제 2 연결부(31)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내부 빈 공간에 커피 분말을 저장하는 커피 용기부(33)와, 상기 커피 용기부(33)에서 추출된 커피 추출액이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4직경의 제 2 출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커피 용기부(33)와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는 제2출수관에서 배출되는 추출액의 양을 조절하는 세관부(35) 및 상기 세관부(35)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서버 용기와 결합되는 제 3 연결부(51)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부(31)와 상기 커피 용기부(33)의 연결되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44)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면(44) 상면에서 커피 분말을 외부 공기와 차단하도록 실링하는 상단 실(32) 및 상기 제 2 출수관 하부를 실링하는 하단 실(41)을 포함하므로서 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receiving portion 30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a connector and a lower portion coupled to a server container for storing coffee extract and having coffee powder therein, fastened to the connector and having an opening of a first diameter.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the coffee container part 33 formed successively wit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and storing the coffee powder in the inner empty space, and the coffee extract extracted from the coffee container part 33 A customs pipe part 35 having a second water outlet pipe having a fourth diameter moving downward and adjusting the amount of extract liquid discharged from the coffee container part 33 and the second water outlet pipe formed in succession with the lower part and the customs pipe part (35) It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part and includes a third connection part 51 coupled to the server container, and a protrusion protrudes inward from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and the coffee container part 33. A surface 44 is provided, and an upper seal 32 seals the coffee powd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urface 44 to block external air and a lower seal 41 seals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water outlet pipe. do.

그리고 상기 상단 실(32) 하부와 커피 분말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상단 필터(34)를 더 포함한다. And it further includes an upper filter 34 provid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hamber 32 and the upper part of the coffee powder.

또한 상기 제 2 출수관 형성부에는 일 측면에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고 연이어 하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공기관(45a)을 구비하고, 상기 일 측면에서 제 2 공기관(45a)의 입구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공기관으로 들어오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 2 조절나사(43a)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water outlet pipe forming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air pipe (45a)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inner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surface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inlet of the second air pipe (45a) on the one side surface. It is fastened to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adjusting screw (43a)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entering the second air pipe.

또한 상기 분말 수용부(30) 내부에는 외벽(58a)이 형성된 캡슐(58)이 더 구비되고, 상기 캡슐(58)에는 내부 홀(58d)이 더 구비되어 상기 캡슐(58)로 들어오는 물은 상기 내부 홀(58d)로 먼저 유입되게 되고, 상기 내부 홀(58d)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내부 홀(58d)을 통하여 캡슐(58)의 하부에 도달된다. In addition, a capsule 58 having an outer wall 58a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and an inner hole 58d is further provided in the capsule 58 so that water entering the capsule 58 is The water flows into the inner hole 58d first, 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ner hole 58d reaches the bottom of the capsule 58 through the inner hole 58d.

또한 상기 외벽(58a)의 높이는 상기 내부 홀(58d)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외벽(58a)의 바깥쪽에 외부 돌기(58b)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캡슐(58)의 하부에 도달된 물은 캡슐(58)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캡슐(58) 상부로 이동한 물은 상기 외벽(58a)의 상단을 넘어 상기 외벽(58a)과 상기 외부 돌기(58b) 사이를 통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58a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hole 58d, an external protrusion 58b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58a, and water reac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58 is formed. The silver moves to the top of the capsule 58, and the water that has moved to the top of the capsule 58 moves downward through the outer wall 58a and the outer protrusion 58b beyo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58a.

또한 상부는 물 공급부(10)와 결합되고 하부는 커피 분말을 저장하는 분말 수용부(30)와 결합되고 내부에 물이 떨어지는 출수관을 구비하는 커넥터(20)로서,상기 물 공급부와 체결되며 제5 직경의 개구부를 갖는 제1 연결부(22)와, 상기 제 1 연결부(22)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 공급부(10)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떨어지는 출수관(23)과 상기 분말 수용부와 체결되는 하부 나사부(29a)를 갖는 몸통부(24)와, 내부에는 공간(25)이 만들어지고 제 6 직경을 가지는 단턱(27)과 상기 출수관(23)에서 연장된 돌기(27a)를 가지는 단턱부(26)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관(23) 상단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공기관(45b)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기관을 통하여 상기 물 공급부 내로 공기가 투입되고, 상기 투입되는 공기 양은 제 1 조절 나사(43b)에 의하여 조절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unit 10 and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powder receiving portion 30 for storing coffee powder and a connector 20 having a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falls therein, which is fastened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A first connection part 22 having an opening with a diameter of 5, formed in succession with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2, and a water outlet pipe 23 through which water flowing down from the water supply part 10 falls and the powder accommodation therein A body part 24 having a lower threaded part 29a fastened to the part, a step 27 having a space 25 inside and having a sixth diameter, and a protrusion 27a extending from the water outlet pipe 23 It includes a stepped portion 26 having a, and a first air pipe 45b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surfac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n upper end of the water outlet pipe 23 is further provided, and the water supply unit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air pipe. Air is injected into the inside, and the amount of the injected air is adjusted by the first adjusting screw 43b.

또한 상기 단턱부 내부(25)에 공간이 만들어지고 상기 공간(25)에 도우넛 모양의 메(55)쉬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space is created inside the stepped portion 25, and a donut-shaped mesh 55 is provided in the space 25.

또한 분말 수용부 및 커넥터가 결합된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로서,In addition, as a connector and powder accommodation unit combination in which the powder accommodation unit and the connector are combined,

상기 커넥터는 상부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 공급부(10)와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2)와, 상기 제 1 연결부(22)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출수관(23)을 구비하는 몸통부(24) 및 상기 몸통부(24)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제6직경의 내부 빈 공간을 구비하는 단턱부(2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수관(23)의 하부 끝부분은 외측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돌기(27a)가 구비된다. The connector has a first connection part 22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art 10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a first water outlet pipe formed in succession with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2 and vertically formed in the center. It includes a body portion 24 having a body portion 23 and a stepped portion 26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4 and having an internal empty space having a sixth diameter, and the first water outlet pipe 23 The lower end of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27a) provided in a round shap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몸통부(24)에는 일 측면에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고 연이어 상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공기관(45b)을 구비하고, 상기 일 측면에서 제 1 공기관(45b)의 입구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공기관으로 들어오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나사(43b)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first air pipe 45b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inner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surface an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surface successively, and at the inlet of the first air pipe 45b from the one side surface. It is fastened to further include a first adjusting screw 43b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entering the first air pipe.

또한 분말 수용부, 커넥터, 물 공급부(10) 및 서버 용기부(50)로 구성된 더치커피 추출 장치로서, 상기 물 공급부(10)에는, 물이 담겨져 물을 공급하는 물 용기(12) 및 상기 커넥터(20)의 상부 나사부(21a)와 체결 되는 체결 구조가 만들어 지고, 한편 서버 용기부(50)에는 커피 추출액이 수용되는 추출액 용기(54)와 분말 수용부(30)의 제 2 연통 나사부(37a)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가 만들어진다. In addition, it is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osed of a powder accommodating part, a connector, a water supply part 10, and a server container part 50, wherein the water supply part 10 contains water and supplies water to the water container 12 and the connector. A fastening structure that is fastened with the upper threaded portion 21a of (20) is made, while the server container portion 50 has an extract container 54 in which coffee extract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communication threaded portion 37a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 and a fastening structure is created.

제 1 공기관(45b)에 수직으로 더 연장되어 만들어진 내부 공기관(40a)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내부 공기관(40a)은 물 용기(12) 내부를 관통하여 물 용기(12) 상부의 공기(13)가 존재하는 영역까지 위치하고, 상기 추출액 용기(54)는 컵 모양의 용기혹은 병 모양의 용기이다. An inner air pipe 40a extending vertically further from the first air pipe 45b is further provided, and the inner air pipe 40a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water container 12 and releases air 13 above the water container 12. is located to the region where is present, and the extract container 54 is a cup-shaped container or a bottle-shaped container.

또한 상기 물 용기(12) 상부를 관통하는 조절기 홀(45c)와 상기 조절기 홀(45c) 내부에 체결되는 제 1 조절 나사(43b)가 구비되어, 상기 물 용기(12)에서 출수관(23)으로 떨어지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 In addition, a regulator hole 45c penetrat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ntainer 12 and a first adjustment screw 43b fastened inside the regulator hole 45c are provided, so that the water outlet pipe 23 in the water container 12 The amount of water falling into is regulated.

또한 상기 추출액 용기(54) 상부를 관통하는 조절기 홀(45c)와 상기 조절기 홀(45c) 내부에 체결되는 제 2 조절 나사(43a)가 구비되어, 상기 추출액 용기(54)로 들어오는 커피 추출액의 양이 조절된다. In addition, a regulator hole 45c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xtract container 54 and a second adjusting screw 43a fastened inside the regulator hole 45c are provided, so that the amount of coffee extract entering the extract container 54 this is regulated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청결도를 유지하기 위한 세척이 매우 어려우며 깨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수용부,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의하면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미생물이나 세균 번식을 방지하고 청결한 물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를 추출 할 수 있게 되었다.The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so it is very difficult to clean to maintain cleanliness and has problems with being easily broken.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extract Dutch coffee that solves these conventional problems while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or bacteria and making it easy to use clean water.

또한, 더치 커피는 추출하는데 필요한 장비는 일반 커피(온수에서 추출하는 커피를 의미함)를 추출하는 장비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고가이면서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일반 가정에서 추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분말 수용부는 밀폐된 구조로 일반 가정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일반 소비자도 세균 번식없이 더치 커피를 가정에서 쉽게 추출하여 맛 볼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the equipment required to extract Dutch coffee is relatively expensive and composed of many parts compared to equipment for extracting general coffee (meaning coffee extracted in hot water), so it is difficult to extract at home. Since the coffee powder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lied to ordinary households in a closed structure, even ordinary consumers can easily extract and taste Dutch coffee at home without bacterial propag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말 수용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분말 수용부가 결합된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의 실시예 도면이다.
도 5는 메쉬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물 용기 내에 내부관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공기 조절기가 물 용기의 상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컵 형태의 용기가 추출액 용기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병 모양의 용기가 추출액 용기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공기 조절기가 추출액 용기 상부에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은 상부캡과 하부캡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는 분말 수용부 내부에 별도의 캡슐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1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powder receiv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and powder accommodation unit combina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powder accommod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mesh.
6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n inner tube in the water container.
7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n air conditioner has a structure passing through an upper portion of a water container.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up-shaped container is used as an extract container.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bottle-shaped container is used as an extract container.
10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on top of an extract container.
11 is a view of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n upper cap and a lower cap.
12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eparate capsule is provided inside the powder container.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을 사용해서 추출하는 일반적인 커피와는 달리 실온 또는 차가운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추출하는 커피이다. 차가운 물을 한 방울 씩 떨어뜨려 시간을 두고 천천히 추출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에 추출한 커피보다는 쓴맛이 적고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Unlike regular coffee, which is extracted using hot water, Dutch coffee is coffee brewed for a long time using room temperature or cold water. Because cold water is added drop by drop and extracted slowly over time, it is characterized by less bitter taste than coffee brewed with hot water, and you can feel a mild and soft flavor.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는,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 커피저장탱크, 커피 추출액 수집탱크 및 거치대가 구비된다. 이때, 물탱크는 거치대의 최상부에 위치하며, 물탱크 상부에는 물 투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물탱크의 하부에는 드립량 조절밸브가 구비된다. 드립량 조절밸브는 물탱크 하부의 유로 단면적을 변경하여 물의 드립량을 조절한다. A commonly use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a coffee storage tank, a coffee extract collection tank, and a holder. At this time, the water tank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holder, and a water inlet is formed at the top of the water tank. And, a drip amount control valv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The drip amount control valve adjusts the drip amount of water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 제1실시예 -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to 5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물 공급부(10), 커넥터(20), 분말 수용부(30) 및 서버 용기부(50)로 구성된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water supply unit 10, a connector 20, a powder receiving unit 30, and a server container unit 50.

그리고 물 공급부(10)에는, 물이 담겨져 물을 공급하는 물 용기(12) 및 커넥터(20)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10 includes a water container 12 in which water is contained and supplying water, and a first connection unit 22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 .

또한 커넥터(20)에는, 물 공급 부(10)에서 떨어지는 물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 1 공기 조절기(28) 및 분말 수용부(30)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부(31)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on part 31 for connecting the first air regulator 28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part 10 and the powder accommodation part 30.

아울러 분말 수용부(30)에는, 커피 분말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수용된 커피 분말을 통과한 커피 추출액이 떨어지는 속도를 조절하는 세관부(35)가 구비되며, 분말 수용부(30) 하부에는 서버 용기(50)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ffee powder and a customs pipe 35 for controlling the rate at which the coffee extrac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ccommodated coffee powder falls, and a server at the bottom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Combined with the container (50).

한편 서버 용기부(50)에는 커피 추출액(53)이 수용되는 추출액 용기(54)와 분말 수용부(30)와 연결되는 제 3 연결부(51)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server container unit 50 includes an extract container 54 in which the coffee extract 53 is accommodated and a third connection portion 51 connected to the powder receiving unit 30.

물 공급 용기(10) 하부와 커넥터(20) 상부는 암수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부(22)를 통해서 나사 회전 방식으로 체결되며, 커넥터(20) 하부와 분말 수용부(30) 상부는 암수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부(31)로 체결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분말 수용부(30) 하부와 서버 용기(50) 상부도 암수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제3연결부(51)를 이용하여 체결된다.The lower par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0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20 are fastened in a screw rotation manne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22 formed by male and female threads, and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or 20 and the upper part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are male and female threads. It is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formed of. In a similar manner, the low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rver container 50 are fastened using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51 formed by male and female threads.

아울러, 상기 물 공급부(10)에는, 물이 담겨져 물을 공급하는 물 용기(12) 및 상기 커넥터(20)의 상부 나사부(21a)와 체결 되는 체결 구조가 만들어 지고, 서버 용기부(50)에는 커피 추출액이 수용되는 추출액 용기(54)와 분말 수용부(30)의 제 2 연통 나사부(37a)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가 만들어지는 진다. 여기서 체결 구조가 의미하는 바는 반드시 나사 구조 이외에 결합과 분리되기 위한 구조 혹은 다양한 크기의 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water supply unit 10, a water container 12 for supplying water in which water is contained and a fastening structure that is fastened with the upper threaded portion 21a of the connector 20 is made, and the server container portion 50 A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the extract container 54 in which the coffee extract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hreaded portion 37a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are fastened is made. What the fastening structure means here means a structure for coupling and separation other than a screw structure or a structure capable of transforming in various sizes.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20)는 제 1 연결부(22), 몸통부(24) 및 단턱부(26)로 구성된다.2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llustrating a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ng portion 22, a body portion 24, and a stepped portion 26.

커넥터 상부의 제 5 직경(커텍터 상부의 내부 직경)(φ5)을 가지는 제 1 연결부(22)에는, 상부 나사부(21a)가 구비되고 상부 나사부(21a)에 물 공급부(10)가 연결되며, 물 공급부(10)는 물의 출구 부분이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2 having the fifth diameter of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φ5 is provided with an upper screw part 21a and the water supply part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screw part 21a, The water supply unit 10 allows the water outlet portion to be screwed.

그리고 몸통부(24)에는, 물 공급부(10)에서 떨어지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조절 나사(43b)와 제 1 조절 나사(43b)와 결합되고 물 공급부(10) 내의 물 용기(12)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 1 공기관(45b)이 구비되어 물 공급부(10)에서 떨어지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 또한 물이 떨어지는 제 7 직경(출수관 내부의 직경)(φ7)을 가지는 출수관(23)과 분말 수용부(3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나사 모양의 하부 나사부(29a)가 구비된다. And the body portion 24 is coupled with the first adjusting screw 43b and the first adjusting screw 43b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 and the water container 12 in the water supply unit 10 A first air pipe 45b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unit 10 . In addition, a water outlet pipe 23 having a seventh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pipe) φ7 through which water falls and a threaded lower threaded portion 29a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owder receiving portion 30 are provided.

또한, 단턱부에는, 제 6 직경(단턱부 내부의 직경)(φ6)을 가지는 단턱(27)이 구비되고, 두께 d를 가지는 단턱(27) 내부에는 공간(25)이 만들어지고, 출수관(23)에서 외측으로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형상된 연장된 돌기(27a)가 구비된다. 연장된 돌기(27a)는 물이 출수관을 통하여 아래로 떨어질 때 바로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라운드진 곡면을 따라 떨어지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epped 27 having a sixth diameter (diameter inside the stepped portion) φ6, a space 25 is made inside the stepped 27 having a thickness d, and a water outlet pipe ( 23)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protrusion 27a shaped to have a round shape outwardly. The extended protrusion 27a induces the water to fall along the rounded curved surface without directly falling downward when the water falls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결과적으로, 제 1 연결부(22)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출수관(23)을 구비하는 몸통부(24) 및 몸통부(24)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제6직경의 내부 빈 공간을 구비하는 단턱부(26)를 포함하며, 제 1 출수관(23)의 하부 끝부분은 외측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장된 돌기(27a)가 형성되게 된다.As a result, the body portion 24 having the first water outlet pipe 23 formed in success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 and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and the lower body portion 24 formed in succession with the sixth diameter The lower end of the first water outlet pipe 23 is formed with an extended protrusion 27a provided in a round shape to the outside.

그리고 몸통부(24)에는 일 측면에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고 연이어 상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공기관(45b)을 구비하고, 일 측면에서 제 1 공기관(45b)의 입구에 체결되어 제 1 공기관으로 들어오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나사(48b)를 더 포함하게 된다.And the body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first air pipe (45b) formed in a certain length in the inner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an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surface successively, and is fastened to the inlet of the first air pipe (45b) on one side A first adjusting screw 48b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entering the first air pipe is further included.

도 3은 본 발명의 분말 수용부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분말 수용부(30)는 제 2 연결부(31), 커피 용기부(33), 세관부(35) 및 제 3 연결부(51)로 구분되어진다.Figure 3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powder receiv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der accommodation unit 30 is divided into a second connection unit 31, a coffee container unit 33, a customs tube unit 35, and a third connection unit 51.

제 1 직경(분말 수용부(30) 상부의 내경)(φ1)을 가지는 제 2 연결부(31) 안쪽에는 커넥터(20)가 연결되기 위하여 나사 모양의 제 1 연통 나사부(31a)가 구비된다,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having a first diameter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φ1, a screw-shaped first communication thread portion 31a is provided to connect the connector 20,

커피 용기부(33)는 제 2 연결부(31)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입구측에는 중앙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44)이 구비되어 내경 φ2로 좁은 형상을 가지며, 연이은 하방에는 다시 약 φ1로 넓어지는 공간으로 형성하면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커피 분말(36)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돌출면(44)의 상면에는 커피 분말(36)을 공기와 차단하기 위한 상단 실(32)을 구비하고, 상단 실(32) 하부에는 상단 필터(34)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단 필터(34)는 필터 역할을 하는 동시에 떨어지는 물에 의해 커피 분말의 표면이 패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커피 분말(36)이 수용되는 공간의 하부 출구에도 하단 필터(38)가 형성되어 커피 분말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제공한다.The coffee container part 33 is continuously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and has a protruding surface 44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t the inlet side and has a narrow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of φ2, and has a narrow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of φ2 and a wider one with about φ1. It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the coffee powder 36 of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as it goes downward while forming a losing space. An upper seal 32 for blocking coffee powder 36 from ai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urface 44, and an upper filter 34 is provided below the upper seal 32. In addition, the upper filter 34 serves as a filter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surface of the coffee powder from being dented by falling water. A lower filter 38 is also formed at the lower outlet of the space where the coffee powder 36 is accommodated to serve to filter the coffee powder.

세관부(35)는 커피 용기부(33)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하단 필터(38) 하부에 커피 추출액이 배출되는 제 4 직경(제 2 출수관의 내부 직경)(φ4)을 가지는 제 2 출수관(42)이 구비되며, 제 2 출수관(42)의 끝단에는 밀봉 효과를 가지는 하단 실(41)이 구비된다. 세관부(35)에는 제2 조절 나사(43a)가 구비되고, 제 2 조절 나사가 장착되어지는 부분과 연결되고 추출액 용기(54)와도 연결되는 제 2 공기관(45a)이 구비되어, 커피 추출액이 떨어지는 속도가 조절된다.The customs pipe 35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ffee container 33 and has a fourth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outlet pipe) φ4 through which the coffee extract is discharged under the lower filter 38. 42 is provided, and a lower end seal 41 having a sealing effec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water outlet pipe 42. The customs pipe 35 is provided with a second adjusting screw 43a, and is provided with a second air pipe 45a connected to the part where the second adjusting screw is mounted and also connected to the extract container 54, so that the coffee extract is Falling speed is adjustable.

제 3 직경(분말 수용부(30) 하부 내부의 직경)(φ3)을 가지는 제 3 연결부(51) 내부에는 서버 용기(50)가 결합되어 질 수 있도록 나사 모양의 제 2 연통 나사부(37a)가 구비된다. Inside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51 having a third diameter (diameter of the lower inn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φ3, a screw-shaped second communication screw portion 37a is provided so that the server container 50 can be coupled. are provided

결과적으로, 제 2 출수관(42) 형성부에는 일 측면에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고 연이어 하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공기관(45a)을 구비하고, 일 측면에서 제 2 공기관(45a)의 입구에 체결되어 제 2 공기관으로 들어오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 2 조절나사(4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second water outlet pipe 42 is provided with a second air pipe 45a formed in a certain length in the inner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an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uccessively to the lower surface, and at one side the second air pipe 45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adjusting screw (43a) fastened to the inlet of the ) to adjust the amount of air entering the second air pipe.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분말 수용부가 결합된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의 실시예 도면이다. 커넥터(20)와 분말 수용부(30)가 제 2 연결부(31)(도 1과 도 3의 도면 참조) 내의 하부 나사부(29a)를 통하여 상호 결합됨을 보인다. 즉, 커넥터(20) 하부의 외부에 형성된 하부 나사부(29a)와 분말 수용부(30) 상부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연통 나사부(31a)가 상호 나사 결합의 방법으로 결합이 되게 된다. Figure 4 is a view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and powder accommodation unit combina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powder accommod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connector 20 and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ower threaded portion 29a i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see the drawings of FIGS. 1 and 3). That is, the lower threaded portion 29a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2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threaded portion 31a form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are coupled by mutual screwing.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20)와 분말 수용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의 독립된 모듈로 존재할 수가 있게 된다.(커넥터(20)와 분말 수용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품화가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커넥터(20)와 분말 수용부(30)가 독립된 결합체로서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독립된 결합체 상부에 물 공급부(10)를 결합하고, 독립된 결합체 하부에 서버 용기부(50)를 결합하므로서 더치 커피 추출 장치가 만들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ist as one independent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20 and the powder accommodation unit 30 are combined. It means that.) Therefore, the connector 20 and the powder receiving portion 30 exist as an independent assembly. In this case, th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is made by coupling the water supply unit 10 to the upper part of the independent assembly and combining the server container part 50 to the lower part of the independent assemb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결합되고 분리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나사 결합의 방법 이외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통상의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예를들면 홈과 돌기의 방법과 재질의 탄성을 이용한 방법도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coupling and separation, a conventional method of coupling and separation other than the screw coupling method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groove and protrusion method and a method using elasticity of a material may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메쉬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20)와 분말 수용부(30)의 연결시 도넛 모양의 메쉬(55)가 중간에 구비되어, 분말 수용부(30)가 기울어져도 상단 필터(34)에 의해 가두어진 분말 커피의 표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5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mesh. When the connec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are connected, a donut-shaped mesh 55 is provided in the middle, so that even if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is tilted, the powder coffee trapped by the upper filter 34 keep the surface level.

이때 메쉬(55)는 단턱(27) 안쪽의 공간(25)에 장착된다,(도 2의 실시예 참조) 물론, 도 2에서는 메시(55)가 구비되지 않고 단턱으로 그 역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At this time, the mesh 55 is mounted in the space 25 inside the step 27 (see the embodiment of FIG. 2). method was presented.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20)와 분말수용부(30)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사용되었던 상 하단 필터(34)(38)만 교체해주고 새로운 분말 커피를 분말수용부(30)에 넣고 상단필터(34)를 위치시킨 뒤에 연결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재활용이 가능한 pet나 기타 플라스틱을 사용하므로 3 ∼ 5 번 정도 재사용이 가능하다. 청소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재활용품으로 분류하여 폐기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20 and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can be reused, replacing only the upper and lower filters 34 and 38 that have been used, putting new powdered coffee into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and putting the upper filter 34 ) can be placed and then connected to extract coffee. In other words, since recyclable PET or other plastics are used, it can be reused 3 to 5 times. If it is difficult to clean, it can be sorted and disposed of as recyclables.

또 다른 재 사용의 방법으로는, 필터만 교체해주고 새로운 분말 커피를 분말수용부(30)에 넣고 상단필터를 위치시킨 뒤에 도넛 형태의 메쉬(55)를 커넥터(20)와 분말수용부(30)의 사이에 끼우고 연결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of reuse, replace only the filter, put new powdered coffee into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place the top filter, and then connect the donut-shaped mesh 55 to the connector 20 and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You can extract coffee by inserting it between and connecting it.

- 제 2 실시예 - -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도면이다. 6 is a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물 용기 내에 내부관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공기관(45b)이 물 용기부(10) 아래 면에 연결된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용기(12) 내부를 관통하여 물 수면 위의 공기(13)가 존재하는 영역까지 위치하도록 만들어진 내부관(40)이 구비되고, 상부 내부관(40) 내부에 내부 공기관(40a)이 구비된다. 6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n inner tube in the water contain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air pipe (45b)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part (10).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an inner tube 40 is provided tha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water container 12 and is located up to the area where the air 13 above the water surface exists. An internal air pipe 40a is provided inside the inner pipe 40 .

그리고, 내부 공기관(40a)은 제1 공기관(45b)와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제1 조절 나사(43b)의 조절로 공기가 내부 공기관(40a)을 통하여 물 용기(12) 상부의 공기(13)에까지 도달되게 되어, 출수관(23)을 통하여 떨어지게 되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And, the internal air pipe 40a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pipe 45b, and as a result, air is supplied to the air 13 above the water container 12 through the internal air pipe 40a by the adjustment of the first adjusting screw 43b. It reaches up to , and the amount of water falling through the outlet pipe 23 is controlled.

즉 내부관(40)을 통하여 물 용기(12)의 상단에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조절 나사(43b)를 조절하여 공기가 공급되는 양이 조절 되도록 한다. 이때 내부관(40)의 높이가 물 용기(12)의 높이(물 용기(12) 바닥에서 맨 위까지의 높이)의 70 % 이상 혹은 95% 이상 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여 물 용기(12)를 거꾸로 세웠을 때, 내부관(40)의 일측이 물 공급용기(10) 상단의 공기(13)의 영역까지 돌출되도록 한다. That is, air is supplied from the upper end of the water container 12 through the inner tube 40 and the amount of air supplied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first adjusting screw 43b.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inner pipe 40 is 70% or more or 95% or more of the height of the water container 12 (the height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water container 12), so that the water container 12 is turned upside down. When erected, one side of the inner tube 40 protrudes to the area of the air 13 at the top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0.

- 제 3 실시예 - -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도면이다. 7 is a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공기 조절기가 물 용기의 상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제 1 조절 나사(43b)와 결합되는 조절기 홀(45c)가 물 용기(25) 상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조절기 홀(45c) 내부의 이동 방법으로 제 1 조절 나사(43b)를 조절하므로서 출수관(23)을 통하여 떨어지게 되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7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n air conditioner has a structure passing through an upper portion of a water container. The regulator hole 45c combined with the first adjustment screw 43b has a structure that passe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ntainer 25, and the first adjustment screw 43b is adjusted by moving the inside of the regulator hole 45c to bring out water. The amount of water falling through the pipe 23 is controlled.

이때 공기 조절기(혹은 조절기 홀(45c))는 물 용기(25)의 높이(물 용기(12) 바닥에서 맨 위까지의 높이)의 70% 이상 혹은 90% 이상 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물 용기(12)를 거꾸로 세웠을 때 공기조절기의 물 용기(12) 상단의 공기층에 돌출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air regulator (or regulator hole 45c)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is 70% or more or 90% or more of the height of the water container 25 (the height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water container 12), so that the water container 12 ) protrudes from the air layer at the top of the water container 12 of the air conditioner when it is upside down.

- 제 4 실시예 - - 4th Embodiment -

도 8과 도 9는 제 4 실시예의 도면이다. 8 and 9 are views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8은 컵 형태의 용기가 추출액 용기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분말 수용부(30)의 제 3 연결부(51)에 통상의 물 컵 혹은 물 컵 모양의 용기가 추출액 용기(54)로서 장착되는 방법이 제시된 방법이다.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up-shaped container is used as an extract container, that is, a normal water cup or water cup-shaped container is attached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51 of the powder receiving part 30 to extract container 54 ) is the proposed method.

도 9는 병 모양의 용기가 추출액 용기로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bottle-shaped container is used as an extract container.

즉 분말 수용부(30)의 제 3 연결부(51)에 통상의 물 컵 혹은 물 병 모양의 용기가 추출액 용기(54)로서 장착되는 방법이 제시된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 분말 수용부(30)의 제 3 연결부(51)에 제 2 연통부(37)(앞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나사 구조가 아니라 물이나 병이 결합되기 위한 체결 구조로 만들어진 것을 의미함.)를 구비하여, 물 컵 혹은 물 병 모양의 용기가 장착되도록 설계 변경된다. That is, a method in which a water cup or water bottle-shaped container is mounted as the extract container 54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51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is the proposed method. To this end,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7 is attached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51 of the powder accommodation part 30 (this means that it is made of a fastening structure for coupling water or bottles, not the screw structure present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th, the design is changed so that a water cup or water bottle-shaped container is mounted.

도8과 도9의 실시예에서는, 분말 수용부(30)와 커피 추출액을 담는 추출액 용기(55)가 상호 밀폐되지 않아 공기조절기가 없어도 추출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컵 형태의 용기나 병 형태의 용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분말 수용부(30)의 제 3 연결부(51)가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분말수용부(30)의 제 2 연통부(37)(혹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연결부(51)) 내부 가장자리를 평평하게 형성하여 서버 용기(50)의 가장자리가 안정되게 거치되도록 한다. In the embodiment of Figures 8 and 9, the powder container 30 and the extract container 55 containing the coffee extract are not mutually sealed, so that the extract falls down by gravity even without an air conditioner.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51 of the powder receiving part 30 is made so that a cup-shaped container or a bottle-shaped container can be coupled. In addition,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7 (or the third connection part 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of the powder receiving part 30 is formed flat so that the edge of the server container 50 is stably placed. do.

이때 제 2 연통부(37)(혹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연결부(51)) 내부의 직경을 분말 수용부(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하여, 서버 용기(50)의 직경도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분말 수용부(30)의 직경 보다 제 2 연통부(37)(혹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연결부(51))의 직경을 2배 혹은 5배에서 그 이상까지 확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t this time, by mak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7 (or the third connection part 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wder receiving part 30, the diameter of the server container 50 is also expanded can be made That is,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part 37 (or the third connection part 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can be expanded from 2 times or 5 times to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powder receiving part 30 is natural

즉, 분말 수용부(30) 상부의 내경인 제 1 직경(φ1)(분말 수용부(30) 상부 내부의 직경으로 제 1 연통 나사부(31a)의 내경) 보다 분말 수용부 하부의 내경인 제 3 직경(φ3)(분말 수용부(30) 하부 내부의 직경으로 제 2 연통부(37)의 내경)이 더 커질 수도 있고 더 작아 질 수도 있다. 더 커질 경우는 그 직경이 10배까지 커질 수도 있고, 더 작아질 경우에도 그 직경이 10배까지 작아질 수 있다. That is, the third inn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φ1, which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art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threaded portion 31a). The diameter φ3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ommunicating portion 37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may be larger or smaller. When it is larger, the diameter may increase up to 10 times, and when it is smaller, the diameter may decrease up to 10 times.

- 제 5 실시예 - - Fifth Embodiment -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공기 조절기가 추출액 용기 상부에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공기 조절기 기능을 하는 제2 조절 나사(43a)와 조절기 홀(45c)이 추출액 용기(54)의 상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제 2 조절 나사(43a)와 결합되는 조절기 홀(45c)가 추출액 용기(54) 상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고, 조절기 홀(45c) 내부의 이동 방법으로 조절 나사 2(43a)를 조절하므로서 제 2 출수관(42)을 통하여 떨어지게 되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10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on top of an extract container. The second adjustment screw 43a and the regulator hole 45c, which function as an air regulator, pas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xtract container 54. That is, the regulator hole 45c coupled with the second adjustment screw 43a has a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xtract container 54, and the control screw 2 (43a) is adjusted by the movement method inside the regulator hole 45c. 2 The amount of water falling through the outlet pipe 42 is controlled.

본 발명에서는 제 1 공기 조절기(28)과 세관부(35)가 구비되고, 제 1과 세관부(28)(35) 내에 각각 구비된 제1 조절 나사(43b)와 제 2 조절 나사(43a)의 조절을 통하여 공기의 양이 조절됨을 보이고 있다. 이때 제 1과 제 2 조절 나사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제 1과 제 2 조절 나사가 손으로 돌려지는 방법으로 공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조절 나사의 방법 이외에 공기가 조절될 수 있는 밸브나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는 통상의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conditioner 28 and the customs pipe 35 are provided, and the first adjustment screw 43b and the second adjustment screw 43a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and the customs pipe 28 and 35. It shows that the amount of air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of . At this time, handles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screws so that the air can be adjusted by turning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screws by hand. A valve or a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amount of air can be adjusted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물이 공급되는 물 용기(12)로서 통상의 생수 병 등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커넥터(20) 상부에 구비된 제1 연결부(22) 혹은 상부 나사부(21a)를 생수 병등이 장착될 수 있도록 설계 변경하여, 커넥터에 생수 병 등도 장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mmon mineral water bottle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water container 12 to which water is supplied. That is, by modifying the desig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 or the upper threaded portion 21a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20 so that a mineral water bottle or the like can be mounted thereon, it is possible to mount the mineral water bottle or the like to the connector.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결합되고 분리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나사 결합의 방법 이외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통상의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또한 공기 조절기도 나사 이동 뿐 아니라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통상의 밸브나 공기 조절 방법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coupling and separation, conventional methods of coupling and separation other than the screw coupling method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ir regulator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a conventional valve or air control method capable of adjusting air as well as screw movement.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된 각각의 실시예의 방법은 서로 상호 조합이 가능하다. 즉 제 2 실시예 혹은 제 3 실시예의 방법이 제 4 실시예 혹은 제 5 실시예의 방법과 서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ethods of each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utu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method of the second or third embodiment can be combined with the method of the fourth or fifth embodimen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제 6 실시예 - -Sixth Embodiment-

도 11은 상부캡과 하부캡이 구비된 제 6 실시예의 도면이다. 11 is a view of a sixth embodiment provided with an upper cap and a lower cap.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연결부(22) 끝단에 상부 캡(56)을 연결하고, 분말 수용부(30)의 하부에 구비된 제 3 연결부(51) 끝단에 하부 캡(57)을 연결하여, 유통시 먼지나 외부 오염 물질로부터 커넥터(20)와 분말수용부(30)를 보호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upper cap 56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20,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51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powder receiving part 30 The lower cap 57 is connected to the end to protect the connector 20 and the powder container 30 from dust or external contaminants during distribution.

상부캡(56)과 하부캡(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커넥터(20)와 분말 수용부(30)의 다양한 변형에도 모두 적용가능하다. The upper cap 56 and the lower cap 57 can be applied to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nnector 20 and the powder receiving portion 30 presen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부캡(56)과 하부캡(57)은 먼지나 오염 물질로부터의 보호이므로 밀봉 작용을 한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나사결합, 홈과 돌기 결합, 탄성체를 이용한 결합 등 밀봉 작용이 되도록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통상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cap 56 and the lower cap 57 are protected from dust or contaminants, they can be said to have a sealing action, and therefore, coupling and separation to achieve a sealing action such as screw coupling, groove and protrusion coupling, and coupling using an elastic body. A conventional method that can be used may be used.

또한, 실링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커텍터(20) 상부에 구비된 제1 연결부(22) 끝단에 평편한 판(혹은 필름)을 밀봉의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고, 분말 수용부(30) 하부에 구비된 제 3 연결부(51) 끝단에 평편한 판(혹은 필름)을 밀봉의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Also, a sealing method may be used. That is, a flat plate (or film) can be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20 in a sealing method,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51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powder receiving part 30 ) A flat plate (or film) can be attached to the end in a sealing manner.

- 제 7 실시예 - - Seventh Embodiment -

도 12는 분말 수용부 내부에 별도의 캡슐이 구비된 제 7 실시예의 도면이다.12 is a view of a seventh embodiment in which a separate capsule is provided inside the powder container.

도 12의 (A)는 분말 수용부(30) 내부에 캡슐(58)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12의 (B)는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2의 (C)는 캡슐(58)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12 (A)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capsule 58 is provided inside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FIG. 12 (B) is a plan view from above, and FIG. 12 (C) is a capsule 58 It is a drawing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출수관(23)으로부터 분말수용부(30)의 내부에 물이 투입되면, 투입된 물은 캡슐(58)의 내부 홀(58d)로 먼저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물은 내부 홀(58d)을 통하여 캡슐(58)의 하부에 도달되게 된다. 그리고 캡슐 하부에 도달된 물은 중심부에서 외부로 이동하여,(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하부에는 칸 막이(58c)가 형성되지 않는다.) 칸 막이(58c)와 칸 막이(58c) 사이를 통과하여 상부 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런다음 상부 방향으로 올라온 물은 외벽(58a)의 상단을 넘어서, 외벽(58a)의 외부 가장자리를 타고 아래로 내려가서 하단 필터(38)에 다다르게 된다. 한편 외부 돌기(58b)에 의하여 캡슐 외벽(58a)와 커피 용기부(33) 내부면 사이에 간격이 만들어지게 되고, 간격을 통하여 물이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캡슐(58)에 유입된 물이 이동되는 경로는 도 12의 (A)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이다.) When water is injected into the powder container 30 from the outlet pipe 23, the injected water first flows into the inner hole 58d of the capsule 58, and the introduced water passes through the inner hole 58d. The bottom of the capsule 58 is reached. And the water reaching the lower part of the capsule move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as shown in (A) of FIG. 12, the partition 58c is not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psule). 58c) and goes up in the upper direction. Then, the water rising in the upward direction goes beyond the top of the outer wall 58a and goes down along the outer edge of the outer wall 58a to reach the lower filter 38. Meanwhile,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capsule outer wall 58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ffee container 33 by the external protrusion 58b, and the water moves downward through the gap. The path along which the water moves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A) of FIG. 12.)

이를 위해서는 캡슐(58)의 중앙 부분(내부 홀(58d)이 위치한 부분)의 높이가 외벽(58a) 보다 높아야 한다. 그러므로 물이 외벽(58a)의 내부에서 외벽(58a) 상단을 넘어서 외벽(58a) 외부로 흐를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sule 58 (the portion where the inner hole 58d is located) must be higher than that of the outer wall 58a. Therefore, water can flow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58a beyo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58a to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58a.

그리고 캡슐 외벽(58a)에는 일정 높이로 외부 돌기(58b)가 형성되어, 외벽(58a)의 면과 분말 수용부(30) 내부 면이 일정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으로 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분말 수용부(30)에 유입된 물이 캡슐(58) 내부에 담아진 커피 분말을 골고루 통과되게 된다, In addition, an external protrusion 58b is form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outer wall 58a of the capsule, so that a certain space is creat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outer wall 58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owder container 30, and water moves from top to bottom in that space. do. Therefor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passes through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apsule 58 evenly.

한편, 도 12(B)에서처럼 외부 돌기(58b)는 외벽(58a) 가장자리에 방사형태로 형성되고, 칸 막이(58c)도 중심에서 방사형태로 형성된다. 캡슐(58)의 외부 형태는 분말수용부(30)의 내부 형태와 일치 하도록 하여 캡슐(58)을 분말수용부(30)에 밀어 넣으면 자연적으로 장착이 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B), the external protrusions 58b are radially formed at the edge of the outer wall 58a, and the partition 58c is formed radially from the center. The outer shape of the capsule 58 matches the inner shape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so that when the capsule 58 is pushed into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it is naturally installed.

도 12의 실시예에서도 커넥터(20)와 분말 수용부(30)는 기본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분말 수용부에는 분말 커피를 넣은 상태로 공급이 가능하다. 분말커피의 향과 맛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분말 수용부의 상단 테두리에 상단 실(32)를 부착한다.(이때, 캡슐(58) 상단에 상단 실(32)이 부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2 , the connector 20 and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are basically separable,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powdered coffee to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In order to maintain the aroma and taste of powdered coffee in an optimal state, the upper seal 32 is attached to the upper edge of the powder container. (At this time, the upper seal 32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apsule 58.)

- 더치커피 추출 장치 세팅 순서 - - Dutch coffee brewing device setting sequence -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세팅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The method of setting th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제1 공기 조절기(28)을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잠근다.1. Close the first air regulator (28) so that no air passes through it.

2. 내부관(40)을 사용하는 경우 내부관(40)을 커넥터에 연결한다.2. When using the inner tube 40 Connect the inner tube 40 to the connector.

3. 물 용기(12)의 출수(出水)부가 위를 향한 상태에서 커넥터(20)와 연결한다.3.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container 12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 in a state facing upward.

4. 세관부(35)에 구비되는 제 2 공기 조절기를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잠근다.4. The second air regulator provided in the customs pipe 35 is closed so that no air passes through.

5. 서버 용기(50)의 출수부가 위를 향한 상태에서 서버 용기(50)의 출수부와 분말 수용부(30)의 하단을 연결한다.5. The water outlet of the server container 5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owder container 30 with the water outlet of the server container 50 facing upward.

6. 물 공급용기가 연결된 커넥터(20)의 하단을 분말 수용부(30)의 상단과 연결한다. 6.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20 to which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7. 세관부(35)에 구비되는 제 2 공기 조절기를 공기가 통하도록 개방한다.7. The second air regulator provided in the customs pipe 35 is opened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8. 제 1 공기조절기를 조절하여 물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한다.8.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adjusting the first air conditioner.

* 1∼3의 과정과 4∼5의 과정은 순서를 바꾸어도 된다.* Steps 1 to 3 and steps 4 to 5 may be reversed.

10 : 물 공급부 12 : 물 용기
13 : 공기 20 : 커넥터
21a : 상부 나사부 22 : 제1 연결부
23 : 출수관 24 : 몸통부
25 : 공간 26 : 단턱부
27 : 단턱 27a : 돌기
28 : 제 1 공기 조절기 27b : 공간 영역
29a : 하부 나사부 30 : 분말 수용부
31 : 제 2 연결부 31a : 제 1 연통 나사부
32 : 상단 실 33 : 커피 용기부
34 : 상단 필터 35 : 세관부
36 : 커피 분말 37 : 제 2 연통부
37a : 제 2 연통 나사부 38 : 하단 필터
40 : 내부관 40a : 내부 공기관
41 : 하단 실 42 : 하부 출수관
43a : 제2 조절 나사 43b : 제 1 조절 나사
44 : 돌출면 45a : 제 2 공기관
45b : 제 1 공기관 45c : 조절기 홀
50 : 서버 용기부 51 : 제 3 연결부
53 : 추출액 54 : 추출액 용기
55 : 메쉬 56 : 상부캡
57 : 하부캡
58 : 캡슐
10: water supply unit 12: water container
13: air 20: connector
21a: upper screw part 22: first connection part
23: outlet pipe 24: body
25: space 26: stepped part
27: step 27a: protrusion
28: first air regulator 27b: space area
29a: lower screw part 30: powder receiving part
31: second connection part 31a: first communication screw part
32: upper thread 33: coffee container
34: top filter 35: customs department
36: coffee powder 37: second communicating part
37a: second communication screw part 38: lower filter
40: inner tube 40a: inner air tube
41: lower chamber 42: lower outlet pipe
43a: second adjusting screw 43b: first adjusting screw
44: protruding surface 45a: second air pipe
45b: first air pipe 45c: regulator hole
50: server container part 51: third connection part
53: extract 54: extract container
55: mesh 56: upper cap
57: lower cap
58: capsule

Claims (14)

상부는 커넥터와 결합되고 하부는 커피 추출액을 저장하는 서버 용기와 결합되고 내부에 커피 분말을 구비하는 분말 수용부(30)로서,
상기 커넥터와 체결되며 제1 직경의 개구부를 갖는 제2 연결부(31)와,
상기 제 2 연결부(31)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내부 빈 공간에 커피 분말을 저장하는 커피 용기부(33)와,
상기 커피 용기부(33) 하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커피 용기부(33)에서 추출된 커피 추출액이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4직경의 제 2 출수관을 구비하는 세관부(35) 및
상기 세관부(35)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서버 용기와 결합되는 제 3 연결부(51)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부(31)와 상기 커피 용기부(33)의 연결되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44)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면(44) 상면에서 커피 분말을 외부 공기와 차단하도록 실링하는 상단 실(32) 및
상기 제 2 출수관 하부를 실링하는 하단 실(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수용부.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or,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server container for storing the coffee extract, and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having coffee powder therein,
A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fastened to the connector and having an opening having a first diameter;
A coffee container part 33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and storing coffee powder in an empty space inside;
A customs pipe 35 having a second water outlet pipe having a fourth diameter formed successively under the coffee container part 33 and moving the coffee extract extracted from the coffee container part 33 to the lower part, and
It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part of the customs pipe 35 and includes a third connection part 51 coupled to the server container,
A protruding surface 44 protruding inward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and the coffee container part 33,
An upper seal 32 that seals the coffee powder from the outside ai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urface 44, and
The powder accommoda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seal 41 for sealing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water outlet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실(32) 하부와 커피 분말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상단 필터(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수용부.
According to claim 1,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filter (34) provid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hamber (32) and the upper part of the coffee pow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관부에는 일 측면에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고 연이어 하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공기관(45a)을 구비하고, 상기 일 측면에서 제 2 공기관(45a)의 입구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공기관으로 들어오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 2 조절나사(4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수용부.
According to claim 1,
The customs pipe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air pipe (45a) formed with a certain length in the inner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an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lower surface, and is fastened to the inlet of the second air pipe (45a) on the one side, 2 The powder accommoda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adjusting screw (43a)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entering the air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수용부(30) 내부에는 외벽(58a)이 형성된 캡슐(58)이 더 구비되고, 상기 캡슐(58)에는 내부 홀(58d)이 더 구비되어 상기 캡슐(58)로 들어오는 물은 상기 내부 홀(58d)로 먼저 유입되게 되고,
상기 내부 홀(58d)로 유입된 물은 상기 내부 홀(58d)을 통하여 캡슐(58)의 하부에 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수용부.
According to claim 1,
A capsule 58 having an outer wall 58a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30, and an inner hole 58d is further provided in the capsule 58 so that water entering the capsule 58 can pass through the inner hole 58d. It flows into the hole 58d first,
The powd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ner hole (58d) reaches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58) through the inner hole (58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58a)의 높이는 상기 내부 홀(58d)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외벽(58a)의 바깥쪽에 외부 돌기(58b)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캡슐(58)의 하부에 도달된 물은 캡슐(58)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캡슐(58) 상부로 이동한 물은 상기 외벽(58a)의 상단을 넘어 상기 외벽(58a)과 상기 외부 돌기(58b) 사이를 통하여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수용부.
According to claim 4,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58a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hole 58d, and an external protrusion 58b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58a,
The water reaching the lower part of the capsule 58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58,
The powder accommod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58) moves downward through a gap between the outer wall (58a) and the outer protrusion (58b) beyo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58a).
상부는 물 공급부(10)와 결합되고 하부는 커피 분말을 저장하는 분말 수용부(30)와 결합되고 내부에 물이 떨어지는 출수관을 구비하는 커넥터(20)로서,
상기 물 공급부와 체결되며 제5 직경의 개구부를 갖는 제1 연결부(22)와,
상기 제 1 연결부(22)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 공급부(10)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떨어지는 출수관(23)과 상기 분말 수용부와 체결되는 하부 나사부(29a)를 갖는 몸통부(24)와,
내부에는 공간(25)이 만들어지고 제 6 직경을 가지는 단턱(27)과 상기 출수관(23)에서 연장된 돌기(27a)를 가지는 단턱부(26)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관(23) 상단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공기관(45b)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기관을 통하여 상기 물 공급부 내로 공기가 투입되고,
상기 투입되는 공기 양은 제 1 조절 나사(43b)에 의하여 조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connector 20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water supply unit 10 and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for storing coffee powder and having a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drops therein,
A first connection part 22 fastened to the water supply part and having an opening having a fifth diameter;
It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2, and has a water outlet pipe 23 in which water flowing down from the water supply part 10 falls and a lower threaded part 29a fastened with the powder receiving part. 24) and,
A space 25 is created inside and includes a stepped portion 26 having a stepped portion 27 having a sixth diameter and a protrusion 27a extending from the water outlet pipe 23,
A first air pipe 45b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water outlet pipe 23 is further provided,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unit through the first air pipe,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s adjusted by the first adjusting screw (43b).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 내부(25)에 공간이 만들어지고 상기 공간(25)에 도우넛 모양의 메(55)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6,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is made inside the stepped portion 25 and a donut-shaped mesh 55 is provided in the space 25.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분말 수용부 및 커넥터가 결합된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부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 공급부(10)와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2)와,
상기 제 1 연결부(22)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출수관(23)을 구비하는 몸통부(24) 및
상기 몸통부(24) 하부와 연이어 형성되며 제6직경의 내부 빈 공간을 구비하는 단턱부(2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출수관(23)의 하부 끝부분은 외측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돌기(27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
A connector and powder accommodation unit combination in which the powder accommodation unit and the connector of any one of claims 1 to 3 are coupled,
The connector
The upper part has a first connection part 22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art 10 for storing water therein,
A body portion 24 having a first water outlet pipe 23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 center thereof; and
It includes a stepped portion 26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4 and having an empty inner space having a sixth diameter,
The connector and powder container comb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water outlet pipe (23)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27a) provided in a round shape to the out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4)에는 일 측면에서부터 내측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고 연이어 상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공기관(45b)을 구비하고, 상기 일 측면에서 제 1 공기관(45b)의 입구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공기관으로 들어오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나사(4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
According to claim 8,
The body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first air pipe 45b formed with a certain length in the inner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and subsequent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surface, and is fastened to the inlet of the first air pipe 45b on the one side. The connector and powder container comb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adjusting screw (43b)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entering the first air pipe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분말 수용부, 제 6항과 제 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커넥터, 물 공급부(10) 및 서버 용기부(50)로 구성된 더치커피 추출 장치로서,
상기 물 공급부(10)에는, 물이 담겨져 물을 공급하는 물 용기(12) 및 상기 커넥터(20)의 상부 나사부(21a)와 체결 되는 체결 구조가 만들어 지고,
한편 서버 용기부(50)에는 커피 추출액이 수용되는 추출액 용기(54)와 분말 수용부(30)의 제 2 연통 나사부(37a)와 체결되는 체결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 장치.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osed of a powder accommodating part selected from claims 1 to 3, a connector selected from any one of claims 6 and 7, a water supply part 10, and a server container part 50,
In the water supply unit 10, a water container 12 for supplying water in which water is contained and a fastening structure fastened with the upper threaded portion 21a of the connector 20 are made,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container unit 50 has a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the extract container 54 in which the coffee extract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crew portion 37a of the powder accommodating portion 30 are fastene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공기관(45b)에 수직으로 더 연장되어 만들어진 내부 공기관(40a)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내부 공기관(40a)은 물 용기(12) 내부를 관통하여 물 용기(12) 상부의 공기(13)가 존재하는 영역까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n internal air pipe 40a made by extending further perpendicular to the first air pipe 45b is further provided,
The internal air pipe (40a)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water container (12) and is positioned to an area where the air (13) above the water container (12) exist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 용기(54)는 컵 모양의 용기 혹은 병 모양의 용기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extract container 54 is a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shaped container or bottle-shaped contain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물 용기(12) 상부를 관통하는 조절기 홀(45c)와 상기 조절기 홀(45c) 내부에 체결되는 제 1 조절 나사(43b)가 구비되어, 상기 물 용기(12)에서 출수관(23)으로 떨어지는 물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 regulator hole 45c penetrat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ntainer 12 and a first adjustment screw 43b fastened inside the regulator hole 45c are provided so that the water outlet pipe 23 is connected to the water container 12.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falling water is controll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 용기(54) 상부를 관통하는 조절기 홀(45c)와 상기 조절기 홀(45c) 내부에 체결되는 제 2 조절 나사(43a)가 구비되어, 상기 추출액 용기(54)로 들어오는 커피 추출액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추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 regulator hole 45c penet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extract container 54 and a second adjusting screw 43a fastened inside the regulator hole 45c are provided so that the amount of coffee extract entering the extract container 54 is increased. Dutch coffee brew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KR1020210175566A 2021-12-09 2021-12-09 Coffee powder accommodating part, connector and coffee powder accomodating part combination an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KR202300870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566A KR20230087019A (en) 2021-12-09 2021-12-09 Coffee powder accommodating part, connector and coffee powder accomodating part combination an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566A KR20230087019A (en) 2021-12-09 2021-12-09 Coffee powder accommodating part, connector and coffee powder accomodating part combination an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019A true KR20230087019A (en) 2023-06-16

Family

ID=8694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566A KR20230087019A (en) 2021-12-09 2021-12-09 Coffee powder accommodating part, connector and coffee powder accomodating part combination an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01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06B1 (en) 2014-05-20 2015-02-04 오택훈 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KR101824522B1 (en) 2017-01-16 2018-02-01 이지현 Water Supplying Device for Coffee Extraction Using Vacuum Press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06B1 (en) 2014-05-20 2015-02-04 오택훈 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KR101824522B1 (en) 2017-01-16 2018-02-01 이지현 Water Supplying Device for Coffee Extraction Using Vacuum Pres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8180B2 (en) Duplex stopper-type water dispensing and water bottle supporting apparatus
US8863691B2 (en) Nectar feeder with float and valve
CN106715323B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with mixing chamber and refrigerating function
KR100786962B1 (en) Drip-less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flow control element with suction spout
US8863692B2 (en) Nectar feeder having a float with flush stopper
KR101615852B1 (en) Dutch coffee maker
JP3835760B2 (en) Raw water safety dispensing device
CN104736448B (en) Beverage dispenser
KR101496932B1 (en) A Dutch Coffee Production Device
KR101416049B1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dutch coffe
KR101515423B1 (en) Bottle cap for adding additive
JPWO2019016869A1 (en) Beverage server and cap for beverage server
KR20160082301A (en) Dutch coffee maker
KR20230087019A (en) Coffee powder accommodating part, connector and coffee powder accomodating part combination and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43327B1 (en) A unified dutch coffee dripper
KR20150069118A (en)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KR101824522B1 (en) Water Supplying Device for Coffee Extraction Using Vacuum Pressure
KR101709102B1 (en) A water drip control valve and the dutch coffee dripper using the same
WO2006123199A1 (en) Multiple chilled alcoholic beverages dispenser system
KR10174993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tch coffee
KR200478513Y1 (en)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KR20190082459A (en) Cold brew coffee extraction using
KR101825620B1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or coffee machine
KR102003378B1 (en) steam drain apparatus for pressure cooker
KR101852000B1 (en) Include Multi Distributor That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