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513Y1 -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 Google Patents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513Y1
KR200478513Y1 KR2020140003299U KR20140003299U KR200478513Y1 KR 200478513 Y1 KR200478513 Y1 KR 200478513Y1 KR 2020140003299 U KR2020140003299 U KR 2020140003299U KR 20140003299 U KR20140003299 U KR 20140003299U KR 200478513 Y1 KR200478513 Y1 KR 200478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tank
supply contain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2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박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진 filed Critical 박종진
Priority to KR2020140003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5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51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47J31/06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activated by the beverag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공급용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물 배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며 하부에는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아 일시 저장하고 하부에는 저장된 물을 하방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물 배출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가 구비된 물공급용기와, 상기 물공급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커피 분말이 충진되며 상기 물공급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아 커피원액을 형성하여 배출하는 드립탱크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로서, 상기 배출부는 물탱크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의 둘레에는 물탱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구가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keeping a water discharge speed constant by keeping a water level of a water supply vessel constant. The hot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tank having a discharge port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stored water, And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speed of the water.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is filled with coffee powder.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a drain tank for drain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into the drain tank, wherein the drain tank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A vent is formed to allow air to enter.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 장치{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0001]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0002]

본 고안은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공급용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물 배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keeping a water discharge speed constant by keeping a water level of a water supply vessel constant.

커피는 뜨거운 물에 커피 분말을 넣어 음용하거나, 커피 원두를 로스팅 후 분말화 시킨 다음 뜨거운 물로 내려(소위, '드립'이라 함) 음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나, 더치 커피는 드립시 뜨거운 물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차가운 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커피로, 뜨겁지 않아 음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일반 커피와는 또 다른 맛과 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최근 들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Coffee is usually made by putting coffee powder in hot water, drinking it, roasting the coffee bean, pulverizing it, and then taking it down with hot water (so-called 'drip'). However, Which is produced by using relatively cold water. Since it is not hot, it is not only easy to drink but also has a different flavor and aroma from ordinary coffee. Therefore, the demand is increasing recently.

도 1a 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168호로 공지된 이러한 더치 커피 등 차류의 제조 장치의 도면이 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더치 커피 제조 장치는 물탱크(400)와, 물탱크 하부에 결합되는 물 공급 용기(300)와, 드립 탱크(200)와, 원액탱크(700)를 포함한다. 도시된 장치에서, 물탱크(400) 내부에 저장된 물은 물 물공급 용기(300)를 거쳐 커피 분말이 채워진 드립 탱크(200)로 공급된다. 드립 탱크(200)로 공급된 물은 커피 분말층을 천천히 통과하면서 커피의 맛과 향을 흡수하여 커피 원액이 되고, 제조된 커피 원액은 원액탱크(700)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원액탱크(700)에 저장된 커피 원액을 적당량의 물에 희석하여 음용한다.
FIG. 1A shows a drawing of such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molten coffee, such as Dutch coffee, known as Korean Patent No. 10-1190168. As shown, a conventional conventional Dutch coffee making apparatus includes a water tank 400, a water supply container 30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 drip tank 200, and a stock tank 700 . In the illustrated apparatu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00 is supplied to the drip tank 200 filled with the coffee powder via the water water supply container 300. The water supplied to the drip tank 200 slowly passes through the coffee powder layer, absorbing the taste and flavor of the coffee to become the coffee stock solution, and the prepared coffee stock solution is stored in the stock tank 700. The user dilutes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coffee stock solution stored in the stock solution tank 700 with water and drinks it.

여기서,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는 유출량조절유닛(500)이 구비되는 바, 상기 유출량조절유닛(500)은 상기 물탱크(400)의 주둥이 입구에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용기(300)의 수위에 따라 상기 물탱크(400) 내부에 채워진 물을 상기 물 공급용기(300)로 유출되도록 하여 물 공급용기(300)의 수위를 설정된 범위로 유지시키며, 이에 따라 물 유출량 및 유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The flow rate regulating unit 500 is provided at the mouth of the water tank 400 and is disposed at a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400 flows out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kept within the set range and thus the water flow rate and the outflow rate are kept constant .

도 1b 에는 상기 등록특허의 유출량조절유닛(500)의 구조가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량조절유닛(500)은 상기 물탱크(400)의 주둥이 입구에 구비된다. 상기 유출량 조절유닛(500)은 상기 물 공급용기(300)의 수위에 따라 상기 물탱크(400) 내부에 채워진 물을 상기 물 공급용기(300)로 유출되도록 하여 물 공급용기(300)의 수위를 설정된 범위로 유지시킨다. 상기 유출량 조절유닛(500)은 공기유입구멍(511)이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400)의 주둥이 입구에 결합되는 마개(510)와, 상기 마개(510)에 관통 결합되는 유출관(520)을 포함한다. 상기 마개(510)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관(520)은, 상기 마개(510)에 관통구멍이 구비되고 그 관통구멍에 결합된다. 상기 유출관(520)의 한쪽은 마개(510)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다른 한쪽은 마개(510)로부터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유출관(520)의 끝은 물 공급용기(300)의 내부에 위치한다.
1B shows the structure of the flow rate control unit 500 of the patent in more detail. As shown in the figure, the flow rate control unit 500 is provided at the mouth of the water tank 400. The flow rat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by causing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400 to flow out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Keep it in the set range. The flow rate control unit 500 includes a cap 510 having an air inlet hole 511 and coupled to a mouth of the water tank 400 and an outlet pipe 520 penetrating through the cap 510, . The cap 510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 material. The outlet pipe 52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plug 510 and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ne of the outflow pipes 5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plug 510 and the other is projected out of the plug 510. The end of the outflow pipe 520 is located inside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최초, 물탱크(400)의 내부에 물이 일정량 채워져 있다. 그리고, 물 공급용기(300)의 용기(310) 내부에도 수위 A에 이르도록 물이 채워져 있다. 물 공급용기(300)의 용기(310) 내부에 채워진 물이 수위가 A에 이르게 되면 물탱크(400)의 마개(510)에 구비된 공기유입구멍(511)이 수면에 잠겨 물탱크(400) 내부의 물이 유출관(520)을 통해 유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 공급용기(300)에 구비된 낙하량 조절유닛(340)을 열게 되면 물 공급용기(300)의 용기(310)에 채워진 물이 낙수관(330)을 통해 아래로 떨어진다. 이로 인하여 용기(310)의 수위는 B쪽으로 낮아지게 된다. 상기 낙수관(330)을 통해 떨어지는 물이 차 드립 탱크(200)로 떨어져 차 드립 탱크(200)에 채워지게 된다. 차 드립 탱크(200)에 채워지는 물은 차 드립 탱크(200)에 놓여진 커피 가루를 통과하면서 커피 원액이 되어 차 드립 탱크(200)의 유출관(220)을 통해 아래로 떨어진다. 유출관(220)을 통해 떨어지는 커피 원액은 원액 탱크(70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프레임(100)에 나선관(600)이 구비될 경우 차 드립 탱크(200)의 유출관(220)을 통해 떨어지는 커피 원액은 나선관(600)으로 유입되며 나선관(600)으로 유입된 커피 원액은 나선관(600)을 따라 흐르면서 원액 탱크(7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물 공급용기(300)의 물이 차 드립 탱크(200)로 떨어져 물 공급용기(300)의 용기(310)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아래로 내려가면 마개(510)의 공기유입구멍(51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물탱크(400) 내부로 유입되면서 물탱크(400)의 물이 유출관(520)을 통해 물 공급용기(300)의 용기(310)로 유출된다. 상기 물탱크(400)의 물이 유출관(520)을 통해 물 공급용기(300)의 용기(310)로 유출되어 물 공급용기(300)의 용기(31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높아져 A에 이르게 되면 물탱크(400)의 마개(510)에 구비된 공기유입구멍(511)이 수면에 잠겨 물탱크(400) 내부의 물이 유출관(520)을 통해 유출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작용이 반복되면서 물 공급용기(300)의 용기(310)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를 유지하면서 물 공급용기(300)의 용기(310) 내부의 물이 차 드립 탱크(200)로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떨어지게 된다.
First,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400. The inside of the container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filled with water to reach the water level A. When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reaches the water level A, the air inlet hole 511 provided in the stopper 510 of the water tank 400 is immersed in the water, The water inside does not flow out through the outlet pipe 520. In this state, when the drop amount adjusting unit 340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opened,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falls down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330. As a result, the water level of the container 310 is lowered to the B side. The water falling through the water drain pipe 330 falls into the car drip tank 200 and is filled in the car drip tank 200. The water filled in the tea drip tank 200 passes through the coffee powder placed in the tea drip tank 200 and becomes a coffee raw liquid and falls down through the outlet pipe 220 of the tea drip tank 200. The coffee stock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outflow pipe 220 flows into the stock tank 700. When the spiral tube 600 is provided in the frame 100, the coffee raw liquid falling through the outlet pipe 220 of the tea drip tank 200 flows into the spiral tube 600 and flows into the spiral tube 600 The coffee raw liquid flows into the raw liquid tank 700 while flowing along the spiral tube 600. When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falls to the car drip tank 200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lowered, the air inlet hole 511 of the stopper 510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00 flows out to the container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hrough the outflow pipe 520 while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water tank 400.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00 flows out to the container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hrough the outflow pipe 520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ncrease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00 does not flow out through the outflow pipe 520 because the air inlet hole 511 provided in the stopper 510 of the water tank 400 is immersed in the water. The water in the container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ar drip tank 200 while the water level in the container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maintained within a set range, It falls constantly.

위 등록특허에 따르면, 유출량조절유닛(500)에 의해 물 유출량과 유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는 있으나, 마개(510)와 유출관(520)을 별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사용 및 세척 등을 위해서 마개(510)와 유출관(520)을 조립 및 분해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 매우 번거로우며, 특히, 상용전 손으로 마개(510)와 유출관(520)을 결합하여야 하는 바, 이때 손에 묻어있던 세균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묻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라는 단점이 존재한다.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the flow rate control unit 500 can maintain the water flow rate and the flow rate at a constant level. However, since the cap 510 and the outlet pipe 520 must be manufactured separately, The stopper 510 and the outlet pipe 520 must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for use and cleaning. Thus, the stopper 510 and the outlet pipe 520 must be combin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bar is unsanitary because it can be contaminated with germs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that are buried in the hands.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마개와 유출관 등과 같은 별도의 부품 제작 및 조립 없이물 유출량과 유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전 부품 조립이 불필요하여 내부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인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water outflow rate and the outflow rate constant without producing and assembling separate parts such as a cap and an outlet pip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nitary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by preventing the internal contamination by requiring no assembly of parts before u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며 하부에는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아 일시 저장하고 하부에는 저장된 물을 하방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물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가 구비된 물공급용기와, 상기 물공급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커피 분말이 충진되며 상기 물공급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아 커피원액을 형성하여 배출하는 드립탱크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로서, 상기 배출부는 물탱크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의 둘레에는 물탱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구가 형성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tank having a discharge portion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discharging water stored in a lower portion thereof; A water supply container having a water supply container provided with water for temporarily storing water discharged from a tank and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downward and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water speed; And a drip tank for filling and discharg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with the source coffee solution, wherein the discharge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A vent is formed around the discharge portion so that air can flow into the water tank.

여기서, 상기 물탱크의 배출부는 물공급용기 내부로 삽입 배치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물공급용기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Here,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water tank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물탱크의 배출부 둘레에 형성되는 통기구는 원형의 통공 형태로 구성되거나, 배출부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ent hole formed around the discharge port of the water tank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hole or may be cut up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물탱크 하부 저면의 배출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조절밸브가 결합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 하부의 배출부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 하측에 물유통공이 형성된 결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의 상단부에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on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The water supply container includes an outer casing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control valv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so as to be vertically protruded from an inner center of the outer casing, And a coupling pipe having a water flow hol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crew. Preferably, an air inflow hol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ing.

여기서, 상기 결합관은 외부케이싱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ipe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rib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그리고, 상기 결합관의 물유통공은 결합관의 외주면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결합관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flow holes of the coupling pipe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pe, and a plurality of water flow holes may be circumferentially spac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pe.

종래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물탱크 하부에 마개와 유출관 등과 같은 별도의 유출량조절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유출량조절유닛 부품 제작 및 조립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이러한 별도의 유출량조절유닛 제작 없이물 유출량과 유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전 부품 조립이 불필요하여 내부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인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A separate flow rate adjusting unit such as a cap and an outlet pip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of the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so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manufacture and assemble the flow rat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water outflow rate and the outflow rate can be kept constant without manufacturing the unit, so that it is possible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prevent the internal contamination by assembling parts before use, thereby providing a sanitary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

도 1a 는 종래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사시도,
도 1b 는 종래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수위 조절 메카니즘이 도시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물탱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수위 조절 메카니즘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분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 중 물공급용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수위 조절 메카니즘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ig. 1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level adjustment mechanism of the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leveling mechanism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container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leveling mechanism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종래의 통상적인 더치커피 추출 장치와 마찬가지로, 스텐드(100), 물탱크(400), 물공급용기(300), 드립탱크(200), 조절밸브(340) 및 원액탱크(700)를 그대로 포함하는 바, 이것들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한 생략하기로 한다.
2,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nd 100, a water tank 400, a water supply container 300, a drip tank (not shown) 200, the control valve 340, and the stock tank 700, which are already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한편, 본 고안에 다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위와 같은 종래 통상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 중 물탱크(400)에 구비되었던 마개(510)와 유출관(520)으로 구성되는 유출량조절유닛(500)을 구비하지 않고, 그 대신 물탱크(400)의 배출부(420) 둘레에 수위 조절을 위한 통기구(4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고안만의 특징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ba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n outflow amount adjusting unit 500 composed of a cap 510 and an outflow pipe 520 provided in the water tank 400 among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coffee extracting apparatuses And a vent hole 422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is formed around the discharge portion 420 of the water tank 400 instead. Hereinafter, only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에는 상기 물탱크(400)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물탱크(400)는 내부에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원형 플라스크 형태로 구성되거나 원통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400. As shown in FIG. The water tank 400 is a part for storing water for extracting coffee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400. The water tank 4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round flask as shown or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그리고, 상기 물탱크(400)의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하방에 배치된 물공급용기(300)로 배출하는 배출부(4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420)는 물탱크(400)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물탱크(400)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tank 40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unit 420 for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therein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unit 420 is formed in a tube shape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400 and has a diameter tha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tank 400,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4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부(420) 둘레에는 물탱크(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구(422)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구(422)는 물탱크(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야 유입된 공기의 부피 만큼 물탱크(400) 내부의 물이 배출부(420)를 통하여 하방의 물공급용기(300)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형성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공급용기(300) 내부에 일시 저장되는 물의 수위 조절을 위해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a vent hole 422 is formed around the discharge part 42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400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400. The air in the water tank 400 is discharg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420 by the volume of the air that is introduced until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400 And to adjust the water level temporarily stor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as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물탱크(400)의 배출부(420) 둘레에 형성되는 통기구(422)는 원형의 통공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420)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개되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개 형상은 반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3, the vent hole 422 formed around the discharge portion 420 of the water tank 4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ifice shape, And the incision shape may be a semi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or a triangle.

그리고, 상기 통기구(422)의 갯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어 단지 1개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필요에 따라, 상기 물탱크(400)의 배출부(420)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number of the air vents 422, so that only one air vents 422 may be provided. If necessary, a plurality of air vents 4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of the water tank 400 Do.

한편,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400)는 물공급용기(300)의 상부에 배치되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용기(300)의 상부 둘레에 얹혀져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탱크(400)와 물공급용기(300)가 별도의 결합장치(미도시)에 의해 분해 및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물탱크(400)의 배출부는 물공급용기(300) 내부로 삽입 배치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물공급용기(300)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용기(300)의 하부에는 물탱크(400)로부터 물공급용기(300)로 배출된 물을 드립탱크(200)로 배출하기 위한 조절밸브(340)가 구비된다.
Meanwhile, as mentioned above, the water tank 40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and is preferably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as shown in FIG. 2 And the water tank 400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may be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and coupled by a separate coupling device (not shown).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water tank 400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regulating valve 340 for discharg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400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o the drip tank 20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ank 300.

도 4 에는 이러한 통기구(422)를 갖는 물탱크(400) 구조에 의해, 물공급용기(300) 내부의 수위가 일정하게 조절되는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가 도시된다. 이하, 도 4 를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물공급용기(300) 내부 수위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4 shows an operating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mechanism by which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constantly regulated by the structure of the water tank 400 having the vent holes 422. [ Hereinafter, a method of adjusting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물탱크(400) 내부에는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어 있으며, 물탱크(400)에 저장된 물은 중력에 의해 배출부(420)를 통하여 물공급용기(300)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최초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던 물공급용기(300) 내부는 물이 공급되면서 수위가 상승한다.
4,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initial water tank 400 an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400 is discharg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hrough the discharge unit 420 by gravity, . Accordingly,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where the initial water is not stored rises as the water is supplied.

물공급용기(300)의 수위가 "A" 와 같이 물탱크(400)의 배출부(420) 하단부 높이 보다 낮은 경우에는, 통기구(422)가 열려있으므로 물탱크(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물탱크(400)로부터 물공급용기(300)로 계속 물이 공급된다.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of the water tank 400 as shown by the arrow A,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400 because the air hole 422 is opened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400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계속된 물 공급으로, 물공급용기(300)의 수위가 "B"와 같이 물탱크(400)의 배출부(420) 하단부 높이와 같아지는 경우에도, 상기 통기구(422)는 열려있으므로 역시 물탱크(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물탱크(400)로부터 물공급용기(300)로 계속 물이 공급된다.
Ev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becomes equal to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of the water tank 400 as in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due to continuous water supply,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400 and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400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물공급용기(300)의 수위가 계속 높아져 "C"와 같이 통기구의 최상단 높이와 같아지는 경우, 통기구(422)가 물에 의해 막히게 되어 물탱크(400) 내부로 더 이상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물탱크(400)로부터 물공급용기(300)으로의 물 공급은 중단되고, 물공급용기(300)의 수위는 "C"로 유지된다.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continuously increases to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ventilation hole as in the case of "C", the ventilation hole 422 is blocked by water and no more air flows into the water tank 400. Thus,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tank 400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stopped,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maintained at the water level "C ".

한편, 물공급용기(300) 하부의 조절밸브(340)를 개방하면, 물공급용기(300) 내부의 물이 배출되면서 수위가 낮아지고,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통기구(422)가 열리면 다시 물탱크(400)로부터 물공급용기(300)로 물 공급이 수행되어 물공급용기(300)의 수위는 상승하고, 수위 상승에 따라 다시 통기구(422)가 닫히면 물공급은 다시 중단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valve 340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opened,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lowered and the water level is lowered.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400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performed so that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s raised in water level and the water supply is stopped again when the water supply port 422 is closed again.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물공급용기(300)의 수위는 "C" 높이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에 따라, 물공급용기(300)로부터 그 하부의 드립탱크(200)로의 물 공급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By repeating this operatio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vessel 300 is kept constant at the "C" height, so that the water supply rate from the water supply vessel 300 to the drip tank 200 . ≪ / RTI >

한편, 도 5 내지 도 8 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는 물탱크(400)와 물공급용기(300)가 상호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나사결합된 물탱크(400)와 물공급용기(300)는 스탠드의 상단에 구비된 상하 개구된 거치케이스(110)에 삽입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그 하부에는 드립탱크(200)와 원액탱크(700)가 배치된다. 이하, 위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새로운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한다.
5 to 8 show a still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400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are screwed to each other. The screw-coupled water tank 400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a vertically opened case 11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and. A drip tank 200 and a stock tank 700 ar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Hereinafter, the contents already described above will not be described again, only the new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4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저면에 배출부(420)가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421)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421)은 배출부(420)의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물탱크(400)의 저면으로부터 배출부(42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배출부(420)의 나사산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42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까지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산(421)은 후술하는 물공급용기(300)의 결합관(314) 내주면의 나사산(316)과 나사결합하기 위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water tank 400 has a discharge port 420 protruding from a lower bottom surface, and a thread 42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thread 421 may be formed to exten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discharge unit 420. However, the thread 4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unit 420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4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ad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is formed only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hread 421 is formed to be screwed with a thread 316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pe 314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described later.

상기 물탱크(4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부(420) 둘레에는 위에서 설명한 첫번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물탱크(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구(422)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구(422)의 위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4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vent hole 422 is formed around the discharge port 42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400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4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vent hole 4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vent hole 4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nt portion 42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물탱크(400)의 배출부(420) 둘레에 형성되는 통기구(422)는 원형의 통공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420)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개되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개 형상은 반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3, the vent hole 422 formed around the discharge portion 420 of the water tank 4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ifice shape, And the incision shape may be a semi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or a triangl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용기(300)는, 도 6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싱(310)과 결합관(314)을 포함한다.
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ncludes an outer casing 310 and a coupling pipe 314, as shown in Figs. 6 to 7.

외부케이싱(310)은 물탱크(400)로부터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추형으로 구성되며,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에는 물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340)가 결합된다.
The outer casing 310 is a conical shape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for stor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400. The outer casing 310 is opened and the control valve 34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310)의 상부에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31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공(313)은 외부케이싱(310)의 상부 외주면에 원형 통공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물탱크(400)와의 결합 구조를 고려하여, 상단부가 물결 모양으로 구성되어, 물탱크(400)의 저면에 결합시 오목한 부분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 air inlet hole 313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ing 310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outer casing 310. 7, the air inlet hole 313 may be formed in a circular hole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310. However, considering the coupling structure with the upper water tank 400,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water tank 40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400. [

결합관(314)은 상기 외부케이싱(31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400) 하부의 배출부(420)에 나사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외부케이싱(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31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싱(310)과 리브(315) 및 결합관(314)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관(314)의 상부 내주면에는 나사산(316)이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400)의 배출부(42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21)과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7, the coupling pipe 314 is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casing 310 and is screwed to the discharge port 420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40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ribs 315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310. The outer casing 310, the rib 315, and the coupling pipe 314 can be integral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screw thread 316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pe 314 so as to be screwed with a screw thread 42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420 of the water tank 400.

그리고, 상기 결합관(314)의 나사산(316) 하측 외주면에는 결합관(314)의 상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결합관(314)과 외부케이싱(310) 사이 공간으로 흘러나가도록 물유통공(317)이 형성된다. 상기 물유통공(317)의 형상 및 배치 형태, 크기, 갯수 등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315)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결합관(314)의 외주면에 수직 상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결합관(314)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water flow hole 317 is formed i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ead 316 of the coupling pipe 314 so that the water flow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ipe 314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upling pipe 314 and the outer casing 310. Is formed. 7, the shape of the water flow hole 317, the size, the number and the like of the water flow hole 317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as shown in FIG. 7, And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tube 314.

도 8 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의 결합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이하, 도 8 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ho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hot water for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물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배출부(420)와 결합관(314)을 통하여 물공급용기(300)로 배출되면, 물공급용기(300)의 외부케이싱(310) 내부에 하측으로부터 물이 채워진다. 결합관(314)에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물유통공(317)이 구비되어 결합관(314)을 통해 유입된 물은 외부케이싱(310)의 내부 하측 및 결합관(314) 측면쪽으로 흘러가 채워지게 된다.
8,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400 is discharg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hrough the discharge part 420 and the coupling pipe 314, The inside of the outer casing 310 is filled with water from the lower side. The water flow hole 317 is provided in the coupling pipe 314 so th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coupling pipe 314 flows toward the inner lower side of the outer casing 310 and toward the side of the coupling pipe 314 do.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 내부에 물이 배출부(420)의 하단부 높이 보다 낮은 "A" 수위에 있는 경우, 배출부(420)의 개구 및 통기구(422)가 열려 있으므로, 물탱크(400)와 물공급용기(300)의 외부케이싱(310) 사이의 틈,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유입공(313)을 통하여 외부케이싱(3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배출부(420)와 결합관(314) 사이의 틈을 통하여 배출부(420)의 하부 개구로 유입되어 물탱크(400)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들어간 공기의 양 만큼 물탱크(400) 내부의 물이 배출부(420)와 결합관(314)을 통해 물공급용기(300)의 외부케이싱(310)으로 배출된다.
8, since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and the vent hole 422 are open when the water is at the "A" water level lower than the lower end height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Air is introduced into the outer casing 310 through a gap between the outer casing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and the outer casing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and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air inflow hole 313, The water in the water tank 400 is discharged by the amount of the introduced air as the water flows into the lower opening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ischarge pipe 420 and the coupling pipe 314 and enters the water tank 40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er casing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hrough the pipe 420 and the coupling pipe 314.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외부케이싱(310) 내부의 물 수위가 점점 높아져서 배출부(420)의 하단부 높이 "B" 에 도달하면, 물에 의해 배출부(420)의 하부 개구가 막히게된다. 그러나, 배출부(420)에 형성된 통기구(422)가 아직 개방된 상태이므로 역시 물탱크(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물공급용기(300)로 물이 계속 공급된다.
In this way,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outer casing 310 gradually increases to reach the lower end height "B"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the lower opening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is blocked by the water. However, since the air hole 422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420 is still open, air is also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400 and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계속된 물 공급으로, 물공급용기(300)의 외부케이싱(310) 내부 수위가 "C"와 같이 통기구(422)의 최상단 높이와 같아지는 경우, 통기구(422)가 물에 의해 막히게 되어 물탱크(400)로 더 이상의 공기 유입이 발생하지 않아 물탱크(400)로부터 외부케이싱(310)으로의 물 배출이 중단된다. 이때, 조절밸브(346)을 개방하면 외부케이싱(310) 내부의 물이 하방에 위치된 드립 탱크(미도시)로 유출되면서 외부케이싱(310) 내부의 물은 다시 줄어들어 수위가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배출부(420)의 통기구(422)가 열려서 물탱크(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물탱크(400)로부터 외부케이싱(310)으로 물이 보충된다. 물 보충에 따라 수위가 높아져 다시 배출부(420)의 통기구(422)가 막히면 물 보충은 중단된다.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outer casing 310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becomes equal to the uppermost level of the vent hole 422 as "C" due to the continuous water supply, the vent hole 422 is blocked by the water, No further inflow of air occurs to the outer casing 400, and the water discharge from the water tank 400 to the outer casing 310 is stopped. At this time, if the control valve 346 is opened, the water in the outer casing 310 flows out to the drip tank (not shown) positioned below, and the water in the outer casing 310 is reduced again to lower the water level. The ventilation hole 422 of the discharge part 420 is opened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400 so that water is replenished from the water tank 400 to the outer casing 310. The water replenishment is stopped if the water level rises due to the water replenishment and the air vent 422 of the discharge portion 420 is blocked again.

이러한 작동의 반복에 의해, 외부케이싱(310) 내부 물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물공급용기(300)로부터 그 하부의 드립탱크(200)로의 물 공급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By repeating this operation, the water level inside the outer casing 310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water supply spe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o the drip tank 200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can be kept constant.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본 고안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should also be constru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invention.

100 : 스탠드 200 : 드립탱크
300 : 물공급용기 340 : 조절밸브
400 : 물탱크 420 : 배출부
422 : 통기구 700 : 원액탱크
100: Stand 200: Drip tank
300: water supply container 340: regulating valve
400: water tank 420: discharge part
422: ventilation hole 700: undiluted tank

Claims (7)

내부에 물을 저장하며 하부에는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420)가 구비된 물탱크(400)와, 상기 물탱크(4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4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아 일시 저장하고 하부에는 저장된 물을 하방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물 배출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340)가 구비된 물공급용기(300)와, 상기 물공급용기(300)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커피 분말이 충진되며 상기 물공급용기(3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공급아 커피원액을 형성하여 배출하는 드립탱크(200)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400) 하부 저면의 배출부(420)는 물탱크(400)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관 형태로 구성되고, 둘레에는 물탱크(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구(42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421)이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용기(300)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조절밸브(346)가 결합된 외부케이싱(310)과, 상기 외부케이싱(31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400) 하부의 배출부(420)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316)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316) 하측에 물유통공(317)이 형성된 결합관(3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A water tank 400 having a discharge part 420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discharging stored water from the water tank 400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400 disposed under the water tank 400, A water supply container 300 provided with a regulating valve 34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ater, temporarily storing the water,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downward and regulating the water discharge speed, And a drip tank (200) filled with coffee powder therein to form and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The discharge port 42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4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400 and has a ventilation hole 422 formed around the water tank 400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water tank 400. And a thread 42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ncludes an outer casing 310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control valve 346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ing 310, And a coupling pipe (314) having a threaded portion (316)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crewed to the lower discharge portion (420) and a water flow hole (317)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readed portion (316) Coffee extracto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400)의 배출부(420) 둘레에 형성되는 통기구(422)는 원형의 통공 형태로 구성되거나, 배출부(420)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nt hole (422) formed around the discharge part (420) of the water tank (400) is formed in a circular hole shape or is cut up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rt (420) .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싱(310)의 상단부에는 공기유입공(3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ir inflow hole (313)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ing (3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314)은 외부케이싱(310)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31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ipe (314) is protruded upward from a rib (315)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3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314)의 물유통공(317)은 결합관(314)의 외주면에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결합관(314)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irculation hole 317 of the coupling pipe 314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pe 314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ly spaced apart peripheral portion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pe 314 Wherei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machine.
KR2020140003299U 2014-04-24 2014-04-24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KR2004785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99U KR200478513Y1 (en) 2014-04-24 2014-04-24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99U KR200478513Y1 (en) 2014-04-24 2014-04-24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513Y1 true KR200478513Y1 (en) 2015-10-15

Family

ID=5434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299U KR200478513Y1 (en) 2014-04-24 2014-04-24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51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80B1 (en) 2019-04-16 2020-10-05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Dutch coffee maker
KR102490282B1 (en)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Dutch coffee extra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8892A (en) * 1999-09-14 2001-03-27 Ooji:Kk Cold water type coffee extraction device
JP2006305274A (en) 2005-04-28 2006-11-09 Masanobu Nunogaki Hot water supplier for steaming coffee
KR101190168B1 (en) 2012-04-23 2012-10-12 리브가 푸드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king te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8892A (en) * 1999-09-14 2001-03-27 Ooji:Kk Cold water type coffee extraction device
JP2006305274A (en) 2005-04-28 2006-11-09 Masanobu Nunogaki Hot water supplier for steaming coffee
KR101190168B1 (en) 2012-04-23 2012-10-12 리브가 푸드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king te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80B1 (en) 2019-04-16 2020-10-05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Dutch coffee maker
KR102490282B1 (en)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Dutch coffee extr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049B1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dutch coffe
RU2394626C2 (en) Filtration device to filter water and other fluids
KR101632421B1 (en) Machine for drip coffee
JPH0349625Y2 (en)
US20120024162A1 (en) Tea pot with check valve
KR20120078180A (en) A stable device that the water pressure of a dutch coffee organization
KR101190168B1 (en) Apparatus for making tea
KR101496932B1 (en) A Dutch Coffee Production Device
KR20160082301A (en) Dutch coffee maker
KR102015301B1 (en) Apparatus for brewing ingredients in a solvent
KR200478513Y1 (en)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KR101617256B1 (en)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KR101643327B1 (en) A unified dutch coffee dripper
KR101709102B1 (en) A water drip control valve and the dutch coffee dripper using the same
US10221956B2 (en) Filter assembly for a beverage dispenser
US8006612B2 (en) Hot drink maker
JP2007054611A (en) Beverage maker
KR200475904Y1 (en) Improved coffee dripper and water control instrument for the same
EP1747738A1 (en) Beverage maker
US5219394A (en) Appliance for brewing beverages
JP2008264091A (en) Plug body of liquid container for coffee maker
KR20190065745A (en) Kettle
KR102283676B1 (en) Machine for drip coffee
KR102003378B1 (en) steam drain apparatus for pressure cooker
JP7176721B2 (en) water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