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708A -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708A
KR20230085708A KR1020210174145A KR20210174145A KR20230085708A KR 20230085708 A KR20230085708 A KR 20230085708A KR 1020210174145 A KR1020210174145 A KR 1020210174145A KR 20210174145 A KR20210174145 A KR 20210174145A KR 20230085708 A KR20230085708 A KR 2023008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sound
absorbing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애복
남재수
Original Assignee
박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애복 filed Critical 박애복
Priority to KR102021017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708A/ko
Publication of KR2023008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는,
장방형으로 흡음보드를 형성하되, 중앙에는 유통공이 전후로 개방되게 뚫어진 변형방지용 심재판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키는 흡음판을 일체형으로 접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가 굽어지거나 늘어지는 등의 변형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 접착된 각 흠음판이 소음을 전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켜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선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걸고리와 걸이링으로 된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천장에 매달아 설치하되 연속으로 설치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와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사이에는 중간접속지지구를 결합하여 설치하고,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단부접속지지구 및 중간접속지지구를 이용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직접 설치하여 줌으로써,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외부의 진동 등을 흡입 또는 흡수하여 실내를 조용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변형방지형 흡음판넬가 늘어지거나 굽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A non-strain type acoustic absorption panel and install equipment of it}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실내를 조용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흡음보드를 개선하고 개선된 흡음보드를 천장 및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장방형으로 흡음보드를 형성하되, 중앙에는 유통공이 전후로 개방되게 뚫어진 변형방지용 심재판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키는 흡음판을 일체형으로 접착하여, 변형방지형 흡음판넬가 굽어지거나 늘어지는 등의 변형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 접착된 각 흠음판이 소음을 전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켜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형성한 것과;
상기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걸고리와 걸이링으로 된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천장에 매달아 설치하되 연속으로 설치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와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사이에는 중간접속지지구를 결합하여 설치하고,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단부접속지지구 및 중간접속지지구를 이용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직접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에는 천장에는 천장판(천장보드)을 설치하였고, 벽체에는 벽지를 발라 실내를 장식하였다.
종래에 천장판(천장보드)을 천장에 직접 설치할 때에 목재지지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고, 목재지지대에 천장판넬을 부착(고정)하여 설치하였으나, 이는 목재지지대가 온도 및 습도에 의해 뒤틀리거나 부식되어 쉽게 변형되고, 기간이 경과할수록 체결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종래의 천장판(천장보드)의 설치장치로는 국내의 등록실용신안 제20-0203658호(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가 알려져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03658호(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는, 천장에 매설된 고정캡에 고정행거볼트를 나사 결합하고, 고정행거볼트의 하단에 볼트캡을 나사 결합하며, 볼트캡의 밑면에 천장판넬을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이나, 이는 구성(부품)이 복잡하여 제조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없고, 특히 천장에 고정캡을 용이하게 매설할 수 없고 작업능률도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는, 공개특허 제10-2012-0060032호(천장판), 등록특허 제10-0757021호(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보드 결합장치), 등록특허 제10-1425445호(천정패널의 설치구조), 등록특허 제10-1618356호(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등록특허 제10-1714584호(크린룸의 천장판넬 시공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060032호(천장판)는, 천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 채널의 밑면에 지지바를 일정한 간격으로 장착하되 채널과 지지바가 교차하는 지점에 나비클립을 장착하고, 인접하는 지지바의 사이에 천장패널을 끼워 장착하되 천장패널의 일 측면에 판스프링을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757021호(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보드 결합장치)는, 천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고정볼트의 하단에 교차막대기용 지지골조를 결합하고, 교차막대기용 지지골조의 하부 양측에는 고정금속구를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하며, 인접하여 대향하는 고정금구와 고정금구의 사이에 천장보드를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425445호(천정패널의 설치구조)는, 천정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 앵커볼트의 하단에는 걸고리부재를 이용하여 캐링채널을 설치하고, 캐링채널에는 다른 걸고리를 이용하여 캐리어를 설치하며, 캐리어의 하단에는 캐리어와 교차되도록 천정패널을 접속하여 설치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618356호(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는, 천정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앵커볼트의 하단에는 행거유닛을 이용하여 시스템바를 설치하고, 시스템바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지지훅에는 지지브라켓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결합하며, 인접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과의 사이에는 피트패널을 결합 설치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714584호(크린룸의 천장판넬 시공장치)는, 천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행거의 하단에 턴버클을 설치하고,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턴버클의 하단에는 하단에 지지단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바를 설치하며, 인접하는 지지바에서 지지단과 지지단의 상부에는 천장판넬을 안치하여 설치하되, 천장판넬은 집섬보드의 외면에 금속판을 씌워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천장판넬(천장보드, 천정패널)은 실내에서 소음을 흡수하지 못하고 반사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소음이 불규칙하게 난 반사되어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없고, 설치구조가 복잡하여 조제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져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벽체에 설치하는 것으로는 등록특허 제10-1546858호(조립식 방음판넬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는 복수의 수직서포트프레임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장착)하고, 인접하는 수직서포트프레임과 수직서포트프레임과의 사이에 흡음판을 조립하여 설치하되, 상기 흡음판은 작은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타공판의 외면에 패브릭커버부(직물지)를 접착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흡음판에 뚫어진 작은 구멍으로 소음이 유입되면서 흡수 및 감쇄되므로 소음의 감쇄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따라 실내를 조용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실내를 조용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흡음보드를 개선하고, 개선된 흡음보드를 천장 및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방형으로 흡음보드를 형성하되, 중앙에는 유통공이 전후로 개방되게 뚫어진 변형방지용 심재판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키는 흡음판을 일체형으로 접착하여, 변형방지형 흡음판넬가 굽어지거나 늘어지는 등의 변형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 접착된 각 흠음판이 소음을 전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켜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형성하며;
상기와 같이 개선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걸고리와 걸이링으로 된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천장에 매달아 설치하되 연속으로 설치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와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사이에는 중간접속지지구를 결합하여 설치하고,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단부접속지지구 및 중간접속지지구를 이용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외부의 진동 등을 흡입 또는 흡수하여 실내를 조용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변형방지형 흡음판넬가 늘어지거나 굽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장방형으로 형성된 흡음보드에 있어서;
유통공이 전후로 개방되게 뚫어진 변형방지용 심재판을 중앙에 구비하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키는 흡음판을 일체형으로 접착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양면에 흠음판이 각각 접착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걸고리와 걸이링으로 된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천장에 매달아 설치한 것과;
연속으로 설치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와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사이에는 중간접속지지구를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과;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단부접속지지구 및 중간접속지지구를 이용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직접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는,
장방형으로 흡음보드를 형성하되, 중앙에는 유통공이 전후로 개방되게 뚫어진 변형방지용 심재판을 구비하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키는 흡음판을 일체형으로 접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가 굽어지거나 늘어지는 등의 변형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 접착된 각 흠음판이 소음을 전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켜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선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걸고리와 걸이링으로 된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천장에 매달아 설치하되 연속으로 설치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와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사이에는 중간접속지지구를 결합하여 설치하고,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단부접속지지구 및 중간접속지지구를 이용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직접 설치하여 줌으로써,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외부의 진동 등을 흡입 또는 흡수하여 실내를 조용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변형방지형 흡음판넬가 늘어지거나 굽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보인 분해도 및 접착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및 요부 확대단면도.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각기 또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및 중간접속지지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며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 및 그의 설치장치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을 보인 분해도 및 접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의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및 요부 확대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의 각기 또 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및 중간접속지지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의 구성을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은, 유통공(11)이 전후로 개방되게 뚫어진 변형방지용 심재판(10)을 중앙에 구비하였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10)의 양면(전면 및 배면)에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키는 흡음판(20)을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접착층(15)에 의해 일체형으로 접착하였다.
특히,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는 외테(25)를 결합하되 접착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접착하여 줌으로써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2)을 견고(견실)하게 유지시키면서 변형을 이중으로 방지{변형방지용 심재판(10) 및 외테(25)에 의해}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심재판(10)에 전후로 유통되게 뚫어지는 유통공(11)은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유통공(11)을 크게 뚫어주거나, 상기 유통공(11)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크기가 작고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및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 복수 개의 유통공으로 뚫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변형방지형 흡음판넬가 굽어지거나 늘어지는 등의 변형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 접착된 각 흠음판이 소음을 전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켜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에서 변형방지용 심재판(10)은 아크릴판, 스테인리스판, 알루미늄판, 규산칼슘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두께(t1)는 0.5 ~ 3mm로 유지시켜 휘어지거나 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양면(전면 및 배면)에 접착되는 흡음판(2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변형방지용 심재판(10)의 양면(전면 및 배면)에 접착되는 흡음판(20)은 그 두께(t2)를 5 ~ 30mm로 유지시켜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충분히 흡음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흡음판(20)은 통상적으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시중품 외에도 본인이 개발하여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10-1492034호의 흡음제 코팅사를 이용한 흡음제코팅사직물지와 그 흡음제코팅사직물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흡음제직물지,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431163호의 방음커튼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은 도 2 내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천장(100)에 매달아 설치하거나 또는 천장(100) 및 벽체(200)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의 설치상태(장치)는 통상의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의 상단 가장자리에 복수의 걸이공(25)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뚫어 주었고, 각 걸이공(25)에는 통상의 걸이링(26)을 결합하였으며, 걸이링(26)에는 천장(100)에 고정되는 걸고리(27)를 걸어 주었다.
본 발명에서 걸이수단으로 이용되는 걸이링(26)과 걸고리(27)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시중품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2개 이상)의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을 연속적으로 천장(100)에 매달아 설치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각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을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걸이링(26) 및 걸고리(27)와 같이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천장(100)에 매달아 설치하되,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와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의 사이에는 중간접속지지구(30: 30-1)를 결합하였다.
상기 중간접속지지구(30: 30-1)는 중간지지대(31)의 상단과 하단에 전면판(32)과 배면판(33)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단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I'형을 이루도록 형성하였으며, 중간지지대(31)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전면판(32)과 배면판(33)과의 사이 공간에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의 가장자리를 결합하여 설치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을 천장(100) 또는 벽체(200)에 직접 설치한 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이다.
천장(100) 또는 벽체(200)의 가장 가장자리에 단부접속지지구(40: 40-1)를 통상의 볼트 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였고, 천장(100) 또는 벽체(200)에는 단부접속지지구(40: 40-1)와 이격시킨 상태에서 중간접속지지구(30: 30-2)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통상의 볼트 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켰으며, 상기 단부접속지지구(40: 40-1)와 중간접속지지구(30: 30-2)의 사이 및 중간접속지지구(30: 30-2)와 중간접속지지구(30: 30-2)의 사이에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을 삽입(끼워 결합)하여 조립 설치하였다.
상기 천장(100) 또는 벽체(200)의 가장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되는 단부접속지지구(40: 40-1)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측단지지대(41)의 일면 상단과 하단에 고정배면판(43)과 전면판(432)을 나란하게 형성하되 고정배면판(43)의 폭을 전면판(42)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하였고, 전면판(42)의 폭보다 외측으로 더 노출되는 고정배면판(43)의 가장자리에는 장착공(44)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서 볼트 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고정수단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중간접속지지구(30: 30-2)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중간지지대(31)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배면판(33-1)과 전면판(32)을 중간지지대(31)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나란하게 형성하되, 고정배면판(33-1)의 폭을 전면판(32)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하였으며, 전면판(32)의 외측으로 더 노출되는 고정배면판(33-1)의 앵측 단부에는 장착공(35)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볼트 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고정수단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고정배면판(33-1)의 두께를 전면판(3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여 고정배면판(33-1)을 천장(100) 또는 벽체(200)에 고정시킬 때에 용이하게 고정시킬수 있고 고정상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을 천장(100) 또는 벽체(200)에 직접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다른 예시도이다.
천장(100) 또는 벽체(200)의 가장 가장자리에 단부접속지지구(40: 40-2)를 통상의 볼트 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였고, 천장(100) 또는 벽체(200)에는 단부접속지지구(40: 40-2)와 이격시킨 상태에서 중간접속지지구(30: 30-3)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통상의 볼트 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시켰으며, 상기 단부접속지지구(40: 40-2)와 중간접속지지구(30: 30-3)의 사이 및 중간접속지지구(30: 30-3)와 중간접속지지구(30: 30-3)의 사이에 변형방지형 흡음판넬(1: 1-1, 1-2)을 삽입(끼워 결합)하여 조립 설치하였다.
상기 천장(100) 또는 벽체(200)의 가장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되는 단부접속지지구(40: 40-2)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측단지지대(41)의 일면 상단과 하단에 고정배면판(43)과 전면판(42)을 나란하게 형성하였고, 측단지지대(41)에는 장착공(45)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서 볼트 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고정수단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중간접속지지구(30: 30-3)는, 고정배면판(33-1)의 전면에는 단면에서 보아 'L'형으로 된 한 쌍의 L형전면지지구(32-1)(32-2)를 좌우 대칭되게 형성하되 개방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하였고, L형전면지지구(32-1)(32-2)의 사이에서 고정배면판(33-1)의 중앙선상에는 장착공(36)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형성하여 볼트 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고정수단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L형전면지지구(32-1)(32-2)의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요홈(34)에는 캡(34-1)을 결합하여 볼트 스크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고정수단을 감추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1-1, 1-2: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10: 변형방지용 심재판
15: 접착층 20: 흡음판
25: 걸이공 26: 걸이링
27: 걸고리 30, 30-1, 30-2, 30-3: 중간접속지지구
31: 중간지지대 32: 전면판
32-1: L형전면지지구 33, 33-1: 배면판
34: 장착요홈 35, 36: 장착공
40, 40-1, 40-2: 단부접속지지구 41: 측단지지대
42: 전면판 43: 고정배면판
44, 45: 장착공 100: 천장
200: 벽체

Claims (14)

  1. 장방형으로 형성된 흡음보드에 있어서;
    유통공이 전후로 개방되게 뚫어진 변형방지용 심재판을 중앙에 구비한 것과;
    중앙에 구비되는 상기 변형방지용 심재판의 양면에는 소음을 흡음하여 소멸시키는 흡음판을 일체형으로 접착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변형방지용 심재판은;
    두께(t1)가 0.5 ~ 3mm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변형방지용 심재판은;
    아크릴판, 스테인리스판, 알루미늄판, 규산칼슘보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4.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음판은;
    두께(t2)가 5 ~ 30mm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5.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음판은;
    본인이 개발하여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10-1492034호의 흡음제 코팅사를 이용한 흡음제코팅사직물지와 그 흡음제코팅사직물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흡음제직물지, 등록실용신안 제20-0431163호의 방음커튼지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6.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양면에 흠음판이 각각 접착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걸고리와 걸이링으로 된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천장에 매달아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
  7.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양면에 흠음판이 각각 접착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을 가장자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단부접속지지구를 이용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직접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하나 이상이 연속으로 설치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와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사이에는 중간접속지지구를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단부접속지지구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측단지지대의 일면 상단과 하단에 고정배면판과 전면판을 나란하게 형성하되, 고정배면판의 폭을 전면판의 폭보다 넓게 형성한 것과;
    전면판의 폭보다 외측으로 더 노출되는 고정배면판의 가장자리에는 장착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단부접속지지구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측단지지대의 일면 상단과 하단에 고정배면판과 전면판을 나란하게 형성한 것과;
    상기 측단지지대에는 장착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중간접속지지구는;
    중간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에 전면판과 배면판이 나란하게 'I'형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중간접속지지구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중간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배면판과 전면판을 중간지지대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나란하게 형성하되, 고정배면판의 폭을 전면판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한 것과;
    상기 전면판의 외측으로 더 노출되는 고정배면판의 양측 단부에는 장착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중간접속지지구는;
    고정배면판의 전면에는 단면에서 보아 'L'형으로 된 한 쌍의 L형전면지지구를 좌우 대칭되게 형성하되, 개방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한 것과;
    상기 L형전면지지구와 L형전면지지구의 사이에서 고정배면판의 중앙선상에는 장착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L형전면지지구와 L형전면지지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요홈에는 캡을 결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중간접속지지구는;
    수직으로 유지되는 중간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배면판과 전면판에서 고정배면판의 두께를 전면판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방지형 흡음판넬의 설치장치.
KR1020210174145A 2021-12-07 2021-12-07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 KR20230085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45A KR20230085708A (ko) 2021-12-07 2021-12-07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45A KR20230085708A (ko) 2021-12-07 2021-12-07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708A true KR20230085708A (ko) 2023-06-14

Family

ID=8674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145A KR20230085708A (ko) 2021-12-07 2021-12-07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7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2759A1 (en) Relocatable building wall construction
KR100676960B1 (ko) 다양한 형상의 천장판넬 조립구조
KR20070009265A (ko) 브라켓의 걸어맞춤을 이용한 실내벽의 패널 설치구조
KR20220059390A (ko)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US20080148667A1 (en) Acoustical mounting bracket for attaching ceiling suspension to floor joists
JP2013505382A (ja) 建材板または建材板セット、建材板のための固定システムおよび建材板を固定するための方法
KR102146453B1 (ko)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구
KR20230085708A (ko) 변형방지형 흡음판넬 및 그의 설치장치
KR20110004627U (ko) 흡음 패널
JP3229835U (ja) 取付構造
KR200448775Y1 (ko) 선박 거주구의 벽면 판넬 조립장치
JP6225058B2 (ja) 天井の耐震構造
KR20150000718U (ko) 통기성 몰딩을 포함하는 천장 구조물
KR102137140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방음패널
CA3155339A1 (en) Acoustical ceiling system
US9903153B2 (en) Acoustic mullion plug
JP2022510799A (ja) パネル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
KR200412515Y1 (ko) 방음문 설치구조
DK201900933A1 (en) Acoustic panel system, fastening element, and method for arranging an acoustic panel system on a wall or ceiling surface
KR100470679B1 (ko) 욕실용 천장 패널과 그 시공방법
JP3239254U (ja) 防音カーテン
CN208379816U (zh) 一种卡式轻钢龙骨吸声构造
TWM290175U (en) Structure of the light building materials with sound absorption and insulation function
KR20130125253A (ko) 절곡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방진 달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방진천장
KR101643457B1 (ko) 고흡음 성능을 갖는 건축용 인테리어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