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477A -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477A
KR20230085477A KR1020210173675A KR20210173675A KR20230085477A KR 20230085477 A KR20230085477 A KR 20230085477A KR 1020210173675 A KR1020210173675 A KR 1020210173675A KR 20210173675 A KR20210173675 A KR 20210173675A KR 20230085477 A KR20230085477 A KR 20230085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guide rail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785B1 (ko
Inventor
이광호
박영권
장정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7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8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는, 도어를 구비하고,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기본체와, 충전기본체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상부판과,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판과, 상부판과 하부판에 구비되고, 하부판에 대해 상부판을 회전하여 점검을 위해 충전기본체의 도어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위치시키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ROTARY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본체를 회전 시킨 후, 벽면으로 부터 전측으로 이동시켜 후방에 있던 도어를 전방으로 위치시켜 도어를 간섭 없이 개방함으로써, 주차공간을 절약하면서 점검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 유해 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래의 화석 연료 자동차를 대신할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의 하나인 전기자동차는 차량 내부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의 힘으로 차량 모터를 구동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
종래의 화석 연료 자동차가 주유소 등과 같은 시설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자동차 역시 전기충전 스테이션(예컨대, 충전기)에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여 운행한다.
이와 같이,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전기 또는 긴급점검을 이유로 건축물의 벽면과 1m정도 떨어져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도어는 후방에 구비되어 있어 도어를 개방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여유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존의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벽면과 1m이격시키는 경우에는 자동차를 주차하는 주차공간 확보로 인해 전체 공간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경우에 따라 추차면 축소로 인해 충전중인 차량이 주차면을 벗어나서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가 일반 주차장과 함께 설치됨에 따라 대부분의 주차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데 어려움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80632호(2020.11.12, 발명의 명칭: 교통 약자 맞춤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충전기본체를 회전 시킨 후, 벽면으로 부터 전측으로 이동시켜 후방에 있던 도어를 전방으로 위치시켜 도어를 간섭 없이 개방함으로써, 주차공간을 절약하면서 점검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는, 도어를 구비하고,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기본체; 상기 충전기본체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에 대해 상기 상부판을 회전하여 점검을 위해 상기 충전기본체의 도어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위치시키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충전기본체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제1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제1통과공과 연통되는 제2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상부판에 원통형상으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원통지지부; 상기 제1원통지지부를 감싸면서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판의 상측으로 원통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원통지지부; 상기 제1원통지지부와 상기 제2원통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판에 대해 상기 상부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베어링부;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베어링부를 통해 상기 상부판을 상기 하부판에 대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베어링부는, 상기 제1원통지지부의 둘레면에 압입 설치되는 내륜부재; 상기 내륜부재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원통지지부의 내주면에 압입 설치되는 외륜부재; 및 상기 내륜부재와 상기 외륜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륜부재에 대해 상기 내륜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부판에 구비되어 회전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하부판의 하측면에 설정구간 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부판에 대해 상기 상부판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판은 회전위치고정부에 의해 상기 하부판에 대해 회전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위치고정부는, 상기 상부판의 하측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몸체부; 상기 고정몸체부의 수용공간을 통해 전후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원통지지부의 둘레에 접촉되는 가압축부재; 및 상기 가압축부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가압축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2원통지지부의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판의 회전위치를 상기 하부판에 고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축부재의 둘레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가압축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가압축부재를 전측으로 이동하는 탄성지지판부재; 상기 가압축부재의 후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축부재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재; 및 상기 제2원통지지부의 둘레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압축부재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회전위치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판은 전후작동부에 의해 상기 상부판을 지지한 상태에서 전후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진작동부는, 전후로 관통되는 이동공간과, 이동공간에서 상측으로 개방 연결되는 개방홈을 형성하고,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하부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ㄷ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접촉되어 회전 구동하는 이동바퀴; 및 상기 이동바퀴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차단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바퀴의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개방홈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이동바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진작동부는 레일인출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인출되어 상기 상,하부판의 이동거리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인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레일; 상기 인출레일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개방홈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바퀴에 구비된 안내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이동바퀴가 접촉되어 안내되는 안착지지돌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인출레일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이탈방지부는, 상기 인출레일의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측에 각각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함몰홈부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인출레일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걸려서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인출레일의 이탈을 차단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판은 전후진위치고정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전후진 이동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전후진위치고정부는, 상기 하부판의 하측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설치몸체부; 상기 설치몸체부의 설치공간을 통해 전후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측면에 접촉되는 누름축부재; 및 상기 누름축부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누름축부재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판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고정하는 탄성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는, 충전기본체를 회전 시킨 후, 벽면으로 부터 전측으로 이동시켜 후방에 있던 도어를 전방으로 위치시켜 도어를 간섭 없이 개방함으로써, 주차공간을 절약하면서 점검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의 조립 상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의 조립 상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회전위치고정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회전작동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전후작동부와 전후진위치고정부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레일작동부가 작동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레일인출부가 당겨지고, 충전기본체를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회동작동부에 의해 충전기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의 조립 상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의 조립 상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회전위치고정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회전작동부의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전후작동부와 전후진위치고정부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레일작동부가 작동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레일인출부가 당겨지고, 충전기본체를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에서, 회동작동부에 의해 충전기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는, 충전기본체(100), 상부판(200), 하부판(300) 및 회전작동부(400)를 포함한다.
충전기본체(100)는 도어(110)를 구비하고,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구성이다. 충전기본체(100)는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벽면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상적으로 충전기본체(100)는 벽면과 1m미터 정도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규제되고 있다. 그 이유는 충전기본체(100)를 점검하기 위한 도어(110)가 후방에 설치되어 개방되므로 도어(100) 개방시 벽면에 부딪치는 등 간섭에 의해 점검이 어렵기 때문에 일정 거리 떨어져야 한다. 하지만, 주차장 공간이 협소하여 충전기본체(100)를 벽면과 이격거리를 떨어뜨리는 경우, 주차면의 협소로 인해 충전을 위한 차량이 통행로측으로의 돌출로 인해 차량 또는 사람의 통행에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상부판(100)은 충전기본체(100)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부판(2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회전시 모서리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판(300)은 상부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하부판(300)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300)은 상부판(200)에 비해 길이는 동일하지만 너비는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판(200)에는 충전기본체(100)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제1통과공(210)이 형성되고, 하부판(300)에는 제1통과공(210)과 연통되는 제2통과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과공(210)과 제2통과공(310)은 전선이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원형구멍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회전작동부(400)는 상부판(200)과 하부판(300)에 구비되고, 하부판(300)에 대해 상부판(200)을 회전하여 점검을 위해 충전기본체(100)의 도어(110)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위치시키는 구성이다.
충전기본체(100)의 도어(110)는 충전기본체(100)의 긴급점검 및 정기점검을 위해 충전기본체(100)의 내부를 열어 보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 충전기본체(100)는 건축물의 벽면과 1m정도 이격하는 것이 도어(110)의 개방 때문에 유리하다. 하지만, 건축물의 벽면과 1m정도 이격하지 않아도, 회전작동부(400) 구성을 통해 180도 회전하여 전방에서 점검이 가능하므로 도어(110)의 개방시 걸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작동부(400)는, 상부판(200)에 원통형상으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원통지지부(410)와, 제1원통지지부(410)를 감싸면서 대응되도록 하부판(300)의 상측으로 원통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원통지지부(420)와, 제1원통지지부(410)와 제2원통부(420)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판(300)에 대해 상부판(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베어링부(430)와, 상부판(200)과 하부판(300)에 구비되고, 회전베어링부(430)를 통해 상부판(200)을 하부판(300)에 대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440)를 포함한다.
회전베어링부(430)는, 제1원통지지부(410)의 둘레면에 압입 설치되는 내륜부재(432)와, 내륜부재(432)에 이격 배치되고, 제2원통지지부(420)의 내주면에 압입 설치되는 외륜부재(434)와, 내륜부재(432)와 외륜부재(44)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륜부재(434)에 대해 내륜부재(432)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볼부재(436)를 포함한다.
볼부재(436)는 내륜부재(432)와 외륜부재(44)의 사이 전체면에 원형볼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원기둥형상의 롤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구동부(440)는, 하부판(300)에 구비되어 회전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모터(442)와, 구동모터(442)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444)와, 구동기어(444)에 치합되고, 하부판(300)의 하측면에 설정구간 원형으로 배치되어 구동모터(442)의 구동에 의해 하부판(300)에 대해 상부판(200)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446)를 포함한다.
피동기어(446)는 하부판(300)의 하측면상에 원형으로 배치되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444)는 피니언기어를 적용하고, 피동기어는 원형으로 배치된 스퍼어기어를 적용하되, 구동기어(444)와 피동기어(446)의 기어치는 피동기어(444)가 원형으로 배치된 상태를 보상하도록 사다리꼴 형태로 적절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판(200)은 회전위치고정부(500)에 의해 하부판(300)에 대해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회전위치고정부(500)는, 상부판(200)의 하측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512)을 형성하는 고정몸체부(510)와, 고정몸체부(510)의 수용공간(512)을 통해 전후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제2원통지지부(420)의 둘레에 접촉되는 가압축부재(520)와, 가압축부재(520)에 탄성력을 가하여 가압축부재(520)의 단부가 제2원통지지부(420)의 둘레를 가압하여 상부판(200)의 회전위치를 하부판(300)에 고정하는 탄성가압부(530)를 포함한다.
탄성가압부(530)는, 수용공간(512)에 설치되어 가압축부재(520)의 둘레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532)와, 수용공간(512) 내에서 가압축부재(520)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532)에 탄성 지지되어 가압축부재(520)를 전측으로 이동하는 탄성지지판부재(534)와, 가압축부재(520)의 후측 단부에 구비되고, 가압축부재(52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재(536)와, 제2원통지지부(420)의 둘레에 함몰 형성되고, 가압축부재(52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회전위치고정홈부(538)를 포함한다.
탄성지지판부재(534)는 가압축부재(520)의 둘레에 일체로 구비되어 코일스프링(532)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가압축부재(520)를 항상 전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판부재(534)는 그립부재(536)을 통해 후방으로 당겨질 때, 코일스프링(532)에 걸려 가압축부재(520)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해준다.
회전위치고정홈부(538)는 제2원통지지부(420)의 둘레에 전방에 1개, 후방에 한개씩 모두 2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회전위치고정홈부(538)는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충전기본체(100)의 도어(110)는 캐노피등의 간섭 물체가 없는 경우, 측면으로 놓여져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부판(300)은 전후작동부(600)에 의해 상부판(200)을 지지한 상태에서 전후진 작동할 수 있다. 전후작동부(600)는 상부판(200)과 하부판(300)을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것은 상부판(200)에 설치된 충전기본체(100)를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므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작동부(600)의 도시된 길이는 정하여진 것이 아니며, 일예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다양한 길이로 변경 가능하다.
전후진작동부(600)는, 전후로 관통되는 이동공간(612)과, 이동공간(612)에서 상측으로 개방 연결되는 개방홈(614)을 형성하고,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610)과, 하부판(300)의 저면에 설치되고, ㄷ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는 지지부재(620)와, 지지부재(620)에 삽입 설치되고, 가이드레일(610)의 상면에 일부 접촉되어 회전 구동하는 이동바퀴(630)와, 이동바퀴(630)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가이드레일(610)에 설치되는 차단판부재(640)를 포함한다.
이동바퀴(630)는 금속성소재 또는 합성수지재등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차단판부재(640)는 가이드레일(6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가이드레일(610)의 높이보다 약간 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동바퀴(630)의 둘레에 돌출되어 가이드레일(610)의 개방홈(614)에 위치하여 가이드레일(610)에서 이동바퀴(63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6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돌출부(632)은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바퀴와 같은 구름기구 역할을 수행한다.
전후진작동부(600)는 레일인출부(700)에 의해 가이드레일(610)에서 인출되어 상,하부판(200)(300)의 이동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레일인출부(700)은 전후진작동부(600)의 가이드레일(610)에 부가하여 전측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작업공간이 좁은 경우, 상,하부판(200)(300)과 충전기본체(1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충전기본체(100)의 도어(110)를 개방하므로 긴급점검 및 정기점검등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일인출부(700)는, 가이드레일(610)의 이동공간(6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레일(710)과, 인출레일(710)의 상면에 구비되고, 가이드레일(710)의 개방홈(614)에 배치되어 이동바퀴(630)에 구비된 안내돌출부(632)가 삽입되는 삽입홈(722)이 형성되면서 이동바퀴(630)가 접촉되어 안내되는 안착지지돌부(720)와, 가이드레일(610)에서 인출레일(710)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이탈방지부(730)를 포함한다.
안착지지돌부(720)의 상측면은 가이드레일(610)의 상측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이동바퀴(630)는 가이드레일(610)과 인출레일(710)을 이동할 때, 단차 없이 동일한 높이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이탈방지부(730)는, 인출레일(710)의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732)와, 가이드레일(610)의 전측에 각각 삽입 설치되고, 함몰홈부(732)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부재(734)와, 인출레일(7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이탈방지부재(734)에 걸려서 가이드레일(610)에서 인출레일(710)의 전방 이탈을 차단하는 스토퍼부재(736)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부재(734)는 가이드레일(610)의 전측에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에 설치되고, 나사, 볼트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610)의 전측에 체결되면서, 인출레일(710)의 함몰홈부(732)에 설치되도록 가이드레일(61)의 내측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재(734)는 길게 형성되어 인출레일(710)이 가이드레일(610)에서 안정적으로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출레일(710)이 가이드레일(610)에서 겹치는 구간이 크게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출레일(710)의 전측에는 낙하방지플레이트(740)가 결합 설치되어 상,하부판(200)(300)이 인출레일(710)의 전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하부판(200)(300)을 걸어주어 충전기본체(100)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낙하방지플레이트(740)는 인출레일(710)을 가이드레일(610)에서 인출할 때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낙하방지플레이트(740)의 하측은 바닥에 접촉할 정도의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이드레일(610)에서 인출레일(710)을 인출하였 때, 인출레일(710)이 바닥에 지지되므로 인출레일(710)이 앞으로 약간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대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하부판(300)은 전후진위치고정부(800)에 의해 가이드레일(610)에서 전후진이동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전후진위치고정부(800)는 상부판(200)과 충전기본체(100)가 안착된 하부판(300)을 전후진방향으로 이동한 후, 가이드레일(610)에 구속하여 고정하므로 작업자가 원하는 충전기본체(100)의 전후측 이동위치를 의도대로 고정할 수 있다.
전후진위치고정부(800)는, 하부판(300)의 하측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설치공간(812)을 형성하는 설치몸체부(810)와, 설치몸체부(810)의 설치공간(812)을 통해 전후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가이드레일(610)의 측면에 접촉되는 누름축부재(820)와, 누름축부재(820)에 탄성력을 가하여 누름축부재(820)의 단부가 가이드레일(610)의 둘레를 가압하여 하부판(200)을 가이드레일(610)에 고정하는 탄성누름부(830)를 포함한다.
설치몸체부(810)는 누름축부재(820)가 가이드레일(610)의 측면을 누를 수 있도록 하부판(300)의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탄성누름부(830)는, 설치공간(812)에 설치되어 누름축부재(820)의 둘레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832)과, 누름축부재(82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탄성스프링(832)에 탄성지지되어 누름축부재(820)를 전측으로 가압하는 누름지지판부재(834)와, 누름축부재(820)의 후방에 구비되고, 누름축부재(82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재(836)과, 가이드레일(610)의 둘레에 함몰 형성되고, 누름축부재(82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전후진 위치를 고정하는 전후진위치고정홈부(838)를 포함한다.
누름지지판부재(834)는 누름축부재(820)의 둘레에 일체로 구비되어 탄성스프링(832)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누름축부재(820)를 항상 전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또한, 누름지지판부재(834)는 손잡이부재(836)를 통해 후방으로 당겨질 때, 탄성스프링(832)에 걸려 누름축부재(820)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해준다.
전후진위치고정홈부(838)는 가이드레일(610)의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전후진위치고정홈부(838)는 개수는 증감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충전기본체(100)를 이동하고 회전하여 도어(110)를 전방에서 개방한 상태에서 점검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 보도록 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충전기본체(100)를 사용하다가 긴급점검 또는 정기점검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진작동부(600)의 가이드레일(610)에서 레일인출부(700)의 인출레일(710)을 전방으로 당겨 이동시켜 설정길이 이동시키도록 한다.
그 다음, 하부판(300)의 하측면에 구비된 이동바퀴(630)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610)의 상측면과 인출레일(710)의 안착지지돌부(720)를 통해 상부판(200)과 하부판(300)을 벽면으로 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고, 충전기본체(100)를 전방으로 배치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때, 전후진위치고정부(800)의 손잡이부재(836)를 당겨 탄성스프링(832)을 압축하면서, 누름축부재(820)를 전후진위치고정홈부(838)에서 이탈시킨 후, 다른 전후위치고정홈부(838)에 삽입하여 상,하부판(200)(300)의 전후진 이동위치를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본체(100)의 전면에 구비된 회전버튼(120)을 눌러주면, 미도시된 제어부를 통해 전원을 구동모터(442)에 공급하여 구동하면, 구동기어(444)가 회전하면서 맞물려 있는 피동기어(446)을 돌림에 따라 회전베어링부(430)를 통해 상부판(200)이 하부판(300)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위치고정부(500)의 그립부재(536)을 당겨주면, 코일스프링(532)을 수축하면서 가압축부재(520)가 후방으로 당겨지고, 제2원통지지부(420)의 회전위치고정홈부(538)에서 이탈시켜 제2원통지지부(420)의 평면 부분에 안착시켜 놓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구동부(440)에 의해 상부판(200)이 180도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위치고정부(500)의 가압축부재(520)의 단부는 반대측에 있는 제2원통지지부(420)의 회전위치고정홈부(538)에 코일스프링(532)을 통해 복원하여 탄성적으로 끼워지면서 180도 회전이 완료된다.
그 다음, 충전기본체(100)의 도어(110)를 전방에서 개방하여 긴급점검 및 정기점검을 수행하도록 한다. 충전기본체(100)의 원상복귀과정은 상술한 반대과정을 거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는, 충전기본체를 회전 시킨 후, 벽면으로 부터 전측으로 이동시켜 후방에 있던 도어를 전방으로 위치시켜 도어를 간섭 없이 개방함으로써, 주차공간을 절약하면서 점검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충전기본체 110: 도어
120: 회전버튼 200: 상부판
210: 제1관통공 300: 하부판
400: 회전작동부 410: 제1원통지지부
420: 제2원통지지부 430: 회전베어링부
432: 내륜부재 434: 외륜부재
436: 볼부재 440: 회전구동부
442: 구동모터 444: 구동기어
446: 피동기어 500: 회전위치고정부
510: 고정몸체부 512: 수용공간
520: 가압축부재 530: 탄성가압부
532: 코일스프링 534: 탄성지지판부재
536: 그립부재 538: 회전위치고정홈부
600: 전후작동부 610: 가이드레일
612: 이동공간 614: 개방홈
620: 지지부재 630: 이동바퀴
632: 안내돌출부 640: 차단판부재
700: 레일인출부 710: 인출레일
720: 안착지지부 722: 삽입홈
730: 전방이탈방지부 732: 함몰홈부
734: 이탈방지부재 736: 스토퍼부재
740: 낙하방지플레이트 800: 전후진위치고정부
810: 설치몸체부 812: 설치공간
820: 누름축부재 830: 탄성누름부
832: 탄성스프링 834: 누름지지판부재
836: 손잡이부재 838: 전후위치고정홈부

Claims (14)

  1. 도어를 구비하고,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기본체;
    상기 충전기본체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에 대해 상기 상부판을 회전하여 점검을 위해 상기 충전기본체의 도어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위치시키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충전기본체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제1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제1통과공과 연통되는 제2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상부판에 원통형상으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원통지지부;
    상기 제1원통지지부를 감싸면서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판의 상측으로 원통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원통지지부;
    상기 제1원통지지부와 상기 제2원통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판에 대해 상기 상부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베어링부;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베어링부를 통해 상기 상부판을 상기 하부판에 대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어링부는,
    상기 제1원통지지부의 둘레면에 압입 설치되는 내륜부재;
    상기 내륜부재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원통지지부의 내주면에 압입 설치되는 외륜부재; 및
    상기 내륜부재와 상기 외륜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륜부재에 대해 상기 내륜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부판에 구비되어 회전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하부판의 하측면에 설정구간 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부판에 대해 상기 상부판을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회전위치고정부에 의해 상기 하부판에 대해 회전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위치고정부는,
    상기 상부판의 하측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몸체부;
    상기 고정몸체부의 수용공간을 통해 전후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원통지지부의 둘레에 접촉되는 가압축부재; 및
    상기 가압축부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가압축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2원통지지부의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판의 회전위치를 상기 하부판에 고정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축부재의 둘레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가압축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가압축부재를 전측으로 이동하는 탄성지지판부재;
    상기 가압축부재의 후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축부재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재; 및
    상기 제2원통지지부의 둘레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압축부재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회전위치를 고정하는 회전위치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전후작동부에 의해 상기 상부판을 지지한 상태에서 전후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작동부는,
    전후로 관통되는 이동공간과, 이동공간에서 상측으로 개방 연결되는 개방홈을 형성하고,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하부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ㄷ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접촉되어 회전 구동하는 이동바퀴; 및
    상기 이동바퀴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차단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퀴의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개방홈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이동바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작동부는 레일인출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인출되어 상기 상,하부판의 이동거리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인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레일;
    상기 인출레일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개방홈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바퀴에 구비된 안내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이동바퀴가 접촉되어 안내되는 안착지지돌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인출레일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는 전방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이탈방지부는,
    상기 인출레일의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측에 각각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함몰홈부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인출레일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에 걸려서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인출레일의 이탈을 차단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14. 제 9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전후진위치고정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전후진 이동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전후진위치고정부는,
    상기 하부판의 하측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설치몸체부;
    상기 설치몸체부의 설치공간을 통해 전후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측면에 접촉되는 누름축부재; 및
    상기 누름축부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누름축부재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판을 상기 가이드레일에 고정하는 탄성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KR1020210173675A 2021-12-07 2021-12-07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KR10259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75A KR102598785B1 (ko) 2021-12-07 2021-12-07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75A KR102598785B1 (ko) 2021-12-07 2021-12-07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77A true KR20230085477A (ko) 2023-06-14
KR102598785B1 KR102598785B1 (ko) 2023-11-07

Family

ID=8674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675A KR102598785B1 (ko) 2021-12-07 2021-12-07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7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92B1 (ko) * 2006-10-19 2008-03-13 이상면 환기창 유니트
KR20090043699A (ko) * 2007-10-30 2009-05-07 김영자 회전식 진열구
KR101391997B1 (ko) * 2013-02-07 2014-07-04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서랍함 자동 닫힘 및 역 배출 방지용 슬라이드레일 구조
CN106379194A (zh) * 2016-12-02 2017-02-08 冒鹏飞 一种带有散热装置的旋转式充电桩
CN108058607A (zh) * 2017-12-08 2018-05-22 梅国健 一种安装后角度可调式新能源电动汽车充电装置
KR20200002165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전기자동차 충전기기용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92B1 (ko) * 2006-10-19 2008-03-13 이상면 환기창 유니트
KR20090043699A (ko) * 2007-10-30 2009-05-07 김영자 회전식 진열구
KR101391997B1 (ko) * 2013-02-07 2014-07-04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서랍함 자동 닫힘 및 역 배출 방지용 슬라이드레일 구조
CN106379194A (zh) * 2016-12-02 2017-02-08 冒鹏飞 一种带有散热装置的旋转式充电桩
CN108058607A (zh) * 2017-12-08 2018-05-22 梅国健 一种安装后角度可调式新能源电动汽车充电装置
KR20200002165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전기자동차 충전기기용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785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14449B (zh) 锁装置
CN103872518B (zh) 锁闭装置
US20140111144A1 (en) Charge connector locking apparatus
KR102039079B1 (ko) 작동 장치
US9145045B2 (en) Battery pack holding apparatus
US9077191B2 (en) Charg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KR102010915B1 (ko) 전기차 충전 플러그 락킹 액츄에이터
CN103872519A (zh) 锁闭装置
US9856679B2 (en) Lid lock device
KR10198703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US6981774B2 (en) Vehicle rear view mirror assembly
KR20230085477A (ko) 전기자동차 회전형 충전장치
KR102020116B1 (ko) 전기차용 충전케이블의 이동 안내장치 및 전기차 충전 시스템
US20220281338A1 (en) Charging robot and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an electrical energy store of a vehicle, and vehicle, the electrical energy store of which can be charged with such a charging apparatus
JP7028157B2 (ja) 車両
JP3185283U (ja) 2輪車両用駐輪ロック装置
JP5184012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CN106043135B (zh) 踏阶装置
US20090160109A1 (en) Slide Actuator
JP2023181710A (ja) 充電コネクター用ホルダー
JP7458487B2 (ja) 電動パーキング機構
CN214450412U (zh) 电动车快换装置及电动汽车
JP6534092B2 (ja) 充電口構造
KR102139739B1 (ko) 충전 설비가 구비된 주차 장치
CN108608875B (zh) 一种结构改进的挂壁式充电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