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843A -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3843A KR20230083843A KR1020210172218A KR20210172218A KR20230083843A KR 20230083843 A KR20230083843 A KR 20230083843A KR 1020210172218 A KR1020210172218 A KR 1020210172218A KR 20210172218 A KR20210172218 A KR 20210172218A KR 20230083843 A KR20230083843 A KR 202300838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misphere
- wire
- bolt
- coupled
- upper hemisphe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30 Fibre-reinforced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1 fibre-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불평형 풍압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가공지선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반구체 및 상기 상부 반구체에 결합되는 하부 반구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관통 홀을 형성하는 구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반구체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의 외표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볼트가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볼트 홀이 가공된 한 쌍의 볼트 통과 기둥; 및 상기 하부 반구체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시 상기 볼트가 결합하도록 너트가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너트 삽입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평형 풍압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가공지선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법률(항공법 제 83조)에 의거,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60미터 이상 높이의 송배전 철탑에는 항공장애 등 및 주간 장애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월, 장경간 배전철탑 및 송전선로 증설에 따라 항공장애 표시구 취부개소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사용중인 표시구(1)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이 주된 재질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반구체(2)와 하부 반구체(3)가 결합된 구 형상이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전선(L)과 각 반구체(2,3)의 고정을 위해 돌출된 고정부가 구비된다.
표시구(1)는 상부 반구체(2)와 하부 반구체(3)의 접합부분(5)은 요철형으로 되고, 전선(L)과 함께 각 반구체(2,3)가 서로 조립되면 접합부분(5)에 별도의 결합부재를 적용하여 조립된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이처럼, 기존의 가공지선에 설치된 표시구는 접합부분이 표시구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 바람이 불면 불평형 풍압이 발생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로 인해 표시구가 회전 또는 진동하게 되고, 표시구의 회전 또는 진동은 클램프(4)의 이완 및 유격의 원인이 되며 결국 표시구의 슬라이딩 및 가공지선의 손상으로 이어져 이를 보수하기 위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한편, 표시구의 취부시에는, 설치하는 가공지선(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전선에 프리폼드 아마로드(Preformed Armor Rod)를 먼저 설치하고 표시구를 조립하게 된다. 아마로드는 전선이 절단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감아 붙이는 전선과 같은 종류로 된 보상선을 의미한다.
이때, 클램프와 가공지선(또는 프리폼드 아마로드) 간에 마찰에 의한 소음은 표시구 내부 빈공간에 의한 공명현상으로 구표면 전체로 증폭 확산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항공장애 표시구의 구조적 문제는 마찰소음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관련 환경단체 및 지자체에 집단민원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종합해 볼 때, 슬라이딩 방지 및 소음차단이 가능한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는, 불평형 풍압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표시구의 회전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하여 가공지선의 손상을 예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는, 표시구가 전선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지선의 손상을 예방하고 마찰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는, 상부 반구체 및 상기 상부 반구체에 결합되는 하부 반구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관통 홀을 형성하는 구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반구체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의 외표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볼트가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볼트 홀이 가공된 한 쌍의 볼트 통과 기둥; 및 상기 하부 반구체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시 상기 볼트가 결합하도록 너트가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너트 삽입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는, 상기 상부 반구체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림; 및 상기 하부 반구체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반구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림과 상기 하부 림의 어느 일측은 돌기를, 다른 일측은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시 상기 상부 림과 상기 하부 림이 상기 구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서로 끼워 맞춰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통과 기둥은 상기 상부 림의 하부면에 이르기까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림의 내측면이 상기 볼트 통과 기둥의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너트 삽입 플랜지는 상기 하부 림의 내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볼트 통과 기둥이 배치되는 상기 상부 반구체의 양 측부 또는 상기 한 쌍의 너트 삽입 플랜지가 배치되는 상기 하부 반구체의 양 측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는, 상기 전선 관통 홀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의 외표면에서 각각 평판 형태로 돌출되어, 서로간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전선 관통 홀에 삽입된 전선과 함께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전선 고정부; 및 상기 전선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선 고정부와 상기 전선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보호 슬리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슬리브 부재는, 아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전선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1 슬리브 바디; 상기 전선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2 슬리브 바디; 및 상기 제1 슬리브 바디와 상기 제2 슬리브 바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슬리브 바디와 상기 제2 슬리브 바디를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결합 부재가 체결되는 슬리브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슬리브 부재는, 상기 전선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전선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구형 하우징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전선 고정부의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슬리브 부재는, 내표면에 상기 전선에 형성된 피치 길이와 동일한 피치 길이의 나선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따르면, 상,하부 반구체의 결합시 접합부분이 표시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서, 불평형 풍압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구의 회전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하여 가공지선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따르면, 전선이 조립되는 부위에 미끄럼 방지용 슬리브를 결합 취부하여, 표시구가 전선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지선의 손상을 예방하고 마찰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포함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기존의 항공장애 표시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항공장애 표시구에서 불평형 풍압이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기존의 항공장애 표시구에서 클램프와 가공지선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확산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를 상부 반구체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있어서, 구형 하우징의 상부 림과 하부 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를 X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의 적용으로 불평형 풍압이 차단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있어서, 보호 슬리브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슬리브의 보호 슬리브 부재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항공장애 표시구에서 불평형 풍압이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기존의 항공장애 표시구에서 클램프와 가공지선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확산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를 상부 반구체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있어서, 구형 하우징의 상부 림과 하부 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를 X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의 적용으로 불평형 풍압이 차단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있어서, 보호 슬리브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슬리브의 보호 슬리브 부재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를 상부 반구체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있어서, 구형 하우징의 상부 림과 하부 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를 X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의 적용으로 불평형 풍압이 차단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10)는, 상부 반구체(110) 및 상부 반구체(110)에 결합되는 하부 반구체(120)로 구성된 구형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구형 하우징(100)에는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가 결합시 가공지선(이하부터는 '전선'으로 지칭함)(L)이 통과하는 전선 관통 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선 관통 홀(153)은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가 결합시에는 그 단면이 원형이되, 구형 하우징(100)이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로 분리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반구체(110,120)에서 단면이 반원 형태인 홀로서 정의된다.
상부 반구체(110)에는 상부 반구체(110)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상부 림(113)이 마련된다. 상부 림(113)은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가 결합시 맞물리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부 반구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림(113)은 상부 반구체(110)의 개방된 단부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부 반구체(110)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상부 반구체(11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하부 반구체(120)에는 하부 반구체(120)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하부 림(123)이 마련된다. 하부 림(123)은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가 결합시 맞물리는 부분에 형성되며, 하부 반구체(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림(123)은 하부 반구체(120)의 개방된 단부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하부 반구체(120)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하부 반구체(12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이때, 상부 림(113)과 하부 림(123)의 어느 일측은 돌기를, 다른 일측은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구비하여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가 결합시 상부 림(113)과 하부 림(123)이 구형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서로 끼워 맞춰 결합되게 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상부 림(113)에 돌기(1131)가, 하부 림(123)에 홈(1231)이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부 림(113)에 홈이, 하부 림(123)에 돌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기(1131)는 상부 림(113)의 하부면(1132) 보다 상부 반구체(110)의 외측을 향해 더 돌출되는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홈(1231)은 하부 림(123)의 상부면(1232) 보다 하부 반구체(123)의 내측을 향해 더 움푹 패인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돌기(1131)와 홈(1231)은 서로 끼워 맞춰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태와 크기로 형성된다.
상부 림(113)은 상부 반구체(110)의 개방된 단부의 가장자리 원주를 둘러서 형성되고, 하부 림(123)은 하부 반구체(120)의 개방된 단부의 가장자리 원주를 둘러서 형성된다.
상부 림(113)과 하부 림(123)은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가 결합시 접촉 부분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용도이며, 기존의 항공장애 표시구와는 다르게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의 접촉 부분이 구형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구형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게 구성됨으로써, 불평형 풍압의 발생이 차단될 수 있다.(도 8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10)는, 한 쌍의 볼트 통과 기둥(130) 및 한 쌍의 너트 삽입 플랜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트 통과 기둥(130)은, 상부 반구체(110)의 양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볼트 통과 기둥(130)은 상부 반구체(110)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양 측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볼트 통과 기둥(130)은 상부 반구체(110)의 외표면에서 내측(상부 반구체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통과 기둥(130)에는 볼트(31)가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볼트 홀(135)이 가공될 수 있다. 볼트 홀(135)은 상부 반구체(110)의 표면에서부터 볼트 통과 기둥(130)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볼트(31)는 볼트 통과 홀(135)을 통해 볼트 통과 기둥(130)에 삽입될 수 있다.
볼트 통과 기둥(130)은 상부 반구체(110)의 표면에서부터 상부 림의 하부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볼트 통과 기둥(130)의 일 측면은 상부 림(113)의 내측면(1133)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너트 삽입 플랜지(140)는, 하부 반구체(120)의 양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너트 삽입 플랜지(140)는 하부 반구체(120)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양 측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너트 삽입 플랜지(140)는 하부 반구체(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너트 삽입 플랜지(140)는 하부 림(123)의 내측면(123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너트 삽입 플랜지(140)는 하부 림(123)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너트 삽입 플랜지(140)는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가 결합시 볼트 통과 기둥(130)에 삽입된 볼트(31)와 체결될 너트(32)가 미리 삽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너트 삽입 플랜지(140)에 너트(32)가 삽입된 상태인 경우, 하부 반구체(120)에는 별도의 너트 삽입 홀을 가공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볼트 통과 기둥(130)은 볼트(31)의 삽입과 체결이 가능한 한에서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볼트 통과 기둥(130)은 그 단면이 원인 원기둥일 수 있다. 다만, 다른 예로 볼트 통과 기둥(130)은 다각 기둥의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볼트 통과 기둥(130)은 사각 기둥 형태일 수도 있다.
너트 삽입 플랜지(140)의 형태 또한 너트(32)가 미리 삽입 가능한 크기와 모양인 한에서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너트 삽입 플랜지(140)는 그 단면이 원인 원기둥일 수 있다. 다만, 다른 예로 너트 삽입 플랜지(140)는 다각 기둥의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너트 삽입 플랜지(140)는 사각 기둥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10)는, 전선 고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 고정부(150)는, 상술한 전선 관통 홀(153)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전선 고정부(150)는,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의 외표면에서 각각 평판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선 고정부(150)는 상부 반구체(110)에 연결된 상부 전선 고정부(151)와 하부 반구체(120)에 연결된 하부 전선 고정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부 전선 고정부(151,152) 서로간의 체결에 의해, 전선 관통 홀(153)에 삽입된 전선(L)과 함께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전선(L)은 상부 전선 고정부(151)와 하부 전선 고정부(152)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전선 고정부(151)와 하부 전선 고정부(152) 간의 체결에는 별도의 체결 부재(51)가 이용될 수 있다.(도 6 참조)
한편, 한 쌍의 볼트 통과 기둥(130)이 배치되는 상부 반구체(110)의 양 측부 또는 한 쌍의 너트 삽입 플랜지(140)가 배치되는 하부 반구체(120)의 양 측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A1이라 했을 때, A1은 전선(L)의 길이 방향 축(A2)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전선(L)의 길이 방향 축(A2)의 전선 고정부(150)의 배치 방향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이처럼, 전선(L)이 고정 배치되는 방향(A2)과 상,하부 반구체(110,120) 체결 부품(볼트, 너트 조립체)(31,32)의 배치 방향(A1)이 서로 수직한 경우, 최소한의 체결 부품으로도 결합력이 충분하게 유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있어서, 보호 슬리브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슬리브의 보호 슬리브 부재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10)는, 보호 슬리브 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슬리브 부재(200)는, 전선 관통 홀(153)에 삽입되어 전선 고정부(150)와 전선(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도 3, 도 6 참조) 다른 관점에서, 보호 슬리브 부재(200)는 상,하부 반구체(110,120)와 전선(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슬리브 부재(200)는, 전선(L)을 감싸도록 원통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 슬리브 부재(200)는, 슬리브 바디(210)와 슬리브 고정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리브 바디(21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원통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내부에 전선(L)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의 직경은 전선(L)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 바디(210)는 아치 형태로 구비되며 전선(L)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1 슬리브 바디(210a)와, 제1 슬리브 바디(210a)와 결합되어 전선(L)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2 슬리브 바디(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슬리브 바디(210a)와 제2 슬리브 바디(210b) 사이에 전선(L)이 배치될 수 있다.(도 9 참조)
보호 슬리브 부재(200)는, 제1 슬리브 바디(210a)와 제2 슬리브 바디(210b)의 양 측 단부에 연결되는 슬리브 고정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고정부(220)는, 제1 슬리브 바디(210a)의 양측 단부에 연결된 제1 슬리브 고정부(220a)와 제2 슬리브 바디(210b)의 양측 단부에 연결된 제2 슬리브 고정부(220b)로 구성될 수 있다. 슬리브 고정부(220)에는 전선(L)이 관통하도록 전선(L)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의 홀이 구비된다. 슬리브 고정부(220)는, 필요에 따라 슬리브 바디(210)의 양측 단부 뿐 아니라 슬리브 바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의 지점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 바디(210)의 길이 방향 중심 지점에 슬리브 고정부(220)가 추가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리브 고정부(220a)와 제2 슬리브 고정부(220b)는 전선(L)이 제1 슬리브 바디(210a)와 제2 슬리브 바디(210b)에 배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 부재(71)로 체결되어 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보호 슬리브 부재(200)는, 전선(L)을 감싼 상태에서 전선 관통 홀(153)에 삽입되어 구형 하우징(10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기존의 프리폼드 아마로드의 역할을 보호 슬리브 부재(200)가 대신 수행할 수 있다. 보호 슬리브 부재(200)는 전선(L)의 길이 방향 축(A2)을 따라 전선 고정부(150)의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리브 바디(210)는 그 양측 단부가 전선 고정부(150)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된 길이로 구성되며 따라서, 상,하부 반구체(110,120)와 보호 슬리브 부재(200)와 전선(L)을 함께 결합시 슬리브 고정부(220)는 전선 고정부(150)의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도 7 참조)
보호 슬리브 부재(200)의 내부 표면에는 전선(L)과 동일 피치(P)(또는 피치 길이)를 갖는 나선 홈이 마련될 수 있다.(도 10 참조) 여기서, 전선의 피치(또는 피치 길이)란, 도체 등을 연합할 때 꼬임의 결합도를 나타내는 팩터로서, 즉 꼬임의 간격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나선 홈은 슬리브 바디(210)와 슬리브 고정부(220)의 내면에 모두 가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 슬리브 부재(200)는 전선(L)을 보다 밀착하여 장악할 수 있고 보호 슬리브 부재(200)가 전선(L)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슬리브 고정부(220)의 전체 직경(D2)은 전선(L)이 삽입되는 전선 관통 홀(153)의 직경(D1) 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도 7, 도 9 참조) 이를 통해, 슬리브 고정부(220)는 구형 하우징(100)이 전선(L)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자면, 보호 슬리브 부재(200)의 슬라이딩이 방지됨은 앞서 설명한 바 있고, 전선 관통 홀(153)보다 큰 직경의 슬리브 고정부(220)가 구형 하우징(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형 하우징(100)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보호 슬리브 부재(200)가 구형 하우징(100)을 슬라이딩 하지 못하도록 잡아줌으로써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10) 전체의 슬라이딩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형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최소화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알 수 없는 외부 요소에 의해 표시구의 회전이 발생할 우려는 남아 있다. 이때, 보호 슬리브 부재(200)가 전선(L)과 구형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구형 하우징(100)에 불가피한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호 슬리브 부재(200)가 베어링 역할을 하여 전선(L)과 구형 하우징(10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마찰의 최소화에 의해 마찰 소음도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따르면, 상,하부 반구체의 결합시 접합부분이 표시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서, 불평형 풍압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구의 회전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하여 가공지선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에 따르면, 전선이 조립되는 부위에 미끄럼 방지용 슬리브를 결합 취부하여, 표시구가 전선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지선의 손상을 예방하고 마찰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L: 전선
10: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100: 구형 하우징
110: 상부 반구체
113: 상부 림
120: 하부 반구체
123: 하부 림
130: 볼트 통과 기둥
135: 볼트 홀
140: 너트 삽입 플랜지
150: 전선 고정부
153: 전선 관통 홀
200: 보호 슬리브 부재
210: 슬리브 바디
220: 슬리브 고정부
10: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100: 구형 하우징
110: 상부 반구체
113: 상부 림
120: 하부 반구체
123: 하부 림
130: 볼트 통과 기둥
135: 볼트 홀
140: 너트 삽입 플랜지
150: 전선 고정부
153: 전선 관통 홀
200: 보호 슬리브 부재
210: 슬리브 바디
220: 슬리브 고정부
Claims (8)
- 상부 반구체 및 상기 상부 반구체에 결합되는 하부 반구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시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관통 홀을 형성하는 구형 하우징;
상기 상부 반구체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의 외표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볼트가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볼트 홀이 가공된 한 쌍의 볼트 통과 기둥; 및
상기 하부 반구체의 양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시 상기 볼트가 결합하도록 너트가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너트 삽입 플랜지;를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구체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림; 및
상기 하부 반구체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반구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림과 상기 하부 림의 어느 일측은 돌기를, 다른 일측은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시 상기 상부 림과 상기 하부 림이 상기 구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서로 끼워 맞춰져 결합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통과 기둥은 상기 상부 림의 하부면에 이르기까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림의 내측면이 상기 볼트 통과 기둥의 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너트 삽입 플랜지는 상기 하부 림의 내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볼트 통과 기둥이 배치되는 상기 상부 반구체의 양 측부 또는 상기 한 쌍의 너트 삽입 플랜지가 배치되는 상기 하부 반구체의 양 측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관통 홀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의 외표면에서 각각 평판 형태로 돌출되어, 서로간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전선 관통 홀에 삽입된 전선과 함께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전선 고정부; 및
상기 전선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선 고정부와 상기 전선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보호 슬리브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 부재는,
아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전선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1 슬리브 바디;
상기 전선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2 슬리브 바디; 및
상기 제1 슬리브 바디와 상기 제2 슬리브 바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슬리브 바디와 상기 제2 슬리브 바디를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결합 부재가 체결되는 슬리브 고정부;를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 부재는,
상기 전선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전선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구형 하우징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전선 고정부의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슬리브 부재는,
내표면에 상기 전선에 형성된 피치 길이와 동일한 피치 길이의 나선 홈이 형성된,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2218A KR20230083843A (ko) | 2021-12-03 | 2021-12-03 |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2218A KR20230083843A (ko) | 2021-12-03 | 2021-12-03 |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3843A true KR20230083843A (ko) | 2023-06-12 |
Family
ID=8677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2218A KR20230083843A (ko) | 2021-12-03 | 2021-12-03 |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83843A (ko) |
-
2021
- 2021-12-03 KR KR1020210172218A patent/KR20230083843A/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99132C2 (ru) | Фитинг для многожильн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 |
US4662712A (en) | Non-metallic self-supporting aerial optical cable | |
US3663740A (en) | Cable splice case | |
AU2015200237B2 (en) | Cable gland | |
US20210324973A1 (en) | Support devices for drop cables | |
US20080292253A1 (en) | Flat design composite drop fiber cable with mid-span access capability | |
US9323019B1 (en) | Long span all dielectric self-supporting (ADSS) fiber optic cable | |
EP3120041B1 (en) | Flexible electrical isolation device | |
GB2317243A (en) | Non-conductive aerial optical fibre cable | |
KR20230083843A (ko) | 항공장애 표시구 조립체 | |
US20020150360A1 (en) | Optical fiber cable with interstitial support members | |
GB2307565A (en) | Optical fibre composite overhead ground cable | |
KR20180052271A (ko) | 항공장애표시구 | |
CN219349210U (zh) | 蝶形光缆 | |
KR102114874B1 (ko) |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 | |
CN115394482A (zh) | 脐带缆组件 | |
KR100228418B1 (ko) | 스페이서 댐퍼 | |
CN211528766U (zh) | 一种激光设备连接头用连接光纤 | |
KR200460010Y1 (ko) | 항공장애표시구의 결합부재 | |
JP6083087B2 (ja) |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端部構造、端部構造製造方法 | |
EP0475494A1 (en) | Passive coupler for fibre-optics | |
JP2017077127A (ja) | 引込線の途中支持工法 | |
KR200159261Y1 (ko) | 케이블 포설용 끌기고리 조립체 | |
KR100413331B1 (ko) | 광섬유 복합 가공지선 | |
JP2004012611A (ja) | ノンメタル光ファイバケーブ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