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874B1 -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4874B1 KR102114874B1 KR1020190108954A KR20190108954A KR102114874B1 KR 102114874 B1 KR102114874 B1 KR 102114874B1 KR 1020190108954 A KR1020190108954 A KR 1020190108954A KR 20190108954 A KR20190108954 A KR 20190108954A KR 102114874 B1 KR102114874 B1 KR 1021148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coupled
- support
- plate
- protect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 상의 배전선 접지를 위한 구조물로의 운반 및 조립 설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면서도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밴딩부재를 보호하여 보호부재에 대한 안정된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 상의 배전선 접지를 위한 구조물로의 운반 및 조립 설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면서도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밴딩부재를 보호하여 보호부재에 대한 안정된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급격한 산업화, 정보화 및 도시화를 거치면서 밀집된 지역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전력 소비량의 급증으로 인한 사고가 많아져 전력을 산업시설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자연 재해로 인한 전력 공급의 차질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을 일반 수용가에까지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송전선이나 배전선을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송전선이나 배전선은 송전탑이나 전신주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송전탑이나 전신주는 낙뢰로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접지장치를 설치하여 낙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31172호(2012.03.28.)에는 '배전선 접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 접지장치는 밴딩부재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면서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신주 상의 배전선 접지를 위한 구조물로의 운반 및 조립 설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면서도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밴딩부재를 보호하여 보호부재에 대한 안정된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체에 의해 중공 형태로 제작되어 상단부가 전신주(10)의 외면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절곡되어 지면에 매립되며, 상단부가 제1 마개부재(111) 및 상기 제1 마개부재(111)에 주입되는 절연실리콘을 통해 실링되고, 하단부에 전도성의 제2 마개부재(113)가 결합되는 보호부재(110); 상기 전신주(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인하선(20)과 상기 제2 마개부재(1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단부에 상기 인하선(20)이 결속되고 하단부가 상기 보호부재(110)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마개부재(113)에 접속되며, 상기 보호부재(110)로의 삽입을 위하여 2개 이상의 전도성 선부재(121a)가 꼬여져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유도선부재(121)와, 상기 유도선부재(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마개부재(113)에 접속되는 쐐기형 접속부재(123)와, 상기 유도선부재(12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인하선(20)이 접속되는 접속관부재(125)로 구성되는 접속연결부(120); 및 상기 보호부재(110)를 상기 전신주(10)에 고정하기 위한 밴딩부재(130); 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밴딩부재(130)를 보호하는 보호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200)는, 상기 전신주(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판(210); 상기 밴딩부재(1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신주(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보호판(220); 상기 지지판(210)으로부터 상기 보호판(2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30); 및 상기 지지판(210)과 상기 보호판(220) 간을 차단하는 펜스(2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230)은, 상기 지지판(2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바(231); 및 상기 보호판(22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231)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232)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240)는, 상기 보호판(220)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판(210)에 안착되는 복수의 측판(2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신주 상의 배전선 접지를 위한 구조물로의 운반 및 조립 설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면서도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밴딩부재를 보호함으로써 보호부재에 대한 안정된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보호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보호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지지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3의 지지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보호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보호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지지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3의 지지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는 보호부재(110), 접속연결부(120) 및 밴딩부재(130)를 포함한다.
보호부재(110)는 절연체에 의해 중공 형태로 제작되어 상단부가 전신주(10)의 외면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절곡되어 지면에 매립된다. 이러한, 보호부재(110)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마개부재(111) 및 제2 마개부재(113)가 각각 결합되어 밀폐된다.
제1 마개부재(111)는 내부로 절연실리콘이 주입되어 접속연결부(120)와 인하선(20)의 연결부위를 커버함과 동시에 실링처리 및 외부와 절연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1 마개부재(111)는 인하선(20)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보호부재(110)에 접착제 또는 절연테이프를 통해 결합된다.
제2 마개부재(113)는 접속연결부(120)가 지면에 접지(그라운드)되도록 접속연결부(120)와 결합되며, 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금속재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마개부재(113)는 접속연결부(12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삽입홈(113a)이 형성되고, 삽입홈(113a)의 입구에 확장테이퍼면(113b)이 형성된다. 확장테이퍼면(113b)은 접속연결부(120)가 삽입홈(113a)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접속연결부(120)를 유도한다.
제2 마개부재(113)는 삽입홈(113a)이 형성되는 부위로 접속연결부(120)가 관통되도록 삽입홈(113a)이 형성된 내부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2 마개부재(113)의 바닥면은 두께가 1mm 내지 2mm로 형성되어 접속연결부(120)의 충돌을 통해 찢어지게 된다.
접속연결부(120)는 인하선(20)의 접지를 위하여 제2 마개부재(113)와 인하선(20)을 연결하는 유도선부재(121)와, 이 유도선부재(12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쐐기형 접속부재(123) 및 유도선부재(121)와 인하선(20)을 결합하기 위한 접속관부재(125)를 포함한다.
유도선부재(121)는 전신주(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인하선(20)과 제2 마개부재(1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단부가 접속관부재(125)를 통해 인하선(20)와 결속되고, 하단부가 보호부재(110)로 내부로 삽입되어 쐐기형 접속부재(123)를 통해 제2 마개부재(113)에 접속된다.
유도선부재(121)는 탄성을 가지면서 보호부재(110)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2개 이상의 전도성 선부재(121a)가 꼬여져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유도선부재(121)는 3개의 전도성 선부재(121a)가 꼬여져 형성되며, 보호부재(110)로 삽입될 때 보호부재(110)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유도선부재(121)는 3개의 선부재(121a) 중 어느 하나의 선부재(121a)가 다른 선부재(121a) 보다 크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도선부재(121)는 어느 하나의 선부재(121a)의 직경이 다른 선부재(12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보호부재(110)로 삽입되는 유도선부재(121)가 3개의 선부재(121a) 중 하나의 선부재(121a)만이 보호부재(110)의 내면과 접촉되므로, 보호부재(110)와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보호부재(110)로의 삽입 또는 삽입공간부(20)에서의 배출이 용이하다.
즉, 유도선부재(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여져 있는 3개의 선부재(121a) 중 어느 하나의 선부재(121a)가 다른 선부재(121a)들보다 더 돌출 되므로, 더 도출된 하나의 선부재(121a)만이 보호부재(110)의 내면에 접촉되어 보호부재(110)와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접속부재(123)는 삽입홈(113a)을 통해 제2 마개부재(113)를 관통한 후 제2 마개부재(113)에 걸리도록 외면에 걸림홈부(123a)가 형성된다.
접속부재(123)는 유도선부재(121)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의 압착을 통해 유도선부재(121)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접속관부재(125)는 인하선(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단부에 슬롯(127)을 통해 확장부(129)가 형성되는 접속관(125a)과, 확장부(129)의 체결되어 확장부(129)를 축소시켜 인하선(20)을 접속관(125a)에 고정시키는 너트(125b)로 구성된다. 이때, 확장부(129)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125b)가 체결된다.
이러한, 접속관부재(125)는 제1 마개부재(111)에 의해 커버되며, 제1 마개부재(111)의 내부로 주입되는 절연실리콘에 의해 외부와의 완전한 절연이 이루어진다.
밴딩부재(130)는 보호부재(110)가 전신주(10)에 고정되도록 전신주(10)에 결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는 보호부재(110)를 전신주(10)에 설치할 때 전신주(10)의 지면을 굴착한 후, 보호부재(110)의 하단부를 매립하고, 보호부재(110)의 상단부를 밴딩부재(130)로 전신수(10)에 고정한다.
이후, 접속연결부(120)를 보호부재(110)로 삽입하여 접속부재(123)를 제2 마개부재(113)에 접속시키고 접속관부재(125)를 이용하여 인하선(20)을 고정시킨 후, 제1 마개부재(111)로 접속연결부(120)의 상단을 절연시킨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는 전신주(1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운반 및 조립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하면서도 제작단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밴딩부재(130)를 보호하는 보호부(200)를 더 포함한다.
보호부(200)는 우수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밴딩부재(130)의 변형이나 손상 등을 방지하면서 보호부재(110)에 대한 안정된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밴딩부재(130)가 끊어진 경우, 이에 대한 제때의 점검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방치되면서 보호부재(110)의 기울어짐 등에 따른 안정된 접지상태를 기대하기 어렵다.
보호부(200)는 밴딩부재(130)가 손상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면서 제때 점검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인한 안전사고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보호부(200)는 전신주(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판(210), 밴딩부재(1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전신주(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보호판(220), 지지판(210)으로부터 보호판(2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30) 및 지지판(210)과 보호판(220) 간을 차단하는 펜스(240)를 포함한다.
지지판(210)은 링 형태를 이루되,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판유닛(211)으로 분기되면서 볼트(212),너트(213)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2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지지판(2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한 쌍의 볼트유닛(212a)으로 분기되어 각 지지판유닛(211)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볼트(212)는 한 쌍의 지지판유닛(211)이 전신주(10)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지지판(210)을 이루는 동시에 한 쌍의 볼트유닛(212a)이 접하면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너트(213)는 한 쌍의 볼트유닛(212a)이 상호 접하면서 볼트(212)를 이루는 경우, 볼트(212)로 나사결합되면서 지지판유닛(211)을 결속하는 한편, 지지판(210)을 전신주(10)에 결속한다.
보호판(220)은 링 형태를 이루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절개홈(220a)이 형성되면서 전신주(10)의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판(22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이 될 수 있다.
보호판(220)은 내측 둘레가 전신주(10)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보호판(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주(10)가 통과하는 내부통공(220a)과, 내부통공(220a)의 일측에 위치되며 인하선(20)이 통과하는 외부통공(220b)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전신주(10)에 밀착될 수 있다.
전신주(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밴딩부재(130)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우수 등이 밴딩부재(13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수단(2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바(231) 및 보호판(2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바(231)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232)를 포함한다.
보호판(220)에는 지지바(231)의 상부가 통과하는 중공(221)이 형성된다.
보호판(220)은 중공(221)으로 보강링(미도시)이 구비되면서 지지바(231)와의 접촉에 따른 마모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판(220)에는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으로 와이어(미도시)가 인서트 사출 등에 의해 매립 설치될 수 있다.
펜스(24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220)을 통과하여 지지판(210)에 안착되는 복수의 측판(241)을 포함한다.
보호판(220)에는 측판(241)이 통과하는 통공(222)이 형성된다.
측판(241)는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통공(222)을 통해 인입되어 밴딩부재(130)의 둘레를 감싼다.
이로 인해, 보호부(200)는 우수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밴딩부재(130)의 변형이나 손상 등을 방지하면서 보호부재(110)에 대한 안정된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보호부재 111 : 제1 마개부재
113 : 제2 마개부재 120 : 접속연결부
121 : 우도선부재 123 : 접속부재
125 : 접속관부재 130 : 밴딩부재
200 : 보호부 210 : 지지판
220 : 보호판 230 : 지지수단
240 : 펜스
113 : 제2 마개부재 120 : 접속연결부
121 : 우도선부재 123 : 접속부재
125 : 접속관부재 130 : 밴딩부재
200 : 보호부 210 : 지지판
220 : 보호판 230 : 지지수단
240 : 펜스
Claims (1)
- 절연체에 의해 중공 형태로 제작되어 상단부가 전신주(10)의 외면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절곡되어 지면에 매립되며, 상단부가 제1 마개부재(111) 및 상기 제1 마개부재(111)에 주입되는 절연실리콘을 통해 실링되고, 하단부에 전도성의 제2 마개부재(113)가 결합되는 보호부재(110);
상기 전신주(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인하선(20)과 상기 제2 마개부재(1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단부에 상기 인하선(20)이 결속되고 하단부가 상기 보호부재(110)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마개부재(113)에 접속되며, 상기 보호부재(110)로의 삽입을 위하여 2개 이상의 전도성 선부재(121a)가 꼬여져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유도선부재(121)와, 상기 유도선부재(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마개부재(113)에 접속되는 쐐기형 접속부재(123)와, 상기 유도선부재(12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인하선(20)이 접속되는 접속관부재(125)로 구성되는 접속연결부(120); 및
상기 보호부재(110)를 상기 전신주(10)에 고정하기 위한 밴딩부재(130);
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밴딩부재(130)를 보호하는 보호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200)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전신주(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판(210);
링 형태를 이루며, 일측에 절개홈(220a)이 형성되면서 상기 밴딩부재(1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신주(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보호판(220);
상기 지지판(210)으로부터 상기 보호판(22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30); 및
상기 지지판(210)과 상기 보호판(220) 간을 차단하는 펜스(2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210)은,
한 쌍의 지지판유닛(211)으로 분기되면서 볼트(212), 너트(213)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고,
상기 볼트(2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한 쌍의 볼트유닛(212a)으로 분기되어 각 지지판유닛(211)에 형성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유닛(211)이 전신주(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 너트(213)에 의해 결속되면서 상기 지지판(210)이 전신주(10)에 결속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수단(230)은,
상기 지지판(2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바(231); 및
상기 보호판(220)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231)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232)를 포함하고,
중공(221)으로는,
상기 지지바(231)와의 접촉에 따른 마모나 변형이 방지되도록 보강링이 구비되며,
상기 펜스(240)는,
상기 보호판(220)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판(210)에 안착되는 복수의 측판(241)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220)은,
상기 지지바(231)가 통과하는 복수의 중공(221) 및 상기 측판(241)이 통과하는 통공(222)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인하선(20)이 통과하는 외부통공(220b)이 형성되면서 전신주(1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954A KR102114874B1 (ko) | 2019-09-03 | 2019-09-03 |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954A KR102114874B1 (ko) | 2019-09-03 | 2019-09-03 |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4874B1 true KR102114874B1 (ko) | 2020-06-05 |
Family
ID=7108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8954A KR102114874B1 (ko) | 2019-09-03 | 2019-09-03 |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487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3151B1 (ko) * | 2021-08-30 | 2022-04-08 | 다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
KR102645160B1 (ko) * | 2023-10-16 | 2024-03-07 | (주)광일 |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0061B1 (ko) * | 2007-12-14 | 2008-04-08 | 김정숙 | 전주용 배전선 접지구조 |
KR101131172B1 (ko) | 2011-11-18 | 2012-03-28 |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 배전선 접지장치 |
-
2019
- 2019-09-03 KR KR1020190108954A patent/KR1021148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0061B1 (ko) * | 2007-12-14 | 2008-04-08 | 김정숙 | 전주용 배전선 접지구조 |
KR101131172B1 (ko) | 2011-11-18 | 2012-03-28 |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 배전선 접지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3151B1 (ko) * | 2021-08-30 | 2022-04-08 | 다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
KR102645160B1 (ko) * | 2023-10-16 | 2024-03-07 | (주)광일 |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1172B1 (ko) | 배전선 접지장치 | |
KR102114874B1 (ko) | 가공배전선로의 전신주 접지장치 | |
US7902455B2 (en) | Lightning arrester | |
KR102085352B1 (ko) |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 |
KR100873745B1 (ko) | 송배전단자 누전방지 보호장치 | |
KR20090019946A (ko) | 송전선 구조물의 낙뢰 처리장치 | |
KR101166307B1 (ko) |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 |
US5587554A (en) | Cable directing device | |
KR100673388B1 (ko) |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 |
KR102240498B1 (ko) |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내진형 전신주 | |
GB2440533A (en) | Insulated wire tensioner for electric fence | |
CN109038423B (zh) | 一种接线盒 | |
KR20210145991A (ko) | 인입소주의 접지장치 | |
KR102454437B1 (ko) | 피뢰기능탑재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 |
KR102295513B1 (ko) | 전선 보호 커버 | |
KR101171059B1 (ko) | 배전선 접지장치 | |
KR100905126B1 (ko) | 지중 매설 고압선 지지대 | |
KR100667627B1 (ko) |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 |
KR101033640B1 (ko) | 배전 전주용 접지판 | |
KR101915084B1 (ko) | 송전선로의 역섬락 예방시스템 | |
JP4143691B2 (ja) | 光通信ケーブルの配線方法およびその配線用成端箱 | |
US4733020A (en) | Dielectric utility cable guard | |
JPH1140390A (ja) | 絶縁型避雷針 | |
KR100758500B1 (ko) | 특고압전선 접속구조 | |
CN204720922U (zh) | 用于配电线路直线电杆支柱瓷瓶的绝缘保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