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307A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307A
KR20230083307A KR1020237014943A KR20237014943A KR20230083307A KR 20230083307 A KR20230083307 A KR 20230083307A KR 1020237014943 A KR1020237014943 A KR 1020237014943A KR 20237014943 A KR20237014943 A KR 20237014943A KR 20230083307 A KR20230083307 A KR 20230083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ubstrate
wiring
pattern region
wir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지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4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using a particular conducting material, e.g. supercondu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74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holograph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4Supplementary details with combiner of laminated type, for optical or mechanical asp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90)는, 프레임(91)과, 프레임(91)에 설치된 투명한 표시 장치(95)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95)는, 제1 기재(96)와, 제1 기재(96) 상에 마련된 배선 기판(10)과, 제1 기재(96)와 배선 기판(10) 사이에 마련된 표시부(97)를 갖고 있다. 배선 기판(10)은, 투명성을 갖는 기판(11)과, 기판(11)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배선(21)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 영역(20)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현재, 투과형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투과형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헤드부에 장착한 장착자가 시인하는 현실의 풍경에, 예를 들어 확장 현실(Augmented Reality(AR))이라 칭해지는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장치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1026호 공보
그런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해, 외부의 통신 기기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경우가 있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안테나 등을 탑재한 경우, 전파 감도를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함과 함께, 전파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투명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기재와, 상기 제1 기재 상에 마련된 배선 기판과,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배선 기판 사이에 마련된 표시부를 갖고, 상기 배선 기판은, 투명성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배선 기판 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기재와 함께 상기 배선 기판을 사이에 끼워 넣는 제2 기재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배선 패턴 영역과 상기 표시부가, 서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은, 상기 표시부보다도 상기 프레임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은, 전파 송수신 기능, 제스처 센싱 기능, 무선 급전 기능 및 흐림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이 복수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각각의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은, 각각 다른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배선은, 적어도 일부가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또는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배선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독립한 더미 패턴 영역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은, 시트 저항값이 5Ω/□ 이하여도 되고, 각 배선을 120°의 시야각에서 보았을 때의 최장 폭이 3㎛ 이하여도 된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함과 함께, 전파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정면도(도 1의 II 방향 화살 표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배선 기판을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도 2의 IV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배선 기판을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도 4의 V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배선 기판을 도시하는 단면도(도 5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배선 기판을 도시하는 단면도(도 5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배선 기판의 안테나 배선 및 안테나 연결 배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시트 저항값과 방사 효율의 관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배선 기판의 안테나 패턴 영역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배선 기판의 안테나 배선 및 안테나 연결 배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배선 기판을 도시하는 단면도(도 5의 XII-XII선 단면도)이다.
도 13a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c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d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e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f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13f에 의해,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f는 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나타내는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 때문에, 각 부의 크기, 형상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히 과장되어 있다. 또한,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어, 일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하는 각 부재의 치수 등의 수치 및 재료명은, 실시 형태로서의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형상이나 기하학적 조건을 특정하는 용어, 예를 들어 평행이나 직교, 수직 등의 용어에 대해서는, 엄밀하게 의미하는 바에 더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도 포함하여 해석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 방향」이란, 기판의 1개의 변에 대하여 평행인 방향이다. 「Y 방향」이란, X 방향에 수직 또한 기판의 다른 변에 대하여 평행인 방향이다. 「Z 방향」이란, X 방향 및 Y 방향의 양쪽에 수직 또한 배선 기판의 두께 방향에 평행인 방향이다. 또한, 「표면」이란, Z 방향 플러스측의 면이며, 기판에 대하여 안테나 배선이 마련된 면을 말한다. 「이면」이란, Z 방향 마이너스측의 면이며, 기판에 대하여 안테나 배선이 마련된 면과 반대 측의 면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선 패턴 영역(20)이, 전파 송수신 기능(안테나로서의 기능)을 갖는 안테나 패턴 영역(2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배선 패턴 영역(20)은 전파 송수신 기능(안테나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구성]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하, 간단히 HMD로 기재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HMD는, 투과형(시스루형)의 HMD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HMD(90)는, 프레임(91)과, 프레임(91)에 설치된 투명한 표시 장치(9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HMD(90)는, 우안용의 표시 장치(95)와 좌안용의 표시 장치(95)를 구비하고 있어, 소위 안경형의 HMD이다. 또한, 우안용의 표시 장치(95)와, 좌안용의 표시 장치(95)는 서로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각 표시 장치(95)는 서로 동기하고 있어, 좌우에서 동일한 화상 또는 좌우에서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표시 장치(95)는, 개별로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2개의 표시 장치(95)는,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또한, HMD(90)는, 단일의 표시 장치(95)를 구비하는, 소위 고글형 HMD여도 된다.
HMD(90)의 프레임(91)은, 림(92)과, 림(92)에 연결된 한 쌍의 템플(93)을 갖고 있다. 각 표시 장치(95)는, 각각, 림(92)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림(92)에, HMD(90)의 무선 통신용 회로(94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템플(93)에는, 각 표시 장치(9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4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어부(94b)는, 영상광을 생성하는 영상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템플(93)에, 제어부(94b)가 각각 1개씩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의 템플(93)에 배치된 제어부(94b)가, 우안용의 표시 장치(95)를 제어하고, 좌측의 템플(93)에 배치된 제어부(94b)가 좌안용의 표시 장치(95)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9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95)는, 제1 기재(96)와, 제1 기재(96) 상에 마련된 배선 기판(10)과, 제1 기재(96)와 배선 기판(10) 사이에 마련된 표시부(97)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기판(10)은, 제1 기재(96)의 전역을 덮고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배선 기판(10)이, 제1 기재(96)의 일부만을 덮고 있어도 된다.
제1 기재(96)의 재료로서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명성을 갖는 재료이면 된다. 제1 기재(96)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HMD(90)가 장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제1 기재(96)는, 장착자에게 먼 측에 배치되고, 배선 기판(10)은, 장착자에게 가까운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HMD(90)가 장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배선 기판(10)은, 제1 기재(96)와 장착자 사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장착자가 HMD(90)를 장착하였을 때, HMD(90)가 주위의 구조물이나 타인에게 접촉한 경우라도, 배선 기판(10)이, 주위의 구조물 등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선 기판(10)의 후술하는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안테나 배선(21)이, 주위의 구조물 등에 접촉함으로써 단선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HMD(90)가 장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제1 기재(96)가 장착자에게 가까운 측에 배치되고, 배선 기판(10)이 장착자에게 먼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부(97)는 하프 미러를 포함하고 있다. 이 하프 미러는, 표시 장치(95)의 전방의 외계광과, 영상광을 생성하는 영상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영상광을 중첩시키는 부재이다. 또한, 표시부(97)는, 화상이 비표시일 때, 화상의 표시 영역이 투명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표시부(97)를 투과하는 광에 의해, 장착자에게 외계를 시인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자는, 외계를 시인하면서, 영상광에 의해 형성된 허상(화상)을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표시부(97)는, 정면에서 보아 제1 기재(96)의 대략 중앙부에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표시부(97)는, 정면에서 보아 제1 기재(96)가 임의의 영역에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95)로서는, 프리즘이나 홀로그램에 의해 화상을 투영하는 방식의 표시 장치여도 되고, 또는, 투과형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한 표시 장치여도 된다.
[배선 기판의 구성]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95)의 배선 기판(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2는 배선 기판(1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 기판(10)은, 투명성을 갖는 기판(11)과, 기판(11) 상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 영역(배선 패턴 영역)(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안테나 패턴 영역(20)에는, 급전부(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선 기판(10)은, 기판(11) 상에서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주위에 배치된 더미 패턴 영역(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먼저, 기판(11)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판)
기판(11)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코너부가 둥그스름해진 직사각 형상(도 2 참조))이며, 그 긴 쪽 방향이 X 방향에 평행이고, 그 짧은 쪽 방향이 Y 방향에 평행으로 되어 있다. 기판(11)은, 투명성을 가짐과 함께 대략 평판상이며, 그 두께는 전체로서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판(11)의 형상은, 프레임(91)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95)의 제1 기재(96)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기판(11)의 재료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명성 및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이면 된다. 예를 들어, 기판(11)은, 유리 또는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판(11)의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판(1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혹은,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재료 등의 유기 절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11)의 재료로서는, 용도에 따라서 세라믹스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11)은, 단일의 층에 의해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복수의 기재 또는 층이 적층된 구조여도 된다. 또한, 기판(11)은 필름상이어도, 판상이어도 된다. 이 때문에, 기판(11)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례로서, 기판(11)의 두께 T1(Z 방향의 길이, 도 6 참조)은, 예를 들어 10㎛ 이상 200㎛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기판(11)은, 투명성을 갖고 있다. 본 명세서 중, 「투명성을 갖는다」란, 가시광선(파장 400㎚ 이상 700㎚ 이하의 광선)의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기판(11)은, 가시광선(파장 400㎚ 이상 700㎚ 이하의 광선)의 투과율이 85% 이상이어도 되고,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11)의 가시광선의 투과율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예를 들어 100% 이하로 해도 된다. 기판(11)의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배선 기판(10)이 HDM(90)에 내장되었을 때, 외계의 시인성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선이란, 파장이 400㎚ 이상 700㎚ 이하인 광선을 말한다. 또한,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85% 이상이다란, 공지의 분광 광도계(예를 들어, 니혼 분코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분광기: V-670)를 사용하여 기판(11)에 대하여 흡광도의 측정을 행하였을 때, 400㎚ 이상 700㎚ 이하의 전체 파장 영역에서 그 투과율이 85% 이상이 되는 것을 말한다.
(안테나 패턴 영역)
다음으로, 안테나 패턴 영역(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기판(11) 상에 복수(3개) 존재하고 있고, 각각 다른 주파수대에 대응하고 있다. 즉, 복수의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그 길이(Y 방향의 길이) La가 서로 다르고, 각각 특정 주파수대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대응하는 주파수대가 저주파일수록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길이 La가 길게 되어 있다.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전파 송수신 기능을 갖는 경우,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전화용 안테나, WiFi용 안테나, 3G용 안테나, 4G용 안테나, LTE용 안테나, Bluetooth(등록 상표)용 안테나, NFC용 안테나 등 중 어느 것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전파 송수신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예를 들어 제스처 센싱 기능, 무선 급전 기능, 흐림 방지 기능, 히터 기능, 호버링 기능(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조작 가능하게 되는 기능), 지문 인증 기능, 노이즈 커트(실드) 기능 등의 기능을 행해도 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 중, 「제스처 센싱 기능」이란, 안테나 패턴 영역(20)에 대한 대상물의 상대 위치(거리, 각도 등)나, 대상물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밀리미터파를 검출함으로써, 제스처 센싱 기능을 행해도 된다.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그 긴 쪽 방향이 Y 방향에 평행이며, 그 짧은 쪽 방향이 X 방향에 평행으로 되어 있다.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긴 쪽 방향(Y 방향)의 길이 La는, 예를 들어 3㎜ 이상 100㎜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짧은 쪽 방향(폭 방향)의 폭 W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i)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표피 깊이, (ii)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 및 (iii)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시야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폭 Wa는, 예를 들어 1㎜ 이상 25㎜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각각 금속선이 격자 형상 또는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균일한 반복 패턴을 갖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후술하는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일부)과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후술하는 안테나 배선(21)의 일부)으로 구성되는 L자상의 단위 패턴 형상(20a)(도 5의 망점 부분)의 반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 배선(배선)(21)과, 복수의 안테나 배선(21)을 연결하는 복수의 안테나 연결 배선(22)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안테나 배선(21)과 복수의 안테나 연결 배선(22)은, 전체로서 일체로 되어, 규칙적인 격자 형상 또는 그물코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각 안테나 배선(21)은, 안테나의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안테나 연결 배선(22)은, 안테나 배선(21)에 직교하는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테나 배선(21)은, 소정의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길이 La(상술한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주로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한편, 안테나 연결 배선(22)은, 이들 안테나 배선(21)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안테나 배선(21)이 단선되거나, 안테나 배선(21)과 급전부(40)가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게 되거나 하는 불량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에 있어서는, 서로 인접하는 안테나 배선(21)과, 서로 인접하는 안테나 연결 배선(22)으로 둘러싸임으로써, 복수의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배선(21)과 안테나 연결 배선(22)은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안테나 배선(21)은,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폭 방향(X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테나 배선(21)의 피치 P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i) 안테나 배선(21)의 표피 깊이, (ii)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 및 (iii) 안테나 배선(21)의 시야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배선(21)의 피치 P1은, 예를 들어 0.01㎜ 이상 1㎜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배선(21)의 피치 P1은,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폭 방향(X 방향)을 따라서 균일하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폭 방향(X 방향)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 연결 배선(22)은,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긴 쪽 방향(Y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피치 P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i)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표피 깊이, (ii)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 및 (iii)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시야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피치 P2는, 예를 들어 0.01㎜ 이상 1㎜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 배선(21)과 복수의 안테나 연결 배선(22)이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 내에서 개구부(23)의 크기에 변동이 없어져,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육안으로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배선(21)의 피치 P1은,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피치 P2와 동등하다. 이 때문에, 각 개구부(23)는, 각각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 개구부(23)로부터는, 투명성을 갖는 기판(11)이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개구부(23)의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배선 기판(10) 전체로서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개구부(23)의 한 변의 길이 L1은, 예를 들어 0.01㎜ 이상 1㎜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안테나 배선(21)과 각 안테나 연결 배선(22)은, 서로 직교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서로 예각 또는 둔각으로 교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개구부(23)의 형상은, 전체면에서 동일 형상 동일 사이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장소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등 전체면에서 균일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안테나 배선(21)은, 그 긴 쪽 방향에 수직인 단면(X 방향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 또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안테나 배선(21)의 단면 형상은, 안테나 배선(21)의 긴 쪽 방향(Y 방향)을 따라서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긴 쪽 방향에 수직인 단면(Y 방향 단면)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 또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이며, 상술한 안테나 배선(21)의 단면(X 방향 단면)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이 경우,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단면 형상은,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긴 쪽 방향(X 방향)을 따라서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다. 안테나 배선(21)과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단면 형상은, 반드시 대략 직사각형 형상 또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표면측(Z 방향 플러스측)이 이면측(Z 방향 마이너스측)보다도 좁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 혹은,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이 만곡된 형상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배선(21)의 선폭 W1(X 방향의 길이, 도 6 참조) 및 높이 H1(Z 방향의 길이, 도 6 참조)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i) 안테나 배선(21)의 표피 깊이, (ii)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 및 (iii) 안테나 배선(21)의 시야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배선(21)의 선폭 W1은 0.1㎛ 이상 5.0㎛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안테나 배선(21)의 높이 H1은, 예를 들어 0.1㎛ 이상 5.0㎛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선폭 W2(Y 방향의 길이, 도 7 참조) 및 높이 H2(Z 방향의 길이, 도 7 참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i)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표피 깊이, (ii)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 및 (iii)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시야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선폭 W2는, 0.1㎛ 이상 5.0㎛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높이 H2는, 예를 들어 0.1㎛ 이상 5.0㎛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재료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료이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재료는 구리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재료는,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백금, 주석, 알루미늄, 철, 니켈 등의 금속 재료(포함하는 합금)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메시 형상(치수)은, (i)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표피 깊이, (ii)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 및 (iii)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시야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메시 형상(치수)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i) 표피 깊이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길이(Y 방향의 길이) La는, 특정 주파수대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있고, 대응하는 주파수대가 저주파일수록 길이 La가 길어진다.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길이 La를 결정한 후,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선폭 W1, W2 및 높이 H1, H2를 결정해도 된다.
즉,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선폭 W1, W2 및 높이 H1, H2에 대해서는, 각각, 대응하는 주파수대에 따라서, 표피 효과의 영향이 없는 치수가 되도록 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단면에 있어서, 각각 높이 H1, H2와 선폭 W1, W2 중 짧은 쪽이, 각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표피 깊이의 2배 이하가 되도록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교류 전류를 배선에 흐르게 하였을 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배선의 중심 부분에는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져, 배선의 표면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배선에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였을 때 표면에만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표피 효과라 한다. 또한, 표피 깊이란, 가장 전류가 흐르기 쉬운 배선의 표면의 전류에 대하여, 1/e(약 0.37)배로 감쇠하는, 배선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를 말한다. 이 표피 깊이 δ는, 일반적으로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또한, 상기 식 중, ω는 각 주파수(=2πf), μ는 투자율(진공 중에서는 4π×10-7[H/m]), σ는 배선을 구성하는 도체의 도전율(구리의 경우에는 5.8×107[S/m])을 의미한다. 구리의 배선의 표피 깊이 δ는, 주파수가 0.8GHz인 경우, δ=약 2.3㎛이며, 주파수가 2.4GHz인 경우, δ=약 1.3㎛이며, 주파수가 4.4GHz인 경우, δ=약 1.0㎛이며, 주파수가 6GHz인 경우, δ=약 0.85㎛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높이 H1(H2)과 선폭 W1(W2) 중 짧은 쪽이, 대응하는 주파수의 표피 깊이 δ의 2배(2δ)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폭 W1(W2)이,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높이 H1(H2)보다도 짧은 경우(W1<H1(W2<H2)),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선폭 W1(W2)을, 대응하는 주파수의 표피 깊이 δ의 2배 이하로 해도 된다(W1≤2δ(W2≤2δ)).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주파수가 2.4GHz인 경우, W1(W2)은 2.6㎛ 이하로 되고,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주파수가 6GHz인 경우, W1(W2)은 1.7㎛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단면의 대략 전역에 걸쳐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단면적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개구율 A1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육안으로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i) 시트 저항값
또한,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은, 5Ω/□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시트 저항값을 5Ω/□ 이하로 함으로써,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로서의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방사 효율(안테나 패턴 영역(20)의 단체에 입력된 전력이 얼마만큼 방사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안테나로서의 안테나 패턴 영역(20)에 대응하는 주파수가 2.4GHz인 경우에 있어서의, 시트 저항값과 방사 효율의 관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을 5Ω/□ 이하로 함으로써, 안테나 패턴 영역(20) 단체에서의 방사 효율이 75% 이상으로 되어, 그 안테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 영역(20)에 대응하는 주파수가 2.4GHz 이외의 주파수인 경우도, 시트 저항값을 5Ω/□ 이하로 함으로써, 방사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Ω/□)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즉,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긴 쪽 방향(Y 방향) 양단부(20e1, 20e2)(도 10 참조) 간의 저항값 R을 실측한다. 다음으로, 이 저항값 R을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길이 La와 폭 Wa의 비(La/Wa)로 제산함으로써,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 Rs(Ω/□)를 구할 수 있다. 즉 시트 저항값 Rs=R×Wa/La가 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시트 저항값을 5Ω/□ 이하로 하는 것에서, 안테나 패턴 영역(20) 단체에서의 방사 효율을 75% 이상으로 할 수 있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안테나로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저항값을 충족하는 범위에서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폭 Wa 및 높이 H1, H2를 가능한 한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개구율 A1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ii) 시야각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을 각각 120°의 시야각에서 보았을 때의 최장 폭이 3㎛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긴 쪽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을, 소정의 시선 LD의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폭 WD가 규정된다. 그리고 이 시선 LD를 시야각 120°의 범위에서 이동시켰을 때의, 최장이 되는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폭이 3㎛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시야각이란, 기판(11)의 표면에 수직인 법선 NL과, 법선 NL과 기판(11)의 표면의 교점 OZ를 향한 시선 LD의 각도를 θ로 한 경우, 2×θ가 되는 각도를 말한다. 또한, 시선 LD의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폭 WD란, 시선 LD에 평행인 한 쌍의 직선 Lm, Ln이, 단면에서 보아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에 접촉할 때의, 한 쌍의 직선 Lm, Ln 간의 거리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높이 H1(H2)과,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선폭 W1(W2)이 동일한 경우(H1=W1(H2=W2)), 120°의 시야각에서 보았을 때의 폭 WD는 θ=45°의 경우에 최장이 되고, 그 값은 1.41×W1이 된다. 또한,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높이 H1(H2)이,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선폭 W1(W2)의 2배가 되는 경우(H1=2×W1(H2=2×W2)), 120°의 시야각에서 보았을 때의 폭 WD는, θ=60°의 경우에 최장이 되고, 그 값은 2.23×W1이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배선 기판(10)을 시인하는 경우, 그 시야각은 최대 120° 정도라고 생각된다. 또한, 인간이 시인할 수 있는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의 폭은 최대 3㎛ 정도이다. 따라서,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을 120°의 시야각에서 보았을 때의 최장 폭을 3㎛ 이하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테나 배선(21)(안테나 연결 배선(22))을 육안으로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HMD(90)의 정면에서 보아(즉, 기판(11)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표시부(97)가, 서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HMD(90)의 정면에서 보아, 표시부(97)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표시부(97)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HMD(90)의 정면에서 보아,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표시부(97)가, 서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안테나로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즉, HMD(90)의 정면에서 보아,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표시부(97)가, 서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도체인 표시부(97)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파의 송수신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표시부(97) 사이의 최단 거리 D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최단 거리 D가 0.1㎜ 이상임으로써, 표시부(97)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파의 송수신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안테나로서의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최단 거리 D가 0.2㎜ 이상임으로써, 표시부(97)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파의 송수신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안테나로서의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최단 거리 D의 상한은,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프레임(91) 내에 들어가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표시부(97)보다도 프레임(91)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프레임(91)에 마련된 무선 통신용 회로(94a)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HMD(90)의 정면에서 보아, 프레임(91)의 림(92)까지 도달하도록,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적어도 일부는, HMD(90)의 정면에서 보아, 프레임(91)의 림(92)에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프레임(91)의 림(92)에 마련된 무선 통신용 회로(94a)의 접속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HMD(90)의 정면에서 보아, 프레임(91)의 림(92)까지 도달하지 않아도 된다.
(더미 패턴 영역)
다음으로, 더미 패턴 영역(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더미 패턴 영역(30)은,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고, 각 안테나 패턴 영역(20) 중, 급전부(40)측(Y 방향 마이너스측)을 제외한 주위 방향 전역(X 방향 플러스측, X 방향 마이너스측, Y 방향 플러스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더미 패턴 영역(30)은, 기판(11) 상이며, 안테나 패턴 영역(20) 및 급전부(40)를 제외한 대략 전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 더미 패턴 영역(30)은, 안테나 패턴 영역(20)과는 달리, 실질적으로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미 패턴 영역(30)은, 소정의 단위 패턴 형상을 갖는 더미 배선(30a)의 반복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더미 패턴 영역(30)은, 복수의 동일 형상의 더미 배선(30a)을 포함하고 있고, 각 더미 배선(30a)은, 각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더미 배선(30a)은, 더미 패턴 영역(30) 내의 전역에 걸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더미 배선(30a)은, 서로 평면 방향으로 이격됨과 함께, 기판(11) 상으로 돌출되어 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더미 배선(30a)은, 안테나 패턴 영역(20), 급전부(40) 및 다른 더미 배선(30a)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이 더미 배선(30a)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상이며,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더미 배선 부분(31)과,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더미 배선 부분(32)을 갖고 있다. 이 중 제1 더미 배선 부분(31)은, 소정의 길이 L2(Y 방향의 길이)를 갖고, 제2 더미 배선 부분(32)은, 소정의 길이 L3(X 방향의 길이)을 갖고, 이들은 서로 동등하다(L2=L3).
X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더미 배선(30a)끼리의 사이에는 공극부(33a)(도 5의 망점 부분)가 형성되고, Y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더미 배선(30a)끼리의 사이에는 공극부(33b)(도 5의 망점 부분)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더미 배선(30a)끼리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X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더미 배선(30a)끼리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갭 G1은, 예를 들어 1㎛ 이상 20㎛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Y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더미 배선(30a)끼리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갭 G2는, 예를 들어 1㎛ 이상 20㎛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갭 G1, G2의 최댓값은, 각각 상술한 피치 P1, P2의 0.8배 이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더미 배선(30a)의 X 방향의 갭 G1은, 더미 배선(30a)의 Y 방향의 갭 G2와 동등하다(G1=G2).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더미 배선(30a)은, 상술한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단위 패턴 형상(20a)의 일부가 결락된 형상을 갖는다. 즉, 더미 배선(30a)의 형상은,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L자상의 단위 패턴 형상(20a)으로부터, 상술한 공극부(33a, 33b)를 제외한 형상이 된다. 즉, 더미 패턴 영역(30)의 복수의 더미 배선(30a)과 복수의 공극부(33a, 33b)를 병합한 형상이,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형성하는 격자 형상 또는 그물코 형상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더미 패턴 영역(30)의 더미 배선(30a)을,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단위 패턴 형상(20a)의 일부가 결락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더미 패턴 영역(30)의 상이를 눈으로 보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기판(11) 상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더미 패턴 영역(30)이 인접하고 있다. 이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더미 패턴 영역(30)의 경계 근방에 있어서, 제1 더미 배선 부분(31)이 안테나 배선(21)의 연장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더미 패턴 영역(30)의 상이가 눈으로 보아 시인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X 방향으로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더미 패턴 영역(30)이 인접하는 장소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제2 더미 배선 부분(32)이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연장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더미 배선(30a)의 제1 더미 배선 부분(31)은, 그 긴 쪽 방향(Y 방향)에 수직인 단면(X 방향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 또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더미 배선(30a)의 제2 더미 배선 부분(32)은, 그 긴 쪽 방향(X 방향)에 수직인 단면(Y 방향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 또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더미 배선 부분(31)의 단면 형상은 안테나 배선(21)의 단면 형상과 대략 동일하고, 제2 더미 배선 부분(32)의 단면 형상은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단면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더미 배선 부분(31)의 선폭 W3(X 방향의 길이, 도 12 참조)은, 안테나 배선(21)의 선폭 W1과 대략 동일하고, 제2 더미 배선 부분(32)의 선폭 W4(Y 방향의 길이, 도 7 참조)는,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선폭 W2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더미 배선 부분(31)의 높이 H3(Z 방향의 길이, 도 12 참조) 및 제2 더미 배선 부분(32)의 높이 H4(Z 방향의 길이, 도 7 참조)에 대해서도, 각각 안테나 배선(21)의 높이 H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높이 H2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더미 배선(30a)의 재료는, 안테나 배선(21)의 재료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의 재료와 동일한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안테나 패턴 영역(20) 및 더미 패턴 영역(30)은, 각각 소정의 개구율 A1, A2를 갖는다. 이 중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개구율 A1은, 예를 들어 85% 이상 99.9%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더미 패턴 영역(30)의 개구율 A2는, 예를 들어 87% 이상 100% 미만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 패턴 영역(30)의 개구율 A2는,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개구율 A1보다도 크다(A2>A1). 이에 의해, 배선 기판(10)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한하지 않고, 더미 패턴 영역(30)의 개구율 A2는,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개구율 A1보다도 작아도 된다(A2<A1).
또한, 더미 패턴 영역(30)의 개구율 A2와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개구율 A1의 차(|A2-A1|)는, 0% 초과 7%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 초과 1%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더미 패턴 영역(30)의 개구율 A2와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개구율 A1의 차를 작게 함으로써,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더미 패턴 영역(30)의 경계를 보이기 어렵게 하여,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존재를 육안으로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 영역(20) 및 더미 패턴 영역(30)을 합친 영역의 개구율 A3(즉, 배선 기판(10)의 전체의 개구율)은, 예를 들어 87% 이상 100% 미만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개구율 A3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배선 기판(10)의 도전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개구율이란, 소정의 영역(안테나 패턴 영역(20), 더미 패턴 영역(30), 또는, 안테나 패턴 영역(20) 및 더미 패턴 영역(30))의 단위 면적에 차지하는, 개구 영역(안테나 배선(21), 안테나 연결 배선(22), 더미 배선(30a) 등의 금속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기판(11)이 노출되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급전부(40)는, 안테나 패턴 영역(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급전부(4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도전성의 박판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급전부(40)의 긴 쪽 방향은 X 방향에 평행이며, 급전부(40)의 짧은 쪽 방향은 Y 방향에 평행이다. 또한, 급전부(40)는, 기판(11)의 긴 쪽 방향 단부(Y 방향 마이너스 측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급전부(40)의 재료는,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백금, 주석, 알루미늄, 철, 니켈 등의 금속 재료(포함하는 합금)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급전부(40)는, 배선 기판(10)이 HMD(90)에 내장되었을 때, HMD(90)의 프레임(91)에 마련된 무선 통신용 회로(94a)(도 2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급전부(40)는, HMD(90)의 정면에서 보아, 프레임(91)의 림(92)에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무선 통신용 회로(94a)의 접속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외계의 시인성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전부(40)는, 기판(11)의 표면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는 않고, 급전부(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기판(11)의 주연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도 13a 내지 도 13f를 참조하여,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성을 갖는 기판(11)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기판(11) 상에, 복수의 안테나 배선(21)을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주위에 배치되며, 안테나 배선(2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독립된 더미 패턴 영역(30)을 형성한다. 이때, 먼저, 기판(11)의 표면의 대략 전역에 도전층(51)을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층(51)의 두께는, 200㎚이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도전층(51)의 두께는 10㎚ 이상 1000㎚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층(51)은, 구리를 사용하여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한다. 도전층(51)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플라스마 CVD법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의 표면의 대략 전역에 광경화성 절연 레지스트(52)를 공급한다. 이 광경화성 절연 레지스트(52)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의 유기 수지를 들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층(54)을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 경우,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광경화성 절연 레지스트(52)를 패터닝하여, 트렌치(54a)가 형성된 절연층(54)(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트렌치(54a)는, 안테나 배선(21), 안테나 연결 배선(22) 및 더미 배선(30a)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 패턴을 갖는다. 또한, 이때, 안테나 배선(21), 안테나 연결 배선(22) 및 더미 배선(30a)에 대응하는 도전층(51)이 노출되도록, 절연층(54)을 형성한다.
또한,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절연층(54)의 표면에, 임프린트법에 의해 트렌치(54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렌치(54a)에 대응한 볼록부를 갖는 투명한 임프린트용의 몰드를 준비하고, 이 몰드와 기판(11)을 근접시켜, 몰드와 기판(11) 사이에 광경화성 절연 레지스트(52)를 전개한다. 다음으로, 몰드측으로부터 광 조사를 행하여, 광경화성 절연 레지스트(52)를 경화시킴으로써, 절연층(54)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절연층(54)의 표면에, 볼록부가 전사된 형상을 갖는 트렌치(54a)가 형성된다. 그 후 몰드를 절연층(54)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도 13c에 도시한 단면 구조의 절연층(54)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절연층(54)의 트렌치(54a)의 저부에는, 절연 재료의 잔사가 남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과망간산염 용액이나 N-메틸-2-피롤리돈을 사용한 웨트 처리나, 산소 플라스마를 사용한 드라이 처리를 행함으로써, 절연 재료의 잔사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절연 재료의 잔사를 제거함으로써,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층(51)을 노출한 트렌치(54a)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층(54)의 트렌치(54a)를, 도전체(55)로 충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층(51)을 시드층으로 하여, 전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절연층(54)의 트렌치(54a)를 구리로 충전한다.
계속해서, 도 1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층(54)을 제거한다. 이 경우, 과망간산염 용액이나 N-메틸-2-피롤리돈, 산 또는 알칼리 용액 등을 사용한 웨트 처리나, 산소 플라스마를 사용한 드라이 처리를 행함으로써, 기판(11) 상의 절연층(54)을 제거한다.
그 후, 도 1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의 표면 상의 도전층(51)을 제거한다. 이때, 과산화수소수를 사용한 웨트 처리를 행함으로써, 기판(11)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도전층(51)을 에칭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판(11)과, 기판(11) 상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 영역(20) 및 더미 패턴 영역(30)을 갖는 배선 기판(10)이 얻어진다. 이 경우,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안테나 배선(21) 및 안테나 연결 배선(22)을 포함하고, 더미 패턴 영역(30)은, 더미 배선(30a)을 포함한다. 상술한 도전체(55)는, 안테나 배선(21)과, 안테나 연결 배선(22)과, 더미 배선(30a)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91)의 림(92)에 끼워 넣어진 제1 기재(96)에 배선 기판(10)을 설치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HMD(90)가 얻어진다. 또한, 제1 기재(96)가 프레임(91)의 림(92)에 끼워 넣어지기 전에, 제1 기재(96)에 배선 기판(10)을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HMD(9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 기판(10)은, 표시 장치(95)의 구성 요소로서 HMD(90)에 내장된다. 배선 기판(10)의 안테나 패턴 영역(20)은, 급전부(40)를 통해 HMD(90)의 무선 통신용 회로(94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통해, 소정의 주파수의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어, HMD(90)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더미 패턴 영역(30)은, 각각 안테나 패턴 영역(20)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으므로, 각 더미 패턴 영역(30)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전파의 송수신에 영향이 발생할 우려는 없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HMD(90)에 있어서, 배선 기판(10)이, 투명성을 갖는 기판(11)과, 기판(11)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안테나 배선(21)을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가지므로, 배선 기판(10)의 투명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선 기판(10)이 HMD(90)에 내장되었을 때,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개구부(23)로부터 외계를 시인할 수 있으므로, 외계의 시인성이 방해받는 일이 없다.
또한, 배선 기판(10)이, 복수의 안테나 배선(21)을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HMD(90)의 프레임(91)에 안테나를 탑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HMD(90)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91)에 설치된 표시 장치(95)가 배선 기판(10)을 가지므로, HMD(90)의 프레임(91)에 안테나를 탑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HMD(90)의 전파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HMD(90)의 정면에서 보아(즉, 기판(11)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표시부(97)가, 서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HMD(90)의 정면에서 보아, 표시부(97)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표시부(97)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HMD(90)의 정면에서 보아,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표시부(97)가, 서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안테나로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즉,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도체인 표시부(97)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파의 송수신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표시부(97)보다도 프레임(91)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프레임(91)에 마련된 무선 통신용 회로(94a)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선 기판(10)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주위에 배치되며, 안테나 배선(2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독립된 더미 패턴 영역(3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주위에 더미 패턴 영역(30)을 배치함으로써, 안테나 패턴 영역(20)과 그것 이외의 영역의 경계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95)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어, HMD(90)의 장착자가 안테나 패턴 영역(20)을 육안으로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변형예)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HMD의 각종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8은 HMD의 각종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3f에 도시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변형예 1)
도 14는 변형예 1에 의한 HMD(90A)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있어서, 표시 장치(95)는, 배선 기판(10) 상에 마련되며, 제1 기재(96)와 함께 배선 기판(10)을 사이에 끼워 넣는 제2 기재(98)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 제2 기재(98)의 재료로서는, 제1 기재(96)의 재료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명성을 갖는 재료이면 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95)가, 배선 기판(10) 상에 마련되며, 제1 기재(96)와 함께 배선 기판(10)을 사이에 끼워 넣는 제2 기재(98)를 더 갖고 있음으로써, HMD(90A)가 주위의 구조물이나 타인에게 접촉한 경우라도, 배선 기판(10)이, 주위의 구조물 등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선 기판(10)의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안테나 배선(21)이 단선되어 버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15는 변형예 2에 의한 HMD(90B)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 있어서, 기판(11) 상에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복수 존재하고, 각각의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각각 다른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5에 도시한 HMD(90B)에 있어서, 기판(11) 상에 복수의 안테나 패턴 영역[20(20b 내지 20e)]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일부의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긴 쪽 방향과 다른 일부의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긴 쪽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안테나 패턴 영역(20) 중, 일부의 안테나 패턴 영역[20(20b 내지 20c)]은, 그 긴 쪽 방향이 X 방향 또는 Y 방향에 평행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 영역(20b)이 제스처 센싱 기능을 갖고, 안테나 패턴 영역(20c)이 무선 급전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다른 일부의 안테나 패턴 영역[20(20d)]은, 그 긴 쪽 방향이 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하여 비평행이다(경사져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 영역(20d)은 흐림 방지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일부의 안테나 패턴 영역[20(20e)]은, 선대칭으로 한 쌍 배치되어 있어, 다이폴 안테나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판(11) 상에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복수 존재하고, 각각의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각각 다른 기능을 갖고 있음으로써, HMD(90B)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변형예 3)
도 16은 변형예 3에 의한 HMD(90C)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복수의 안테나 배선(21)은, 적어도 일부가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6에 도시한 HMD(90C)에 있어서, 일부의 안테나 배선(21)의 긴 쪽 방향과 다른 일부의 안테나 배선(21)의 긴 쪽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안테나 배선(21) 중, 일부의 안테나 배선[21(21a)]은, 그 긴 쪽 방향이 Y 방향에 평행이다. 또한, 다른 일부의 안테나 배선[21(21b)]은, 그 긴 쪽 방향이 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하여 비평행이다(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 배선(21)이, 적어도 일부가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배선 기판(10)의 안테나 배선(21)에서 반사된 광끼리가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하는 광망(줄무늬상의 광이 시인되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4)
도 17 및 도 18은 변형예 4에 의한 HMD(90D, 90E)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표시부(97)는, HMD(90D, 90E)의 정면에서 보아(즉, 기판(11)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프레임(91)의 림(92)까지 도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97)가, HMD(90D)의 정면에서 보아, 제1 기재(96)의 대략 중앙부에 겹치는 위치에 마련됨과 함께,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HMD(90)에, 표시부(97)를 제어하는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표시부(97)를 제어하는 배선은, 표시부(97)로부터 표시부(97)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표시부(97)를 제어하는 배선이 HMD(90)에 마련된 경우라도, 당해 배선을 프레임(91)에 의해 감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외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97)가, 프레임(91)의 림(92)의 내측 에지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표시부(97)는, 림(92)의 내측 에지를 따라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97)는, HMD(90E)의 정면에서 보아, 제1 기재(96)의 대략 중앙부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외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표시부(97)가, 림(92)의 내측 에지를 따라서,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5)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기판(11)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표시부(97)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안테나 패턴 영역(20)이, 기판(11)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표시부(97)에 겹쳐 있어도 된다.
(변형예 6)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선 기판(10)이, 안테나 패턴 영역(20)의 주위에 배치되며, 안테나 배선(2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독립된 더미 패턴 영역(30)을 더 포함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배선 기판(10)이, 안테나 배선(2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독립된 더미 패턴 영역(30)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상기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가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된다.

Claims (10)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투명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기재와,
    상기 제1 기재 상에 마련된 배선 기판과,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배선 기판 사이에 마련된 표시부를 갖고,
    상기 배선 기판은,
    투명성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배선 기판 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기재와 함께 상기 배선 기판을 사이에 끼워 넣는 제2 기재를 더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배선 패턴 영역과 상기 표시부가, 서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은, 상기 표시부보다도 상기 프레임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은, 전파 송수신 기능, 제스처 센싱 기능, 무선 급전 기능 및 흐림 방지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이 복수 존재하고, 각각의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은, 각각 다른 기능을 갖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배선은, 적어도 일부가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또는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은,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배선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독립된 더미 패턴 영역을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 영역은, 시트 저항값이 5Ω/□ 이하이며, 각 배선을 120°의 시야각에서 보았을 때의 최장 폭이 3㎛ 이하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20237014943A 2020-10-08 2021-10-08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20230083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70671 2020-10-08
JP2020170671 2020-10-08
PCT/JP2021/037431 WO2022075463A1 (ja) 2020-10-08 2021-10-08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307A true KR20230083307A (ko) 2023-06-09

Family

ID=8112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943A KR20230083307A (ko) 2020-10-08 2021-10-08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75833A1 (ko)
EP (1) EP4228249A1 (ko)
JP (1) JPWO2022075463A1 (ko)
KR (1) KR20230083307A (ko)
CN (1) CN116324583A (ko)
TW (1) TW202234125A (ko)
WO (1) WO202207546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1026A (ja) 2014-03-27 2015-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0765B (zh) * 2005-04-01 2013-06-0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显示器用透明天线和带天线的显示器用透光性构件以及带天线的壳体用构件
JP5447813B2 (ja) * 2009-09-16 2014-03-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明アンテナ
JP2017175435A (ja) * 2016-03-24 2017-09-2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8139111A1 (ja) * 2017-01-26 2018-08-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1026A (ja) 2014-03-27 2015-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4125A (zh) 2022-09-01
JPWO2022075463A1 (ko) 2022-04-14
WO2022075463A1 (ja) 2022-04-14
US20230375833A1 (en) 2023-11-23
EP4228249A1 (en) 2023-08-16
CN116324583A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508B1 (ko) 도전성 적층체, 터치패널 및 표시 장치
KR20170056798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201516500A (zh) 光電混合基板及其製法
US10747383B2 (en) Transparent electrode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pacitive sensor that uses transparent electrode member
KR20150027039A (ko)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기판 및 표시 장치
Morimoto et al. Optically transparent antenna for smart glasses
TWI571785B (zh) 具有天線結構的曲面觸控面板
KR20230083307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EP4057114B1 (en) Touch screen,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1400700B1 (ko) 디스플레이용 인터페이스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1119617B2 (en) Transparent electrode member, multilayer transparent electrode member, and capacitive sensor
JP6761591B2 (ja) アンテナ
JP7212854B2 (ja) 導電性パターン基板及び導電性パターン基板の製造方法
KR101901745B1 (ko)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가상현실 헤드셋
JP2022163883A (ja) 配線基板およ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WO2023080252A1 (ja) モジュー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画像表示装置、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配線基板
US11976950B2 (en) Thin film sensor, thin film sensor array, and electronic device
JP7206744B2 (ja) 導電性パターン基板及び導電性パターン基板の製造方法
WO2023199885A1 (ja) 配線基板、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装置
US20230318203A1 (en)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board
JP6948607B2 (ja) アンテナ
JP2023181005A (ja) モジュー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画像表示装置及び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12825382A (zh) 天线、盖板和电子设备
JP2023181004A (ja) 配線基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202324341A (zh) 圖像顯示裝置用積層體、圖像顯示裝置及模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