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097A - 주류용기 캡 - Google Patents

주류용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097A
KR20230083097A KR1020210171193A KR20210171193A KR20230083097A KR 20230083097 A KR20230083097 A KR 20230083097A KR 1020210171193 A KR1020210171193 A KR 1020210171193A KR 20210171193 A KR20210171193 A KR 20210171193A KR 20230083097 A KR20230083097 A KR 20230083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quor container
container
cap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Priority to KR102021017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097A/ko
Publication of KR2023008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05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65D41/042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and combined with integral sealing means contacting other surfaces of a container n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류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걸리병의 병뚜껑 내측면에 부직포를 부착하지 않고도 발효가스 중의 일부를 배출함과 동시에, 병과 병뚜껑이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분리수거가 용이한 주류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은, 막걸리가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류용기 캡에 있어서, 막걸리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용기나사돌기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캡나선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된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주류용기의 입구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캡본체와 고정링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캡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캡브릿지 및 상기 캡본체의 내주면 상측에서 상부면을 향해 인입 형성되며, 막걸리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류용기 캡{liquor container cap}
본 발명은 주류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걸리병의 병뚜껑 내측면에 부직포를 부착하지 않고도 발효가스 중의 일부를 배출함과 동시에, 병과 병뚜껑이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분리수거가 용이한 주류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막걸리는 찹쌀, 맵쌀, 보리, 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발효주이다. 막걸리와 같은 발효주는 병에 담아서 보관하는 시점에서부터 발효가 진행되는 것이며, 병속에 담긴 채 발효가 진행되고 있는 막걸리를 보관 및 운반하는 도중에 병속에서 발효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발효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막걸리의 발효작용으로 발생되는 발효가스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로 된 막걸리병 자체가 팽창하게 되거나 또는 터질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막걸리병의 병구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병뚜껑의 밀봉력이 막걸리병 속에서 발생하게 되는 발효가스의 압력보다 셀 경우에는 막걸리병 속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배출되지 않게 되지만, 이러한 경우 소비자가 막걸리병의 병구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병뚜껑을 나사풀림작동으로 개봉하게 될 때에는 막걸리병 속에 압축상태로 있던 발효가스가 개봉되는 병구를 통해 배출될 때 막걸리가 발효가스와 함께 병구로 뿜어져 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반대로 막걸리병에 담겨 있는 막걸리의 발효작용으로 발생하게 되는 발효가스가 병구에 형성된 수나사부분과 병뚜껑에 형성된 암나사부분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막걸리병 속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가 전량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막걸리의 맛이 떨어져 막걸리 특유의 맛을 잃어버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막걸리는 막걸리병에 담아주는 시점에서부터 발효가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병속에서 발효가 진행되어 발생하게 되는 발효가스 100% 중 일부인 60% 정도는 병속에 남아 있고 나머지 40% 정도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포장하는 것이 막걸리 특유의 맛을 유지시키면서 막걸리를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포장하는 것이라고 막걸리 제조업계에서는 잘 알려져 있다. 이렇게 가스 중 일부는 병속에 남겨두고 일부는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불순물이나 세균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하여, 병뚜껑 내측면에 부직포층이 부착되도록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부직포층을 병뚜껑 내측면에 삽입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추가공정이 발생하면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막걸리병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보통의 막걸리병은 페트(PET)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막걸리병의 병뚜껑은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마신 막걸리병을 분리수거 처리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병과 뚜껑을 상호 분리하여 배출해야 하는데, 그에 따른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그에 따라 병과 뚜껑을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여 뚜껑이 닫힌 병을 그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일소재로 이루어진 막걸리병 제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511998호(2015.04.14 공고)
본 발명은, 막걸리병의 병뚜껑 내측면에 부직포를 부착하지 않고도 발효가스 중의 일부를 배출함과 동시에, 병과 병뚜껑이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분리수거가 용이한 주류용기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은, 막걸리가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류용기 캡에 있어서, 막걸리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용기나사돌기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캡나선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된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주류용기의 입구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캡본체와 고정링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캡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캡브릿지 및 상기 캡본체의 내주면 상측에서 상부면을 향해 인입 형성되며, 막걸리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주류용기 캡은 페트(PET)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홈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캡나선돌기를 관통하여 내주면의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캡본체의 내주면에 인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홈은, 상기 캡본체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방사형 요철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의 내주면을 향해 삽입되어 캡나선돌기 및 가스배출홈을 형성하는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에 있어서,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류용기 캡의 내부로 삽입될 때, 캡본체의 내측 상부면을 가압해 가스배출홈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금형과, 상기 프레임금형을 중심으로 양면에 부착 형성되고, 반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금형이 이탈된 후에 상호 접합되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캡본체의 캡나선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캡나선돌기홈이 형성된 원통형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전면은,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방사형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막걸리병의 병뚜껑 내측면에 부직포를 부착하지 않고도 발효가스 중의 일부를 배출함과 동시에, 병과 병뚜껑이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분리수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의 평단면도.
도 3은 종래 주류용기 캡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이 주류용기 입구에 결합되는 상태를 비교한 도면.
도 4는 종래 주류용기 캡을 제작하기 위한 캡 코어금형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은, 막걸리가 수용되는 용기(1)의 입구(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류용기 캡에 있어서, 막걸리 용기 입구(3)의 외주면에 형성된 용기나사돌기(5)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캡나선돌기(11)가 내주면에 형성된 캡본체(10)와, 상기 캡본체(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주류용기의 입구(3)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링(20)과, 상기 캡본체(10)와 고정링(20)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캡본체(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캡브릿지(30) 및 상기 캡본체(10)의 내주면 상측에서 상부면을 향해 인입 형성되며, 막걸리 용기(1)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홈(40)을 포함한다.
상기 캡본체(10)는 막걸리와 같이 발효되면서 발효가스가 발생하는 주류를 수용하는 용기(1)의 입구(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입구(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용기나사돌기(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나사결합되는 캡나선돌기(11)가 캡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캡본체(10)는 캡의 외부를 형성하는 외주면과, 내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 간격(t)만큼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캡본체(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주류용기의 입구(3)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링(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20)은 캡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링 타입의 구성으로, 용기 입구(3)의 하부에 고정되기 위하여 내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고정돌기(21)가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본체(10)와 고정링(20)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캡본체(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캡브릿지(3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캡브릿지(30)가 캡본체(10)와 고정링(20)을 상호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링(20)은 캡본체(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류용기와 동일한 페트(PET) 소재로 이루어져 분리배출이 용이해진다.
특히, 주류용기 캡을 용기(1)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링(20)은 용기(1)에 그대로 남아있고 캡본체(10)만이 고정링(2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용기 입구(3)가 개방되는데, 그에 따라 캡본체(10)뿐만 아니라 고정링(20) 또한 캡본체(10) 및 용기(1)와 동일한 페트(PET)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제작함으로써 고정링(20)을 분리배출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캡본체(10)의 내주면 상측에서 상부면을 향해 인입 형성되며, 막걸리 용기(1)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홈(4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배출홈(40)은 일반 음료용기 캡과는 다르게 막걸리와 같이 용기 내부에 수용된 주류가 발효되면서 발효가스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제품 밀봉 후 유통 및 저장과정에서 발효가스가 생성되어 용기형상이 변하거나 심하면 터질 수 있어, 이러한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가스배출홈(40)이 캡본체(10)의 내주면 상측에 형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용기 입구(3)의 상측 둘레와 맞닿는 캡본체(10)의 상부면에서 인입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발효가스가 생성되어도 상기 인입 형성된 가스배출홈(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배출홈(40)의 높이(정확하게는, 상기 용기 입구(3)의 상단에서부터 캡본체(10)의 내측 상부면까지의 길이)를 용기(1)의 부피나 용기(1) 내부에 저장된 막걸리의 양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발효가스 중 약 40% 정도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홈(40)은 용기 입구(3)의 상측 둘레와 맞닿는 캡본체(10)의 상부면 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중 일정부분만으로 한정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홈(40)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캡나선돌기(11)를 관통하여 내주면의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캡본체(10)의 내주면에 인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스배출홈(40)은 캡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되,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부에서 하부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캡의 내주면에 형성된 캡나선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캡나선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된 가스배출홈(40)은 캡본체(10) 내부에서 발생한 발효가스가 상부에 형성된 가스배출홈(40)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을 연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홈(40)은, 상기 캡본체(10)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방사형 요철홈(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본체(10)가 제작되는 과정으로, 캡나선돌기(11)뿐만 아니라 가스배출홈(40)과 같은 다양한 구성이 캡본체(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캡본체(10)의 내주면을 제작하는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이 캡본체(10)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어 제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용기 캡의 내주면을 향해 삽입되어 캡나선돌기(11) 및 가스배출홈(40)을 형성하는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50)에 있어서,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류용기 캡의 내부로 삽입될 때, 캡본체(10)의 내측 상부면을 가압해 가스배출홈(40)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51)를 포함하는 프레임금형(55)과, 상기 프레임금형(55)을 중심으로 양면에 부착 형성되고, 반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금형(55)이 이탈된 후에 상호 접합되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캡본체(10)의 캡나선돌기(11)를 형성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캡나선돌기홈(56)이 형성된 원통형금형(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51)의 전면은,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방사형 요철부(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는 종래 주류용기 캡을 제작하기 위한 캡 코어금형을 도시하는데, 일반 주류용기 캡은 PE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금형으로 캡을 제작한 이후 캡을 강제로 빼는 것이 가능하였다. 즉, 캡나선돌기(11)와 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50)에 형성된 캡나선돌기홈(56)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도 코어금형에 외압을 가해 강제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캡의 소재를 페트(PET)로 변경함에 따라 소재의 강도로 인해 강제로 이탈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강제빼기가 불가능한 코어금형을 새롭게 제작하여 캡본체(10)의 내주면을 제작한 이후에도 용이하게 코어금형을 이탈시키도록 하는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50)의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류용기 캡의 내부로 삽입될 때, 캡본체(10)의 내측 상부면을 가압해 가스배출홈(40)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51)를 포함하는 프레임금형(55)과 상기 프레임금형(55)의 양측면에 부착 형성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한 쌍의 원통형금형(57)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51)는 캡본체(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방사형 요철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50)의 요철부가 캡본체(10)의 내주면에 삽입되면 상기 요철부에 대응되는 방사형 요철홈(41)이 형성되면서, 일반 가스배출홈(40)에 비하여 배출되는 발효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금형으로부터 주류용기 캡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우선 프레임금형(55)과 원통형금형(57)이 부착된 상태에서 캡본체(1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금형(55)의 돌출부(51)에 의해 가스배출홈(40)이 만들어지고, 원통형금형(57)의 외주면에 형성된 캡나선돌기홈(56)에 의해 캡나선돌기(11)가 만들어진다. 이후에 상기 프레임금형(55)이 우선 배출되고, 한 쌍의 원통형금형(57)이 서로 접합되어 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인 상태에서 배출되면서, 원통형금형(57)의 캡나선돌기홈(56)과 캡본체(10)의 캡나선돌기(11)가 밀착되어 금형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주류용기 캡은 페트(PET)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본체(10)가 용기의 입구(3)를 감싸면서 나사결합 되도로 이루어지는데, 종래 캡은 용기(1)와는 다른 소재인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용기와 캡의 소재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면 사용 후 분리수거하는 과정에서 캡을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주류용기 캡과 용기(1)가 전부 페트(PET)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분리배출 없이 일체로 배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용기
3 : 용기 입구
5 : 용기나사돌기
10 : 캡본체
11 : 캡나선돌기
20 : 고정링
21 : 고정돌기
30 : 캡브릿지
40 : 가스배출홈
41 : 방사형 요철홈
50 :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
51 : 돌출부
53 : 방사형 요철부
55 : 프레임금형
56 : 캡나선돌기홈
57 : 원통형금형

Claims (6)

  1. 막걸리가 수용되는 용기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류용기 캡에 있어서,
    막걸리 용기 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용기나사돌기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캡나선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된 캡본체;
    상기 캡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주류용기의 입구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링;
    상기 캡본체와 고정링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캡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캡브릿지; 및
    상기 캡본체의 내주면 상측에서 상부면을 향해 인입 형성되며, 막걸리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홈;
    을 포함하는 주류용기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용기 캡은 페트(PET)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기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홈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캡나선돌기를 관통하여 내주면의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캡본체의 내주면에 인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기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홈은,
    상기 캡본체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방사형 요철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기 캡.
  5. 제1항에 따른 주류용기 캡의 내주면을 향해 삽입되어 캡나선돌기 및 가스배출홈을 형성하는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에 있어서,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양측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류용기 캡의 내부로 삽입될 때, 캡본체의 내측 상부면을 가압해 가스배출홈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금형과,
    상기 프레임금형을 중심으로 양면에 부착 형성되고, 반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금형이 이탈된 후에 상호 접합되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캡본체의 캡나선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캡나선돌기홈이 형성된 원통형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전면은,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방사형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용기 캡 코어금형.
KR1020210171193A 2021-12-02 2021-12-02 주류용기 캡 KR20230083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193A KR20230083097A (ko) 2021-12-02 2021-12-02 주류용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193A KR20230083097A (ko) 2021-12-02 2021-12-02 주류용기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097A true KR20230083097A (ko) 2023-06-09

Family

ID=8676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193A KR20230083097A (ko) 2021-12-02 2021-12-02 주류용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0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98B1 (ko) 2014-01-08 2015-04-14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막걸리 병뚜껑에 장착되는 패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98B1 (ko) 2014-01-08 2015-04-14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막걸리 병뚜껑에 장착되는 패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3014B2 (en) Double shell closure with support ribs
US6959829B2 (en) Self-adjusting re-sealable spring center seal closure
EP0425264B1 (en) Dispensing bottle with coupling between closure head and screw cap
US20180002057A1 (en) Hot fill container having superior crush resistance
US20070095781A1 (en) Closure having band with internal thread formed by impression
CA3009031A1 (en) Double-walled container
NO311340B1 (no) Plastlokk for beholdere
US20050006334A1 (en) Double shell closure with support ribs
JP2013529580A (ja) 内側バッグを有する容器
US7967983B2 (en) Liquid dispensing end-piece and liquid packaging and dispensing assembly comprising such an end-piece
US7784639B2 (en) Preform of a plastic container particularly designed for packaging foodstuffs
US7556163B2 (en) Lightened, molded plastic closure exhibiting enhanced strength
JP6385259B2 (ja) 二重容器
US20220041339A1 (en) Single anchor closure
JP2020152427A (ja) 二重構造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83097A (ko) 주류용기 캡
JPH02180138A (ja) 食品用パック容器
US8714417B1 (en) Injection molded jar with pour feature
US3833141A (en) Container
JP5329170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及びプリフォーム
KR20230083096A (ko) 음료용기 캡
AU2020402630A1 (en) Tethered container closure
CN214803020U (zh) 一种可替换内瓶的膏霜瓶
CN208616463U (zh) 一种具有安全结构的扭断式旋开盖
JP7357473B2 (ja) 扁平ボトル、および扁平ボト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