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859A -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 Google Patents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859A
KR20230082859A KR1020210170719A KR20210170719A KR20230082859A KR 20230082859 A KR20230082859 A KR 20230082859A KR 1020210170719 A KR1020210170719 A KR 1020210170719A KR 20210170719 A KR20210170719 A KR 20210170719A KR 20230082859 A KR20230082859 A KR 20230082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ump
diaphragm
switch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786B1 (ko
Inventor
송준복
Original Assignee
송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복 filed Critical 송준복
Priority to KR102021017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78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5/053Pumps having fluid drive
    • F04B45/0536Pumps having fluid drive the actuating fluid being controlled by one or mor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에 의해 다이아프램이 엑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에 의해 왕복 운동하여 펌핑실의 흡입압과 토출압을 교번되게 형성하여 흡인관로를 따라 펌핑실 내로 유체를 유입하고 펌핑실 내로 유입된 유체를 토출관로를 통해 배출하는 작용을 교번하는 맥동을 통해 유체를 토출관로를 따라 배출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 with operational stability}
본 발명은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엑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에 의해 다이아프램이 엑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에 의해 왕복 운동하여 펌핑실의 흡입압과 토출압을 교번되게 형성하여 흡인관로를 따라 펌핑실 내로 유체를 유입하고 펌핑실 내로 유입된 유체를 토출관로를 통해 배출하는 작용을 교번하는 맥동을 통해 유체를 토출관로를 따라 배출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 펌프는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펌프로서,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프램의 왕복운동에 따라 펌프실 내에 흡인압과 토출압을 형성하여 체크밸브가 설치된 흡입관로를 통해 펌핑실 내로 유체를 유입하고, 또 펌핑실 내에 유입된 유체를 체크밸브가 마련된 토출관로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당분야에서는 상기 펌프헤드에 압력 감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압력 감지구에 펌프실의 내압 변화에 의해 진퇴하는 가압시트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펌프헤드의 일측에는 가압시트를 통해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가압 스위치단이 가압되어 접점을 단선하는 접점 스위치를 배치하여서, 상기 토출관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펌프실 내에 액상유체가 설정압 보다 높게 상승하면 접점 스위치의 접점을 단선하여 엑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자동 차폐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별도 스위치의 조작없이도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이어프램 펌프를 실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자동 차폐구조를 구현하는 접점 스위치의 접점이 빈번하게 단선된 다음, 재연결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원인을 본 발명자가 분석한 결과, 종래 자동 차폐구조는 펌프실 내에 유입되는 액상유체의 압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접점 스위치의 가압 스위치단을 직접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의 왕복 운동과정에 펌프실 내에 압력이 순간적으로 급상승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가압 스위치단이 상기 순간적으로 상승된 압력에 의해 오가압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다이아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펌프실 내로 유입되는 액상유체는 압축이 어려운 관계로, 다이아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펌프실 내로 인입 및 토출되면서 다이아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펌프실의 내압이 순간적으로 높아지고, 이러한 압력에 의해 가압 스위치단이 오가압되어 순간적으로 접점이 단선 및 연결되는 현상이 야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점 스위치의 잦은 오접점 현상이 발생되면, 접점 스위치의 접점 손상과 소음발생, 그리고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특허 문헌 1) KR 10-160757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아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펌프실에 순간적으로 급상승하는 충격에 의해 접점 스위치의 접점이 순간적으로 단선되었다가 연결되는 현상을 예방하여서, 상기 접점 스위치의 잦은 오접점 변화에 따른 접점의 손상과 소음발생, 및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는,
체크밸브가 마련된 흡입관로와 체크밸브가 마련된 토출관로가 연통하여 형성되고, 측벽에 설치구와 압력 감지구가 개방되게 형성된 펌핑실을 갖는 펌프헤드와;
상기 펌프헤드의 설치구에 배치되어 왕복 운동을 통해 펌핑실 내에 흡입압과 토출압을 교번되게 형성하는 다이아프램과;
전류의 인가에 의해 다이아프램의 왕복운동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생성 및 제공하는 엑츄에이터와;
가압 스위칭단이 가압되면 접점이 단선되어 엑츄에이터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접점 스위치와;
상기 펌프헤드의 압력 감지구와 접점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펌프헤드의 펌핑실에서 유입되는 액상유체의 유입량에 의해 충진된 내부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내부공기의 압축력을 통해 접점 스위치의 가압 스위칭단을 가압하는 공압 완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압 완충부는 급수공이 형성된 헤드측 장착부와, 스위치측 장착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압축실을 갖는 중공 댐퍼본체와; 상기 중공 댐퍼본체의 스위치측 장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실의 내압 변화에 의해 내외측으로 진퇴하는 가압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측 장착부에 형성된 급수공은 하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상유체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급수공을 따라 압축실과 펌프실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는 유입되는 액상유체에 의해 내부공기가 압축되는 공압 완충부와, 상기 압축된 내부공기를 통해 제공되는 가압력을 완충하는 탄성 완충부를 직렬로 배치하여, 다이아프램의 왕복 운동시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접점 스위치가 오동작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의 왕복 운동과정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접점 스위치의 가압 스위치단이 오가압되어서, 접점 스위치의 접점이 변경됨에 따른 접점 스위치의 접점의 손상과 소음발생, 그리고 장치의 수명 단축이 예방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크밸브(12a)가 마련된 흡입관로(12)와 체크밸브(13a)가 마련된 토출관로(13)가 연통하여 형성되며, 측벽에 설치구(14)가 형성된 펌프헤드(10)와; 상기 펌프헤드(10)의 설치구(14)에 배치되어 왕복 운동을 통해 펌프실(11) 내에 흡입압과 토출압을 교번되게 형성하는 다이아프램(20)과; 전류의 인가에 의해 다이아프램(20)의 왕복운동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30)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관로(12)와 토출관로(13)에는 볼밸브형의 체크밸브(12a, 13a)가 마련되어, 다이아프램(20)의 왕복 운동에 따라 펌프실(11) 내에 생성되는 내압변화에 의해 흡입관로(12)와 토출관로(13)의 교번된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토출관로(13)에는 토출관로(13)를 물리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16)가 설치되어, 작업자는 개폐밸브(16)를 통해 토출관로(13)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전동모터의 회전운동을 기어변속부에서 감속하여 작동변환부 내의 캠 또는 크랭크기구에 의해 피스톤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다이아프램(20)은 상기 직선 왕복운동하는 엑츄에이터(30)의 피스톤(31)에 의해 설치구(14)를 따라 펌프실(11) 내에 왕복 운동하여 펌프실(11) 내에 흡입압과 토출압을 교번하여 생성하며, 이는 범용의 것과 대동소이한 관계로 엑츄에이터의 세부 구성 및 작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이아프램(20)의 왕복 운동에 의해 펌프실(11) 내에 흡입압이 생성되면 체크밸브(13a)에 의해 토출관로(13)는 폐쇄되고 체크밸브(12a)에 의해 흡인관로(12)는 개방되어 흡입관로(12)를 따라 액상유체가 펌프실(11) 내로 유입되고, 또 도 4와 같이 다이아프램(20)의 왕복 운동에 의해 펌프실(11) 내에 토출압이 생성되면 체크밸브(12a)에 의해 흡입관로(12)는 폐쇄되고 체크밸브(13a)에 의해 토출관로(13)는 개방되어 펌프실(11) 내로 유입된 액상유체는 토출관로(13)를 따라 토출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설치구(14)에 배치된 다이아프램(20)이 펌프실(11)에서 진출하여 펌프실(11)의 체적이 증가하면 토출관로(13)는 폐쇄되고 흡입관로(12)는 개방되어서 펌프실(11) 내에 형성된 흡인압에 의해 흡입관로(12)를 따라 펌핑실(11) 내로 액상유체가 인입되고, 또 도 4와 같이 상기 다이아프램(20)이 펌프실(11) 내로 진입하며 펌프실(11)의 체적이 감소하면 토출관로(13)는 개방되고 흡입관로(12)는 폐쇄되어서 펌프실(11) 내에 충진된 액상유체는 토출관로(13)를 따라 배출되고, 맥동을 통해 액상유체의 펌핑이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다이아프램 펌프(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개폐밸브(16)에 의해 펌프실(11) 내에 흡입된 액상유체의 토출경로인 토출관로(13)가 폐쇄되고, 이 상태에서 펌프실(11) 내에 액상유체가 설정압 이상으로 충진되면 상기 엑츄에이터(30)에 인가되는 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 차단구조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자동 차단구조를 마련하면, 상기 개폐밸브(16)에 의해 토출관로(13)가 폐쇄되어 펌프실(11)의 인입되는 액상유체에 의해 펌프실(11)의 내압이 설정압 이상으로 도달하면 엑츄에이터(30)의 전류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불필요한 전류의 소비와, 엑츄에이터(30) 및 다이아프램(20)의 불필요한 구동에 의한 노후화가 예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단구조는, 펌프실(11)의 내벽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압력 감지구(15)와; 가압 스위칭단(41)이 가압되면 접점이 단선되어 엑츄에이터(30)의 전류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접점 스위치(40)를 포함하여, 상기 설정 압력값 이상으로 상승된 펌프실(11)의 내압에 의해 가압 스위칭단(41)이 가압되면 엑츄에이터(30)의 전류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펌프실(11)의 압력 감지구(15)와 접점 스위치(40) 사이에 공압 완충부(50)를 형성하여, 상기 펌프실(11)의 내압이 설정압 이상으로 상승하면 충진된 내부공기의 압축을 통해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을 서서히 가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이아프램(20)의 왕복 운동에 따른 맥동충격에 의해 접점 스위치(40)의 접점이 반복하여 단선 및 연결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공압 완충부(50)는 급수공(52a)이 형성된 헤드측 장착부(52)와, 스위치측 장착부(53)가 개방되게 형성된 압축실(51a)을 갖는 중공 댐퍼본체(51)와; 상기 중공 댐퍼본체(51)의 스위치측 장착부(53)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실(51a)의 내압 변화에 의해 내외측으로 진퇴하는 가압시트(5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측 장착부(52)와 스위치측 장착부(53)는 복수의 체결공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된 플렌지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립볼트(55)를 통해 펌프헤드(10)와 접점 스위치(40)를 연결한다.
이때,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측 장착부(52)가 형성된 중공 댐퍼본체(51)의 일측부는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중공 댐퍼본체(51)의 일측부에 절입된 절입 취구부(51b)를 요입되게 형성하여서, 상기 절입 취구부(51b)을 통해 드라이버 등의 취구를 진입하여 조립볼트(55)를 통해 헤드측 장착부(52)를 펌프헤드(10)의 설치구(14)에 간편하게 조립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측 장착부(52)에 형성된 급수공(52a)은 하반부에 형성되어, 도 6과 같이 압축실(51a) 내로 유입된 액상유체는 펌프실(11) 내에 형성된 흡인압에 의해 펌프실의 감압상태가 형성되면 압축실(51a) 내에 체류하지 아니하고 펌프실(11) 내로 재유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공기보다 비중이 높은 액상유체는 공압 완충부(50)의 하반부에 형성된 급수공(52a)을 통해 압축실(51a)의 하반부를 통해 압축실(51a) 내로 인입 및 배출되도록 구성하여서, 흡인압과 토출압에 의해 액상유체는 급수공(52a)을 통해 원활히 인입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압출실 내에 유입된 액상유체가 압축실 내에 잔류하는 현상을 예방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토출관로(13)가 폐쇄된 상태에서 다이아프램(20)의 왕복운동에 의해 펌프실(11) 내에 액상유체가 충입되어 펌프실(11)의 내압이 설정압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펌프실(11) 내에 충입된 액상유체는 설치구(14)에 연통하여 배치된 중공 댐퍼본체(51)의 급수공(52a)을 통해 압축실(51a) 내로 서서히 유입되어 중공 댐퍼본체(51) 내에 충입된 내부공기를 서서히 압축하여 압축실(51a)의 내압을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실(51a)에 충입된 내부공기가 펌프실(11)에서 유입된 액상유체에 의해 압축되어 설정압에 도달하면, 상기 가압시트(54)는 도 5a와 도 5b와 같이 압축된 내부공기의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진출하면서 스위치측 장착부(53)에 배치된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을 가압하여 접점을 단선하여서 엑츄에이터(30)에 인가되는 전류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와 같이 펌프실(11)에서 유입되는 액상유체의 압력에 의해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이 직접적으로 가압되지 아니하고, 부가된 공압 완충부(50)를 통해 급수되는 액상유체를 통해 내부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내부공기의 압축력에 의해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이 가압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실(51a) 내에 충진된 내부공기에 의해 탄력적으로 팽창하여 체적이 증감되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의 공압 팽창튜브(57)를 구획되게 배치하여, 상기 압축실(51a) 내에 유입되는 액상유체에 의해 공압 팽창튜브(57)들이 탄성 수축하면서 가압패드(54)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실(51a) 내에 공압 팽창튜브(57)를 배치하면 공압 팽창튜브(57)내에 충진된 내부공기와 액상유체는 공압 팽창튜브(57)에 의해 차폐되어 직접적인 혼입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공기가 혼입된 액상유체가 펌핑실(11) 내로 재유입되어 토출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내부공기의 혼입에 의한 액상유체의 토출효율이 저하되거나 액상유체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공압 완충부(50)를 부가하여 다이아프램의 왕복에 따른 순간적인 충격을 내부공기의 압축을 통해 완충하면, 상기 다이아프램(20)의 왕복 운동에 의해 펌핑실(11)의 내압이 순간적으로 급상승하여 가압형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이 순간적으로 오가압되어 접점 스위치(40)의 접점이 반복하여 단선, 및 연결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접점의 잦은 단선과 연결에 의해 접점 스위치의 접점이 손상과 소음 발생이 예방되고, 또 엑츄에이터의 노후화가 예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압 완충부(50)의 급수공(52a)에는 급수공(52a)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밸브(56)를 더 배치하여, 상기 급수공(52a)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펌프실(11) 내에 충진된 액상유체가 중공 댐퍼본체(51)의 압축실(51a) 내로 유입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유입되는 액상유체에 의한 내부공기의 압축속도를 조절하여서 접점 스위치의 반응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압력 조절밸브(56)는 헤드측 장착부(52)에 체결을 통해 고정되어 급수공(52a)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볼트로 구성되어, 작업자는 환경에 따라 압력 조절볼트의 체결량을 조절하여 급수공(52a)의 개폐량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스위치측 장착부(53)에 직렬로 배치된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단(41)에는 탄성 완충부(60)를 배치하여, 공압에 의해 접점 스위치(40)로 진출하는 가압시트(54)를 통해 제공되는 가압력을 2차적으로 완충하여서,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이 서서히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 완충부(60)는 가압시트(54)의 외측면에 외접하여 지지되는 지지캡(61)과; 상기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과 지지캡(61)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스프링(62)을 포함하여, 압축된 내부공기의 가압력에 의해 진출되는 가압시트(54)의 가압력을 완충 스프링(62)의 압축을 통해 완충하여서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에 제공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 스프링(62)과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 사이에는 반구형의 지지구(63)가 배치되어, 완충 스프링(62)의 단부와 가압 스위치단(41) 사이는 굴절이 가능한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어서 압축 및 팽창되는 과정에 비틀림되는 완충 스프링(62)과 가압 스위치단(41) 사이의 안정된 링크 연결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토출관로(13)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다이아프램(20)의 왕복 운동에 따른 맥동충격은 압축실(51a) 내에 잔류된 내부공기와, 탄성 완충부(60)의 완충 스프링(62)에 의해 완충하여 소진되므로,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이 맥동충격에 의해 오가압되어 접점이 단선 및 연결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16)에 의해 토출관로(13)가 폐쇄되어 인입관로(12)를 따라 액상유체가 펌프실(11) 내로 지속적으로 충진되어 펌프실의 내압이 설정압으로 상승하면 펌프실(11)에 인입된 액상유체는 급수공(52a)을 통해 중공 댐퍼본체(51)의 압축실(51a)에 유입되어 압축실(51a)의 내부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되는 내부공기의 압축력에 의해 가압시트(54)는 접점 스위치로 진출하면서 탄성 완충부(60)의 완충 스프링(62)을 압축한다.
이후, 상기 접점 스위치(40)의 가압 스위치단(41)은 압축공기의 압축을 통한 1차적인 완충작용과, 완충 스프링의 압축을 통한 2차적인 완충작용이 도모된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서 접점을 단선하여서, 엑츄에이터(30)에 인가되는 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16)에 의해 토출관로(13)가 개방하여 펌프실(11) 내에 충입된 액상유체가 토출관로(13)를 따라 배출되어 펌프실(11)의 내압이 하강하면, 상기 압축실(51a) 내에 유입된 액상유체는 급수공(52a)을 통해 압축실(51a)에서 배출하여 펌프실(11)에 유입되어서 압축된 내부공기의 팽창과, 압축된 완충 스프링(62)의 복원이 이루어져, 다이아프램(20)의 왕복 운동에 의한 맥동을 통해 흡입관로(12)를 통해 액상유체를 펌프실(11) 내로 인입하고 인입된 유체를 토출관로(13)를 통해 토출하는 작용을 교번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1)는 유입되는 액상유체에 의해 내부공기가 압축되는 공압 완충부와, 상기 압축된 내부공기를 통해 제공되는 가압력을 완충하는 탄성 완충부(60)를 직렬로 배치하여, 다이아프램(20)의 왕복 운동시에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접점 스위치(40)가 오동작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1. 다이아프램 펌프
10. 펌프헤드 11. 펌프실
12. 흡입관로 12a. 체크밸브
13. 토출관로 13a. 체크밸브
14. 설치구 15. 압력 감지구
16. 개폐밸브 17. 취구공간
20. 다이아프램 30. 엑츄에이터
40. 접점 스위치 41. 가압 스위치단
50. 공압 완충부 51. 중공 댐퍼본체
51a. 압축실 51b. 절입 취구부
52. 헤드측 장착부
52a. 급수공 52b. 볼트공
53. 스위치측 장착부 53a. 볼트공
54. 가압시트 55. 조립볼트
56. 압력 조절밸브 57. 팽창튜브
60. 탄성 완충부 61. 지지캡
62. 완충 스프링 63. 지지구

Claims (3)

  1. 체크밸브가 마련된 흡입관로와 체크밸브가 마련된 토출관로가 연통하여 형성되고, 측벽에 설치구와 압력 감지구가 개방되게 형성된 펌핑실을 갖는 펌프헤드와;
    상기 펌프헤드의 설치구에 배치되어 왕복 운동을 통해 펌핑실 내에 흡입압과 토출압을 교번되게 형성하는 다이아프램과;
    전류의 인가에 의해 다이아프램의 왕복운동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생성 및 제공하는 엑츄에이터와;
    가압 스위칭단이 가압되면 접점이 단선되어 엑츄에이터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접점 스위치와;
    상기 펌프헤드의 압력 감지구와 접점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펌프헤드의 펌핑실에서 유입되는 액상유체의 유입량에 의해 충진된 내부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내부공기의 압축력을 통해 접점 스위치의 가압 스위칭단을 가압하는 공압 완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완충부는 급수공이 형성된 헤드측 장착부와, 스위치측 장착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압축실을 갖는 중공 댐퍼본체와; 상기 중공 댐퍼본체의 스위치측 장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실의 내압 변화에 의해 내외측으로 진퇴하는 가압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측 장착부에 형성된 급수공은 하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상유체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급수공을 따라 압축실과 펌프실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KR1020210170719A 2021-12-02 2021-12-02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KR10264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719A KR102648786B1 (ko) 2021-12-02 2021-12-02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719A KR102648786B1 (ko) 2021-12-02 2021-12-02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859A true KR20230082859A (ko) 2023-06-09
KR102648786B1 KR102648786B1 (ko) 2024-03-15

Family

ID=8676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719A KR102648786B1 (ko) 2021-12-02 2021-12-02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7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3502A (ja) * 1997-11-21 1999-06-08 Aisin Seiki Co Ltd 圧力検出装置の固定構造
JP2004143960A (ja) * 2002-10-22 2004-05-20 Smc Corp ポンプ装置
JP2013083191A (ja) * 2011-10-07 2013-05-09 Maruyama Mfg Co Ltd 往復ポンプ装置
KR101607571B1 (ko) 2015-07-08 2016-03-30 (주)씨에스이 다이아프램 펌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3502A (ja) * 1997-11-21 1999-06-08 Aisin Seiki Co Ltd 圧力検出装置の固定構造
JP2004143960A (ja) * 2002-10-22 2004-05-20 Smc Corp ポンプ装置
JP2013083191A (ja) * 2011-10-07 2013-05-09 Maruyama Mfg Co Ltd 往復ポンプ装置
KR101607571B1 (ko) 2015-07-08 2016-03-30 (주)씨에스이 다이아프램 펌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786B1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3052C (zh) 活塞式压缩机和无级调整其输送量的方法
US6089837A (en) Pump inlet stabilizer with a control unit for creating a positive pressure and a partial vacuum
CN1798926B (zh) 线性压缩机中调整谐振频率的系统
CA2479673A1 (en) Water-powered sump pump
CN102374148A (zh) 双作用流体泵
US6851449B2 (en) Spring-loaded oil overflow valve for diaphragm compressors
WO2008029288A3 (en) Fluid-powered proportioning pump and system for dispensing fluid inluding such a pump
US20040228748A1 (en) Diapharagm pump
EP3947968B1 (en) Pump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s
KR100363748B1 (ko) 펌프의 맥동 감쇠장치
KR20230082859A (ko)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다이아프램 펌프
US5540136A (en) Reciprocating piston motor operating on pressure medium
CN109356812A (zh) 一种制冷设备及其压缩机
CN213360340U (zh) 一种静音自动充气泵
CN209483568U (zh) 一种气液增压泵
CN209261752U (zh) 一种制冷设备及其压缩机
KR20010067769A (ko) 플런저 펌프의 밸브구조
SU1078126A1 (ru) Поршневой компрессор
EP3653877A1 (en) Loadless start valve for a compressor
US3473726A (en) Compressor for a mechanical refrigerator
CN110578674A (zh) 电动隔膜泵
KR200144322Y1 (ko) 공기압축 조절장치
CN117231462B (zh) 柱塞压盘泵及其工作方法
US5244364A (en) Pumping unit
CN219452359U (zh) 一种改进型压力感应开关的水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