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487A -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 - Google Patents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487A
KR20230082487A KR1020210170438A KR20210170438A KR20230082487A KR 20230082487 A KR20230082487 A KR 20230082487A KR 1020210170438 A KR1020210170438 A KR 1020210170438A KR 20210170438 A KR20210170438 A KR 20210170438A KR 20230082487 A KR20230082487 A KR 20230082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color
product
sales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464B1 (ko
Inventor
정윤태
Original Assignee
정윤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태 filed Critical 정윤태
Priority to KR102021017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4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82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시스템은 고객 단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시스템으로서, 상품 이미지 및 기준 색상을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함께 고객 단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그리고 상기 고객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를 처리하는 판매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SAILING SYSTEM, TERMINAL AND METHOD OF COMPARING COLOR THEREOF}
본 발명은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객이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기존의 쇼핑 방식에서 벗어나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화면을 통하여 상품을 열람하고 구매하는 온라인 쇼핑이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비대면 생활 방식의 증가로 온라인 쇼핑은 오프라인 쇼핑보다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은 소비자가 직접 눈으로 상품을 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희망하는 상품의 상태와 화면에서 보는 상품의 상태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아 쇼핑 결과에 대한 불만족 요인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예를 들어 옷을 구매하거나 가구를 구매하는 경우, 다른 옷이나 가구에 색상 매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과 차이가 있으면 낭패를 겪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품을 반품, 교환 또는 구매 취소로 이어져서 소비자 및 판매자 모두에게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며 이는 사회적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온라인 쇼핑에서 화면을 통하여 확인하는 상품 이미지의 색상과 상품 실물의 색상이 일치하지 않는 근본적 이유는 화면을 제공하는 기기의 웹 특성상 색상을 RGB(red, green, blue)방식으로 화면에 표출하지만, 해당 상품을 실물로 제작할 때 사용하는 염료나 도료 등은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를 기본으로 한 감산혼합 방식으로 색상을 조색하고 상품을 촬영하는 환경 (조명 종류, 조도 및 촬영 배경 등)이나 카메라의 성능에 따라 이미지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으며, 상품 제조 과정에서 사용하는 염료나 도료의 제조사에 따라 상품의 색상이 달라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판매자가 판매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색상명칭이 소비자가 가진 색상 개념과 다를 수 있어 색상명칭에 의한 검색결과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에서 색상 인식의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색상에 대한 수용 환경의 객관화가 필요하다. 그에 따라 판매자는 색상 정보를 더욱 정밀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가 주체적으로 색상을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하여 화면으로 표시되는 색상과 실제 상품의 색상의 괴리를 최소화하여 온라인 쇼핑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판매 시스템은 고객 단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시스템으로서, 상기 고객 단말로 하여금 상품 이미지 및 기준 색상을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함께 비교하게 하는 정보 제공부, 그리고 상기 고객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를 처리하는 판매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이미지는, 판매자와 고객이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 상기 기준 색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정보 제공부가 상기 고객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상품 이미지 또는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정보는, 촬영 장치 정보, 촬영 조명 정보 및 RGB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상품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이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상품 이미지 또는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한 표준 색체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이미지, 상기 기준 이미지,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표준 색체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은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품 이미지와 촬영한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처리하며, 상기 판매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처리부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품 이미지의 일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여 비교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품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고객 단말이 직접 촬영한 이미지 이거나,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은 고객 단말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색상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판매 시스템에게 색상 비교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상품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품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이미지 및 상기 기준 이미지에서 비교 위치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위치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정보는, RGB 값, 촬영 조명 정보 및 촬영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이미지는 직접 촬영한 이미지,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또는 이미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하여 화면으로 표시되는 색상과 실제 상품의 색상의 괴리를 최소화하여, 소비자에게 온라인 쇼핑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쇼핑 불만족으로 이어지는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 시스템의 동작하는 환경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판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의 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 시스템의 동작하는 환경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판매 시스템(100)은 상품을 소비자인 고객에게 판매하는 판매자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고객에게 상품의 실제 색상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고객 단말(200)은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판매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이다. 고객 단말(200)은 예를 들어 각종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텔레비전(television, TV)등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판매 시스템(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판매 시스템(100)은 저장부(110), 정보 제공부(120) 및 판매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판매 시스템(100)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10)는 상품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 이미지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기준 이미지는 판매자와 고객이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 기준 색상이 되는 대상에 대한 이미지로서 상품의 색상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기준 이미지는,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 과일,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소비재의 색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랜차이즈 커피숍의 컵에 사용된 로고 색상,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음료의 라벨에 사용하는 로고 색상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상품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이미지를 촬영한 촬영 장치 정보, 촬영 조명 정보 및 색상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색상 정보는 RGB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색상에 대한 규격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색상에 대한 규격은 한국 산업 규격(KS), 미국 표준 협회(ASA), 일본 공업 규격(JIS) 등 많은 국가에서 국가 표준 색체계로 지정된 먼셀(Munsell) 색체계를 이용하여 상품 색상과 가장 유사한 색상을 먼셀(Munsell) 색체계에서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20)는 저장부(110)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기초로 고객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한다. 즉 정보 제공부(120)는 고객 단말(200)이 상품 이미지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상품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120)는 고객 단말(200)이 상품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함께 요청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120)는 상품 이미지 또는 기준 이미지에 대한 정보, 즉 촬영 장치 정보, 촬영 조명 정보 또는 RGB 값 등을 고객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120)는 상품 이미지 또는 기준 이미지에 대한 표준 색체계에 따른 색상 정보를 제공한다.
판매 처리부(130)는 정보 제공부(120)의 정보 제공에 따라 고객 단말(200)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판매 과정을 처리한다. 즉 구매 대금 결제를 처리하고, 해당 상품의 배송 과정을 처리한다.
이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고객 단말(200)은 통신부(210), 메모리(220), 표시부(230), 입력부(240) 및 처리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처리부(25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부(250)로 전달하고, 처리부(250)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 시스템(100)과 접속되어 상품 구매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처리부(250)와 연결되어 처리부(2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22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Rambus) 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ynamic 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5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25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220)는 판매 시스템(100)의 동작과 연동하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저장한다.
여기서,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으로서, 앱스토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거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될 수 있다.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상품 이미지, 기준 이미지, 이미지 정보, 구매 요청 및 구매 처리 결과 등의 표시를 위한 사용자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없이 웹 접속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으며 쇼핑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220)가 저장하고 있는 기준 이미지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처리부(25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표시부(230)는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의 평판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240)는 표시부(230)가 출력한 화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부(240)는 광 조이스틱, 터치패드, 홀 센서, 지문인식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키패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입력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입력부(240)는 처리부(250)와 연결되어 입력받은 정보를 처리부(250)로 전달한다.
처리부(250)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처리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처리부(2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51)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51)는 입력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메모리(220)로부터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이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의 한 예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고객 단말(200)은 상품 구매를 위하여 판매 시스템(100)에게 색상 비교 요청을 전송한다(S410). 그러면 판매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200)에게 색상 비교를 위한 이미지를 전송한다(S420). 이때, 색상 비교를 위한 이미지는 고객 단말(200)의 선택에 따라 도 5와 같은 상품 이미지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잘 알려진 색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는데,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폼롤러인 경우에, 해당 폼롤러의 색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콜라 라벨의 색상을 기준 이미지로 사용한 경우이다.
고객 단말(200)은 도 5와 같은 이미지를 표시하여 고객이 색상을 확인하게 하며, 고객으로부터 구매 결정 의사를 수신한다(S430). 이어서 고객 단말(200)은 판매 시스템(100)에게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S440). 그러면 판매 시스템(100)은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를 진행한다(S450).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의 다른 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의 다른 예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고객 단말(200)은 상품 구매를 위하여 판매 시스템(100)에게 색상 비교 요청을 전송한다(S610). 그러면 판매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200)에게 상품 이미지 및 상품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620). 이때 상품 이미지 정보는 상품 구매를 위하여 제공하는 상품 이미지의 촬영 장치 정보, 촬영 조명 정보 및 색상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영 장소가 사무실, 거실 또는 방인지 여부, 촬영 조명이 LED, 형광등 또는 백열등인지 여부, 조명과 상품 간격이 몇 미터인지 정보, 조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품 이미지는 상품 전체 이미지, 부분 이미지 또는 확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상품 이미지의 한 예시로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폼롤러인 경우이다.
그러면 고객 단말(200)은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보유한 물품을 촬영하여 이를 기준 이미지로서 업로드한다(S630). 이때 기준 이미지는 도 8과 같이 도 7의 폼롤러와 같은색 계통인 코스트코 쇼핑백 일 수 있다.
이어서 고객 단말(200)은 상품 이미지 및 기준 이미지에 대한 비교 종류의 선택을 수신한다. 즉 고객 단말(200)은 전체 비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S640). 전체 비교 선택은 주로 한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진 상품이나 색상이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상품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200)은 부분 비교를 선택할 수 있다(S650). 그러면 고객 단말(200)은 판매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도 7을 수신하고 고객 본인이 촬영하여 업로드한 도 8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즉, 고객은 자신의 단말을 통하여 도 7 및 도 8과 같은 이미지에서 부분 비교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그 부분의 칼라값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색상을 포함하는 상품인 경우나 특정 부분의 색상을 비교하고 싶은 경우, 혼합되는 개별 색상의 투입 비율에 따라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색상의 변화가 매우 민감하게 바뀌는 색상의 경우, 또는 단일한 색상의 상품이더라도 고객이 RGB 값을 직접 대조하여 미세한 차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가정용 LED 60w 전등을 1.5M 높이 상부에서 제품에 직접 비추고 갤럭시 20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제공했고 고객도 그와 유사한 촬영환경에서 촬영한 쇼핑백을 업로드 하여 하얀 테두리의 원으로 된 부분을 서로 비교하는 경우의 정보를 정리한 표이이다. 부분 비교가 가능한 부분은 판매 시스템(100)에서 사전에 제공하고 고객 단말(200)은 판매 시스템(100)이 제공한 부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이 촬영한 부분은 직접 부분 선택하면 두 부분의 색상과 색상값이 나란히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객 단말(200)이 촬영한 쇼핑백의 R값이 더 크므로(174<201) 쇼핑백의 빨강이 폼롤러의 빨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밝은 빨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체 비교 및 부분 비교는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별도의 화면에서 단독으로 보는 방식으로 전환되면 고객이 단말(200)에서 별도로 요청하지 않더라도 이미지 정보와 색상값 정보가 자동으로 다운로드 될 수 있도록 하여 검색과 비교과정에서 수반될 수 있는 트래픽과 비교 소요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어서 고객 단말(200)은 전체 비교 또는 부분 비교 과정을 거쳐 구매 결정을 고객으로부터 수신한다(S670). 고객 단말(200)은 상품 구매 요청을 판매 시스템(100)에게 전송한다(S680). 그러면 판매 시스템(100)은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를 진행한다(S690).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비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고객 단말(200)은 상품 구매를 위하여 판매 시스템(100)에게 색상 비교 요청을 전송한다(S910). 그러면 판매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200)에게 표준 색상 정보를 전송한다(S920). 이 경우에는 상품의 색상을 표준색상값으로 제공하는 실시예로서 한국 산업 규격(KS), 미국 표준 협회(ASA), 일본 공업 규격(JIS) 등 많은 나라의 국가 표준 색체계로 지정된 먼셀(Munsell) 색체계를 이용하여 상품의 색상과 가장 근접한 먼셀 색체계상의 색상을 제시하여 고객이 제품의 칼라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고객 단말(200)은 상품 이미지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면(S930), 해당 부분에서 판매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은 표준 색상 정보가 표시되고, 고객 단말(200)은 구매 결정을 고객으로부터 수신한다(S940). 이어서 고객 단말(200)은 판매 시스템(100)에게 구매 요청을 전송한다(S950). 판매 시스템(100)은 구매에 해당하는 후속 과정을 처리한다(S960). 예를 들어 R 201 G 41 B34 칼라는 에 해당되며 CMYK 칼라값은 #c92922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면 고객은 먼셀 색체계의 7.5R 4/14라는 정보를 통해 더욱 정확하게 자신이 선택한 색상을 인식할 수 있고 제시된 상품과의 차이도 알 수 있다.
먼셀 색체계는 거의 유사한 칼라라도 미세하게 다른 칼라와 비교해 볼 수 있는 기능들도 온라인 시스템으로 제공되고 있어 필요 시 해당 사이트를 링크 시켜 고객의 비교 의욕을 더욱 구체적으로 충족시켜 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고객 단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 시스템으로서,
    상기 고객 단말로 하여금 상품 이미지 및 기준 색상을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함께 비교하게 하는 정보 제공부, 그리고
    상기 고객 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를 처리하는 판매 처리부
    를 포함하는 판매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판매자와 고객이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 상기 기준 색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판매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정보 제공부가 상기 고객 단말에게 제공하는 판매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상품 이미지 또는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촬영 장치 정보, 촬영 조명 정보 및 RGB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판매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상품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 단말이 촬영한
    판매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상품 이미지 또는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한 표준 색체계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상품 이미지, 상기 기준 이미지,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표준 색체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판매 시스템.
  9.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품 이미지와 촬영한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처리하며, 상기 판매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처리부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고객 단말.
  10. 제항에서,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품 이미지의 일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여 비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고객 단말.
  11. 제9항에서,
    상기 쇼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상품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고객 단말.
  12. 제9항에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고객 단말이 직접 촬영한 이미지 이거나,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인
    고객 단말.
  13. 고객 단말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색상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판매 시스템에게 색상 비교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상품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품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색상 비교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상품 이미지 및 상기 기준 이미지에서 비교 위치를 선택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색상 비교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비교 위치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색상 비교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RGB 값, 촬영 조명 정보 및 촬영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색상 비교 방법.
  17. 제13항에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직접 촬영한 이미지, 상기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또는 이미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중 하나인 색상 비교 방법.
KR1020210170438A 2021-12-01 2021-12-01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 KR10256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438A KR102567464B1 (ko) 2021-12-01 2021-12-01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438A KR102567464B1 (ko) 2021-12-01 2021-12-01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487A true KR20230082487A (ko) 2023-06-08
KR102567464B1 KR102567464B1 (ko) 2023-08-14

Family

ID=8676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438A KR102567464B1 (ko) 2021-12-01 2021-12-01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4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582A (ja) * 2009-03-31 2010-10-21 Toshiba Corp 画像配信装置、画像配信方法、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20110114767A (ko) * 2010-04-14 2011-10-20 김세훈 모니터 화면색상과 제품색채를 일치시키는 표준색채가이드
KR20160018481A (ko) * 2013-06-13 2016-02-17 톰슨 라이센싱 이미지들을 뷰잉 환경과 매칭하는 시스템 및 방법들
KR101765184B1 (ko) * 2016-02-26 2017-08-04 (주)스쿨뮤직 온라인 쇼핑몰 제품의 심미감 비교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582A (ja) * 2009-03-31 2010-10-21 Toshiba Corp 画像配信装置、画像配信方法、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20110114767A (ko) * 2010-04-14 2011-10-20 김세훈 모니터 화면색상과 제품색채를 일치시키는 표준색채가이드
KR20160018481A (ko) * 2013-06-13 2016-02-17 톰슨 라이센싱 이미지들을 뷰잉 환경과 매칭하는 시스템 및 방법들
KR101765184B1 (ko) * 2016-02-26 2017-08-04 (주)스쿨뮤직 온라인 쇼핑몰 제품의 심미감 비교정보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464B1 (ko) 202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4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user in online searching and purchasing of multiple items
US201403370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ime of purchase consumer survey
US9542703B2 (en) Virtual custom framing expert system
US93845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user to perform online searching and purchasing of multiple items
US10817923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US20170132822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in virtualized framing using image metadata
US8237732B2 (en) Color reproduction system, color reproduction device, color reproduc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color reproduction program
US20140279222A1 (en) Checkout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Multiple Items On-Line
CN210222786U (zh) 电子价签控制系统
KR100472579B1 (ko) 촬상시 조명에 대응하는 광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567464B1 (ko) 판매 시스템, 단말 및 그의 색상 비교 방법
JP2016033707A (ja) コーディネート提案装置及び方法
US9258615B2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for smart TV
US20170103436A1 (en) Coordination server, coordination system, and coordination method
US201402293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items
US117101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artwork
KR102265000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상 내 실시간 상품 인식에 의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3592601A (zh) 网购辅助方法、电视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492176B (zh) Image Playing System with Customer Preference Product Analysis Capability and Its Method
KR20210020183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 고객맞춤 피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2012002851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
US20190333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price information
US1010256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matching images with viewing environment
Sano et al. Wide gamut LCD using locally dimmable four‐primary‐color LED backlight
US202303859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ar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