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51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516A
KR20120028516A KR1020100090408A KR20100090408A KR20120028516A KR 20120028516 A KR20120028516 A KR 20120028516A KR 1020100090408 A KR1020100090408 A KR 1020100090408A KR 20100090408 A KR20100090408 A KR 20100090408A KR 20120028516 A KR20120028516 A KR 20120028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mage
display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대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8516A/ko
Priority to EP11164976A priority patent/EP2434445A1/en
Priority to US13/103,487 priority patent/US20120066075A1/en
Publication of KR2012002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상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광고 영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선택된 상기 광고 영상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광고 실행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광고 영상의 활용도를 증가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MMERCIAL DISPLAY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OP 광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를 소비자에게 알리기 위한 광고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하여 알리려고 하는 의도적인 활동으로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한 TV 광고, 라디오 광고 등이 있으며, 지면을 통한 신문 잡지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표시 장치가 전시된 대리점 등의 매장에 있어서,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사 또는 브랜드 정보, 화면의 인치 정보, 해상도 정보 등의 제원을 소비자에게 알려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POP(Point of Purchase) 광고를 스티커 형태로 제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매장의 외부나 표시 장치의 주변 위치 즉, 보행자의 통로에 설치할 수 있도록 제작된 POP 광고물을 배치하여 표시 장치의 광고에 사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POP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여 시각적인 광고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 영상의 활용도를 증가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 영상의 상세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부가 기능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서버를 이용하여 광고 영상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상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광고 영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선택된 상기 광고 영상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광고 실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정 부가 기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실행부는 선택된 상기 광고 영상을 북마크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상세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상세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영상이 구매 가능한 컨텐츠 광고인 경우,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정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광고 영상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광고 영상을 OSD(on screen display)로 생성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서버로 장치 ID, 광고 ID, 광고 영상 선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상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광고 영상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영상의 활용도를 증가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영상의 상세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가 기능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를 이용하여 광고 영상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 영상의 상세정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 영상에 의한 부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영상 실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광고를 구매하기 위한 구매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영상 실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 저장부(20), OSD 생성부(30), 사용자 입력부(40) 및 광고 실행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IP TV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노트북, 각종 AV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넷북, 각종 모바일 단말기, 전자 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LFD(large format display) 또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table top display)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는 광고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액정을 포함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원에 관한 데이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사 또는 브랜드 정보, 화면의 인치(Inch) 정보, 해상도 정보 및 패널 정보 등 POP(Point of Purchase) 광고에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광고 영상)를 저장한다. 이러한 광고 영상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원에 대한 데이터 이외에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에 대한 광고, 디스플레이장치와 관련된 다른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영상(Ⅰ)은 섬네일과 같은 이미지 영상일 수도 있고, 플래시 등을 포함하는 애니메이션 동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광고 영상(Ⅰ)에 음향 효과가 추가될 수도 있다. 저장부(20)는 내장 또는 외장의 플래시 메모리로 마련될 수 있고, 광고 실행부(50) 또는 OSD 생성부(30)에 머지될 수도 있다.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영상은 업데이트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삭제될 수도 있다.
OSD 생성부(30)는 디스플레이부(10)에 OSD 창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 OSD 창 내부에 형성된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메뉴를 선택 받으면, 이에 대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0)의 밝기(brightness)와 대비비(Contrast), 동조, RGB 조정, 화면의 상하 좌우 크기 및 위치 조정 등을 수행하는 GUI 생성부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OSD 생성부(30)는 표시되는 영상과 함께 광고 영상을 OSD로 중첩하여 표시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영상(Ⅰ)은 복수의 광고 항목(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광고 항목(Ⅱ)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크게 확대되거나 하이라이트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0)를 통하여 광고 항목(Ⅱ)을 검색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0)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어 있는 광고 항목(Ⅱ)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며,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어 있는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트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터치기반 센서를 포함하거나,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4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우징에 포함되어 있는 버튼 또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키패드와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0)를 통하여 광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광고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광고 실행부(50)는 광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저장부(20) 및 OSD 생성부(3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광고 영상(Ⅰ)을 표시할 수 있다.
광고 영상(Ⅰ)은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의 하단에 가로로 표시될 수도 있고,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세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과 오버랩되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나의 광고 항목(Ⅱ)이 표시되고, 순차적으로 다른 광고 항목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광고 실행부(50)는 광고 영상(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광고 영상, 즉 광고 항목(Ⅱ)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광고 항목(Ⅱ)에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은 광고 항목(Ⅱ)에 상세정보를 표시하거나, 선택된 광고 항목(Ⅱ)을 북마크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북마크된 광고 영상(Ⅰ)을 용이하게 검색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북마크는 사용자 별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저장부(20)는 북마크된 광고 영상(Ⅰ)을 사용자 별로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광고 영상(Ⅰ)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정 부가 기능을 나타내는 경우, 광고 영상(Ⅰ)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은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부가 기능은, IPTV 에서 웹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외부 또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웹의 특정 사이트, 예를 들어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접속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광고 영상(Ⅰ)이 구매 가능한 컨텐츠 광고인 경우, 광고 실행부(50)는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광고 영상(Ⅰ)의 실행을 위한 데이터는 저장부(2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광고 영상(Ⅰ)을 OSD 형태로 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광고 영상(Ⅰ)에 관련된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광고 영상(Ⅰ)의 활용도를 높이고, 이에 따른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 영상의 상세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원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광고 항목(Ⅱ)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대표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LED TV”라는 섬네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이 광고 항목을 선택하면, 현재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고 항목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광원으로 LED을 포함하며, 이러한 LED는 액정표시패널(미도시)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는 에지형 타입이며, 패널의 크기, 해상도 등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상세정보는 저장부(2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세정보는 정지 영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광고 영상(Ⅰ)을 상세히 설명하고 사용자의 인식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동영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 영상에 의한 부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부가 기능이 어떠한 것이든, 부가 기능에 대한 광고 항목(Ⅱ)이 선택되면, 광고 실행부(5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즉 위젯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광고 실행부(50)는 사용자가 선택한 부가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광고 항목(Ⅱ)이 VOD 에 대한 것이면, 광고 실행부(50)는 VOD와 관련된 창을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할 수도 있다. VOD에 관련된 창은 최신 컨텐츠에 대한 정보, 추천 컨텐츠에 대한 정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항목 등을 포함할 것이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부가 기능이 전자 액자 기능이면, 광고 실행부(50)는 전자 액자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도 있고, 표시할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부가 기능을 광고 영상(Ⅰ)에 포함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부가 기능의 활용도가 증가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영상 실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OSD 생성부(3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상(Ⅰ)을 OSD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0)의 일 영역에 표시한다(S10).
그런 후, 사용자 입력부(40)로부터 광고 영상(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20).
광고 실행부(50)는 선택된 광고 영상, 즉 광고 항목(Ⅱ)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S30). 이러한 기능은 광고 영상(Ⅰ)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정 부가 기능을 나타내는 경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것, 광고 영상을 북마크로 저장하는 것, 광고 영상(Ⅰ)에 대한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서버(200)와 통신하는 통신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인터넷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신부(60)는 랜 카드 또는 모뎀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서버(200)와 데이터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 연결 상태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패킷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60)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TCP/IP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서버(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 각종 데이터 및 정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프로바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IPTV로 구현될 경우, 서버(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웹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각종 사이트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60)를 통하여 서버(200)로부터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될 광고 영상(Ⅰ), 광고 영상(Ⅰ)에 대한 상세정보, 부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창, 어플리케이션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로부터 광고 영상(Ⅰ) 중 시간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광고 영상(Ⅰ)이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세일 기간과 같은 특정 기간 동안 가격이 변동되는 광고를 광고 영상(Ⅰ)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경우, 서버(200)에 광고 영상(Ⅰ)을 추가 및 변경함으로써, 변동되는 광고 영상(Ⅰ)을 손쉽게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광고 영상(Ⅰ)이 구매 가능한 컨텐츠 광고인 경우, 통신부(60)는 서버(200)와 통신하여 컨텐츠의 검색, 컨텐츠 구매를 위한 각종 인터페이스 창을 수신하고, 광고 실행부(50)는 이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광고를 구매하기 위한 구매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 종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을 수 있는 웹 상의 어플리케이션 마켓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40)를 통하여 어플케이션 마켓에 접속하고, 어플리케이션 마켓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와 서버(200)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때, 광고 실행부(50)는 서버(200)로 장치 ID, 광고 ID, 광고 영상 선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도록 통신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버(20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컨텐츠가 구매되는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제공한 광고 영상(Ⅰ) 중 어떠한 광고 항목(Ⅱ)이 많이 선택되는 지에 관한 정보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서버(200)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를 프로파일링하여 보다 다양하면서도 사용자 기호에 맞는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 및 광고 영상(Ⅰ)에 대한 정보를 다른 비즈니스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영상 실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역시 도 5에 포함되어 있는 광고 영상 표시단계(S10), 선택 신호 수신 단계(S20) 및 광고 영상(Ⅰ)을 실행하는 단계(S3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광고 영상(Ⅰ)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프로바이더와 같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광고 영상(Ⅰ)을 실행하기 위하여 컨텐츠 프로바이더와 통신한다. 이 경우, 광고 영상(Ⅰ)을 표시하기 전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할 광고 영상(Ⅰ)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S11).
그리고, 서버(200)와 통신하는 과정에서 장치 ID, 광고 ID, 광고 영상 선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는 서버(200)가 사용자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컨텐츠의 다양화 및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광고 영상을 OSD로 표시하여 사용자 접근성을 높이고, 또한, OSD로 표시된 광고 영상에 관련된 기능을 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촉진한다. 이로써, 광고 영상의 광고 효과도 증대되고 광고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한 판매 시스템도 구축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장치 20 : 저장부
30 : OSD 생성부 40 : 사용자 입력부
50 : 광고 실행부 60 : 통신부
100 : 디스플레이장치 200 : 서버

Claims (1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상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광고 영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선택된 상기 광고 영상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광고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정 부가 기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실행부는 선택된 상기 광고 영상을 북마크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상세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상세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영상이 구매 가능한 컨텐츠 광고인 경우,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정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광고 영상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광고 영상을 OSD(on screen display)로 생성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서버로 장치 ID, 광고 ID, 광고 영상 선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상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광고 영상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특정 부가 기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광고 실행부는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광고 영상을 북마크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정보를 소정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영상이 구매 가능한 컨텐츠 광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정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영상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소정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영상을 OSD(on screen display)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장치 ID, 광고 ID, 광고 영상 선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표시방법.


KR1020100090408A 2010-09-15 2010-09-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 KR20120028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08A KR20120028516A (ko) 2010-09-15 2010-09-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
EP11164976A EP2434445A1 (en) 2010-09-15 2011-05-05 Display apparatus and commercial display method of the same
US13/103,487 US20120066075A1 (en) 2010-09-15 2011-05-09 Display apparatus and commercial display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08A KR20120028516A (ko) 2010-09-15 2010-09-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16A true KR20120028516A (ko) 2012-03-23

Family

ID=4450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408A KR20120028516A (ko) 2010-09-15 2010-09-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66075A1 (ko)
EP (1) EP2434445A1 (ko)
KR (1) KR201200285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4571A (zh) * 2012-12-14 2013-04-03 广东长虹电子有限公司 一种可以植入互联网广告的网络电视机
CN109862413A (zh) * 2019-03-20 2019-06-0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在播放画面中同时显示设备信息的方法及显示设备
US11200294B2 (en) 2019-03-20 2021-12-14 Hisense Visual Technology Co., Ltd. Page updat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7474A2 (en) * 1999-04-30 2000-11-09 Thomson Licensing S.A. Advertisement and tracking in a television apparatus
KR100380581B1 (ko) * 2000-11-28 2003-04-16 주식회사 유엠디지털 일체형인 다수개의 모니터를 갖는 컴퓨터의 화면 조정시스템
US20100030578A1 (en) * 2008-03-21 2010-02-04 Siddique M A Sami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shopping, business and entertai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4445A1 (en) 2012-03-28
US20120066075A1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2116B2 (en) Interactive video advertisement in a mobile browser
CN102769725B (zh) 图像显示设备、便携式终端以及操作其的方法
CN111435998B (zh)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9535945B2 (en) Intent bas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CN113157906A (zh) 推荐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7204874A (ja) 画像受信装置
EP2940607A1 (en) Enhanc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US20160092152A1 (en) Extended screen experience
KR20130089921A (ko)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동작 방법
US201500193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mobile devices
US20120198379A1 (en) E-book terminal,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2883263B (zh) 信息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926242B (zh) 直播商品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2851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고표시방법
KR20160143432A (ko) 검색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2447901B1 (en) Media distribution architecture for television viewing
JP5805289B2 (ja) 装置及び配信方法
JP2015228238A (ja) 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CN104102736A (zh) 一种个性化展示网页的方法、装置
US20120304221A1 (en) Unified onscreen advertisement system for avdds
US20160066045A1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50143390A1 (en) Fillable form for providing and receiving customized audio video content
JPWO2017098576A1 (ja) 提示装置、提示方法、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情報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6279679B2 (ja) プログラム、端末装置、装置及び配信方法
JP2020042636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