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464A -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 Google Patents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464A
KR20230081464A KR1020210169529A KR20210169529A KR20230081464A KR 20230081464 A KR20230081464 A KR 20230081464A KR 1020210169529 A KR1020210169529 A KR 1020210169529A KR 20210169529 A KR20210169529 A KR 20210169529A KR 20230081464 A KR20230081464 A KR 2023008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fferentiation
adipocyte differentiation
flower
buddha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진
차윤엽
박예진
신수
최민우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9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464A/ko
Publication of KR2023008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털부처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Composition of Hairy Buddha Flower Extract and its Treatment}
본 발명은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부처꽃과(Lythrum salicaria L. 또는 Lythraceae)는 전세계적으로 28속 600여종이 있으며 주로 열대지역에 분포하고 소수는 온대지역에 분포하며 하천, 논, 밭, 습지 등 수분이 많은 곳에서 자란다.
한국산 부처꽃과는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를 제외한 대부분의 식물이 수생식물로 초본이며, 호수, 늪, 저수지, 하천, 습지 등에 서식한다.
공개특허 10-2012-0053305 등에서 털부처꽃 잎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당흡수를 저해하는 항당뇨 관련 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보고나 항비만 활성을 다룬 적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지방세포 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털부처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는 지방세포 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3T3-L1 세포주에서 털부처꽃 추출물의 분화능 억제 효능을 나타낸다.
도 2는 3T3-L1 세포주에서 털부처꽃 지상부 및 전초 열수추출물의 분화능 억제 효능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털부처꽃의 특정 부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억제" 및 "약화"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사용하여, 특정 세포의 분화나, 특정 물질의 수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의 진행을 감소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킨슨병에 사용하여 파킨슨병에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파킨슨병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치료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일 실시예는,털부처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를 제공한다.
후술하는 실험예 1 및 실험예2를 통해 털부처꽃 추출물이 지방세포분화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세포분화 억제 추출물 및 그 치료제가 전술한 털부처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경우 지방세포분화 억제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지방세포분화 억제 치료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식품, 의약품, 사료 첨가제 및 음용수 첨가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되는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가능하며, 경구용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약학적 제형은 구강(oral), 직장(rectal), 비강(nasal), 국소(topical; 볼 및 혀 밑을 포함), 피하, 질(vaginal) 또는 비경구(parenteral; 근육내, 피하 및 정맥내를 포함) 투여에 적당한 것 또는 흡입(inhalation) 또는 주입(insufflation)에 의한 투여에 적당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어 정제, 트로키제, 로렌지,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스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캡슐제형의 경우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 등의 주사용 형태, 좌제 주입방식 또는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어로졸제 등 스프레이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좌제로 주입하기 위해서는, 코코아버터 또는 다른 글리세라이드 등 통상의 좌약 베이스를 포함하는 좌약 또는 관장제와 같은 직장투여용 조성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에어로졸제 등의 스프레이용으로 제형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의 투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흡입, 피부도포, 패치제 또는 국소적용과 같이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됨으로써 경감된 질병 상태에 대한 치료에 충분한 본 발명의 치료용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용 물질의 효과적인 양은 특정 화합물, 질병 상태 및 그의 심각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 형태, 건강 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는 아래 실험예들을 통해 확인된 바와 같이 지방세포 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들을 기술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자는 털부처꽃에서 특정 부위들에 대해 각각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예를 들어, 실험예1은 도 3의 털부처꽃의 전초(뿌리 포함)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를 기재하고 있고, 실험예2는 도 3의 털부처꽃의 지상부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를 기재하고 있다.
아래 실험예1 및 실험예2에서 털부처꽃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적으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추출 용액이나 추출 조건의 변경 등)을 통해서도 털부처꽃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1: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1. 실험방법
1) 털부처꽃 추출물 제조
털부처꽃 전초 100 g을 1 L의 물 혹은 30% EtOH로 3시간 동안 100℃에서 열탕추출하였다. Whatman 여과지(filter paper) No. 4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여과시켰다. 30% EtOH 추출물의 경우, 여과물을 40℃에서 EYELAN-1000 회전식 증발기 (EYELA Riakikai Co., LTD, Tokyo, Japan)상에서 감압하에 증발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시료를 획득하였다.
2) 3T3-L1 세포의 배양 및 지방세포분화
3T3-L1 전지방세포는 10% calf serum과 100 unit/ml의 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 배지로 2-3일을 주기로 신선한 배지를 교체하여 37℃, 5% CO2 환경에서 배양되었다. 3T3-L1 전지방세포가 confluent 상태가 된 2일 후 분화유도 배지로 교체하였다(Day 0). 분화유도 배지는 10% FBS와 100unit/ml의 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 배지에 0.5 mM의 IBMX, 1 μM의 DEX, 1 μg/mL의 insulin을 포함하여 사용하였으며, Day 0에서 Day 2까지 48시간 동안 사용하였다. 분화유도 후 배지는 Day 2에서 Day 4까지는 10% FBS와 100 unit/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에 1 μg/mL의 인슐린(insulin)만 포함하여 사용하였으며, 이후 Day 4에서 Day 8까지 10% FBS와 100 unit/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을 사용하였다. 지방세포분화는 Day 8에 종료하였다.
3) Oil-red O (ORO) 염색법을 통한 항비만 활성평가
털부처꽃 추출물의 adipogenesis 억제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킨 3T3-L1 세포의 지방축적량을 ORO 염색법을 통해 정량분석 하였다. 3T3-L1 전지방세포는 62.5 μg/mL의 털부처꽃 EtOH 추출물 또는 125 μg/mL의 털부처꽃 물추출물을 Day 0에서 Day 8까지 분화 배지와 함께 처리하였으며, ORO 염색은 Day 8에 실시하였다. 분화가 완료된 3T3-L1 지방세포는 PBS 0.5 ml를 넣어 세척을 한 뒤 10%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고정시켰다. 그 후 증류수를 이용해 헹구고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ORO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염색시켰다. 염색 후 증류수를 사용해 헹구어 준 후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가하여 세포내 ORO를 녹인 후 96-well plate에 100 μL/well만큼 옮겨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현미경을 통한 지방세포의 수 및 크기 관찰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구(lipid droplet)의 수와 크기는 현미경(Korealabtech KI-400; Seongnam, Korea)을 통해 관찰하였다. 분화된 Day 8의 3T3-L1 지방세포를 10%의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이용해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고정시키고 ORO 염색을 실시한 후 염색된 지방구는 현미경을 통해 이미지를 관찰하였다.
2. 실험결과
1)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확인
털부처꽃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Oil-red O 염색 방법으로 지질 축적을 확인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Differentiation -)에 비해 분화를 유도한 실험군(Differentiation +)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급격히 증가한 반면, 털부처꽃 추출물 처리 시 지방세포 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을 때에도 유사한 경향을 확인함으로써 털부처꽃 물 (Water Ext.) 혹은 EtOH 추출물 (EtOH Ext.)의 처리에 의해 지방세포 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실험예1을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는 지방세포 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털부처꽃의 전초의 추출물이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래 실험예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털부처꽃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에 상대적으로 더 유의미한 억제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2: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1. 실험방법
1) 털부처꽃 지상부 열수추출물 제조
건조 상태 털부처꽃 지상부 중량의 20배수의 물로 4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 추출하였다.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 후, 60℃에서 감압농축하여 농축액을 수득하여 농축액의 고형분과 말토덱스트린을 80:20으로 혼합하여 분무건조하고 분말을 회수하였다.
2) 3T3-L1 세포의 배양 및 지방세포분화
3T3-L1 전지방세포는 10% calf serum과 100 unit/ml의 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 배지로 2-3일을 주기로 신선한 배지를 교체하여 37℃, 5% CO2 환경에서 배양되었다. 3T3-L1 전지방세포가 confluent 상태가 된 2일 후 분화유도 배지로 교체하였다 (Day 0). 분화유도 배지는 10% FBS와 100unit/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 배지에 0.5 mM의 IBMX, 1 μM의 DEX, 1 μg/mL의 insulin을 포함하여 사용하였으며, Day 0에서 Day 2까지 48 h 동안 사용하였다. 분화유도 후 배지는 Day 2에서 Day 4까지는 10% FBS와 100 unit/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에 1 μg/mL의 인슐린(insulin)만 포함하여 사용하였으며, 이후 Day 4에서 Day 8까지 10% FBS와 100 unit/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을 사용하였다. 지방세포분화는 Day 8에 종료하였다.
3) Oil-red O (ORO) 염색법을 통한 항비만 활성평가
털부처꽃 지상부 열수추출물의 adipogenesis 억제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킨 3T3-L1 세포의 지방축적량을 ORO 염색법을 통해 정량분석 하였다. 3T3-L1 전지방세포는 125 μg/mL의 털부처꽃 지상부 열수추출물 혹은 대조군으로써 125 ug/mL의 털부처꽃 전초 열수추출물을 Day 0에서 Day 8까지 분화 배지와 함께 처리하였으며, ORO 염색은 Day 8에 실시하였다. 분화가 완료된 3T3-L1 지방세포는 PBS 1 mL를 넣어 세척을 한 뒤 10%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고정시켰다. 그 후 증류수를 이용해 헹구고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ORO solution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염색시켰다. 염색 후 증류수를 사용해 헹구어 준 후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가하여 세포내 염색된 ORO를 녹인 후 96-well plate에 100 μL/well만큼 옮겨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현미경을 통한 지방세포의 수 및 크기 관찰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구(lipid droplet)의 수와 크기는 현미경(Korealabtech KI-400; Seongnam, Korea)을 통해 관찰하였다. 분화된 Day 8의 3T3-L1 지방세포를 10%의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이용해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고정시키고 ORO 염색을 실시한 후 염색된 지방구는 현미경을 통해 이미지를 관찰하였다.
2. 실험결과
1) 털부처꽃 지상부 열수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확인
털부처꽃 지상부 열수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ORO 염색 방법으로 지질 축적을 확인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Differentiation -)에 비해 분화를 유도한 실험군(Differentiation +)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급격히 증가한 반면, 털부처꽃 지상부 열수추출물(Above-ground) 처리 시 지방세포 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을 때에도 유사한 경향을 확인함으로써, 털부처꽃 지상부 열수추출물(Above-ground)이 털부처꽃 전초 열수추출물(Whole plant)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더 유의미한 억제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실험예2를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는 털부처꽃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에 상대적으로 더 유의미한 억제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3: 털부처꽃의 추출물의 성분분석 및 경제성 분석
털부처꽃의 부위별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다음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에서 전체 추출물에서의 함량 또는 라디칼 소거능=고형분 1g당 값*각 추출물의 고형분량(g)이다.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0% 주정 추출 시 털부처꽃의 전초보다 털부처꽃의 지상부 추출 효율이 높았다. 또한, 3T3- L1 세포에서의 털부처꽃의 전초 추출물 독성이 상대적으로 지상부보다 높았다.
한편, 털부처꽃의 전초와 지상부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주요 성분 함량은 차이 없었다.
원물에서의 단위 함량당 TPC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주요 성분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아래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원물에서 단위 함량당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주요 성분의 함량은 지하부(뿌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전초의 중량비와 추출 효율을 고려하면 뿌리 사용에 의한 이점은 없었다.
경제적 측면과 품질관리적 측면에서, 전초 사용시 매년 파종 및 이식에 비용이 발생하고, 재배후 뿌리 세척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뿌리 절단 후 분쇄 공정이 추가로 발생하며 추출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품질관리적 측면에서 지상부와 뿌리의 중량 비율이 개체별로 차이가 크고, 미분쇄시 수율에 영향을 미치고, 뿌리의 흙을 제거하기 어려워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뿌리 독성으로 인한 안정성 문제가 제기 되었다.
종합하면, 실험예1 및 실험예2를 통해, 털부처꽃의 전초나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에 상대적으로 더 유의미한 억제능을 갖지만, 전술한 실험예2를 통해 털부처꽃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에 상대적으로 더 유의미한 억제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예3을 통해 경제적 측면이나 품질관적 측면에서 털부처꽃의 전초보다 지상부를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의 원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는 털부처꽃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에 상대적으로 더 유의미한 억제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털부처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털부처꽃 추출물은 상기 털부처꽃의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인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3. 털부처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지방세포분화 억제 치료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털부처꽃 추출물은 상기 털부처꽃의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인 지방세포분화 억제 치료제.
KR1020210169529A 2021-11-30 2021-11-30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KR20230081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529A KR20230081464A (ko) 2021-11-30 2021-11-30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529A KR20230081464A (ko) 2021-11-30 2021-11-30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64A true KR20230081464A (ko) 2023-06-07

Family

ID=8676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529A KR20230081464A (ko) 2021-11-30 2021-11-30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4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nch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L.) as a valuable medicinal plant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00010316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RU2668135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которая содержит,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смешанный экстракт коры корня пиона полукустарникового, корня дудника даурского и корня володушки или его фракцию
Ferro et al. A new steroidal saponin from Solanum sisymbriifolium roots
JP2010024222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並びにコラーゲン産生促進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0796004B1 (ko) 소포리코사이드를 함유하는 체중감소 또는 체지방감소용조성물
KR101491771B1 (ko) 흰점박이꽃무지 현탁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317668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20070101660A (ko) 자작나무 수액과 대황 및 애기수영의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물티슈 조성물
KR101830864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81464A (ko)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KR20210048933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60213605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nsisting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and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showing preventing activity of baldness and stimulating activity of hair growth
KR101938933B1 (ko) 모과, 감초 및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078258A (ja) エンドセリン変換酵素阻害剤
CA1209912A (en) Extract of plants of the family of hypoxidaceae for treatment of cancer
KR20220060886A (ko) 털부처꽃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KR102172448B1 (ko)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20170051926A (ko) 붉은토끼풀(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유래 Biochanin-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퇴행성관절염 예방 기능성 식품 조성물
JP2011126824A (ja) 脂肪蓄積抑制剤
Shekokar et al. A phytopharmacological review of prospective of bhrungaraj (Eclipta alba Hassk.)
Chishti et al. Cuscuta reflexa Traditional miracle plant: A Review on ethnomedicinal and therapeutic Potential
KR20190119020A (ko)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JP2014040487A (ja) 脂肪蓄積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