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436A - 유도모터의 회전자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유도모터의 회전자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436A
KR20230081436A KR1020210169487A KR20210169487A KR20230081436A KR 20230081436 A KR20230081436 A KR 20230081436A KR 1020210169487 A KR1020210169487 A KR 1020210169487A KR 20210169487 A KR20210169487 A KR 20210169487A KR 20230081436 A KR20230081436 A KR 20230081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refrigerant
cooling structure
disposed
turbin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이종석
박상진
황성우
김재현
임명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436A/ko
Priority to US17/845,802 priority patent/US20230170762A1/en
Publication of KR2023008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3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16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having rotors with internally short-circuited windings, e.g. cage rotors
    • H02K17/165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having rotors with internally short-circuited windings, e.g. cage rotors characterised by the squirrel-cage or other short-circui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자 양측면에 배치되는 터빈 블로워 구조; 터빈 블로워 구조 바닥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 유입구 및 회전자의 축 방향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 유출구를 포함하고, 냉매 유입구 및 냉매 유출구와 연통하며 회전자의 도체바를 따라 배치되는 냉매 유로; 및 냉매 유출구를 수용하고, 회전자의 외주면 상에 회전자의 축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을 포함하는 회전자 냉각구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도모터의 회전자 냉각구조{Rotor Cooling Structure for Induction Motor}
본 발명은 유도모터의 회전자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비동기기인 유도모터는 회전자의 자기장이 회전자의 기계적인 회전속도와 동기 되지 않고, 회전속도에 따라 자기장 회전속도와 회전자 회전속도 간에 상이한 슬립 값을 가진다. 즉, 회전자 철심의 자속밀도가 일정하지 않고 교번하여 변한다.
철손(iron loss)은 자기장이 교번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유도모터의 회전자는 동기모터의 회전자보다 철손이 크다. 특히, 유도모터가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주로 낮은 슬립 상태에서 정속 회전하는 산업용 모터와 비교하여 회전 속도의 변화가 잦기 때문에 철손의 영향은 더 크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회전자는 발열이 심하게 된다.
유도모터 구동 시 고밀도의 전류가 저항체에 흐름에 따라 열이 발생하며, 특히 전기자 권선과 회전자의 도체바가 높은 온도로 발열한다. 도체바의 온도 상승은 비저항의 증가로 이어지고 따라서 동손의 증가에 의해 모터 효율이 저하된다. 유도모터가 고출력을 내기 위해서는 높은 전류가 인가될 필요가 있으며, 전기자 권선 및 도체바의 온도 증가에 따른 저항 증가를 억제하도록 효율적인 냉각구조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한편, 유도모터는 동기모터와 비교하여 제어가 까다롭다. 유도모터의 경우, 수시로 변하는 슬립에 따라 회전자 도체바에 유도되는 전류 및 이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회전자 도체바에서 유도되는 자속의 크기는 도체바 저항의 함수이다. 저항이 변화하면 제어 특성이 달라지고 정확한 모터 제어가 어려워진다. 즉, 도체바의 저항은 유도모터의 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지배적인 요인이다.
일정하지 않은 회전자의 저항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유도모터의 정확한 제어, 효율증대 및 고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GM의 경우, 도체바의 저항을 부하 상황에 따라 보다 엄밀하게 추정하기 위해 토크 요구 상황에 따라 도체바의 발열 거동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한 이중 저항 추정 모델을 사용하기도 한다(특허문헌 0001 참조). 또한, 유도모터의 중량 대비 출력이 중요한 차량 구동용 전기 모터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회전자 냉각이 필수적이다. Tesla의 경우, 공작기계 주축에 적용되는 축심 냉각을 유도모터 회전자에 적용하여 유도모터의 출력을 크게 향상시킨 바 있다(특허문헌 0002 참조).
저전류밀도 상태에서 주로 운전되는 산업용 유도모터의 경우 공랭식이 일반적이나, 전술한 특징을 고려하면 차량용 유도모터는 보다 적극적인 냉각구조가 요구된다. 즉, 손실 저감 및 효율 향상을 위한 제어 정밀도 향상을 위해 도체바의 온도 추정이 용이하고, 고출력을 내기 위해 발열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냉각 방식이 필요하다.
US 8339082 (2012.12.25) US 7489057 (2009.02.10)
본 개시는 유도모터의 회전자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냉각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에 따른 회전자 냉각구조는 유도모터 용 회전자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터빈 블로워 구조; 터빈 블로워 구조 바닥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 유입구 및 회전자의 축 방향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 유출구를 포함하고, 냉매 유입구 및 냉매 유출구와 연통하며 회전자의 도체바를 따라 배치되는 냉매 유로; 및 냉매 유출구를 수용하고, 회전자의 외주면 상에 회전자의 축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빈 블로워 구조는 도체바를 연결하는 단락환(end-ring)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되, 터빈 블로워 구조의 내주측에서 외주측 및 회전자 양측면 외측에서 회전자 양측면 방향으로 유동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매 유입구는 냉매 유출구보다 회전자의 중심축에 가깝게 배치되고, 냉매 유로는 냉매 유입구에서 냉매 유출구로 중심축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은 뾰족한 부분이 냉매 유출구를 수용하는 쉐브론(Chevron) 패턴이 회전자의 축 방향 중앙 단면을 기준으로 회전자의 양측으로 엇갈리게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쉐브론 패턴은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동압을 발생하도록 회전자의 원주 방향으로 일방향의 제1폭이 타방향의 제2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쉐브론 패턴의 홈 깊이는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빈 블로워 구조는 단락환의 반경 방향 내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빈 블로워 구조에 의해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공되는 유동압은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에 의해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공되는 유동압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매 유로는 도체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체바를 관통하는 냉매 유로의 내주면은 소정 피치로 회전하는 그루브 형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매 유로는 도체바의 외측에 형성되는 홈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유도모터는, 전술한 회전자 냉각구조를 포함하되, 터빈 블로워 구조 외측에 배치되는 오일 미스트 공급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일 미스트의 공급량은 유도모터의 발열 상태 및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회전자 냉각구조는 냉매가 회전자 양측면에서 도체바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유동한 후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틈새인 에어갭(air-gap)으로 방출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자 양측면에 배치되는 터빈 블로워(turbine blower) 구조에 의해 회전자 외부의 냉매를 회전자 내부로 밀어 넣으며, 회전자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micro groove pattern)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압에 의해 에어갭 영역의 냉매를 다시 회전자 양측면으로 배출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회전자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냉각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양측면의 블로워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바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냉매 유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외주면의 그루브 패턴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냉각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냉각구조(1)는 터빈 블로워 구조(100), 냉매 유로(200) 및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300)을 포함한다.
터빈 블로워(110)는 회전자(10) 양측에 인접한 영역의 공기 및/또는 냉매를 냉매 유로(200)로 밀어 넣는 역할을 한다. 터빈 블로워 구조(100)는 회전자(10)의 축 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블로워 구조(100)는 회전자(10)의 단락환(end-ring, 120)에 구현될 수 있다. 단락환(120)의 축 방향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단락환(120)은 2개의 환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1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기존의 단락환(12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되고, 회전자(10)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터빈 블로워 구조(100)가 형성될 수 있다. 터빈 블로워(110)의 바닥 면(112)은 냉매 유로(200)와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10)가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동압에 의해 터빈 블로워 구조(100) 외측 영역의 공기 및/또는 냉매가 냉매 유로(200)로 유입될 수 있다. 터빈 블로워(110)의 크기 또는 용량은 냉매 유로(200)를 따라 냉매가 원활하게 유동되되 터빈 블로워(110)에 의한 회전 손실 증가가 최소화되는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터빈 블로워 구조(100)는 단락환(120)에 일체로 사전 형성된 후 회전자(10)의 도체바(130)와 결합될 수 있고, 혹은 회전자(10)와 결합된 후 통상의 5축 가공기에 의한 밀링 가공에 의해 후가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냉매 유로(200)는 터빈 블로워(110)의 바닥 면(112)의 관통구(114)와 연통하는 유입구(210)를 가지고, 회전자(10)의 축 방향 중앙부에 에어갭(140)을 향해 외주면 상에 유출구(220)를 가지며, 유입구(210)와 유출구(220)를 연결하는 내부 냉매 유로(230)는 도체바(13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도체바(130) 외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자(10)의 원심력이 내부 냉매 유로(230)를 따라 흐르는 냉매의 유동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입구(210)에서 유출구(220)를 향해 회전자(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된 위치가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냉매 유로(230)는 유출구(220)에 가까울수록 원심력이 더 크게 작용하도록 유입구(210)로부터 유출구(22)를 향해 점점 더 반경 반향 외측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냉각구조(1)의 회전자(10) 냉각을 위한 냉매로는 냉각 공기, 냉각 오일, 냉각액 또는 냉각 오일이 미스트 형태로 포함된 냉각 공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냉각 오일을 미스트 형태로 터빈 블로워(110)를 향해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오일 미스트 공급 장치(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오일 미스트 공급 장치는 유도모터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냉각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그 공급량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발열 상태, 회전자(10) 회전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냉각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내부 냉매 유로(230)는 복수의 적층 강판(laminated steel sheet, 150) 및 도체바(130)가 조립된 상태에서 건 드릴(gun drill) 또는 심구 드릴(deep hole drilling)에 의해 후가공 되어 회전자(10) 외주면을 통해 에어갭(14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출구(220)의 구멍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체바(130)가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가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삽입 도체바(130`)의 형태로 조립되는 경우에는 내부 냉매 유로(230)의 적어도 일부가 사전에 도체바(130`) 상에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모터의 고정자(160)와 회전자(10) 사이의 틈새인 에어갭(140)은 매우 좁은 틈새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냉각 공기만이 유동되는 경우에는 에어갭(140)이 회전자(10) 외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출구 체적이 냉각 공기의 유동에 충분한 정도로 제공될 수 있어 원활한 냉매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냉각 효과 증대를 위해 냉각 공기에 오일 미스트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에어갭(140)을 따라 오일 미스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착하여 오일에 의한 점성이 회전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10)의 외주면은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300)은 회전자(10)의 회전에 의해 외주면 상에 축 방향 양측으로 동압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300)은 회전자(10) 외주면 중앙에서 양측단을 향해 냉매가 배출되도록 유동압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종합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냉각구조(1)는 냉매 유로(200)가 도체바(130)를 직접 냉각할 수 있도록 인접하여 배치되고, 냉매 유로 유입구(210)로 냉매를 밀어 넣는 터빈 블로워 구조(100)를 포함하고, 또한 냉매 유로 유출구(220)의 외측에는 에어갭(140)을 따라 냉매를 회전자(10) 양측면으로 배출시키도록 유동압을 제공하는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300)을 포함한다. 또한, 냉매 유로(200)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 속도 또는 유동량은 회전자(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가변 된다. 또한, 오일 미스트를 더 포함하는 경우, 오일 미스트의 분사량을 제어하여 냉각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양측면의 블로워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블로워 구조(100)는 단락환(120)의 반경 방향 내측 및 냉매 유로 유입구(210)로 유동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에 적합하도록 터빈 블로워 구조(100)의 형상,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바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냉매 유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유로(200)는 도체바(130)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체바(130`) 외부에 사전 형성된 홈(132)에 의해 도체바(130`)가 적층 강판 조립체(150)에 조립됨으로써 냉매 유로(20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체바(130) 내부를 관통하는 냉매 유로(200) 영역은 열전달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내부에 강선(즉, 소정 피치로 회전하는 내부 그루브) 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외주면의 그루브 패턴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브 패턴은 회전자(10)의 축 방향 중앙부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각각 회전자(10) 양측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그루브 패턴(300)은 외주면에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깊이의 소정 패턴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그루브 패턴(300)은 원주 방향으로 일측의 홈(310)의 폭이 좁고 타측의 홈(320)의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10)의 회전에 따라 에어갭(140) 상의 공기 또는 냉매 또는 오일 미스트를 포함하는 공기는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300)에 의해 일측의 홈(310) 부위와 타측의 홈(320) 부위가 상이한 동압을 발생시킨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홈의 폭이 넓은 타측의 홈(320) 부위는 홈의 폭이 좁은 일측의 홈(310) 부위보다 작은 크기의 동압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냉매 유로(200)를 지나 냉매 유로(200)의 유출구(220)에서 토출된 에어갭(140) 상의 냉매는 홈의 폭이 넓은 부위를 따라 회전자(10)의 양측면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오일 미스트를 포함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경우라도 에어갭(140) 상에 오일이 흡착되어 회전력이 손실됨이 없을 수 있고, 오일 미스트는 회전자(10)의 냉매 유로(200)를 지나며 열을 흡수하여 회전자(10) 양측을 향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동될 수 있다.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300)은 뾰족한 부분(330)이 냉매 유출구(220)를 수용하는 쉐브론(Chevron) 패턴으로 형성되어 회전자(10)의 축 방향 중앙 단면을 기준으로 회전자(10)의 양측으로 엇갈리게 대칭으로 배치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300)은 회전자(10) 외주면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조가 보다 용이하도록 회전자(10)를 감싸고 배치될 수 있는 분할 금형에 의해 전해 또는 방전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매는 회전자(10)의 축 방향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에어갭(140)을 따라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회전자(10)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 양측으로 온도 분포가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회전자(10)의 일측에만 터빈 블로워를 포함하여 회전자(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만 냉매가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종래의 경우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냉매는 회전축 중심에 인접한 회전자(10) 양측면에서 유입되고 에어갭(140)을 통해 다시 회전자(10) 양측면의 회전자(10)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냉매의 원활한 유동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유입구(210) 부위는 냉매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터빈 블로워 구조(100)와 같은 강제 유동 기구가 용이하게 포함될 수 있고, 모터 구조 상 좁을 수밖에 없는 에어갭(140) 영역은 냉매 배출구로 이용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냉매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와 같은 냉매 유로(200) 형상은 터빈 블로워 구조(100)를 회전자(10) 회전축에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터빈 블로워 구조(100)가 회전자(10)의 회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오일 미스트를 공급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추가적인 복잡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매가 순환되는 유입 영역 및 유출 영역 모두에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냉매 유동에 필요한 동압을 제공하는 강제 순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회전자(10)의 냉각 정도가 보다 예측가능한 수준으로 파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냉각구조(1)는 냉각 효율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회전자(10)의 냉각 정도에 대한 추정 및 이에 따른 열적 제어를 위한 모델링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냉각 효율의 개선은 유도모터의 최대 토크가 향상되는 데 기여하며, 또한 회전자(10)의 열적 거동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도체바(130)의 온도 및 이에 따른 도체바(130) 저항 추정이 정확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유도모터의 제어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 블로워 구조(100)에 의해 회전자(1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공되는 유동압은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300)에 의해 회전자(1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공되는 유동압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유도모터 용 회전자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터빈 블로워 구조;
    상기 터빈 블로워 구조 바닥 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 유입구 및
    상기 회전자의 축 방향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매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 유입구 및 상기 냉매 유출구와 연통하며 상기 회전자의 도체바를 따라 배치되는 냉매 유로; 및
    상기 냉매 유출구를 수용하고,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 상에 상기 회전자의 축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
    을 포함하는
    회전자 냉각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블로워 구조는
    상기 도체바를 연결하는 단락환(end-ring)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터빈 블로워 구조의 내주측에서 외주측 및 상기 회전자 양측면 외측에서 상기 회전자 양측면 방향으로 유동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자 냉각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구는 상기 냉매 유출구보다 상기 회전자의 중심축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냉매 유로는 상기 냉매 유입구에서 상기 냉매 유출구로 상기 중심축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상인, 회전자 냉각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은
    뾰족한 부분이 상기 냉매 유출구를 수용하는 쉐브론(Chevron) 패턴이 상기 회전자의 축 방향 중앙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자의 양측으로 엇갈리게 대칭으로 배치되는, 회전자 냉각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쉐브론 패턴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동압을 발생하도록 상기 회전자의 원주 방향으로 일방향의 제1폭이 타방향의 제2폭보다 좁은, 회전자 냉각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쉐브론 패턴의 홈 깊이는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인, 회전자 냉각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블로워 구조는
    상기 단락환의 반경 방향 내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자 냉각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블로워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공되는 유동압은
    상기 마이크로 그루브 패턴에 의해 상기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공되는 유동압보다 크게 형성되는, 회전자 냉각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로는 상기 도체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자 냉각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바를 관통하는 상기 냉매 유로의 내주면은 소정 피치로 회전하는 그루브 형상을 더 포함하는, 회전자 냉각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로는 상기 도체바의 외측에 형성되는 홈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자 냉각구조.
  12. 제1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회전자 냉각구조를 포함하는 유도모터로서,
    상기 터빈 블로워 구조 외측에 배치되는 오일 미스트 공급단을 더 포함하는, 유도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미스트의 공급량은
    상기 유도모터의 발열 상태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제어되는, 유도모터.
KR1020210169487A 2021-11-30 2021-11-30 유도모터의 회전자 냉각구조 KR20230081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87A KR20230081436A (ko) 2021-11-30 2021-11-30 유도모터의 회전자 냉각구조
US17/845,802 US20230170762A1 (en) 2021-11-30 2022-06-21 Rotor cooling structure for induction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87A KR20230081436A (ko) 2021-11-30 2021-11-30 유도모터의 회전자 냉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36A true KR20230081436A (ko) 2023-06-07

Family

ID=8649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487A KR20230081436A (ko) 2021-11-30 2021-11-30 유도모터의 회전자 냉각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70762A1 (ko)
KR (1) KR2023008143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9057B2 (en) 2007-05-01 2009-02-10 Tesla Motors, Inc. Liquid cooled rotor assembly
US8339082B2 (en) 2010-05-21 2012-1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nduction motor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9057B2 (en) 2007-05-01 2009-02-10 Tesla Motors, Inc. Liquid cooled rotor assembly
US8339082B2 (en) 2010-05-21 2012-1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nduction motor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0762A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97296B (zh) 用于冷却电机的方法以及使用这种方法的电机
Popescu et al. Modern heat extraction systems for power traction machines—A review
CN105978188B (zh) 电机器和制造方法
CN103620918B (zh) 旋转电机的冷却结构
JP5772544B2 (ja) 回転電機の冷却構造
EP2779366B1 (en) Electrical machine having cooling features
EP2573906B1 (en) Electrical machine with reduced windage loss
JP6676668B2 (ja) 回転電機のロータ及び回転電機
US7598635B2 (en) Dynamo electric machine
US10523084B2 (en) Cooling system for an electric machine
US11025116B2 (en) Centrifugal fluid-cooled axial flux motor
JP6791463B1 (ja) モータ及びモータ装置
JP5379611B2 (ja) 回転電機
JP5765149B2 (ja) 回転電機
US11569713B2 (en) Axial flux motor including system for circulating coolant through air gap between stator and rotor
CN115224879A (zh) 用于永久磁体马达内部的转子冷却组件和方法
KR20230081436A (ko) 유도모터의 회전자 냉각구조
JP5304617B2 (ja) 電動機の冷却構造
CN114342221A (zh) 用于电机的转子
US10910919B2 (en) Dynamoelectric machine having a thermosiphon
JP2019110664A (ja) ステータの冷却構造
CN115021439A (zh) 一种油冷电机
CN115224837A (zh) 转子组件以及用于马达端部绕组冷却和轴承润滑的方法
CN113394937A (zh) 包括使冷却剂循环通过气隙的系统的轴向磁通电机
JP7016784B2 (ja) 回転電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