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350A -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 - Google Patents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350A
KR20230081350A KR1020210169320A KR20210169320A KR20230081350A KR 20230081350 A KR20230081350 A KR 20230081350A KR 1020210169320 A KR1020210169320 A KR 1020210169320A KR 20210169320 A KR20210169320 A KR 20210169320A KR 20230081350 A KR20230081350 A KR 20230081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central
divided
outrigg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350A/ko
Publication of KR2023008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이동체에 적용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에 있어서, 이동체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중앙 발판, 중앙 발판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 발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확장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분할 발판 및 중앙 발판의 일 측면에 고정되어, 분할 발판이 면접촉으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Variable outrigger and mo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에 관한 것으로, 가변 구조로 구현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아우트리거는 크레인과 같은 대형 중장비의 안정성을 위해 프레임 등에 부착한다. 따라서, 아우트리거의 지지면적은 안정성에 비례한다. 이를 위해 발판의 크기를 키울 경우 장비의 전폭, 적재공간 등의 물리적 한계점에 직면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주장비의 기능과 성능에 문제가 없도록 제한된 공간에 맞춰 아우트리거를 설계 및 배치하였다. 특히 특수장비를 개조할 경우 아우트리거 설치공간이 한정되고, 장비의 전폭이 2.5m를 초과하면 '도로법 제55조 제2항'에 따라 국내도로 이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아우트리거의 발판을 가변구조로 설계함에 따라 주장비의 기본 성능과 인터페이스를 저해하지 않고, 아우트리거의 지지면적을 넓혀 장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동체에 적용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중앙 발판; 상기 중앙 발판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중앙 발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확장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분할 발판; 및 상기 중앙 발판의 일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분할 발판이 면접촉으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발판은,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는 제1 고정 홀을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중앙 블록; 및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양 측면과 각각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면을 지지하는 제2 중앙 블록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중앙 블록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중앙 조립 홈과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는 상기 분할 발판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조립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조립 홈과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는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3 고정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2 고정 홀과 상기 제3 고정 홀에 조립되는 힌지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핀은 상기 제2 고정 홀과 상기 제3 고정 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힌지 핀을 회전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개되어 지지 면적이 가변되고, 접철 형상을 기준으로 회전 방향으로 0°, 90° 또는 18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각도로 전개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이동체의 크기와 하중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면적 또는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이동체 별로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상기 힌지 핀을 통해 상기 중앙 발판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체를 지지하며,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는 상기 이동체의 크기와 하중 별로 상기 분할 발판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2 중앙 블록이 형성되는 양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일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분할 발판의 전개가 완료된 후,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분할 발판과 맞닿아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분할 발판이 회전하는 경우, 기 설정된 각도에서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이 서로 면접촉 되도록 구현되어 상기 분할 발판의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는 상기 가이드 핀을 통해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이 면접촉 되도록 고정됨에 따라 상기 중앙 발판을 통해 상기 분할 발판으로 상기 이동체의 하중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중앙 발판과 연결되는 반대 측면에서 연결되어 상기 지면에 맞닿는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 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 발판은 상기 분할 발판과 탈착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지지 면적을 추가적으로 더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체; 상기 차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중앙 발판; 상기 중앙 발판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중앙 발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확장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분할 발판; 및 상기 분할 발판이 면접촉으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는 이동체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발판은,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고정 홀을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중앙 블록; 및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양 측면과 각각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면을 지지하는 제2 중앙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고정 홀에 고정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에 의해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중앙 블록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중앙 조립 홈과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는 상기 분할 발판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조립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조립 홈과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는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3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는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2 고정 홀과 상기 제3 고정 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힌지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2 중앙 블록이 형성되는 양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일 측면에서 상기 분할 발판이 조립되는 양 측면과 맞닿도록 고정되며,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분할 발판과 맞닿아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을 고정하고, 상기 분할 발판이 회전하는 경우, 기 설정된 각도에서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이 서로 면접촉 되도록 구현되어 상기 분할 발판의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는 상기 가이드 핀을 통해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이 면접촉 되도록 고정함에 따라 상기 중앙 발판을 통해 상기 분할 발판으로 상기 이동체의 하중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가변형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장비의 전폭, 적재 공간 등의 물리적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아우트리거에 발판만 교체하여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가 이동체에 적용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의 분할 발판이 전개되는 형상을 하단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의 분할 발판이 가이드 핀에 의해 고정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에 관한 것이다.
아우트리거는 크레인과 같은 대형 중장비의 안정성을 위해 프레임 등에 부착된다. 따라서, 아우트리거의 지지면적은 안정성에 비례한다. 이를 위해 발판의 크기를 키울 경우 장비의 전폭, 적재공간 등의 물리적 한계점에 직면한다.
이에, 본 발명의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주장비의 기본 성능과 인터페이스를 저해하지 않고, 아우트리거의 지지면적을 넓혀 장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발판을 가변구조로 설계하여, 운용상황에 맞게 지지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아우트리거를 이용하는 모든 중장비, 특수 차량 등에 적용 가능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이동체(1)의 차체에 조립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의해 고정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가 이동체에 적용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중앙 발판(100), 분할 발판(200) 및 가이드 핀(300)을 포함한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이동체에 적용되어, 이동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중앙 발판(100)은 이동체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중앙 발판(100)은 제1 중앙 블록(110) 및 제2 중앙 블록(120)을 포함한다.
제1 중앙 블록(110)은 이동체와 연결되는 제1 고정 홀(112)을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앙 블록(120)은 제1 중앙 블록(110)의 양 측면과 각각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중앙 블록(120)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중앙 조립 홈과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앙 블록(120)의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는 분할 발판(200)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 발판(200)은 중앙 발판(100)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 발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확장되어 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분할 발판(200)은 제2 중앙 블록(120)과 조립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조립 홈과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발판(200)의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는 제2 중앙 블록(120)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3 고정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 발판(200)은 힌지 핀(400)을 회전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개되어 지지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분할 발판(200)은 접철 형상을 기준으로 회전 방향으로 0°, 90° 또는 18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각도로 전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분할 발판(200)은 이동체의 크기와 하중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면적 또는 길이로 제작되어, 이동체 별로 제2 중앙 블록(120)과 힌지 핀(400)을 통해 중앙 발판(100)에 고정되어 이동체를 지지할 수 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이동체의 크기와 하중 별로 분할 발판(20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 핀(300)은 중앙 발판(100)의 일 측면에 고정되어, 분할 발판(200)이 면접촉으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핀(300)은 제2 중앙 블록(120)이 형성되는 양 측면을 연결하는 제1 중앙 블록(110)의 일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핀(300)은 분할 발판(200)의 전개가 완료된 후,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분할 발판(200)과 맞닿아 중앙 발판(100)과 분할 발판(200)을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 핀(300)은 분할 발판(200)이 회전하는 경우, 기 설정된 각도에서 중앙 발판(100)과 분할 발판(200)이 서로 면접촉 되도록 구현되어 분할 발판(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힌지 핀(400)을 더 포함한다.
힌지 핀(400)은 중앙 발판(100)과 분할 발판(200)을 고정하도록 제2 고정 홀과 제3 고정 홀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힌지 핀(400)은 제2 고정 홀과 제3 고정 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가이드 핀(300)을 통해 중앙 발판(100)과 분할 발판(200)이 면접촉 되도록 고정됨에 따라 중앙 발판(100)을 통해 분할 발판(200)으로 이동체의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이동체에 구비되는 프레임(20)을 통해 이동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제1 중앙 블록(110)에 형성되는 제1 고정 홀(112)에 의해 프레임(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20)은 차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1)는 프레임(20)이 차체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에 가변형 아우트리거(10)가 조립되어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면접촉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구성품을 최소화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의 분할 발판이 전개되는 형상을 하단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의 분할 발판이 접철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의 분할 발판이 전개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분할 발판(200)이 가변형으로 설계됨에 따라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지지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기계 구성품으로만 설계되어, 별도의 장치나 전원이 필요 없다.
도 2를 참고하면, 분할 발판(200)은 전개 시 지지면적이 접철된 경우 대비 약 30% 이상의 확장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설치되는 공간이 한정되는 이동체에 설치됨에 따라 최소화된 설치 공간에서 최대화된 지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발판(200)은 접철된 상태에서 하단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개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발판(200)은 중앙 발판(100)의 양 측면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양 측면에서 연결되는 분할 발판(200)은 같은 형상과 재질로 구현되어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의 분할 발판이 가이드 핀에 의해 고정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가이드 핀(300)은 중앙 발판(100)의 일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핀(300)은 분할 발판(200)과 연결되는 중앙 발판(100)의 양 측면과 인접한 일 측면에 고정되며, 분할 발판(200)이 연결되는 양 측면 각각을 제어하도록 분할 발판(200)이 연결되는 부분과 인접한 위치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핀(300)은 면접촉으로 중앙 발판(100)과 분할 발판(2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중 지지의 역할은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이드 핀(300)은 분할 발판(200)이 접철 또는 전개됨에 따라, 중앙 발판(100)과 분할 발판(2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접철 또는 전개된 분할 발판(2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a는 면 접촉을 나타낸다. 따라서, 면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중앙 발판(100)을 통해 분할 발판(200)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기존 아우트리거 발판의 구조적 한계점을 가변형 구조로 극복할 수 있으며, 기본 구성의 발판과 힌지의 조합으로 구성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기존의 아우트리거에 발판만 교체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분할 발판(200)의 길이 및 면적을 이동체 별로 제작하여 이동체 별로 교체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손상이 가해지는 경우, 분할 발판(200)만을 교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가 접철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가 전개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중앙 발판(100), 분할 발판(200), 가이드 핀(300) 및 힌지 핀(400)을 포함하여 구성품을 최소화하였다. 이에 따라, 가변형 아우트리거(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이용 방법을 이해할 수 있고, 별도 장치나 전력 없이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분할 발판(200)을 가이드 핀(300)을 이용하여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핀(300)은 위치 고정의 역할만 수행할 수 있으며, 하중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가변형 아우트리거(10)가 접철 상태에서의 가이드 핀(300)과 분할 발판(200)이 면 접촉으로 위치가 고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핀(300)은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분할 발판(200)을 이동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핀(300)은 분할 발판(200)과 일부분이 접하는 위치에서 중앙 발판(10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가변형 아우트리거(10)의 접철 상태에서의 내부 형상은 분할 발판(200)이 접철된 상태에서의 고정된 형상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분할 발판(200)은 중앙 발판(100)의 중심에 맞닿은 상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분할 발판(200) 전개 시 지지면적이 분할 발판(200)이 접철된 경우 대비 약 30% 이상 확장될 수 있다.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장비의 전폭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우트리거의 인터페이스 설계 시, 공간제약을 크게 해소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가변형 아우트리거(10)가 전개 상태에서의 가이드 핀(300)과 분할 발판(200)이 면 접촉으로 위치가 고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핀(300)을 통해 전개된 분할 발판(2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핀(300)은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가변형 아우트리거(10)의 전개 상태에서의 내부 형상은 분할 발판(200)이 전개된 상태에서 고정된 형상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분할 발판(200)은 중앙 발판(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도록 회전함에 따라 전개될 수 있다.
분할 발판(200)은 중앙 발판(100)에 조립된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접철 상태에서도 지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필요 시 확장 발판(미도시)을 이용하여 확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 발판은 전개된 분할 발판(200)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조립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고정 핀을 통해 분할 발판(200)과 연결되어 확장시킬 수 있다.
확장 발판을 통한 확장은 분할 발판(200)이 중앙 발판(100)에 조립되어 고정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확장 발판은 전개되는 방향에서 확장이 이루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의 확장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아우트리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의 가변형 아우트리거(10)의 작동 원리는 도 4 및 도 5의 가변형 아우트리거(10)와 동일할 수 있으며, 구성 요소 또한 같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분할 발판(200)의 형상이 도 4 및 도 5의 가변형 아우트리거(10)와 차이가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분할 발판(200)의 접철 각도가 90*로 제한되고, 지지면적이 평평하게 고안되었다. 이를 통해 분할 발판(200)은 지지하는 하중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크기, 형상 등이 다르게 형성되는 분할 발판(200)을 중앙 발판(100)에 고정하는 방식을 통해 상황을 고려하여 분할 발판(200)을 선택하여 고정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기존의 아우트리거에 분할 발판(200)만을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가변형 아우트리거(10)는 구성품을 최소화하여 직관적이고, 별도 장치나 전력 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특수중장비, 방산장비 등의 설계제한사항이 많은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이동체
10: 가변형 아우트리거
100: 중앙 발판
110: 제1 중앙 블록
120: 제2 중앙 블록
200: 분할 발판
300: 가이드 핀
400: 힌지 핀
20: 프레임

Claims (14)

  1. 이동체에 적용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중앙 발판;
    상기 중앙 발판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중앙 발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확장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분할 발판; 및
    상기 중앙 발판의 일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분할 발판이 면접촉으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발판은,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는 제1 고정 홀을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중앙 블록; 및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양 측면과 각각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면을 지지하는 제2 중앙 블록을 포함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앙 블록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중앙 조립 홈과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는 상기 분할 발판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조립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조립 홈과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는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3 고정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2 고정 홀과 상기 제3 고정 홀에 조립되는 힌지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핀은 상기 제2 고정 홀과 상기 제3 고정 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힌지 핀을 회전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개되어 지지 면적이 가변되고,
    접철 형상을 기준으로 회전 방향으로 0°, 90° 또는 18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각도로 전개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이동체의 크기와 하중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면적 또는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이동체 별로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상기 힌지 핀을 통해 상기 중앙 발판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체를 지지하며,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는 상기 이동체의 크기와 하중 별로 상기 분할 발판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2 중앙 블록이 형성되는 양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일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분할 발판의 전개가 완료된 후,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분할 발판과 맞닿아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분할 발판이 회전하는 경우, 기 설정된 각도에서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이 서로 면접촉 되도록 구현되어 상기 분할 발판의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는 상기 가이드 핀을 통해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이 면접촉 되도록 고정됨에 따라 상기 중앙 발판을 통해 상기 분할 발판으로 상기 이동체의 하중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중앙 발판과 연결되는 반대 측면에서 연결되어 상기 지면에 맞닿는 면적을 확장하는 확장 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 발판은 상기 분할 발판과 탈착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지지 면적을 추가적으로 더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
  11. 차체;
    상기 차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중앙 발판; 상기 중앙 발판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중앙 발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확장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분할 발판; 및 상기 분할 발판이 면접촉으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가변형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는 이동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발판은,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고정 홀을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중앙 블록; 및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양 측면과 각각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면을 지지하는 제2 중앙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고정 홀에 고정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에 의해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앙 블록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중앙 조립 홈과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중앙 조립 돌출부는 상기 분할 발판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발판은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조립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조립 홈과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 조립 돌출부는 상기 제2 중앙 블록과 연결되도록 일직선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3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는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2 고정 홀과 상기 제3 고정 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힌지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2 중앙 블록이 형성되는 양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제1 중앙 블록의 일 측면에서 상기 분할 발판이 조립되는 양 측면과 맞닿도록 고정되며,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분할 발판과 맞닿아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을 고정하고, 상기 분할 발판이 회전하는 경우, 기 설정된 각도에서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이 서로 면접촉 되도록 구현되어 상기 분할 발판의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가변형 아우트리거는 상기 가이드 핀을 통해 상기 중앙 발판과 상기 분할 발판이 면접촉 되도록 고정함에 따라 상기 중앙 발판을 통해 상기 분할 발판으로 상기 이동체의 하중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KR1020210169320A 2021-11-30 2021-11-30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 KR20230081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20A KR20230081350A (ko) 2021-11-30 2021-11-30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20A KR20230081350A (ko) 2021-11-30 2021-11-30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350A true KR20230081350A (ko) 2023-06-07

Family

ID=8676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320A KR20230081350A (ko) 2021-11-30 2021-11-30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757A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US11630491B2 (en) Rotating shaft connection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JP5706804B2 (ja) クレーンジブ及び補助ジブのための伸縮システム
US20140110193A1 (en) Folding step assembly
CN112259949A (zh) 高收纳比模块化折展支撑桁架
KR20230081350A (ko) 가변형 아우트리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체
CN103011033B (zh) 高空平台系统及包含该高空平台系统的工程机械
CN103274291B (zh) 塔式起重机底梁
JP7484014B2 (ja) 折り畳み可能な構造部材及び表示装置
JP7470088B2 (ja) 作業車のアウトリガ装置
CN102556011B (zh) 支腿结构及具有该支腿结构的工程机械
JPH09151625A (ja) 簡易折り畳みテント構造
CN104555839B (zh) 高空作业车
CN111934098A (zh) 一种基于bennett机构的环形可展开天线桁架
CN103470048A (zh) 用于工程机械的变幅机构及工程机械
CN113077716B (zh) 显示屏支撑结构和显示设备
CN202170639U (zh) 一种支腿、支撑装置及工程机械
KR20170143144A (ko)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휴대용기기의 힌지구조시스템
CN203603500U (zh) 用于工程机械的变幅机构及工程机械
JP4813396B2 (ja) 昇降支持脚
CN210040505U (zh) 短波天线
CN109305630A (zh) 起重机的组合副臂、臂架以及起重机
CN110654996A (zh) 支腿结构和起重机
CN115142678B (zh) 臂架装置及工程机械
JPH11165699A (ja) 展開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