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340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340A
KR20230081340A KR1020210169298A KR20210169298A KR20230081340A KR 20230081340 A KR20230081340 A KR 20230081340A KR 1020210169298 A KR1020210169298 A KR 1020210169298A KR 20210169298 A KR20210169298 A KR 20210169298A KR 20230081340 A KR20230081340 A KR 2023008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ng
hull
wind
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성
한소령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340A/ko
Publication of KR2023008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4Steering or slowing-down by extensible flap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선수부를 향해 불어오는 바람에 저항함으로써 상기 선체의 위치 유지 제어에 유리한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부는, 상기 선수부에 설치되는 본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날개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날개;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날개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날개 중 하나 이상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람의 저항을 받기 위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 떠있는 상태로 원유의 생산과 저장 및 하역이 가능한 시설로서, 일명 FSO(Floating Storage & Offloading)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가 설치되고, 상기 FSO 또는 FPSO로부터 원유나 오일 등을 적재시켜 유조선이나 육상의 플랜트 등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선박을 셔틀탱커(Shuttle tanker)라고 한다.
셔틀탱커는 높은 파도와 바람과 조류의 영향을 받는 해상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원유생산설비에 안정적으로 접안해서 원유를 선적해야 한다. 이를 위해 셔틀탱커에는 DPS(Dynamic positioning System; 자동위치유지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환경 외력이 증가하여 위치유지의 한계 상황에 도달하게 되면, DPS 시스템은 선수요를 가장 우선적으로 추력분배를 실시한다. 이는 선수요 변화에 따라 환경 외력이 크게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 외력이 증가하게 되면 그때는 한계상황에 직면해 더 이상 위치유지 시스템으로도 위치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환경 외력이 증폭하기 전 선수요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데, 한계상황에서 선수요 제어시 제어 로직상 모든 추진기의 추력을 활용할 수 없다. 선수에 위치한 추진기는 선수요를 제어하기 위해 힘을 쓰고, 선미측 추진기(메인 프로펠러, 러더 포함)는 셔틀탱커의 평행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힘을 쓴다.
이때 선미측 추진기들인 본연의 힘을 모두 활용하지 못하는데, 이는 선미측 추진기를 더 활용하게 되면 선미측 추진기에서 발생하는 모멘트 때문에 선수측 추진기들은 더욱 힘을 써야 하지만, 더 쓸 여력이 없고, 따라서 이러한 한계 상황시에는 대게 수평방향으로 큰 오프셋(offset)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환경 외력의 증가로 인한 한계 상황에서 위치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선수부를 향해 불어오는 바람에 저항함으로써 상기 선체의 위치 유지 제어에 유리한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부는, 상기 선수부에 설치되는 본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날개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날개;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날개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날개 중 하나 이상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람의 저항을 받기 위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선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람의 방향을 따라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회전축은 상기 본체의 전후길이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측으로부터 20%이상 30%이하인 지점에 형성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선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를 향해 불어오는 상기 바람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날개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날개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날개; 및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날개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도출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경 외력의 증가로 인한 한계 상황에서 선체의 위치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날개가 정위치로부터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바람 방향에 따른 저항부 및 추진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박(1)은 FSO 또는 FPSO와 같은 해양 플랜트로부터 화물(원유, 오일, 액화가스 등) 등을 적재시켜 유조선이나 육상의 플랜트 등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특수 선박으로 일명 셔틀탱커(Shuttle tanker)일 수 있다. 이러한 선박은 높은 파도와 바람과 조류의 영향을 받는 해상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해양 플랜트에 안정적으로 접안해서 화물을 선적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선박(1)에는 DPS(Dynamic positioning System; 자동위치유지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선박(1)은 셔틀탱크일 수 있다. 이러한 선박(1)은 선체(100), 추진기(200), 저항부(300), 제어장치(400) 및 센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0)는 선박(1)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프레임이나 빔 등으로 이루어진 선박(1)의 몸통 부분일 수 있다.
추진기(200)는 추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선체(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추진기(200)는 선박(1)이 해양 플랜트에 접안해서 화물을 선적하는 작업을 수행 경우, 조류, 바람, 파도 등의 환경 외력에 대하여 선체(10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될 수 있다. 셔틀 탱커의 경우, 일반 선박에서 중요시하는 속도성능보다 선체(10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운동성능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또한, 추진기(20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추진기(200)는 선수측 추진기(210) 및 선미측 추진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수측 추진기(210)는 선체(100)의 선수부(110)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수측 추진기(210)는 선체(100)의 선수요를 제어하기 위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수측 추진기(210)는 아지무스 스러스터 (azimuth thruster)나 포드형 추진기일 수 있다.
선미측 추진기(220)는 선체(100)의 선미부(120)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미측 추진기(220)는 선체(100)의 평행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미측 추진기(220)는 메인 프로펠러나 러더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저항부(300)는 선체(100)를 향해 불어오는 바람을 통해 선체(100)의 위치 유지 제어에 유리한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저항부(300)는 선체(100)에 작용하는 환경 외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모멘트를 발생시켜 선체(100)의 위치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저항부(300)는 선수부(110)의 데크에 설치될 수 있다. 저항부(300)에서 발생되는 모멘트는 추진기(200)로부터 발생되는 모멘트가 아니므로 선미부(120)에 설치되는 선미측 추진기(220)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저항부(300)는 본체(310), 날개(320) 및 액추에이터부(330, 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바람의 저항을 받는 구조물로 선수부(110)의 데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31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체회전축(Ax1)은 본체(3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회전축(Ax1)은 본체(310)의 전체 길이에 상기 본체의 전후길이에서 본체(310)의 전방측으로부터 20%이상 30%이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양력형 구조물의 압력중심점은 전방측으로부터 20%이상 30%이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회전축(Ax1)의 위치가 본체(310)의 전방측으로부터 20%이상 30%이하의 지점에 형성되면, 다른 지점에 배치된 것에 비해 본체(310)의 회전을 위한 힘이 적게들 수 있다. 이러한 본체(310)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310)는 바람이 선수부(110)의 우측을 향해 불어올 경우, 본체(310)의 전방측이 본체(310)의 후방측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본체(310)의 좌측면이 바람에 부딛치도록 본체(3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체(310)는 바람이 선수부(110)의 좌측을 향해 불어올 경우, 본체(310)의 전방측이 본체(310)의 후방측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본체(310)의 우측면이 바람에 부딛치도록 본체(31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310)는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310)의 길이는 선체(100)에 대하여 정위치에 놓였을 때, 선수로부터 선미를 향해 연장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고, 폭은 본체(3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310)는 평단면이 타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항을 잘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체(310)의 측면에는 날개(3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311)는 본체(31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11)는 본체(3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날개(32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날개회전축(Ax2)을 중심으로 본체(3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날개회전축(Ax2)은 본체(31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날개(320)는 날개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바람의 저항을 받기 위해 본체(3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날개(320)는 날개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바람의 저항을 받지 않기 위해 본체(310)의 수용부(311)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320)는 선수부(110)를 향해 불어오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날개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날개(32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날개(320)는 제1 날개(321) 및 제2 날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날개(321)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날개회전축(Ax2-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310)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321)는 제1 날개회전축(Ax2-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310)의 우측면에 위치한 수용부(311)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날개(321)는 제1 날개회전축(Ax2-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수부(110)의 우측을 향해 불어오는 바람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제2 날개(322)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날개회전축(Ax2-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31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322)는 제2 날개회전축(Ax2-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310)의 좌측면에 위치한 수용부(311)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날개회전축(Ax2-2)은 제1 날개회전축(Ax2-2)보다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날개(322)는 제2 날개회전축(Ax2-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수부(110)의 좌측을 향해 불어오는 바람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부(330, 340)는 선체(100) 내부에 배치되어 바람의 방향을 따라 본체(310) 및 날개(320)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부는 제1 액추에이터(330) 및 제2 액추에이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330)는 선체(100) 내부에 배치되어 바람의 방향을 따라 본체(310)를 본체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340)는 선체(100) 내부 또는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람의 방향을 따라 날개(320)를 날개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340)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액추에이터(340) 각각은 제1 날개(321) 및 제2 날개(3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장치(400)는 센서(500)를 통해 감지된 풍향정보 등에 기초하여 선체(10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추진기(200), 제1 액추에이터(330) 및 제2 액추에이터(3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400)는 DPS(Dynamic positioning System; 자동위치유지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400)는 환경 외력에 의해 선체(100)가 이동될 경우, 선체(100)의 추진기(200)를 구동하여 선체(100)의 위치를 유지하고, 환경 외력이 더 증가하여 추진기(200)만으로 선체(100)의 위치를 유지하기 힘든 한계 상황일 경우, 추진기(200)와 함께 제1 액추에이터(330) 및 제2 액추에이터(3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센서(500)에서 감지된 바람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세기보다 크거나, 환경 외력에 의해 추진기(200)를 구동하더라도 선체(10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틀어지거나 이동될 때를 제어장치(400)가 한계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바람의 방향을 판단하여, 제1 액추에이터(330) 및 제2 액추에이터(340)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장치(400)는 센서(500)를 통해 바람이 선수부(110)의 우측을 향해 불어오는 것을 감지할 경우, 본체(310)가 회전되어 본체(310)의 좌측면이 바람에 부딛치도록 제1 액추에이터(330)를 구동시키고, 제1 날개(321)가 본체(310)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2 액추에이터(3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센서(500)를 통해 바람의 방향을 감지하여 제1 날개(321)가 바람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2 액추에이터(3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장치(400)는 센서(500)를 통하여 바람이 선수부(110)의 좌측을 향해 불어오는 것을 감지할 경우, 본체(310)가 회전되어 본체(310)의 우측면이 바람에 부딛치도록 제1 액추에이터(330)를 구동시키고, 제2 날개(322)가 본체(310)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2 액추에이터(3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센서(500)를 통해 감지된 풍향정보 등에 기초하여 제2 날개(322)가 바람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2 액추에이터(34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500)는 풍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500)는 바람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500)에서 감지된 풍향정보를 기초로 제어장치(400)는 저항부(30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선박(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박(1)의 저항부(300)는 선체(100)에 작용하는 환경 외력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모멘트(T3)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선체(100)의 위치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심 말해, 저항부(300)는 한계 상황에서 선체(10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환경 외력)이 선수부(110)의 우측(제1 화살표 방향(W1))에서 불어오게 되면, 선체(100)는 좌측(제2 화살표 방향(E1))으로 환경 외력이 발생하게 된다. 제어장치(400)는 선체(100)의 위치 유지를 위해 선수측 추진기(210)가 환경 외력에 반대되는 방향(제1 추력방향(T1))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선수측 추진기(210)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선체(100)의 위치 유지를 위해 선미측 추진기(220)가 제1 추력 방향(T1)과 대향하는 방향(제2 추력 방향(T2))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선미측 추진기(2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바람이 본체(310)의 좌측면에 부딛치도록 본체(31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선(C1)이 바람방향(W1)보다 제1 추력 방향(T1)으로 더 틀어지도록 제1 액추에이터(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제1 날개(321)가 본체(310)의 우측면으로부터 도출되고 바람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2 액추에이터(3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체(310)의 좌측면과 제1 날개(321)가 바람의 저항을 받게 되면, 제1 추력 방향(T1)과 동일한 방향으로 모멘트(T3)가 발생될 수 있다. 저항부(300)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T3)는 환경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선체(100)의 위치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멘트(T3)는 선체(100)의 추진기(200)에서 발생하는 모멘트(T3)가 아니므로, 선수측 추진기(210)에 쏠려있던 전력의 일부를 선미측 추진기(220)로 분산시켜 선미측 추진기(220)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수평방향 오프셋 감소 및 선체(100)의 위치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의 그래프에서 1, 2, 3은 선수측 추진기(210)고, 4, 5, 6은 선미측 추진기(220)다. 도 5의 그래프에서 오른쪽 바 그래프의 축은 추진기 사용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선박 100: 선체
110: 선수 120: 선미
200: 추진기 210: 선수측 추진기
220: 선미측 추진기 300: 저항부
310: 본체 311: 수용부
320: 날개 321: 제1 날개
322: 제2 날개 330: 제1 액추에이터
340: 제2 액추에이터 400: 제어장치
500: 센서

Claims (3)

  1. 선체; 및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설치되어, 선수부를 향해 불어오는 바람에 저항함으로써 상기 선체의 위치 유지 제어에 유리한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저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부는,
    상기 선수부에 설치되는 본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날개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날개;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날개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날개 중 하나 이상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람의 저항을 받기 위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폭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선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람의 방향을 따라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날개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날개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날개; 및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날개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도출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10169298A 2021-11-30 2021-11-30 선박 KR20230081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98A KR20230081340A (ko) 2021-11-30 2021-11-30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98A KR20230081340A (ko) 2021-11-30 2021-11-30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340A true KR20230081340A (ko) 2023-06-07

Family

ID=8676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298A KR20230081340A (ko) 2021-11-30 2021-11-30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3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3356A1 (en) Steering and propulsion arrangement for ship
US20140378012A1 (en) Vessel
SG173942A1 (en) Marine structure having azimuth propulsion devices
KR101185515B1 (ko) 선박
KR20100009202A (ko) 해상 작업 선박
KR20140045132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KR20230081340A (ko) 선박
EP0816218A2 (en) Ship docking vessel
Van Terwisga et al. Steerable propulsion units: hydrodynamic issues and design consequences
US20030033967A1 (en) STOVL joint strike fighter carrier
FI124857B (fi) Vesialus
KR20120136135A (ko) 해상작업용 선박 및 그 선박의 자세제어 방법
US234794A (en) lundborg
KR19990007921A (ko) 대양에서 닻으로 고정된 부동 구조물을 파도의 방향에 대항하여방향설정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2628962B1 (ko) 셔틀 탱커
JP2019014295A (ja) 船舶、及び操船方法
US20090233500A1 (en) Floating structure having propulsive devices for moving the same while sailing and mooring
KR101947260B1 (ko) 선저보호가 가능한 가변형 트림탭 장치
KR20120081884A (ko) 선박 대 선박 계류 방법
US20230070348A1 (en) A vessel
JP2023152466A (ja) 船舶
KR20220000072A (ko) 선박
KR20170120865A (ko) 동요 제어가 용이한 해상 부유체
KR20230005488A (ko) 사이드스러스터를 갖는 수상작업용 바지선
Kim et al. Heading control study for electrical driven system of floating LNG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