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296A -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296A
KR20230081296A KR1020210169223A KR20210169223A KR20230081296A KR 20230081296 A KR20230081296 A KR 20230081296A KR 1020210169223 A KR1020210169223 A KR 1020210169223A KR 20210169223 A KR20210169223 A KR 20210169223A KR 20230081296 A KR20230081296 A KR 20230081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able
base frame
whee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667B1 (ko
Inventor
이성우
이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6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6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8Other
    • B65H2403/484Speed re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는 케이블의 공급이나 회수시에 고중량의 케이블 드럼을 케이블의 공급 및 회수 속도를 맞추어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드럼휠과 맞닿아 케이블 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롤러를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에 무리한 손상을 가하지 않고 안전하게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고, 작업 인력 및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드럼 구동장치는 포설작업 위치까지 이동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다수의 이동바퀴수단을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크레인 차량 등을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 이동 및 위치 조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DRIVING DEVICE FOR CABLE DRUM}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지중 또는 지상에 공급할 때 케이블 드럼의 드럼휠 하측 양쪽에 설치한 구동장치를 통하여 전력케이블의 공급이나 회수시에 속도를 조절하며 미끄럼 현상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초고압 케이블 지중 송전 선로의 경우 송전 용량의 증가 및 도심지 교통량 증가 등의 여건 변화로 직매, 관로 식에서 전력구식으로 건설되고 있으며 전력구도 개착식에서 NATM 쉴드 전력구로 지하 30~50미터에 위치하고 있고, 지중화 율이 높아짐에 따라 기 설치된 케이블로 인한 작업 공간 협소 등으로 케이블 포설의 난이도가 점점 높아가고 있으며 국내 초고압 시공 업체는 범용적인 관로 및 수직구를 포함한 전력구에 케이블 설치 공가를 수행할 수 있으나 교통량 첨가 포설, 장조장 포설 등 특수 공법이 소요되는 선로의 경우 공법 개발 연구가 필요한 현황이다.
케이블 포설 작업은 케이블 및 포설 장비 등의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으로 인력을 위주로 수행하는 현 포설 방법 중 인력이 소요되는 공정을 기계화로 적용하는 성역화공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표준 경간(400~500미터) 적용에 따른 선로 계획으로 경과지 환경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표준 경간 적용으로 이중 포설 등 공사 효율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충족시기 위한 특허등록번호 제0610374호(2006. 08. 01.)는 트레일러의 케이블 풀림 장치 상부에 케이블 드럼을 설치하여 차량으로 이동이 용이하고 케이블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드럼을 트레일러에서 내리지 않고 공급하며 전방의 트레버스 해소장치를 통하여 케이블을 공급하는 길이에 따라 속도를 맞추어 공급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장조장 포설 시스템은 현재 시공 중인 표준 긍장 400~500미터의 케이블 포설을 긍장 700미터 내외의 장조장 케이블의 시공 가능하며, 케이블 드럼을 트레일러에 적재한 상태로 이동한 후 하차하지 않고 케이블의 포설 속도에 맞추어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 드럼이 적재되는 로울러 몸체의 양측에서 케이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 로울러가 설치된 케이블 풀림 장치와; 상기 케이블 드럼의 일측으로 설치된 전체 안내대의 상측으로 높이 안내대가 설치되고 이 높이 안내대의 상측에리어 가이드 로울러가 설치핀으로 연결된 로울러 설치대를 갖는 조절 안내대로 이루어진 케이블 안내장치와; 상기 로울러 몸체가 설치된 트레일러의 전방에 캐타필라가 설치되어 케이블 드럼이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이 포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케이블 드럼에서 공급하는 케이블이 케이블 안내장치를 통과하여 캐타필라에서 전력구 홀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캐타필라가 한 곳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 캐타필라가 케이블을 고정시켜 소정의 속도로 공급할 때 캐타필라에 공급되는 케이블의 각도가 케이블 드럼에서 풀리면서 한곳에 위치하지 않고 다양한 각도(케이블 드럼의 폭)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이 다양한 각도로 유지되면서 넓은 폭에서 캐타필라에 공급되는 것이어서 일자형태로 고정되게 설치한 캐타필라에서 케이블을 자유롭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이 넓은 폭을 유지하면서 공급될 뿐만 아니라 높이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점 낮아지게 공급되면서 하나의 케이블 드럼에서 모든 케이블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많은 높이로 공급되므로 이 역시 편차가 너무 심해 캐타필라에서 케이블을 자유롭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캐타필라에서 케이블을 공급 속도에 따라서 당길 때 갑자기 케이블을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회전하는 케이블 드럼이 케이블을 공급하지 않고 회전하면서 풀어진 케이블이 드럼휠에 남아 있게 되면서 정상적인 공급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력케이블은 제어케이블 보다 중량이 무겁고 권취가 어렵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자 투입으로 인하여 노무비가 많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610374호(2006. 08. 01.)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에 무리한 손상을 가하지 않고 안전하게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고, 작업 인력 및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레인 차량 등을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 이동 및 위치 조정이 용이한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는, 케이블이 감기고 드럼휠이 양쪽으로 설치된 케이블 드럼; 및 상기 드럼휠의 양쪽과 드럼휠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면서 상기 케이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드럼 구동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전측과 후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휠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는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 및 상기 제1 회전롤러의 일측단과 상기 제2 회전롤러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전후 및 좌우 코너에는 상기 드럼 구동장치의 운반을 위한 아이볼트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드럼휠의 양쪽이 상기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의 양 측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상면 중앙에 지지대를 매개로 일정 높이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드럼휠의 양쪽 바깥면에 맞닿을 때 드럼휠의 회전에 의해 같은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고무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회전롤러의 구동축 양 측단과 상기 제2 회전롤러의 종동축 양 측단은 베어링 하우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감속모터의 모터축은 상기 제1 회전롤러의 구동축과 체인 또는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회전전달수단은, 상기 제1 회전롤러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 스프로킷휠; 상기 제2 회전롤러의 종동축에 결합되는 제2 스프로킷휠; 상기 제1 스프로킷휠과 상기 제2 스프로킷휠을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는, 케이블이 감기고 드럼휠이 양쪽으로 설치된 케이블 드럼; 및 상기 드럼휠의 양쪽과 드럼휠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면서 상기 케이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드럼 구동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전측과 후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휠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는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 상기 제1 회전롤러의 일측단과 상기 제2 회전롤러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 및 좌우 코너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드럼 구동장치의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동바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수의 상기 이동바퀴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고정블럭의 하면을 통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유압 작용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축; 및 상기 피스톤축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 높이보다 하향되게 위치되고, 비사용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 높이보다 상향되게 위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는 케이블의 공급이나 회수시에 고중량의 케이블 드럼을 케이블의 공급 및 회수 속도를 맞추어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드럼휠과 맞닿아 케이블 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롤러를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에 무리한 손상을 가하지 않고 안전하게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고, 작업 인력 및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럼 구동장치는 포설작업 위치까지 이동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다수의 이동바퀴수단을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크레인 차량 등을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 이동 및 위치 조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구동장치에 케이블 드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구동장치에 케이블 드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구동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는, 케이블이 감기고 드럼휠(12)이 양쪽으로 설치된 케이블 드럼(10); 및 상기 드럼휠(12)의 양쪽과 드럼휠(12)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면서 상기 케이블 드럼(10)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장치(20)를 구성하되, 상기 드럼 구동장치(20)는, 베이스 프레임(30);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상면 전측과 후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휠(12)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는 제1 회전롤러(40) 및 제2 회전롤러(42);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40)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50); 및 상기 제1 회전롤러(40)의 일측단과 상기 제2 회전롤러(4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일측에는 상기 감속모터(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함(32)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상면 전후 및 좌우 코너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기 드럼 구동장치(20)를 운반하도록 크레인의 후크를 걸 수 있는 다수의 아이볼트(3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드럼휠(12)의 양쪽이 상기 제1 회전롤러(40) 및 제2 회전롤러(42)의 양 측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롤러(70)가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롤러(7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좌측 및 우측 상면 중앙에 지지대(72)를 매개로 일정 높이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좌우 한 쌍의 가이드롤러(70)는 상기 드럼휠(12)의 양쪽 바깥면에 대해 드럼휠(12)의 회전 중심에서 외주면 사이 중간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드럼휠(12)과 맞닿을 때 드럼휠(12)의 회전에 의해 같은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회전롤러(40) 및 제2 회전롤러(42)의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블 드럼(10)이 안착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제1 회전롤러(40) 및 제2 회전롤러(42)의 회전력이 케이블 드럼(10)에 전달되도록 고무시트가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된다.
상기 제1 회전롤러(40)의 구동축(40a) 양 측단과 상기 제2 회전롤러(42)의 종동축(42a) 양 측단은 베어링 하우징(44)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상면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감속모터(50)의 모터축(52)은 상기 제1 회전롤러(40)의 구동축(40a)과 체인 또는 벨트 등의 회전전달체를 매개로 연결되고, 이들 모터축(52), 구동축(40a) 및 회전전달체는 상기 드럼 구동장치(20)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전달수단(60)은, 상기 제1 회전롤러(40)의 구동축(40a)에 결합되는 제1 스프로킷휠(62); 상기 제2 회전롤러(42)의 종동축(42a)에 결합되는 제2 스프로킷휠(64); 상기 제1 스프로킷휠(62)과 상기 제2 스프로킷휠(64)을 연결하는 체인(66); 및 상기 지지대(7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체인(66)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휠(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전달수단(60)은 상기 드럼 구동장치(20)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는, 케이블이 감기고 드럼휠(12)이 양쪽으로 설치된 케이블 드럼(10); 및 상기 드럼휠(12)의 양쪽과 드럼휠(12)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면서 상기 케이블 드럼(10)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장치(20)를 구성하되, 상기 드럼 구동장치(20)는, 베이스 프레임(30);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상면 전측과 후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휠(12)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는 제1 회전롤러(40) 및 제2 회전롤러(42);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40)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50); 상기 제1 회전롤러(40)의 일측단과 상기 제2 회전롤러(42)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6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전후 및 좌우 코너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드럼 구동장치(20)의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동바퀴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이동바퀴수단(8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에 고정되는 고정블럭(82); 상기 고정블럭(82)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84); 상기 고정블럭(82)의 하면을 통해 상기 실린더(84)에 결합되어 유압 작용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축(86); 및 상기 피스톤축(86)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하면 높이보다 하향되게 위치되고, 비사용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하면 높이보다 상향되게 위치되는 바퀴(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이동바퀴수단(80)의 실린더(84)와 피스톤축(86)들의 유압작용에 의한 승강 구동은 유압펌프(미도시)에 의해 동시 또는 각각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유압펌프는 상기 제어함(32)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퀴(88)들은 유압작용에 의해 상기 피스톤축(86)이 하강될 때 지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드럼 구동장치(20)가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바퀴(88)들이 유압작용에 의해 상기 피스톤축(86)이 상승될 때 지면과 닿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하면 높이보다 상향되게 이동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30)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움직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처럼, 본 발명의 드럼 구동장치(20)는 케이블의 공급이나 회수시에 고중량의 케이블 드럼(10)을 케이블의 공급 및 회수 속도를 맞추어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드럼휠(12)과 맞닿아 케이블 드럼(10)을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롤러를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에 무리한 손상을 가하지 않고 안전하게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고, 작업 인력 및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럼 구동장치(20)는 포설작업 위치까지 이동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다수의 이동바퀴수단(80)을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크레인 차량 등을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 이동 및 위치 조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케이블 드럼 12 : 드럼휠
20 : 드럼 구동장치 30 : 베이스 프레임
32 : 제어함 34 : 아이볼트
40 : 제1 회전롤러 40a : 구동축
42 : 제2 회전롤러 42a : 종동축
44 : 베어링 하우징 50 : 감속모터
52 : 모터축 60 : 회전전달수단
62 : 제1 스프로킷휠 64 : 제2 스프로킷휠
66 : 체인 68 : 텐션휠
70 : 가이드롤러 72 : 지지대
80 : 이동바퀴수단 82 : 고정블럭
84 : 실린더 86 : 피스톤축
88 : 바퀴

Claims (12)

  1. 케이블이 감기고 드럼휠이 양쪽으로 설치된 케이블 드럼; 및
    상기 드럼휠의 양쪽과 드럼휠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면서 상기 케이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드럼 구동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전측과 후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휠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는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 및
    상기 제1 회전롤러의 일측단과 상기 제2 회전롤러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전후 및 좌우 코너에는 상기 드럼 구동장치의 운반을 위한 아이볼트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드럼휠의 양쪽이 상기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의 양 측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상면 중앙에 지지대를 매개로 일정 높이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드럼휠의 양쪽 바깥면에 맞닿을 때 드럼휠의 회전에 의해 같은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고무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롤러의 구동축 양 측단과 상기 제2 회전롤러의 종동축 양 측단은 베어링 하우징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속모터의 모터축은 상기 제1 회전롤러의 구동축과 체인 또는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수단은,
    상기 제1 회전롤러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 스프로킷휠;
    상기 제2 회전롤러의 종동축에 결합되는 제2 스프로킷휠;
    상기 제1 스프로킷휠과 상기 제2 스프로킷휠을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11. 케이블이 감기고 드럼휠이 양쪽으로 설치된 케이블 드럼; 및
    상기 드럼휠의 양쪽과 드럼휠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면서 상기 케이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드럼 구동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전측과 후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휠의 양쪽 외주면 두 곳이 동시 맞닿도록 받쳐주는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
    상기 제1 회전롤러의 일측단과 상기 제2 회전롤러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 및 좌우 코너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드럼 구동장치의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동바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이동바퀴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고정블럭의 하면을 통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유압 작용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축; 및
    상기 피스톤축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 높이보다 하향되게 위치되고, 비사용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 높이보다 상향되게 위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KR1020210169223A 2021-11-30 2021-11-30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KR10259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23A KR102590667B1 (ko) 2021-11-30 2021-11-30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23A KR102590667B1 (ko) 2021-11-30 2021-11-30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296A true KR20230081296A (ko) 2023-06-07
KR102590667B1 KR102590667B1 (ko) 2023-10-19

Family

ID=8676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223A KR102590667B1 (ko) 2021-11-30 2021-11-30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6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014U (ja) * 1983-08-18 1985-03-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ケ−ブルドラム用ドラムスタンド
JPS60228394A (ja) * 1984-04-23 1985-11-13 三井造船株式会社 ドラム式ケ−ブル供給方法
JPH0564169U (ja) * 1992-01-30 1993-08-24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巻取・繰出装置
KR100610374B1 (ko) 2005-12-30 2006-08-09 주식회사 이피이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4183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코릴 자기정렬 롤러가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 보빈 윈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014U (ja) * 1983-08-18 1985-03-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ケ−ブルドラム用ドラムスタンド
JPS60228394A (ja) * 1984-04-23 1985-11-13 三井造船株式会社 ドラム式ケ−ブル供給方法
JPH0564169U (ja) * 1992-01-30 1993-08-24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巻取・繰出装置
KR100610374B1 (ko) 2005-12-30 2006-08-09 주식회사 이피이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4183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코릴 자기정렬 롤러가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 보빈 윈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667B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509B1 (ko)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에 이용되는 케이블 포설장비
US2473628A (en) Winding device or winch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KR20180134195A (ko) 레일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 장치
JP5897925B2 (ja) ケーブル繰り出し装置、当該装置の設置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布設工法
CN205170077U (zh) 电缆施放装置及设备
KR100903964B1 (ko) 초고압케이블 멀티 대용량 포설 시스템
CN107893430A (zh) 预制综合管廊拼装用的安装车
CN105060034A (zh) 电缆施放装置及设备
CN209890021U (zh) 电缆卷放车
CN111478229B (zh) 一种基于恒定力牵引电缆的辅助装置
US4082193A (en) Pipe handling apparatus
KR20230081296A (ko)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CN113526421A (zh) 一种彩钢瓦施工用辅助装置
CN110789426B (zh) 管道施工运布管车的使用方法
KR102414890B1 (ko) 케이블 드럼용 이탈과 전복 방지용 언더롤러
CN112938657A (zh) 铺设电缆装置和电缆卷放车
CN110155821A (zh) 一种用于深海采矿软管布放回收的导向装置
JP2006188330A (ja) 移動式ケーブル巻取装置
CN111533007A (zh) 一种建筑施工用顶管吊运输送装置及其工作方法
CN218909371U (zh) 一种电力工程施工高效输送装置
CN219535448U (zh) 一种带吊臂应急输线装置
CN216662285U (zh) 一种底膜吊装装置及其传输系统
CN220732215U (zh) 一种桥架用电缆牵引装置
CN115173319B (zh) 一种用于大深度竖井的电缆敷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