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265A -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265A
KR20230081265A KR1020210169165A KR20210169165A KR20230081265A KR 20230081265 A KR20230081265 A KR 20230081265A KR 1020210169165 A KR1020210169165 A KR 1020210169165A KR 20210169165 A KR20210169165 A KR 20210169165A KR 20230081265 A KR20230081265 A KR 20230081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information
consulting
displaye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최원식
박동진
이재경
정혜수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to KR102021016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265A/ko
Publication of KR2023008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은 스토어 디바이스의 제어부가 매장에 진열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들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로 구성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스토어 디바이스의 통신부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통신부가 서버로부터 진열 상품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스토어 디바이스의 제어부가 AR 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OF PROVIDING CONSULTING INFORMATION BASED ON AUGMENDED REALITY AND DEVICE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통 업체, 예를 들어 체인화된 슈퍼마켓, 편의점, 대형 쇼핑몰 등은 상품의 관리, 고객 관리, 그리고 포스 시스템(POS, Point of sale system)의 사용 및 유지 보수를 위해 본사에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컨설팅 서비스는 주로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급변하는 유통 경제의 변화 속도와 비교할 때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컨설팅 서비스가 문서나 이미지 등으로 제공될 경우에는 각 지점의 담당자가 컨설팅 서비스가 제공하는 내용을 쉽게 이해함에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컨설팅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면서도 이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증강 현실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는 매장을 관리 및 운영하는데 있어서 정보의 전달과 확인 및 컨설팅 정보들이 누락 없이 공유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매장의 운영과 관련한 컨설팅 이슈를 매장의 운영자가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확인하여 매장의 운영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매장 운영에 관한 컨설팅을 실시간으로, 그리고 증강 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하여 운영자가 매장에서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하고 또한 자발적으로 학습 또는 해결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스토어 디바이스의 제어부가 매장에 진열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들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로 구성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스토어 디바이스의 통신부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통신부가 서버로부터 진열 상품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스토어 디바이스의 제어부가 AR 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버의 통신부가 스토어 디바이스로부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버의 제어부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을 식별하여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부가 AR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 디바이스는 서버 및 센싱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 및 카메라,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가 매장에 진열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들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로 구성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한 후, 통신부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진열 상품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가 AR 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버는 포스 시스템, 스토어 디바이스 및 컨설팅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포스 시스템이 전송한 상품 판매 정보 및 스토어 디바이스가 전송한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통신부가 스토어 디바이스로부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을 식별하여 상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한 후, 통신부가 AR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경우 매장을 관리 및 운영하는데 있어서 정보의 전달과 확인 및 컨설팅 정보들이 누락 없이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경우 매장의 운영과 관련한 컨설팅 이슈를 매장의 운영자가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확인하여 매장의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경우 매장 운영에 관한 컨설팅을 실시간으로, 그리고 증강 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하여 운영자가 매장에서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하고 또한 자발적으로 학습 또는 해결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싱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운슬링을 위한 증강 현실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운슬링을 위한 증강 현실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R 컨설팅 정보가 스토어 디바이스에 표시된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가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매장 운영자가 AR 증강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명 글라스가 스토어 디바이스인 경우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컨설팅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격 컨설팅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가 해당 매점의 상품 배치를 최적화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 디바이스가 매대 별로 비교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매장(점포) 내에 설치된 단말 또는 매장을 관리하거나 소유하는 사람이 컨설팅 서비스를 받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를 스토어 디바이스(Store device)라 지칭한다. 매장 관리자나 근무자(이하 통칭하여 매장 운영자라고 함) 는 스토어 디바이스를 매장 내에서 이용할 수도 있고 매장 외부에서 원격으로 매장을 관리하기 위해 스토어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수의 스토어 디바이스에게 컨설팅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스토어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를 서버(Server)라 지칭한다.
한편, 매장 내에 배치된 장치로, 배치된 영역에서 정보를 취합하는 장치를 센싱 디바이스라고 한다. 센싱 디바이스는 스토어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게 배치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센싱 디바이스는 배치된 영역에서 물품의 이동이나 배치된 상황을 센싱한 정보, 사람들의 이동을 센싱한 정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스토어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전송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HMD(Head Mounted Display), 그리고 AR(Augmented Reality)나 VR(Virtual Reality) 기능을 지원하는 안경 등을 실시예로 한다. 또한,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매장에 배치된 센싱 디바이스가 촬영한 이미지를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운영자가 해당 매대(진열장)로 이동하지 않고 카운터나 외부에서도 해당 매대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500) 및 센싱 디바이스(300)와 통신한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 및 카메라(130), 디스플레이부(140), 그리고 저장부(120)를 제어한다. 저장부(120)는 서버(500) 및 센싱 디바이스(300)가 전송한 임시적 혹은 영구적인 정보들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정보를 출력하며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경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매장에 진열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들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로 구성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진열 상품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augmented reality consulting information)를 수신한다.
그 결과, 제어부(150)는 AR 컨설팅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싱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센싱 디바이스(300)는 매대 별로 설치될 수도 있고, 매대 아래 바닥 혹은 매대 위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 디바이스(300)는 할당된 영역 내에서 물건이 이동하거나 재배치된 기록을 센서(320)가 취합하여 저장부(330)에 저장한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버는 다수의 매장의 스토어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스토어 디바이스에게 AR 컨설팅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스토어 디바이스 및 센싱 디바이스들이 전송한 정보 및 외부에서 제공된 마케팅 정보 등에 기반하여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한다.
AR 컨설팅 정보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 위에 증강 현실을 구현하며 출력되는 이미지나 동영상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음성 파일이나 음악 파일 등도 AR 컨설팅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AR 컨설팅 정보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통해 확인된 진열 상품들의 배치를 조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R 컨설팅 정보는 신규 상품의 배치를 추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AR 컨설팅 정보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진열 상품 또는 신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제어부(550)는 각 구성요소들인 통신부(510)와 데이터베이스(520)를 제어한다.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포스 시스템(200), 스토어 디바이스(100) 및 컨설팅 디바이스(700)와 통신한다.
데이터베이스(520)는 포스 시스템(200)이 전송한 상품 판매 정보 및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전송한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510)가 스토어 디바이스(100)로부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550)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을 식별하여 상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510)가 AR 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운슬링을 위한 증강 현실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매장의 운영자가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매장 내의 매대를 촬영하거나 매대의 이미지(동영상)를 획득할 수 있다(S1). 매장의 운영자가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30)를 이용하여 매대를 직접 촬영할 수 있다. 또는, HMD 혹은 안경(글래스)인 경우, 매장의 운영자가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매대 쪽으로 이동하거나 매대를 바라볼 경우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매대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센싱 디바이스(300)가 전송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S2).
그리고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이에 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500)에게 전송한다(S3). 메타 정보는 해당 매대가 라면류 매대인지, 문구류 매대인지 혹은 신선식품류 매대인지에 대한 정보, 혹은 해당 매대에서 이전과 달리 물품이 배치된 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500)는 촬영한 이미지(혹은 동영상)와 이에 대한 메타 정보 및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한 정보 위에 표시할 정보, 즉 AR 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한다(S4).
그 결과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40)는 현재 촬영한 매대의 이미지나 동영상 위에 수신한 AR 컨설팅 정보를 배치하여 출력한다(S5). 또는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AR 컨설팅 정보를 기존의 이미지/동영상과 결합한 새로운 이미지/동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AR 컨설팅 정보는 증강 현실의 이미지로 현재 촬영한 매대의 이미지 위에 표시될 수 있다. AR 컨설팅 정보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AR 컨설팅 정보는 현재 촬영된 매대에 대한 "표준 진열 매대"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매장 운영자는 표준 진열 매대의 물품 배치와 해당 매장의 해당 매대에서의 물품 배치가 상이함을 확인하고 이를 재배치할 수 있다.
또는 AR 컨설팅 정보는 "표준 진열 매대"의 이미지와 해당 매대의 물품 배치가 상이함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준 진열 매대의 이미지는 모든 매장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는 표준 진열 매대의 이미지는 매장이 속한 지역의 모든 매장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는 표준 진열 매대의 이미지는 매장들의 매출이나 고객에 따라 그룹으로 묶인 매장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500)가 해당 매장의 매출이나 고객에 따라 맞춤형으로 표준 진열 매대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버(500)는 해당 점포의 타입, 상권, 최근 매출/고객성향, 최근 트랜드 등을 고려한 맞춤형 팩트(Fact) 기반 데이터를 포함한 AR 컨텐츠를 AR 컨설팅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AR 컨설팅 정보는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노출되어 매장의 운영자(매장의 경영주 포함)가 매장 내에 물품을 배치함에 있어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R 컨설팅 정보는 전체 같은 타입 또는 해당 매장과 유사한 평형의 매장들, 또는 해당 매장과 유사한 상권의 매장들에 최적화된 표준 진열 매대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버는 전체 매장에 동일하게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평형/상권/지역/주요 고객층에 따라 맞춤형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AR 증강을 통해 표시되는 AR 컨설팅 정보는 운영자가 운영하는 매장에서 취급하지 않고 있는 인기 트랜드 상품과 이를 배치하거나 배치하지 않았을 경우에 예상되는 기회의 로스(loss) 혹은 개선 가능한 매출이나 이익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R 컨설팅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AR 컨설팅 정보를 선택(예를 들어 터치)할 경우(S6),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해당 상품에 대해 상세 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서버(500)에게 해당 상품의 발주를 요청할 수 있다(S7).
도 4의 구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40)가 매장에 진열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들의 이미지 또는 이들 이미지들로 구성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한 후,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10)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한다(S1~S3). 이에 대응하여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스토어 디바이스(100)로부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수신한다(S3).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을 식별하여 상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전술한 AR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S4).
즉,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10)가 서버(500)로부터 진열 상품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수신한다(S4). 이후,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가 수신한 AR 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한다(S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운슬링을 위한 증강 현실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달리,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해당 매대를 촬영하지 않고, 센싱 디바이스가 매대를 촬영하는 실시예이다.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용어나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특정 매대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센싱 디바이스(300)에게 전송한다(S1a). 센싱 디바이스(330)는 해당 매대를 촬영하거나 이전에 촬영하여 저장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한다(S2a).
그리고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이에 대한 메타 정보를 서버(500)에게 전송한다(S33). 이후 동작은 도 4의 S4 내지 S7과 같다.
한편, 센싱 디바이스가 포인팅 기능을 가질 경우, 예를 들어 AR 컨설팅 정보에서 "표준 진열 매대"의 구성과 달리 매장의 매대가 구성되면,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지시에 의해 센싱 디바이스(300)가 구성이 다른 부분을 빛으로 지시할 수 있다. 센싱 디바이스(300)가 광원을 포함할 경우,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지시에 의해 센싱 디바이스(300)는 매대의 특정 지점(예를 들어 위에서 두번째 칸 중앙에 배치된 물품)을 향해 빛을 출력하여 상이한 부분을 운영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10)는 매장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싱 디바이스(300)로부터 상품에 관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수신하거나 또는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매장 또는 상기 진열 상품들이 진열된 매대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매대 및 진열 상품에 대한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스토어측 생성 정보는 상기 수신된 매대의 정보를 더 포함할 경우,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해당 상품이 진열된 매대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수신된 매대의 정보(매대가 판매하는 물품의 종류, 또는 매대 식별번호, 매대의 별칭 등)를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R 컨설팅 정보가 스토어 디바이스에 표시된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서버(500)로부터 AR 컨설팅 정보를 수신한 상태이다.
매장의 매대 상품들을 표시하고, AR 컨설팅 정보에 포함된 표준 진열 매대의 이미지를 그 위에 표시하여 운영자가 표준 진열 매대를 확인할 수 있다.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40)는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진열 상태를 보여준다. 운영자가 표준 진열을 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40)의 21b("표준진열보기" 버튼)를 터치하면, 22와 같이 표준 진열 매대가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다.
21과 달리 "보리차" 대신 "오렌지쥬스"가 표준 진열 매대에 배치되어야 함을 22c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40)가 22와 같이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다시 현재 진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22b("현재진열보기" 버튼)를 터치하면 21과 같이 현재 진열 매대가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다.
또는 운영자의 별도 터치 없이 일정한 시간 간격(예를 들어 3초, 5초 등)으로 21과 22 화면이 번갈아 표시될 수 있다.
한편, 22의 화면에서 오렌지쥬스를 터치하면 23과 같이 상세 보기를 통해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는 해당 제품의 최근 판매량과 판매당 이익, 그리고 다른 매장(인접 매장 및 동일 행정구역 내 매장)에서 해당 제품을 판매한 판매 실적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해당 제품의 현재 매장의 잔고를 표시하고, 운영자가 해당 제품에 대해 발주할 수 있도록 발주 버튼(23b)을 표시한다. 발주 버튼(23b)을 선택하면, 전술한 S7의 과정이 진행된다.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AR 컨설팅 정보가 제시하는 상품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해당 상품이 해당 매장의 다른 곳에 진열된 경우, 해당 상품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22와 같이 AR 컨설팅 정보가 제시하는 방식 대로 매대의 상품들의 위치를 재배치할 경우 예상되는 변화, 예를 들어 해당 상품의 예상 매출과 고객 만족도 혹은 불만족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운영자는 AR 컨설팅 정보에서 매장 진열을 추천하거나 제시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해당 상품을 터치하여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발주 버튼(23b)을 통해 해당 상품을 즉시 발주할 수 있다.
매장의 매대에 진열된 상품(21 참조, 카페라떼와 보리차)과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AR 컨설팅 정보가 반영된 상품(22 참조)에 있어 차이가 있을 경우, 21과 같이 실제 매대에 기반하여 "카페라떼"는 그대로 표시하되, 22c와 같이 "보리차" 대신 "오렌지쥬스"가 표시된다.
이 과정에서 운영자가 "오렌지쥬스"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22c와 같이 특정한 식별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현재 매대의 상품과 AR 컨설팅 정보가 포함하는 상품에 차이가 있을 경우, 현재 매대에 기반하여 추천하는 상품이 증강 현실로 스토어 디바이스(100)에 표시된다.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정황정보(시간, 위치, 조건 등)를 통해 매대/상품 위치 등을 재인식할 수도 있고 매대에 현재 나열된 제품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센싱 디바이스(300)가 특정 시간이나 특정 조건에 촬영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이미지/동영상을 기준으로 AR 컨설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영자는 AR 플랫폼의 구성요소인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매장의 매대와 AR로 증강된 표준 매대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운영자는 기존 매대 상에 증강된 형태로 표시된 AR 컨설팅 정보를 비교하면서 진열이 잘못되거나 판매 매출이 우수한 타 매장의 진열 상품 및 매대를 확인할 수 있다.
운영자는 매장에서 취급하지 않고 있는 상품을 증강된 표준/추천 매대에서 상품까지 확인이 가능하며, 상품에 대한 세부 정보 확인할 수 있으며, 매장 운영을 위해 스토어 디바이스는 발주, 픽업, 예약 시스템과 연계하여 상품을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디바이스(300)나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매장의 상품들이 배치된 상태를 이미지나 동영상으로 서버(5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서버(500)는 해당 매장의 매출 정보와 업로드된 이미지/동영상을 이용하여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매대의 가상 진열 상태를 나타내어 전체 구조를 확인하고 주문 수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재고 관리를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상품에 대한 고객 요청사항, VOC(Voice of Customer, 고객의 소리) 등 정보와 점포 근무자 요청사항을 해당 업체나, MD, 유관부서에 직접 전달이 가능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품의 배열에 대해 원격으로 컨설팅, 즉 카운슬링이 가능하다. 즉, 매장 컨설턴트가 매장를 방문하지 않고도 매장의 현황을 디지털 기기로 확인할 수 있고 상황에 적합한 디지털 카운슬링에 기반한 매장 컨설팅 진행이 가능하다. 또한 매장 방문 후 직접 확인 및 불필요한 추가 확인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데이터 기반으로 이슈사항을 바로 확인/체크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운영자가 특정 매대를 찍어서 서버에 업로드하면, 이를 컨설턴트가 확인하고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운영자의 스토어 디바이스(100)로 전송되고, 운영자는 배열의 변경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R 컨설팅 정보는 진열 상품 또는 신규 상품에 대한 해당 매장의 매출 정보 또는 다른 매장의 매출 정보 또는 매출 예상 정보를 상세 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전술한 상세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한 후 해당 상품의 발주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3b)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가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매장의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500)에게 전송한다(S3). 서버(500)의 통신부(510)가 수신한 스토어측 생성 정보(S31)에서 서버(500)의 제어부(550)가 어느 진열 매대에 대한 정보인지를 확인한다(S32).
진열 매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이미지나 동영상 내의 상품들을 서버(500)의 제어부(550)가 수신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법과 서버(500)의 제어부(550)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 내에 포함된 진열 매대에 대한 메타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이미지나 동영상 내에 특정한 마킹이 있는 경우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해당 마킹을 통해 진열 매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마킹은 진열 매대의 바닥, 천장, 또는 진열 매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진열 매대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진열 매대의 주변 혹은 진열 매대에 배치된 마킹을 확인할 수 있다.
진열 매대가 확인(식별)되면,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이미지/동영상 내에서 배치된 상품들과 해당 진열 매대에서 표준 진열되어야 하는 상품들을 비교한다(S33). 비교 결과 동일한 경우에는(S35)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개별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한다(S36).
일 실시예로,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식별된 매대의 정보 및 식별된 진열 상품을 기준으로 진열 상품들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신규 상품의 배치를 추천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진열 상품 또는 신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각 상품별 인기도, 혹은 매출 증가 가능성, 혹은 발주 시 예상 수령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동일하지 않을 경우(S35),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동일하지 않은 상품에 대해서는 해당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한다(S37). 선택적으로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동일한 상품에 대해서는 S36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모든 매장에 동일하게 표준 진열되어야 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AR 컨설팅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일부 지역의 매장들이나 일정 크기의 매장들과 같이 그룹핑된 매장들에 대해 동일하게 표준 진열되어야 하는 상품들의 정보를 AR 컨설팅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생성된 AR 컨설팅 정보를 매장의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한다(S39).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매장 운영자가 AR 증강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설치된 앱을 실행시키면 다수의 메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중에서 AR 매대 교육을 선택하면 42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100과 같이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30)가 매장 내부를 촬영하면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AR 매대 교육을 위해 촬영할 영역을 42 내의 1, 2, 3 과 같이 증강 현실로 표시한다.
여기서 운영자가 2로 지시되는 부분을 탭하면 해당 영역에 표준 진열 매대가 출력된다. 도 9의 43을 살펴본다.
도 9의 43은 도 8의 42의 2 영역을 터치한 경우이다. 표준 매장이 출력되고 이 중에서 관심있는 매대를 터치하면 해당 매대의 표준 진열된 구성이 44와 같이 표시된다. 좌측 하단의 "매대 트렌드 보기"를 터치하고 43a 영역의 매대들 중에서 어느 한 곳을 터치하면 44와 같이 표준 매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44는 소스 매대의 표준 진열을 보여준다. 또한 도 9의 45와 같이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전체 매대들의 표준 진열 상태를 보여줄 수 있다. 만약 한 화면에 모든 매대들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화면을 터치하여 좌우로 이동하여 매대들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따. 도 8 및 도 9는 표준 매대를 확인하고 회전/이동/확대/축소할 수 있는 예시이다.
아울러 도 4 내지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표준 매대와 비교하기 위해 특정 매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AR 컨설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의 44 또는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 컨설팅 정보에 포함된 전체 매대 또는 특정 매대의 표준 진열된 상태를 증강 현실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의 화면은 AR 상품 증강이라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 특정 상품에 대해 증강 현실로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46은 도 8의 41에서 AR 상품 증강 메뉴를 선택한 경우이다. 좌측에 46a와 같이 상품들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1로 표시된 영역을 선택하면 2와 같이 해당 상품이 증강 현실의 방식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세보기 버튼(46b)을 터치하면 47과 같이 해당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출력된다.
47a와 같이 해당 제품의 가격, 도입 배경, 매출 현황, 발주 상황, 수령 예상일 등이 표시되며 "발주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제품 발주 화면이 표시된다.
하단의 "다시하기" 버튼을 선택할 경우, 46의 화면이 표시된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위치 기반으로 점포별, 매대별, 상품별로 IoT 센서를 통해 AR을 활용한 점포 교육 연동 매장을 증강하여 시설/발주/정산/진열요청/업무메모를 표시해가며 점포 운영이 가능하며 파트타임 근무자 역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가 AR 플랫폼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매대 또는 상품을 인식할 경우 현재의 재고 상태, 전주 발주와 매출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운영자가 상품 검수, 발주 폐기 등 기본적인 업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사/점포관리 제휴업체 담당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 무선통신, AR 기술을 통한 원격 조치 서비스 연동이 가능하다. 이는 POS 시스템과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매장 운영자의 근무공간(POS 인근)에 투명 디스플레이나 투명 글라스 등을 스토어 디바이스로 배치할 경우, 전국 매장 또는 특정 매장 운영자에게 위생, 행사, 가맹관련 정보 안내사항 전달 등 실시간 정보 노출이 가능하다.
또한, 매대에 가상 진열 상태를 나타내어 전체 구조를 확인하고 주문 수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재고 관리를 병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에 대한 고객 요청사항, VOC 등 정보와 점포 근무자 요청사항을 해당 업체나, MD, 유관부서에 직접 전달이 가능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명 글라스가 스토어 디바이스인 경우의 도면이다. 투명 글라스 디스플레이(Transparent Glass Display), 줄여서 투명 글라스(100a)는 매장의 카운터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투명 글라스(100a) 주변에는 포스 시스템(200)이 배치되어 있다.
매장 운영자는 매대로 이동하지 않고 센싱 디바이스(300)가 전송한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의 매대를 확인할 수 있다. 투명 글라스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여기에 정보를 출력하고 통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일 실시예이다.
투명 글라스(100a)에서 매장 운영자가 확인해야 할 정보(매장 운영 정보)가 있을 경우 서버(500)는 매장 운영 정보를 투명 글라스(100a)의 통신부(110)에게 전송한다(S51). 투명 글라스(100a)의 제어부(150)는 수신한 매장 운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한다(S52).
매장 운영 정보의 일 실시예로는 매장 운영 관련된 교육 정보, 운영에 관한 새로운 정보, 매장 운영자가 알아야 할 공지사항 등을 포함한다. 투명 글라스(100a)에 표시된 매장 운영 정보는 중요도에 따라 즉시적으로 운영자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가 확인할 때까지 해당 내용을 반복적으로 출력하여 확인을 유도한다.
S52와 같이 공지사항을 매장 운영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MD(상품 기획자) 등 본부의 관계자가 본사에서 결정한 사항을 매장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전달함으로써, 본사와 매장 사이의 의사 소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공지 사항을 반복적으로 출력하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 공지 사항을 운영자가 숙지했는지를 게임이나 간이 테스트 등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정보의 명확한 전달이 가능해진다.
만약 공지 사항이 서류를 통해 또는 컨설턴트의 구두 소통으로 진행될 경우 정보의 누락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과 같이 서버(500)와 스토어 디바이스(100) 사이에 반복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 정보 전달은 명확해지고 정보가 전달되지 못해서 발생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매장 운영 정보가 긴급히 매대에서 없애야 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어떤 제품이 제조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해당 제품의 긴급 회수 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가정한다. 해당 제품이 유제품이어서 신선식품 매대에 배치된 경우, 서버가 전송한 매장 운영 정보는 "신선식품 매대의 A사 aa 유제품의 긴급 회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이때, 투명 글라스(100a)에서 S52와 같이 출력한 후, 자동으로, 혹은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센싱 디바이스(300)에게 신선식품 매대의 "A사 aa유제품"이 배치된 상태의 촬영을 요청한다(S53). 그리고 센싱 디바이스(300)는 촬영한 이미지를 투명 글라스(100a)에게 전송한다(S54).
센싱 디바이스(300)가 전송한 매대의 이미지나 동영상과 서버(500)가 전송한 AR 컨설팅 정보(긴급 회수)가 투명 글라스(100a)의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다(S55). 이때, 운영자의 빠른 판단을 위해 "A사 aa유제품"의 주변에 AR 컨설팅 정보를 반영하여 굵은 선으로 테두리가 표시되며 "긴급 회수"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그 결과, 운영자는 해당 유제품이 더 이상 판매되지 않도록 신선식품 매대로 이동하여 해당 aa 유제품을 수거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포스 시스템과 연계되어, 수거 전에 aa 유제품을 구매하려고 장바구니에 넣은 고객이 결제를 할 경우, 포스 시스템이나 투명 글라스(100a)의 디스플레이부(140)가 "판매 중지"라고 통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글라스(100a)를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실시예로 구현할 경우, 운영자가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POS 시스템(200) 주변의 투명글라스에서 점포 운영 관련 교육/정보/공지사항에 대해 즉시적으로, 반복적으로 노출 및 "확인 했는지 여부"까지 확인이 가능한 체계를 만들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스토어 디바이스(500)가 서버(500)에게 접속을 요청하면,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스토어 디바이스(500)에게 공지 사항 알림 또는 긴급 알림이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51).
이에 대응하여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10)가 서버로부터 매장에 적용될 공지 사항 알림 또는 긴급 알림이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S51),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는 수신한 통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여(S52) 매장 운영자가 내용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통지 메시지가 출력된 이후에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상기 통지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 예를 들어 매장 운영자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터치하는 등의 경우에,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10)는 서버(500)에게 해당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통지 메시지를 확인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0)의 통신부(510)가 스토어 디바이스(100)로부터 통지 메시지를 확인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러한 정보를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20)에 저장한다.
이는 반드시 확인이 필요한 공지 사항에 대해 운영자가 확인했는지에 대한 결과를 서버(500)에 저장하여,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서버(500)는 해당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반복하여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컨설팅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서버가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도 12는 AR 컨설팅 정보를 컨설팅 디바이스(700)가 생성하는 구성을 보여준다. 컨설팅 디바이스(700)는 스토어 디바이스(100)와 같이 제어부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매대 이미지/동영상을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500)에게 전송한다(S61). 서버(500)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저장하고(S62) 해당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담당하는 컨설팅 디바이스(700)에게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전송한다(S63).
컨설팅 디바이스(700)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 위에 표시될 AR 컨설팅 정보 생성한다(S64). 이때, 컨설팅 디바이스(700)는 미리 제공된 AR 컨설팅 정보 생성 툴을 이용하여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매대의 특정 상품이 잘못 배치된 경우, 해당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매대의 해당 위치에 배치될 상품의 이미지가 로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컨설턴트가 컨설팅 디바이스(70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직접 그릴 수도 있고, 사진 파일을 로딩하여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AR 컨설팅 정보에 컨설턴트가 음성으로 입력한 음성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설팅 디바이스(700)는 AR 컨설팅 정보를 서버(500)에게 전송한다(S65). 서버(500)는 AR 컨설팅 정보를 저장한 후(S66), AR 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한다(S67). 이후,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AR 컨설팅 정보를 출력한다(S68). AR 컨설팅 정보에 음성 파일/동영상 파일이 포함된 경우,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음성 파일/동영상 파일을 출력하여 운영자가 설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전국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근무자, 경영주 포함)는 매장 운영 및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100)에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AR 플랫폼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AR 기술을 활용하여 해당 매장의 상품들 위에 AR 컨설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자는 사람 및 문서 등을 통하지 않더라도 최신 상품 트렌드와 전국 상품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현재 매장의 재고, 판매현황(경험), 운영자의 경험, 컨설턴트인 본사직원의 가이드 등 다양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빠르고 합리적인 판단을 하고 매장의 상품을 배치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 필요한 정보들을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활용하여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다.
서버(500)는 각 매장의 상품 판매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이들 정보를 제어부(550) 내의 인공지능 모듈이 학습한다. 그 결과, 특정 상품의 판매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면 서버(500)는 해당 상품이 매대에 배치될 수 있도록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상품 추가에 대한 판매 실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동일한 방식으로 추천 받은 타 매장(특히 지역/상권이 유사하거나 규모가 유사하거나 매장이 위치한 공간의 특성-상업지/주거지가 유사한 경우)의 매출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서버(500)는 매장의 위치나 크기, 상업지/주거지 유형 등에 따라 각기 다른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매장에서만 판매가 높은 상품이 있는 경우, 서버(500)는 이를 분석하여 해당 매장의 운영자가 소지한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해당 상품의 배치 공간을 더 많이 할당할 것을 알리는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매장의 프랜차이즈 본사의 컨설턴트가 매장에 도착 시 컨설팅 디바이스(700)는 매장 내의 혹은 매대의 특정한 식별표를 인식할 수 있다. 특정한 식별표는 QR 코드로 각 매대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센싱 디바이스(300)와 컨설팅 디바이스(700)가 상호 통신할 경우, 센싱 디바이스(300)가 식별표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정황정보(시간, 위치, 조건 등)에 따라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통해 카운슬링 내용(체크 가이드 매뉴얼 포함, 점포 운영 안내 가이드 자료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컨설팅 디바이스(700)와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컨설팅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종래에는 컨설턴트가 직접 매장을 방문하여 현상을 파악한 뒤, 운영자와 대화하고 매출 증대를 위한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면 운영자가 그에 따라 상품을 재배치하거나 운영을 변경하였다. 이는 컨설팅의 시작에서 완료시점까지 많은 시간이 투여되었다.
그러나, 도 12의 과정을 적용할 경우, 컨설턴트는 언제든지 매장의 운영에 대해 AR 컨설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화가 가능하다.
매장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다수인 경우, 이들 중에 일부가 내용을 전달받지 못하거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공지 사항을 재확인하고 상품취급과 매장 운영의 세부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운슬링 방식은 과거 컨설턴트가 직접 방문하는 방식과 달리 매장 내에서 운영자가 상품 재배치나 시설 이슈에서 직/간접적으로 조치가 가능한 부분을 운영자가 학습 및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매장 운영자가 지속적으로 매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서버(500)에 업로드할 경우, 서버(500)는 제품들의 배치와 유통기한 등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여 문제 상황에 대해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 내에 포함된 다양한 매장의 정보들, 예를 들어 온도나 습도 정보, 신선매대의 온도 등을 확인하고 매장 내의 시설 점검이나 조치가 필요할 경우 이를 AR 컨설팅 정보에 포함시켜 스토어 디바이스(100)이 이를 공지사항 혹은 긴급점검과 같은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매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은 서버(500)에 스토어측 생성 정보로 누적 저장되어 컨설턴트가 매장에 방문하기 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2에서 서버(500)가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컨설팅 디바이스(700)가 내용을 추가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격 컨설팅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와 유사하며, 다만 서버에서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컨설팅 디바이스(700)가 업데이트하는 과정이다. S61 및 S62는 도 12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서버(500)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고(S62a) 해당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담당하는 컨설팅 디바이스(700)에게 스토어측 생성 정보 및 AR 컨설팅 정보를 전송한다(S63a).
컨설팅 디바이스(700)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 및 AR 컨설팅 정보를 확인하고 추가 사항이 있을 경우 AR 컨설팅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S64a). 이때, 컨설팅 디바이스(700)는 미리 제공된 AR 컨설팅 정보 생성 툴을 이용하여 AR 컨설팅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매대의 특정 상품이 잘못 배치된 경우, 해당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상품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매대의 해당 위치에 배치될 상품의 이미지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서버(500)가 생성한 AR 컨설팅 정보에 컨설턴트가 음성으로 입력한 음성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설팅 디바이스(700)는 업데이트된 AR 컨설팅 정보를 서버(500)에게 전송한다(S65a). 서버(500)는 업데이트된 AR 컨설팅 정보를 저장한 후(S66a), 이를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한다(S67a). 이후,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AR 컨설팅 정보를 출력한다(S68). AR 컨설팅 정보에 음성 파일/동영상 파일이 포함된 경우,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음성 파일/동영상 파일을 출력하여 운영자가 설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정리하면,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스토어 디바이스(100)에 대응하는 컨설팅 디바이스(700)를 식별한다. 이는 각 매장을 담당하는 컨설턴트 정보가 서버(500)에 저장된 경우, 서버(500)가 해당 컨설턴트가 사용하는 컨설팅 디바이스(700)를 식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는, 서버(500)는 현재 상담이 가능한 컨설턴트가 컨설팅 디바이스(700)를 식별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서버(500)가 생성한 AR 컨설팅 정보 또는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생성하여 전송한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컨설팅 디바이스(700)에게 전송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가 해당 매점의 상품 배치를 최적화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도 11의 S55는 긴급 회수되는 제품이 스토어 디바이스인 투명 글라스(100a)에 표시되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서버(500)는 이외에도 실시간으로 매출이 급상승하는 상품의 배치를 추천하는 정보를 AR 컨설팅 정보로 추가하여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다수 매장의 포스 시스템(200)들로부터 상품 판매 정보를 수신한다(S71).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수신한 상품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S72). 예를 들어 기온의 급격한 상승으로 아이스크림 판매가 높아지거나, 특정 상품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알려진 경우 단기간 판매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20)에 누적 저장한 후, 이들 상품들의 판매 추이를 분석한다.
그 결과 특정 상품의 판매가 급상승하는 경우,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추천 상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한다(S73).
이때, AR 컨설팅 정보는 전체 매장을 기준으로 생성할 수도 있고 특정 지역의 매장들만을 기준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의 급상승은 서울과 부산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서울의 온도 급상승과 이에 따른 상품 판매 증가로 인해 추천을 받는 매장들을 서울 지역의 매장들로 한정하여 아이스크림 혹은 찬 음료를 추천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지역에의 소셜 미디어에서 특정 상품이 언급될 경우, 예를 들어, 대전에서 특정 빵과 같이 먹기에 좋은 우유가 언급되어 대전 지역에서 해당 우유의 판매가 증가될 경우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대전 지역의 매장들에 한정하여 해당 우유를 추천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AR 컨설팅 정보를 전국 매장 또는 특정 지역의 매장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각 매장의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업로드한 스토어측 생성 정보가 AR 컨설팅 정보와 결합 가능한지 확인한다(S74).
예를 들어 제1매장에서 최근 신선상품 매대의 상품들의 이미지를 찍어서 업로드한 경우, 서버(500)의 제어부(550)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 포함된 해당 매대의 이미지 위에 AR 컨설팅 정보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결합한 정보를 제1매장의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75). 그 결과 운영자가 해당 매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22와 같이 오렌지 주스가 AR 컨설팅 정보에 포함되어 스토어 디바이스(10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S74에서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거나 업로드되었던 스토어측 생성 정보의 업로드 시점이 일정 시점 이전(예를 들어 1일전, 12시간 전)인 경우에는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제1매장의 스토어 디바이스(100)에게 AR 컨설팅 정보를 전송한다. 그 결과, 도 11과 같이 도 11의 방식과 같이 스토어 디바이스(100)에 AR 컨설팅 정보가 공지 사항 알림 또는 긴급 알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 디바이스가 매대 별로 비교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50)가 생성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는 제1 매대의 진열 상품들의 제1이미지(81)이다. 서버(500)가 생성하거나 전달하는 AR 컨설팅 정보는 제1매대의 진열 상품들 중 어느 하나 이상(도 15에서 B라면)을 추천 상품(도 15에서 K라면)으로 교체하여 제1이미지(81) 중 일부를 변경한 제2이미지(82)인 경우를 보여준다. 스토어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10)가 수신하는 AR 컨설팅 정보는 제2이미지 또는 제2이미지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스토어 디바이스(100)가 해당 매장의 라면 매대를 81과 같이 찍어서 서버(500)로 전송하면 서버(500)는 82와 같은 AR 컨설팅 정보를 전송한다. 82는 81의 매대에서 추천 상품으로 재배치된 매대의 이미지이다. 운영자는 B 라면 대신 K 라면을 배치할 것을 제시하는 AR 컨설팅 정보(82)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매장의 상품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매장의 매대와 표준 진열 매대를 비교할 수 있다. 앞서, 도 9의 43과 같이 운영자가 특정 매대를 선택하면 이전에 촬영되어 서버에 전송되었던 매대의 이미지(스토어측 생성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에 해당하는 표준 매대의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표준 매대 또는 현재 매대의 특정 상품을 선택하면 그에 따라 추가 발주 또는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스토어 디바이스(100)에 표시된다.
운영자는 AR 플랫폼의 구성요소인 스토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매장의 매대(81)와 AR로 증강된 표준 매대(82)를 나란히 비교하면서 진열이 잘못되거나 판매 매출이 우수한 타 매장의 진열 상품 및 매대를 확인할 수 있다.
운영자는 매장에서 취급하지 않는 상품을 증강된 표준/추천 매대에서 상품까지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상품에 대한 세부 정보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매장 운영을 위해 스토어 디바이스(100)는 발주, 픽업, 예약 시스템과 연계하여 상품을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스토어 디바이스 300: 센싱 디바이스
500: 서버 700: 컨설팅 디바이스

Claims (19)

  1. 스토어 디바이스의 제어부가 매장에 진열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들의 이미지 또는 상기 이미지들로 구성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의 통신부가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진열 상품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의 제어부가 상기 AR 컨설팅 정보를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부가 상기 매장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동영상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매장 또는 상기 진열 상품들이 진열된 매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는 상기 수신된 매대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 컨설팅 정보는 상기 진열 상품들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신규 상품의 배치를 추천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진열 상품 또는 신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R 컨설팅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진열 상품 또는 상기 신규 상품에 대한 상기 매장의 매출 정보 또는 다른 매장의 매출 정보 또는 매출 예상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 후 해당 상품의 발주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장에 적용될 공지 사항 알림 또는 긴급 알림이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가 상기 통지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통지 메시지를 확인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는 제1 매대의 진열 상품들의 제1이미지이며,
    상기 AR 컨설팅 정보는 상기 제1매대의 상기 진열 상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 상품으로 교체하여 상기 제1이미지 중 일부를 변경한 제2이미지인,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서버의 통신부가 스토어 디바이스로부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의 제어부가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을 식별하여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AR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서 상기 진열 상품들이 진열된 매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매대의 정보 및 상기 식별된 진열 상품을 기준으로 상기 진열 상품들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신규 상품의 배치를 추천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진열 상품 또는 신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R 컨설팅 정보에 포함된 상기 상세 정보에 상기 진열 상품 또는 상기 신규 상품에 대한 상기 매장의 매출 정보 또는 다른 매장의 매출 정보 또는 매출 예상 정보를 포함하며,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가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에게 공지 사항 알림 또는 긴급 알림이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지 메시지를 확인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컨설팅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컨설팅 디바이스에게 상기 AR 컨설팅 정보 또는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서버 및 센싱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카메라,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매장에 진열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들의 이미지 또는 상기 이미지들로 구성된 동영상을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진열 상품에 대응하는 AR 컨설팅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AR 컨설팅 정보를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스토어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매장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동영상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센싱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매장 또는 상기 진열 상품들이 진열된 매대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매대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하는, 스토어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매대의 진열 상품들의 제1이미지를 포함하는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AR 컨설팅 정보는 상기 제1매대의 상기 진열 상품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 상품으로 교체하여 상기 제1이미지 중 일부를 변경한 제2이미지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2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는, 스토어 디바이스.
  16. 포스 시스템, 스토어 디바이스 및 컨설팅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포스 시스템이 전송한 상품 판매 정보 및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가 전송한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가 스토어 디바이스로부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진열 상품을 식별하여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AR컨설팅 정보를 스토어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에서 상기 진열 상품들이 진열된 매대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매대의 정보 및 상기 식별된 진열 상품을 기준으로 상기 진열 상품들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신규 상품의 배치를 추천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진열 상품 또는 신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AR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가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에게 공지 사항 알림 또는 긴급 알림이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지 메시지를 확인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서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토어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컨설팅 디바이스를 식별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컨설팅 디바이스에게 상기 AR 컨설팅 정보 또는 상기 스토어측 생성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KR1020210169165A 2021-11-30 2021-11-30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81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165A KR20230081265A (ko) 2021-11-30 2021-11-30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165A KR20230081265A (ko) 2021-11-30 2021-11-30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265A true KR20230081265A (ko) 2023-06-07

Family

ID=8676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165A KR20230081265A (ko) 2021-11-30 2021-11-30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2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941B2 (en) Real-time internet capable device information interchange for coordinated queuing at locations
KR101533199B1 (ko)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US11798337B2 (en) Dual-mode commercial messaging systems
US10395290B1 (en) Location-based remote customer service
US20150307279A1 (en) Retail automation platform
KR20210071096A (ko) 제품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US10755231B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validating a quantity of items in fulfillment centers for inventory management
US2013017930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tocking Inventory
KR102402270B1 (ko) 플렉서블 배달 작업의 자기주도적 할당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시스템 및 방법
KR102647845B1 (ko) 패키지 배달 촉진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US11025637B2 (en) Offline sales execution system
KR20210063301A (ko) 개체의 효율적인 패키징을 위한 자동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14947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quality control of worker behavior using a non-linear fault scoring scheme
KR102618008B1 (ko) 가상 번들의 동적 밸런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810441B (zh) 追蹤使用者的時間的電腦實施裝置、方法及系統
KR20230081265A (ko)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4197253A (ja) 通信販売処理装置、通信販売処理方法および通信販売処理プログラム
KR20220139265A (ko) 제품 할당 검증을 이용한 인바운드 제품의 지능적 분배에 의해 제품 재고를 최적화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1659977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30327A (ko) 지능형 필터 시퀀싱을 사용하는 온라인 쇼핑 동안의 시각적 네비게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23519032A (ja) クラウドソース知識データベースを使用したデータの収集、管理、および配布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2038364A (ja) 業務支援装置、業務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164652A1 (en) Improved retail automation platform
JP2019028872A (ja) 販売商品情報の報告システム及び該報告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KR20230081278A (ko) 증강 현실에 기반하여 상품 또는 매장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