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108A -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 - Google Patents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108A
KR20230081108A KR1020210168847A KR20210168847A KR20230081108A KR 20230081108 A KR20230081108 A KR 20230081108A KR 1020210168847 A KR1020210168847 A KR 1020210168847A KR 20210168847 A KR20210168847 A KR 20210168847A KR 20230081108 A KR20230081108 A KR 20230081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fuse
pouch
type battery
case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6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108A/ko
Priority to JP2023523286A priority patent/JP2024501604A/ja
Priority to PCT/KR2022/015879 priority patent/WO2023101211A1/ko
Priority to EP22899613.8A priority patent/EP4243194A1/en
Priority to CN202280008575.0A priority patent/CN116711137A/zh
Publication of KR2023008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한 쌍의 전극 탭이 구비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셀 케이스; 일측은 상기 전극탭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 상기 셀 케이스와 전극리드 사이에 위치하는 리드필름; 및 온도 퓨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 퓨즈부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시 온도 퓨즈부가 작동하여 쇼트 발생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Pouch-Type Battery Cell With Improved Thermal safety}
본 발명은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파우치형 전지 셀 내부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시 외부 단락을 유도하여 발화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알려져 있으며,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서는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한편, 하나의 단위 전지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며,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전지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을 구성하거나,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전지 셀을 병렬 연결하여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하지만 다수의 전지 셀이 연결될 시에는 과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부하로 인해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전지의 이상 상태를 증폭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열 시트나 히트 싱크를 구비하여 전지 온도를 소정 범위로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방열 시트나 히트 싱크와 같은 냉각 부재가 구비되더라도 전지 셀의 온도가 짧은 시간에 급격하게 상승할 시에는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대응방안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8274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충방전이나 내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전지 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더라도 발화 가능성을 억제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은, 일측 또는 양측에 한 쌍의 전극 탭(110)이 구비된 전극조립체(100); 상기 전극조립체(100)를 수납하는 셀 케이스(200); 일측은 상기 전극탭(11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셀 케이스(200)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300); 상기 셀 케이스(200)와 전극리드(300) 사이에 위치하는 리드필름(400); 및 온도 퓨즈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 퓨즈부(500)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시 온도 퓨즈부(500)가 작동하여 쇼트 발생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셀 케이스(200)는 외부 수지층, 금속층 및 내부 수지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구조이며, 상기 온도 퓨즈부(500)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시 연결되는 온도 퓨즈(510), 상기 온도 퓨즈(510) 일측에서 소정 길이 연장된 제1 케이블(520) 및 상기 온도 퓨즈(510) 타측에서 소정 길이 연장된 제2 케이블(530)을 포함하는 2개로 구성되며, 하나의 온도 퓨즈부(500)는 양극 탭과 셀 케이스(200) 금속층을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온도 퓨즈부(500)는 음극 탭과 셀 케이스(200) 금속층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온도 퓨즈(510)는 셀 케이스(200)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온도 퓨즈(510)는 전극 탭(110) 인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온도 퓨즈(510)는 코팅층(540)에 의해 감싸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코팅층(540)은 실리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온도 퓨즈(510)는 셀 케이스(200)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온도 퓨즈(510)는 셀 케이스(200) 외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온도 퓨즈(510)는 접착부재(550)에 의해 셀 케이스(200)의 포켓부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접착부재(550)는 열전도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기 셀 케이스(200)는 상부 케이스(210), 상기 상부 케이스(210)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220), 및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 가장자리의 실링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230)는 3면 또는 4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에 의하면, 소정 온도 이상에서만 작동하여 양극과 음극 간의 쇼트 발생을 유도할 수 있는 온도 퓨즈부가 구비되어 있어 화재 등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에 의하면, 온도 퓨즈부는 셀 케이스 내부 또는 셀 케이스의 테라스부에 구비될 수 있어 전지 셀의 부피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에 의하면, 별도의 센싱 장비 없이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쇼트를 유도할 수 있어 고온 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퓨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퓨즈부의 일측 케이블을 셀 케이스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의 사시도, 도 2은 도 1의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은 전극조립체(100), 셀 케이스(200), 전극리드(300), 리드필름(400) 및 온도 퓨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전극조립체(100)는 긴 시트형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후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젤리-롤형 셀조립체, 또는 장방형의 양극 및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는 구조의 단위셀들로 구성되는 스택형 셀조립체, 단위셀들이 긴 분리 필름에 의해 권취되는 스택-폴딩형 셀조립체, 또는 단위셀들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셀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 전극조립체(100)는 일측 또는 양측에 한 쌍의 전극 탭(11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전극 탭(110)은 전극 리드(3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전극조립체(100)에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전극 리드(300)로 흐를 수 있게 한다.
전극조립체(100)를 감싸기 위한 셀 케이스(200)는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 상부 케이스(210), 실링부(230), 및 테라스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210)는 전극조립체(100)의 상부를 감싸도록 포켓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외부 수지층(211), 제1 금속층(212) 및 제1 내부 수지층(213)의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1 외부 수지층(211)은 전극조립체(100)를 보호하면서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장강도, 투습방지성 및 공기투과 방지성이 우수한 내열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일예로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제1 외부 수지층(211)과 접하고 있는 제1 금속층(212)은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각종 가스가 전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에 해당되고, 이러한 금속층의 바람직한 재료로는 가벼우면서도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내부 수지층(213)은 제1 금속층(212)의 타측면에 구비되며, 전극조립체(1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절연성과 내전해액성을 가져야 하고, 이러한 제1 내부 수지층(213)의 재료로는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도 실링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아크릴산, 폴리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폴리이미드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부 케이스(210)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220)는 전극조립체(100)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포켓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제2 외부 수지층(221), 제2 금속층(222) 및 제2 내부 수지층(223)의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2 외부 수지층(221), 제2 금속층(222) 및 제2 내부 수지층(223)은 전술한 상부 케이스(210)의 제1 외부 수지층(211), 제1 금속층(212) 및 제1 내부 수지층(213)과 기능 및 소재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비록 도 1 및 2에서는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 각각에 전극조립체(100)가 수납되는 포켓부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만 포켓부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의 케이스에는 평판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 도면들에서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장변 또는 단변 일측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일 수 있다.
전술한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의 포켓부에 전극조립체(100)가 수납된 이후에는 이들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가 접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부(230)가 형성된다.
즉,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의 접하는 가장자리의 제1 내부 수지층(213)과 제2 내부 수지층(223)이 열융착됨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전극조립체(100)는 외부의 공기나 수분으로부터 차단되는 것이다.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가 실링된 이후에는 전극 리드(300)가 관통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실링부(230)들은 포켓부 측면을 향해 절곡될 수 있고, 이때 전극 리드(300)가 돌출한 부분에 위치하는 실링부(230)는 테라스부(240)라고도 불린다.
한편, 전극 리드(300)는 평판 형상으로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로 이루어지며, 전극조립체(100)의 전극 탭(110)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리드 필름(400)은 셀 케이스(200)와 전극 리드(30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절연성과 실링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셀 케이스(200)의 테라스부(240)에 위치한 전극리드(3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퓨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서 온도 퓨즈부(5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온도 퓨즈부(500)는 평소에는 아무 기능도 수행하지 않지만 전지 셀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온도 퓨즈가 연결됨으로써 양극과 음극 간의 쇼트가 발생하여 외부 단락 상태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발화 가능성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온도 퓨즈부(500)는 한 쌍, 즉 2개로 구성되며, 각 온도 퓨즈부(500)는 온도 퓨즈(510), 제1 케이블(520), 제2 케이블(530) 및 코팅층(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측에는 제1 케이블(520) 그리고 타측에는 제2 케이블(530)이 연결되어 있는 온도 퓨즈(510)는 정상적인 온도에서는 접점이 서로 떨어져 있지만,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접점이 붙어 통전되는 일종의 보호용 스위치이며, 이러한 온도 퓨즈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온도 퓨즈(510)는 셀 케이스(200)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테라스부(240)를 향하는 전극 탭 인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온도 퓨즈부(500) 중 하나는 양극 탭과 셀 케이스(200)의 금속층,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온도 퓨즈부(500)는 음극 탭과 셀 케이스(200)의 금속층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온도 퓨즈부(500)를 기준으로 할 시, 온도 퓨즈(510) 일측에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제1 케이블(520)은 양극 탭과 연결되는 한편, 제2 케이블(530)은 셀 케이스의 금속층과 연결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온도 퓨즈부(500)에서는 제1 케이블(520)은 음극 탭과 연결되고 제2 케이블(530)은 셀 케이스의 금속층과 연결된다.
따라서, 셀 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일 시에는 온도 퓨즈(510)의 접점이 이격되어 있지만, 충방전과정 또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접점이 붙게 되고, 결과적으로 양극 탭, 금속층 및 음극 탭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과 음극 간의 쇼트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하나의 온도 퓨즈부를 사용하여 양극 탭과 음극 탭을 바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쇼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온도 퓨즈부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급속 충전이나 출력 시 어느 한쪽의 전극 탭에서 일시적으로 온도가 상승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정상적인 작동에 해당되므로 쇼트가 발생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한편, 온도 퓨즈(510)가 작동하는 130℃ 이상일 수 있으나, 내부 쇼트로 인한 발화온도가 200℃ 이상인 것을 감안하면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온도 퓨즈부(500)의 각 제1 케이블(520)은 전극 탭과 전극 리드 용접 시 함께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이 좋다.
코팅층(540)은 온도 퓨즈(510)를 감싸고 있으며, 셀 케이스(200) 내부에 위치하는 전해액에 의해 온도 퓨즈(510)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내전해액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코팅층(540)의 소재는 실리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도 퓨즈부의 일측 케이블을 셀 케이스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도 퓨즈(510)에서 연장되어 있는 제2 케이블(530)은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의 금속층과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는 외부 수지층, 금속층 및 내부 수지층 순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구조이고, 실링 공정 시 상부 케이스(210)의 제1 내부 수지층(211)과 하부 케이스(220)의 제2 내부 수지층(221)이 용융됨으로써 하나의 층을 형성하게 된다.
제2 케이블(530)의 절연성 물질로 피복되어 있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를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 사이에 개재시킨 후, 소정 온도와 압력 하에서 실링 공정을 실시한다. 그러면 제2 케이블(530)의 와이어는 제1 금속층(212)과 제2 금속층(222) 사이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케이블(530)의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피복층 일부분이 실링부(230)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어도 무방하다.
물론, 제2 케이블(530)의 와이어와 금속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면 전술한 방법에 제한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파우치형 전지 셀에서 상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은 온도 퓨즈부(500)가 설치되는 위치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 셀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온도 퓨즈부(500)는 셀 케이스(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셀 케이스(200)의 외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전극 탭이나 전극 리드가 위치하는 테라스부(240)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온도 퓨즈부(500)를 셀 케이스(200) 외측면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셀 케이스(200) 내부의 열기를 신속하게 전달하고 나아가 내열성을 갖는 접착부재(550), 예를 들어 경화성 그리스(Grease) 또는 에폭시(Epoxy)계 접착성 글루(Glue)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전극조립체
110: 전극 탭
200: 셀 케이스
210: 상부 케이스
211: 제1 외부 수지층 212: 제1 금속층
213: 제1 내부 수지층
220: 하부 케이스
221: 제2 외부 수지층 222: 제2 금속층
223: 제2 내부 수지층
230: 실링부
240: 테라스부
300: 전극리드
400: 리드 필름
500: 온도 퓨즈부
510: 온도 퓨즈
520: 제1 케이블
530: 제2 케이블
540: 코팅층
550: 접착부재

Claims (11)

  1. 일측 또는 양측에 한 쌍의 전극 탭이 구비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셀 케이스;
    일측은 상기 전극탭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
    상기 셀 케이스와 전극리드 사이에 위치하는 리드필름; 및
    온도 퓨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 퓨즈부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시 온도 퓨즈부가 작동하여 쇼트 발생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케이스는 외부 수지층, 금속층 및 내부 수지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구조이며,
    상기 온도 퓨즈부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시 연결되는 온도 퓨즈, 상기 온도 퓨즈 일측에서 소정 길이 연장된 제1 케이블 및 상기 온도 퓨즈 타측에서 소정 길이 연장된 제2 케이블을 포함하는 2개로 구성되며,
    하나의 온도 퓨즈부는 양극 탭과 셀 케이스 금속층을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온도 퓨즈부는 음극 탭과 셀 케이스 금속층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퓨즈는 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퓨즈는 전극 탭 인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퓨즈는 코팅층에 의해 감싸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퓨즈는 셀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퓨즈는 셀 케이스 외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퓨즈는 접착부재에 의해 셀 케이스의 포켓부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열전도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가장자리의 실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는 3면 또는 4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 셀.




KR1020210168847A 2021-11-30 2021-11-30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 KR20230081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847A KR20230081108A (ko) 2021-11-30 2021-11-30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
JP2023523286A JP2024501604A (ja) 2021-11-30 2022-10-18 熱的安全性が向上したパウチ型電池セル
PCT/KR2022/015879 WO2023101211A1 (ko) 2021-11-30 2022-10-18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
EP22899613.8A EP4243194A1 (en) 2021-11-30 2022-10-18 Pouch-type battery cell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CN202280008575.0A CN116711137A (zh) 2021-11-30 2022-10-18 具有改进的热稳定性的袋形电池单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847A KR20230081108A (ko) 2021-11-30 2021-11-30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108A true KR20230081108A (ko) 2023-06-07

Family

ID=8661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847A KR20230081108A (ko) 2021-11-30 2021-11-30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43194A1 (ko)
JP (1) JP2024501604A (ko)
KR (1) KR20230081108A (ko)
CN (1) CN116711137A (ko)
WO (1) WO202310121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748A (ko)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온에서 단전을 유도하는 온도 퓨즈가 장착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2490B2 (ja) * 1999-06-10 2009-07-08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ラミネートパック電池
KR100822184B1 (ko) * 2001-09-19 2008-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온도 퓨즈
JP5958141B2 (ja) * 2012-07-20 2016-07-2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および蓄電素子システム
KR102087748B1 (ko) * 2015-11-18 2020-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KR20170061490A (ko) * 2015-11-26 2017-06-05 이동현 스마트폰 병렬식 더블 배터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748A (ko)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온에서 단전을 유도하는 온도 퓨즈가 장착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211A1 (ko) 2023-06-08
JP2024501604A (ja) 2024-01-15
CN116711137A (zh) 2023-09-05
EP4243194A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8148B1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breaking connector by using venting gas
EP2357685B1 (en) Rechargeable battery
CN107949932B (zh) 具有使用胶带的排气结构的电池单元
US10998597B2 (en) Battery module provided with connector breaking device
KR101223730B1 (ko) 이차전지 팩 및 이차전지 팩 용 보호회로모듈
CN106654137B (zh) 蓄电池单元
US20140315054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766047B1 (ko) 배터리 셀
KR20140094205A (ko) 이차 전지
KR102080903B1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09937495B (zh) 可再充电电池
US9455479B2 (en) Rechargable battery having a fuse
EP4131584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heat insulating member
KR20140022236A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2179687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07084A (ko) 이차 전지
KR101797694B1 (ko)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009795A (ko) 전류 차단 기능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170012971A (ko)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KR20230081108A (ko) 열적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 셀
KR20220005221A (ko) 접착부재에 의해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연결된 전지 모듈
KR101156963B1 (ko) Ptc 소자의 전극리드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101637896B1 (ko) 절연용 액상물질 수용부를 구비한 전극조립체
US20240021888A1 (en) Battery module having electrolytic solution leakage detection function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622970B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