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982A -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982A
KR20230080982A KR1020210168617A KR20210168617A KR20230080982A KR 20230080982 A KR20230080982 A KR 20230080982A KR 1020210168617 A KR1020210168617 A KR 1020210168617A KR 20210168617 A KR20210168617 A KR 20210168617A KR 20230080982 A KR20230080982 A KR 20230080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housing
piston
input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7425B1 (ko
Inventor
이지성
Original Assignee
우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425B1/ko
Publication of KR2023008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60K17/2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in which the differential movement is limi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20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differential action, e.g. 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48/40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7Gearboxes for accommodating differential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2Cleaning of lubricants, e.g. filters or magnets
    • F16H57/0404Lubrican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5Pressure control for supplying lubricant; Circuits or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6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은,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 또는 회전 속도를 변환하여 차동 수단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 수단과, 상기 변속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변속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의 증대 또는 서로 다른 액슬 샤프트의 차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동 수단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액슬 샤프트 중 어느 하나의 저항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다른 하나가 공전될 경우 공전하는 액슬 샤프트의 동력을 감소시키면서 공전하는 액슬 샤프트의 감소된 동력을 다른 액슬 샤프트로 전달하는 차동 제한 수단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밸브 수단 또는 상기 차동 제한 수단으로 오일을 압송하는 펌프 수단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에 의하여 압송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 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에 의하여 압송되는 오일이 상기 변속 수단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수단과,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에 의하여 압송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냉각하는 쿨링 수단과,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변속 수단의 구동을 제한하는 파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부품이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갖게 됨과 더불어 변속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전동화 차량의 최대 속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Two-speed transmiss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품이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구동 시점에서 가장 높은 토크를 요구하며, 차량의 속도가 점차 상승됨에 따라 차량은 점차 낮은 토크를 요구하면서 높은 회전 속도를 요구하게 된다.
종래의 내연 기관 차량에서는, 동력의 생성을 위해 엔진이 이용되며, 이 엔진은 차량이 요구하는 토크-회전 속도와는 상이한 출력을 띤다.
이에, 엔진에는 엔진으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차량의 각 상황에 알맞은 토크와 회전 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기가 결합된다.
이러한, 내연 기관용 변속기는 적게는 4단부터 많게는 8단 이상의 기어로 이루어져 엔진으로부터 생성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각 상황에 알맞은 토크와 회전 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동화 차량에서는 동력의 생성을 위해 엔진이 아닌 모터가 이용되며, 이 모터는 엔진과는 달리 높은 초기 토크를 순간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 회전 속도가 점차 상승됨에 따라 토크도 점차 낮아지는 출력을 띤다.
이처럼, 모터가 높은 초기 토크를 순간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전동화 차량에서는 차량이 요구하는 높은 토크 제공을 위한 1단 감속기가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모터에 1단 감속기가 결합될 경우 높은 토크는 제공할 수 있으나 차량의 최고 속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동화 차량에서도 차량의 높은 최고 속도를 위한 변속기가 요구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97453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부품이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 또는 회전 속도를 변환하여 차동 수단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 수단과, 상기 변속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변속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의 증대 또는 서로 다른 액슬 샤프트의 차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동 수단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액슬 샤프트 중 어느 하나의 저항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다른 하나가 공전될 경우 공전하는 액슬 샤프트의 동력을 감소시키면서 공전하는 액슬 샤프트의 감소된 동력을 다른 액슬 샤프트로 전달하는 차동 제한 수단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밸브 수단 또는 상기 차동 제한 수단으로 오일을 압송하는 펌프 수단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에 의하여 압송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 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에 의하여 압송되는 오일이 상기 변속 수단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수단과,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에 의하여 압송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냉각하는 쿨링 수단과,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변속 수단의 구동을 제한하는 파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외륜 일부에는 인풋 샤프트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인풋 샤프트와, 상기 인풋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인풋 샤프트와는 별개로 회전되는 제1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인풋 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와는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인풋 샤프트와는 별개로 회전되는 제2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의 사이에 구비되며 유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 또는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되지 않는 클러치부와, 상기 인풋 샤프트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인풋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외륜 일부에는 카운터 기어가 형성되는 카운터 샤프트와,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드리븐 기어와,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리븐 기어와는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드리븐 기어와,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파킹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인풋 샤프트와는 이격되면서 상기 인풋 샤프트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피스톤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유압에 의하여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제1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1 피스톤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1 피스톤이 후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리턴 부재와,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와 결합되면서 내륜에는 제1 드럼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제1 드럼과, 상기 인풋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1 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 피스톤에 의하여 상기 인풋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심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심 플레이트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1 마찰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1 마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드럼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륜에는 제1 분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의 회전 속도와 점차 동기되는 제1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1 리액션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드럼의 내부와 접촉되는 제1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유압에 의하여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제2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2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2 피스톤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2 피스톤이 후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리턴 부재와,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와 결합되면서 내륜에는 제2 드럼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제2 드럼과, 상기 인풋 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2 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 피스톤에 의하여 상기 인풋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2 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심 플레이트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2 마찰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2 마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드럼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륜에는 제2 분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의 회전 속도와 점차 동기되는 제2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2 리액션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드럼의 내부와 접촉되는 제2 리액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피스톤으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유로 및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피스톤으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유로가 복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킹 수단은,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내부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내륜에는 탭이 형성되는 탭 하우징과, 상기 탭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탭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파킹 플런저와, 상기 파킹 플런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플런저와 함께 이송됨으로써 파킹 폴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파킹 콘과,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파킹 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파킹 샤프트와, 상기 파킹 샤프트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킹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파킹 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파킹 기어와 결합됨으로써 카운터 샤프트의 구동을 제한하는 파킹 폴과, 상기 파킹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폴이 상기 파킹 콘과 접촉되지 않을 경우 상기 파킹 폴이 상기 파킹 기어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파킹 리턴 부재와,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플런저에 의한 상기 파킹 콘의 직선 이송을 안내하는 파킹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킹 폴의 일측에는 상기 파킹 콘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단이 형성되며, 상기 파킹 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결합단이 상기 파킹 콘과 결합될 경우 상기 파킹 기어와 결합되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파킹 콘의 외륜 일부에는 상기 파킹 플런저에 의하여 전진될 경우 상기 결합단을 가압하는 확장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부품이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갖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변속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전동화 차량의 최대 속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변속 수단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러치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스톤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킹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변속 수단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클러치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스톤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킹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은, 제1 하우징 부재(11)와 제2 하우징 부재(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 또는 회전 속도를 변환하여 차동 수단(3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 수단(20)과, 상기 변속 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변속 수단(2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의 증대 또는 서로 다른 액슬 샤프트(미도시)의 차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동 수단(30)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1)의 일측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액슬 샤프트 중 어느 하나의 저항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다른 하나가 공전될 경우 공전하는 액슬 샤프트의 동력을 감소시키면서 공전하는 액슬 샤프트의 감소된 동력을 다른 액슬 샤프트로 전달하는 차동 제한 수단(40)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1)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밸브 수단(70) 또는 상기 차동 제한 수단(40)으로 오일을 압송하는 펌프 수단(50)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1)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50)에 의하여 압송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 수단(6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50)에 의하여 압송되는 오일이 상기 변속 수단(20)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수단(70)과, 상기 제2 하우징 부재(1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50)에 의하여 압송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냉각하는 쿨링 수단(80)과, 상기 제2 하우징 부재(12)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변속 수단(20)의 구동을 제한하는 파킹 수단(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1) 및 제2 하우징 부재(12)는, 내측면(상호 결합시 마주보는 면)이 개방되면서도 내부가 중공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하우징 부재(11)와 제2 하우징 부재(12)의 결합을 통해 내부가 중공됨으로써 다수의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10)을 이루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변속 수단(20)이 구비된다.
상기 변속 수단(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외륜 일부에는 인풋 샤프트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인풋 샤프트(100)와, 상기 인풋 샤프트(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인풋 샤프트(100)와는 별개로 회전되는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 상기 인풋 샤프트(1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는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인풋 샤프트(100)와는 별개로 회전되는 제2 드라이브 기어(120)와,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120)의 사이에 구비되며 유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110) 또는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12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되지 않는 클러치부(200)와, 상기 인풋 샤프트(100)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인풋 샤프트(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외륜 일부에는 카운터 기어(310)가 형성되는 카운터 샤프트(300)와, 상기 카운터 샤프트(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드리븐 기어(320)와, 상기 카운터 샤프트(3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리븐 기어(320)와는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드리븐 기어(330)와, 상기 카운터 샤프트(3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수단(4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카운터 샤프트(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파킹 기어(3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풋 샤프트(100)는, 좌우(도 4에서)로 길게 형성되는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중앙부의 외륜에는 인풋 샤프트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인풋 샤프트 스플라인은, 인풋 샤프트(100)의 중앙부 외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인풋 샤프트 스플라인을 통해 클러치부(200)의 구성 요소 일부가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인풋 샤프트(100)는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인풋 샤프트(100)의 우측부(도 4에서)에는 제1 드라이브 기어(1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110)는, 인풋 샤프트(100)의 우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인풋 샤프트(100)와 제1 드라이브 기어(110) 사이에는 제1 베어링 부재(111)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 인풋 샤프트(100)는 개별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즉, 제1 드라이브 기어(110)는 인풋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되지 않는 구성이다.
그리고, 인풋 샤프트(100)의 좌측부(도 4에서)에는 제2 드라이브 기어(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120)는, 인풋 샤프트(100)의 좌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인풋 샤프트(100)와 제2 드라이브 기어(120) 사이에는 제2 베어링 부재(121)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제2 드라이브 기어(120)와 인풋 샤프트(100)는 개별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즉, 제2 드라이브 기어(120)는 인풋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되지 않는 구성이다.
더불어, 제2 드라이브 기어(120)는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는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1 드라이브 기어(110)보다 제2 드라이브 기어(120)가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물론, 제1 드라이브 기어(110)가 제2 드라이브 기어(120)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 제2 드라이브 기어(120) 사이에는 클러치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부(20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인풋 샤프트(100)와는 이격되면서 상기 인풋 샤프트(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피스톤 하우징(210)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210)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유압에 의하여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제1 피스톤(221)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210)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221)이 전진될 경우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1 피스톤(221)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1 피스톤(221)이 후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리턴 부재(222)와, 상기 피스톤 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 결합되면서 내륜에는 제1 드럼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제1 드럼(223)과, 상기 인풋 샤프트(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1 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 피스톤(221)에 의하여 상기 인풋 샤프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심 플레이트(225)와, 상기 제1 심 플레이트(225)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1 마찰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되는 제1 마찰 플레이트(226)와, 상기 제1 드럼(223)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륜에는 제1 분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226)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226)의 회전 속도와 점차 동기되는 제1 분리 플레이트(224)와,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226)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1 리액션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 피스톤(221)으로부터 전달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드럼(223)의 내부와 접촉되는 제1 리액션 플레이트(227)와, 상기 피스톤 하우징(210)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유압에 의하여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제2 피스톤(231)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210)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2 피스톤(231)이 전진될 경우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2 피스톤(231)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2 피스톤(231)이 후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리턴 부재(232)와, 상기 피스톤 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120)와 결합되면서 내륜에는 제2 드럼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제2 드럼(233)과, 상기 인풋 샤프트(1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2 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 피스톤(231)에 의하여 상기 인풋 샤프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되는 제2 심 플레이트(235)와, 상기 제2 심 플레이트(235)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2 마찰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되는 제2 마찰 플레이트(236)와, 상기 제2 드럼(233)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륜에는 제2 분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236)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236)의 회전 속도와 점차 동기되는 제2 분리 플레이트(234)와,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236)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2 리액션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 피스톤(231)으로부터 전달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드럼(233)의 내부와 접촉되는 제2 리액션 플레이트(23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피스톤 하우징(21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피스톤 하우징(210)은 인풋 샤프트(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면서도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과는 이격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피스톤 하우징(210)은 인풋 샤프트(100)의 회전과는 영향이 없으면서도 다수의 부품이 인풋 샤프트(100)의 인근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 수단(50)으로부터 상기 제1 피스톤(221)으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유로(211) 및 상기 펌프 수단(50)으로부터 상기 제2 피스톤(231)으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유로(212)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피스톤 하우징(210)의 우측면(도 5에서)에는 제1 피스톤(22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피스톤(221)은, 피스톤 하우징(210)의 우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피스톤(221)은 제1 유로(211)를 통해 선택적으로 유압을 제공받음으로써 전진 또는 후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1 피스톤(221)은 피스톤 하우징(210)의 우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내장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피스톤 하우징(210)의 우측면(도 5에서)에는 제1 리턴 부재(2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리턴 부재(222)는, 피스톤 하우징(210)의 우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제1 피스톤(221)과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제1 리턴 부재(222)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면서 제1 피스톤(221)과 결합됨으로써 제1 피스톤(221)이 전진될 경우 압축되는 부위이다.
이처럼, 제1 리턴 부재(222)가 제1 피스톤(221)의 전진에 의하여 압축될 경우 탄성에 의한 반력이 생성되며, 이 반력에 의하여 제1 피스톤(221)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제1 피스톤(221)은 후진되게 되는 것이다.
즉, 제1 리턴 부재(222)에 의하여 제1 피스톤(221)의 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 리턴 부재(222)는 피스톤 하우징(210)의 우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내장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함께, 피스톤 하우징(210)의 우측(도 5에서)에는 제1 드럼(22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드럼(223)은,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 결합되는 부위로, 피스톤 하우징(210)의 우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즉, 제1 드럼(223)은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제1 드럼(223)은 내부가 중공되면서도 좌측면(도 5에서)이 개방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제1 드럼(223)의 내륜에는 제1 드럼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드럼 스플라인은, 제1 드럼(223)의 내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드럼(223)의 내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1 드럼 스플라인을 통해 제1 분리 플레이트(224)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제1 드럼(223)의 내부에는 제1 분리 플레이트(22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분리 플레이트(224)는, 제1 드럼(223)의 내부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링(Ring)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제1 분리 플레이트(224)의 외륜에는 제1 분리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분리 스플라인은, 제1 분리 플레이트(224)의 외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분리 플레이트(224)의 외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1 분리 스플라인에 의하여 제1 분리 플레이트는 제1 드럼(223)의 내부(제1 드럼 스플라인)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분리 플레이트(224)는 선택적으로 제1 마찰 플레이트(226)와 접촉되고, 이 과정에서 제1 마찰 플레이트(226)의 회전 속도와 점차 동기되어 함께 회전되는 부위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 분리 플레이트(224)는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는 제1 심 플레이트(2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심 플레이트(225)는, 인풋 샤프트(100)와 결합되는 것으로, 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심 플레이트(225)의 내륜에는 제1 심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심 스플라인은, 제1 심 플레이트(225)의 내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심 플레이트(225)의 내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1 심 스플라인에 의하여 제1 심 플레이트(225)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인풋 스플라인)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심 플레이트(225)는 인풋 샤프트(100)와 결합되면서도 제1 피스톤(221)의 우측(도 5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피스톤(221)이 전진될 경우 우측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제1 마찰 플레이트(226) 또는 제1 분리 플레이트(224)의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는 제1 마찰 플레이트(226)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226)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제1 마찰 플레이트(226)의 내륜에는 제1 마찰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마찰 스플라인은, 제1 마찰 플레이트(226)의 내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마찰 플레이트(226)의 내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1 마찰 스플라인에 의하여 제1 마찰 플레이트(226)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인풋 스플라인)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마찰 플레이트(226)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제1 분리 플레이트(224)와의 접촉 과정에서 제1 분리 플레이트(224)가 점차 동기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마찰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 마찰 플레이트(226)는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면서 복수개의 제1 분리 플레이트(224)의 사이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마찰 플레이트(226)는, 제1 심 플레이트(225)에 의하여 우측(도 5에서)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제1 분리 플레이트(224)와 접촉되며, 이를 통해 제1 분리 플레이트(224)와 제1 마찰 플레이트(226)의 회전 속도가 동기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는 제1 리액션 플레이트(227)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리액션 플레이트(227)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 구비되는 것으로, 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제1 리액션 플레이트(227)의 내륜에는 제1 리액션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리액션 스플라인은, 제1 리액션 플레이트(227)의 내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리액션 플레이트(227)의 내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1 리액션 스플라인에 의하여 제1 리액션 플레이트(227)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인풋 스플라인)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리액션 플레이트(227)는 복수개의 제1 마찰 플레이트 중 가장 우측(도 5에서)에 위치된 제1 마찰 플레이트의 우측에 위치되며, 제1 심 플레이트(225)를 통한 가압에 의하여 제1 드럼(223)의 내부에 접촉됨으로써 제1 드럼(223)이 인풋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제1 리액션 플레이트(227)는 탄성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드럼(223)의 선택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제1 드럼(223)의 회전을 통해 제1 드라이브 기어(1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피스톤 하우징(210)의 좌측면(도 5에서)에는 제2 피스톤(231)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피스톤(231)은, 피스톤 하우징(210)의 좌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피스톤(231)은 제2 유로(212)를 통해 선택적으로 유압을 제공받음으로써 전진 또는 후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2 피스톤(231)은 피스톤 하우징(210)의 좌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내장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피스톤 하우징(210)의 좌측면(도 5에서)에는 제2 리턴 부재(232)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리턴 부재(232)는, 피스톤 하우징(210)의 좌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제2 피스톤(231)과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제2 리턴 부재(232)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면서 제2 피스톤(231)과 결합됨으로써 제2 피스톤(231)이 전진될 경우 압축되는 부위이다.
이처럼, 제2 리턴 부재(232)가 제2 피스톤(231)의 전진에 의하여 압축될 경우 탄성에 의한 반력이 생성되며, 이 반력에 의하여 제2 피스톤(231)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제2 피스톤(231)은 후진되게 되는 것이다.
즉, 제2 리턴 부재(232)에 의하여 제2 피스톤(231)의 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2 리턴 부재(232)는 피스톤 하우징(210)의 좌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내장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함께, 피스톤 하우징(210)의 좌측(도 5에서)에는 제2 드럼(233)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드럼(233)은, 제2 드라이브 기어(120)와 결합되는 부위로, 피스톤 하우징(210)의 좌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즉, 제2 드럼(233)은 제2 드라이브 기어(120)와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제2 드럼(233)은 내부가 중공되면서도 우측면(도 5에서)이 개방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제2 드럼(233)의 내륜에는 제2 드럼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드럼 스플라인은, 제2 드럼(233)의 내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드럼(233)의 내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2 드럼 스플라인을 통해 제2 분리 플레이트(234)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제2 드럼(233)의 내부에는 제2 분리 플레이트(23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분리 플레이트(234)는, 제2 드럼(233)의 내부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링(Ring)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분리 플레이트(234)의 외륜에는 제2 분리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분리 스플라인은, 제2 분리 플레이트(234)의 외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분리 플레이트(234)의 외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2 분리 스플라인에 의하여 제2 분리 플레이트는 제2 드럼(233)의 내부(제2 드럼 스플라인)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분리 플레이트(234)는 선택적으로 제2 마찰 플레이트(236)와 접촉되고, 이 과정에서 제2 마찰 플레이트(236)의 회전 속도와 점차 동기되어 함께 회전되는 부위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2 분리 플레이트(234)는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는 제2 심 플레이트(235)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심 플레이트(235)는, 인풋 샤프트(100)와 결합되는 것으로, 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심 플레이트(235)의 내륜에는 제2 심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심 스플라인은, 제2 심 플레이트(235)의 내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심 플레이트(235)의 내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2 심 스플라인에 의하여 제2 심 플레이트(235)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인풋 스플라인)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심 플레이트(235)는 인풋 샤프트(100)와 결합되면서도 제2 피스톤(231)의 좌측(도 5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피스톤(231)이 전진될 경우 좌측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제2 마찰 플레이트(236) 또는 제2 분리 플레이트(234)의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는 제2 마찰 플레이트(236)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236)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마찰 플레이트(236)의 내륜에는 제2 마찰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마찰 스플라인은, 제2 마찰 플레이트(236)의 내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마찰 플레이트(236)의 내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2 마찰 스플라인에 의하여 제2 마찰 플레이트(236)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인풋 스플라인)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마찰 플레이트(236)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제2 분리 플레이트(234)와의 접촉 과정에서 제2 분리 플레이트(234)가 점차 동기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마찰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2 마찰 플레이트(236)는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면서 복수개의 제2 분리 플레이트(234)의 사이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마찰 플레이트(236)는, 제2 심 플레이트(235)에 의하여 좌측(도 5에서)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제2 분리 플레이트(234)와 접촉되며, 이를 통해 제2 분리 플레이트(234)와 제2 마찰 플레이트(236)의 회전 속도가 동기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는 제2 리액션 플레이트(237)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리액션 플레이트(237)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에 구비되는 것으로, 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리액션 플레이트(237)의 내륜에는 제2 리액션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리액션 스플라인은, 제2 리액션 플레이트(237)의 내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리액션 플레이트(237)의 내륜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2 리액션 스플라인에 의하여 제2 리액션 플레이트(237)는 인풋 샤프트(100)의 외륜(인풋 스플라인)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리액션 플레이트(237)는 복수개의 제2 마찰 플레이트 중 가장 좌측(도 5에서)에 위치된 제2 마찰 플레이트의 좌측에 위치되며, 제2 심 플레이트(235)를 통한 가압에 의하여 제2 드럼(233)의 내부에 접촉됨으로써 제2 드럼(233)이 인풋 샤프트(1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제2 리액션 플레이트(237)는 탄성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2 드럼(233)의 선택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제2 드럼(233)의 회전을 통해 제2 드라이브 기어(1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클러치부(200)는 윤활 및 냉각을 위한 오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반건식 클러치임을 예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클러치부(200)에 의하여, 1단(제1 드라이브 기어의 구동) 또는 2단(제2 드라이브 기어의 구동)으로 변속될 수 있게 되며, 제1 드라이브 기어(110) 및 제2 드라이브 기어(120)와 결합되지 않은 채 인풋 샤프트(100)만 회전(공회전)되는 중립 기어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인풋 샤프트(100)의 하측에는 카운터 샤프트(300)가 구비된다.
상기 카운터 샤프트(300)는, 좌우(도 4에서)로 길게 형성되는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외륜에는 카운터 기어(310)가 형성된다.
상기 카운터 기어(310)는, 카운터 샤프트(300)의 외륜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카운터 샤프트(300)의 동력을 차동 수단(30)으로 전달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카운터 샤프트(300)의 우측부(도 4에서)에는 제1 드리븐 기어(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드리븐 기어(320)는, 카운터 샤프트(300)의 우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드라이브 기어(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카운터 샤프트(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제1 드리븐 기어(320)는 높은 토크 출력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기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카운터 샤프트(300)의 좌측부(도 4에서)에는 제2 드리븐 기어(3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드리븐 기어(330)는, 카운터 샤프트(300)의 좌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 드라이브 기어(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카운터 샤프트(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제2 드리븐 기어(330)는 제1 드리븐 기어(320)와는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2 드리븐 기어(330)가 제1 드리븐 기어(320)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한번 더 설명하면, 카운터 샤프트(300)는 제1 드리븐 기어(320) 또는 제2 드리븐 기어(330)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카운터 기어(310)를 통해 차동 수단(3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위이다.
물론, 카운터 샤프트(300)는 제1 드리븐 기어(320)와 제2 드리븐 기어(330)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카운터 샤프트(300)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제1 드리븐 기어와 제2 드리븐 기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토크와 회전 속도는 다르게 제공된다.
이와 함께, 카운터 샤프트(300)의 좌측단(도 4에서)에는 파킹 기어(340)가 구비된다.
상기 파킹 기어(340)는, 카운터 샤프트(300)의 좌측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파킹 수단(4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카운터 샤프트(3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변속 수단(20)에 의하여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은 변속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변속 수단(20)의 하부(도 4에서)에는 차동 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차동 수단(30)은, 링 기어(종감속 기어) 및 링 기어 케이스와, 각각의 액슬 샤프트(미도시, 바퀴와 결합되는 축)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기어 및 한 쌍의 사이드 기어 내부에서 회전 또는 회전 이동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동 수단(30)은 차량의 선회 과정에서 내측 바퀴와 외측 바퀴에 서로 다른 회전 속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최종적으로 바퀴가 결합되는 액슬 샤프트와 결합되는 부위이다.
물론, 차동 수단(30)은 링 기어에 의한 토크 증대의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차동 수단(30)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차동 수단(30)의 우측에는 차동 제한 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차동 제한 수단(40)은, 차동 수단(30)과 결합되는 서로 다른 액슬 샤프트 중 어느 하나가 공전될 경우, 공전되지 않는 다른 액슬 샤프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흙탕과 같은 특수 환경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차동 제한 수단(40)은 차동 수단(30)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동 제한 수단(40)은 클러치부(2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차동 제한 클러치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전되는 액슬 샤프트의 동력을 감소시키면서 공전되는 액슬 샤프트의 감소된 동력을 공전되지 않는 다른 액슬 샤프트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차동 제한 클러치부는 클러치부(200)와 마찬가지로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밸브 수단(70) 및 펌프 수단(50)에 의하여 전자 제어되는 구성이다.
즉, 차동 제한 수단(40)은 전자식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변속 수단(20)과 차동 수단(30)과 차동 제한 수단(40)에 의하여 차량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차동 수단(30) 높이까지 오일이 채워져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하우징(10)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변속 수단(20) 또는 차동 수단(30) 또는 차동 제한 수단(40)의 구동을 보조 또는 제어하는 여타 부품이 추가로 더 구비된다.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1)의 측면(도 2에서)에는, 펌프 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펌프 수단(50)은, 제1 하우징 부재(11)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밸브 수단(70) 또는 차동 제한 수단(40)으로 오일을 압송하는 부위이다.
즉, 펌프 수단(50)을 통해 고압의 오일이 밸브 수단(70) 또는 차동 제한 수단(40)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하우징 부재(11)의 측면(도 2에서)에는 필터 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수단(60)은, 펌프 수단(50)에 의하여 압송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필터 수단(60)은 필터 부재(미도시)가 내부에 구비되고, 이 필터 부재는 교체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밸브 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밸브 수단(70)은, 펌프 수단(50)에 의하여 압송되는 오일이 변속 수단(20)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밸브 수단(70)은 밸브의 집합체에 해당되는 것으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부(200)가 제1 드라이브 기어(1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 밸브(71)와, 클러치부(200)가 제2 드라이브 기어(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유로(21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2 밸브(72)와, 클러치부(200)의 냉각을 위한 제3 유로(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3 밸브(7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밸브(71)와 제2 밸브(72)와 제3 밸브(73)는 솔레노이드 밸브임을 예로 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 부재(12)의 우측면(도 2에서)에는 쿨링 수단(80)이 구비된다.
상기 쿨링 수단(80)은, 제2 하우징 부재(12)의 우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펌프 수단(50)에 의하여 공급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쿨링 수단(80)에 의하여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오일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쿨링 수단(80)은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 부재(12)의 측면에는 파킹 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파킹 수단(400)은, 상기 제2 하우징 부재(12)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410)와, 상기 동력부(410)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재(12)의 내부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내륜에는 탭이 형성되는 탭 하우징(420)과, 상기 탭 하우징(4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4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탭 하우징(420)의 내부를 따라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파킹 플런저(430)와, 상기 파킹 플런저(4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플런저(430)와 함께 이송됨으로써 파킹 폴(46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파킹 콘(440)과, 상기 제2 하우징 부재(12)의 내부에 구비되며 파킹 폴(46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파킹 샤프트(450)와, 상기 파킹 샤프트(45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킹 샤프트(45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파킹 콘(4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파킹 기어(340)와 결합됨으로써 카운터 샤프트(300)의 구동을 제한하는 파킹 폴(460)과, 상기 파킹 샤프트(4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폴(460)이 상기 파킹 콘(440)과 접촉되지 않을 경우 상기 파킹 폴(460)이 상기 파킹 기어(3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파킹 리턴 부재(470)와, 상기 제2 하우징 부재(12)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플런저(430)에 의한 상기 파킹 콘(440)의 직선 이송을 안내하는 파킹 가이드(4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부(410)는, 제2 하우징 부재(12)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동력을 생성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동력부(410)는 모터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력부(410)에는 동력부(410)의 토크를 증대시키기 위한 감속기(411)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동력부(410)의 좌측(도 7에서)에는 탭 하우징(420)이 구비된다.
상기 탭 하우징(420)은, 동력부(410)의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하우징 부재(12)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2 하우징 부재(1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탭 하우징(420)의 내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이 홀 내륜에는 탭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탭 하우징(420)의 내부에는 파킹 플런저(430)가 구비된다.
상기 파킹 플런저(430)는, 탭 하우징(42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동력부(410)와 결합되는 것으로, 동력부(4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탭 하우징(420)의 내부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파킹 플런저(430)의 좌측단(도 7에서)에는 파킹 콘(440)이 구비된다.
상기 파킹 콘(440)은, 파킹 플런저(430)의 좌측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파킹 플런저(430)와 함께 좌측(도 7에서)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상기 파킹 콘(440)의 외륜 일부에는 상기 파킹 플런저(430)에 의하여 전진될 경우 상기 결합단(461)을 가압하는 확장단(441)이 형성된다.
즉, 파킹 콘(440)은 확장단(441)에 의하여 단차진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단차 부위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킹 콘(440)의 전진 과정에서 확장단(441)과 결합단(461)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장단(441)은 파킹 콘(440)의 외륜 중에서도 우측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2 하우징 부재(12)의 내부에는 파킹 샤프트(450)가 구비된다.
상기 파킹 샤프트(450)는, 제2 하우징 부재(12)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파킹 폴(4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킹 샤프트(450)에는 파킹 폴(460)이 결합된다.
상기 파킹 폴(460)은, 파킹 샤프트(45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킹 샤프트(45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상기 파킹 폴(460)의 일측에는 상기 파킹 콘(44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단(461)이 형성되며, 상기 파킹 폴(46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결합단(461)이 상기 파킹 콘(440)과 결합될 경우 상기 파킹 기어(340)와 결합되는 걸림단(462)이 형성된다.
즉, 파킹 폴(460)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긴 직사각 평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면에는 결합단(461)이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걸림단(46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461)은, 파킹 폴(46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파킹 콘(440)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킹 폴(460)이 파킹 기어(3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결합단(461)은 확장단(441)과 결합될 경우 상기 파킹 폴(460)이 파킹 기어(340)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결합단(461)의 우측면(도 7에서)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킹 콘(440)과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단(462)은, 파킹 폴(46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파킹 기어(340)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카운터 샤프트(3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걸림단(462)은 파킹 기어(3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파킹 샤프트(450)에는 파킹 리턴 부재(470)가 결합된다.
상기 파킹 리턴 부재(470)는, 파킹 샤프트(450) 및 파킹 폴(460)과 결합되는 것으로, 파킹 폴(460)과 파킹 콘(440)이 결합되지 않을 경우 파킹 폴(460)이 파킹 기어(3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파킹 리턴 부재(470)는 탄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파킹 폴(460)에 파킹 콘(440)에 의한 가압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파킹 폴(460)이 파킹 기어(340)로부터 항시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제2 하우징 부재(12)의 내부에는 파킹 가이드(480)가 구비된다.
상기 파킹 가이드(480)는, 제2 하우징 부재(12)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파킹 콘(440)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는 부위이다.
즉, 파킹 가이드(480)는 파킹 콘(440)이 파킹 플런저(430)에 의하여 전진되는 과정에서 파킹 콘(440) 및 파킹 플런저(430)에는 파킹 폴(460)에 의한 반력이 작용되며, 이에 의한 파킹 플런저(43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파킹 가이드(480)는 파킹 콘(440)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파킹 폴(460)이 파킹 기어(340)와 결합되었을 때에 파킹 폴(460)이 파킹 기어(3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파킹 가이드(480)의 저면은 파킹 콘(440)의 가이드를 위해 곡률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부품이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갖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에서는 변속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전동화 차량의 최대 속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제1 하우징 부재
12. 제2 하우징 부재 20. 변속 수단
30. 차동 수단 40. 차동 제한 수단
50. 펌프 수단 60. 필터 수단
70. 밸브 수단 71. 제1 밸브
72. 제2 밸브 73. 제3 밸브
80. 쿨링 수단 100. 인풋 샤프트
110. 제1 드라이브 기어 111. 제1 베어링 부재
120. 제2 드라이브 기어 121. 제2 베어링 부재
200. 클러치부 210. 피스톤 하우징
211. 제1 유로 212. 제2 유로
221. 제1 피스톤 222. 제1 리턴 부재
223. 제1 드럼 224. 제1 분리 플레이트
225. 제1 심 플레이트 226. 제1 마찰 플레이트
227. 제1 리액션 플레이트 231. 제2 피스톤
232. 제2 리턴 부재 233. 제2 드럼
234. 제2 분리 플레이트 235. 제2 심 플레이트
236. 제2 마찰 플레이트 237. 제2 리액션 플레이트
300. 카운터 샤프트 310. 카운터 기어
320. 제1 드리븐 기어 330. 제2 드리븐 기어
340. 파킹 기어 400. 파킹 수단
410. 동력부 411. 감속기
420. 탭 하우징 430. 파킹 플런저
440. 파킹 콘 441. 확장단
450. 파킹 샤프트 460. 파킹 폴
461. 결합단 462. 걸림단
470. 파킹 리턴 부재 480. 파킹 가이드

Claims (6)

  1.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 또는 회전 속도를 변환하여 차동 수단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 수단;
    상기 변속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변속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의 증대 또는 서로 다른 액슬 샤프트의 차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동 수단;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액슬 샤프트 중 어느 하나의 저항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어 다른 하나가 공전될 경우, 공전하는 액슬 샤프트의 동력을 감소시키면서 공전하는 액슬 샤프트의 감소된 동력을 다른 액슬 샤프트로 전달하는 차동 제한 수단;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밸브 수단 또는 상기 차동 제한 수단으로 오일을 압송하는 펌프 수단;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에 의하여 압송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 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에 의하여 압송되는 오일이 상기 변속 수단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수단;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 수단에 의하여 압송 또는 회수되는 오일을 냉각하는 쿨링 수단;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변속 수단의 구동을 제한하는 파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외륜 일부에는 인풋 샤프트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인풋 샤프트;
    상기 인풋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인풋 샤프트와는 별개로 회전되는 제1 드라이브 기어;
    상기 인풋 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와는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인풋 샤프트와는 별개로 회전되는 제2 드라이브 기어;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의 사이에 구비되며, 유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 또는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되지 않는 클러치부;
    상기 인풋 샤프트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인풋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더불어 외륜 일부에는 카운터 기어가 형성되는 카운터 샤프트;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드리븐 기어;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리븐 기어와는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드리븐 기어;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카운터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파킹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인풋 샤프트와는 이격되면서 상기 인풋 샤프트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피스톤 하우징;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유압에 의하여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제1 피스톤;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1 피스톤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1 피스톤이 후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리턴 부재;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드라이브 기어와 결합되면서 내륜에는 제1 드럼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제1 드럼;
    상기 인풋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1 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 피스톤에 의하여 상기 인풋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심 플레이트;
    상기 제1 심 플레이트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1 마찰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1 마찰 플레이트;
    상기 제1 드럼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륜에는 제1 분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의 회전 속도와 점차 동기되는 제1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1 리액션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1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드럼의 내부와 접촉되는 제1 리액션 플레이트;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유압에 의하여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제2 피스톤;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2 피스톤이 전진될 경우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2 피스톤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2 피스톤이 후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리턴 부재;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드라이브 기어와 결합되면서 내륜에는 제2 드럼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제2 드럼;
    상기 인풋 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2 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 피스톤에 의하여 상기 인풋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2 심 플레이트;
    상기 제2 심 플레이트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2 마찰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인풋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2 마찰 플레이트;
    상기 제2 드럼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외륜에는 제2 분리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의 회전 속도와 점차 동기되는 제2 분리 플레이트;
    상기 제2 마찰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륜에는 제2 리액션 스플라인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2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드럼의 내부와 접촉되는 제2 리액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피스톤으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유로; 및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피스톤으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유로;가 복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수단은,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일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내부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내륜에는 탭이 형성되는 탭 하우징;
    상기 탭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탭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파킹 플런저;
    상기 파킹 플런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플런저와 함께 이송됨으로써 파킹 폴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파킹 콘;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파킹 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파킹 샤프트;
    상기 파킹 샤프트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킹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파킹 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파킹 기어와 결합됨으로써 카운터 샤프트의 구동을 제한하는 파킹 폴;
    상기 파킹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폴이 상기 파킹 콘과 접촉되지 않을 경우 상기 파킹 폴이 상기 파킹 기어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파킹 리턴 부재;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킹 플런저에 의한 상기 파킹 콘의 직선 이송을 안내하는 파킹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폴의 일측에는, 상기 파킹 콘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단;이 형성되며,
    상기 파킹 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결합단이 상기 파킹 콘과 결합될 경우 상기 파킹 기어와 결합되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파킹 콘의 외륜 일부에는, 상기 파킹 플런저에 의하여 전진될 경우 상기 결합단을 가압하는 확장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KR1020210168617A 2021-11-30 2021-11-30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KR10257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617A KR102577425B1 (ko) 2021-11-30 2021-11-30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617A KR102577425B1 (ko) 2021-11-30 2021-11-30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982A true KR20230080982A (ko) 2023-06-07
KR102577425B1 KR102577425B1 (ko) 2023-09-12

Family

ID=8676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617A KR102577425B1 (ko) 2021-11-30 2021-11-30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4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218A1 (ja) * 2016-08-09 2018-02-15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KR101957047B1 (ko) * 2017-09-29 2019-03-11 현대위아 주식회사 모터 일체형 감속기의 윤활냉각구조
KR101974530B1 (ko) 2019-01-09 2019-05-07 한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2단 변속기
KR102060750B1 (ko) * 2017-12-20 2019-12-30 한호산업(주)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218A1 (ja) * 2016-08-09 2018-02-15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KR101957047B1 (ko) * 2017-09-29 2019-03-11 현대위아 주식회사 모터 일체형 감속기의 윤활냉각구조
KR102060750B1 (ko) * 2017-12-20 2019-12-30 한호산업(주) 전기자동차용 변속기장치
KR101974530B1 (ko) 2019-01-09 2019-05-07 한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2단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425B1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1896C (zh) 电动液压离合器组件
KR100826482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
CN100470095C (zh) 无级变速机的前进后退切换装置
US6969333B2 (en) Motor power trai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4632207A (en) Mechanism to engage part time drive system in a moving vehicle
US7384366B2 (en) Transfer case with torque synchronizer clutching
US4342238A (en) Automotive drive system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O2008065803A1 (fr) Dispositif d'entraînement hybride
US6793603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sub transmission mechanism
US9440532B1 (en) Transfer case lubrication system with disengagable pump
KR20130095627A (ko) 동력 전달 장치
US9915330B2 (en) Four pass torque converter
US20160097445A1 (en) Lubrication system for transfer case
US4648492A (en) Mechanism to engage part time drive system in a moving vehicle
US4545456A (en) Four-wheel drive axleshaft clutch mechanism
KR20230080982A (ko) 전기차용 2단 변속 시스템
US11634027B2 (en) Motor vehicle transmission with a power take-off
JP2003184992A (ja) 動力伝達装置
KR20130110031A (ko) 무단 변속기
JP2007327592A (ja) 産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装置
JP2529245B2 (ja) デフアレンシヤル装置
JP5039647B2 (ja) 動力伝達装置
WO2021140361A1 (en) Shared synchronizer quad- clutch gearbox
CN114233768B (zh) 一种纵置混动变速箱的湿式离合器
KR100834210B1 (ko) 자동 싱크로나이징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수동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