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674A -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 - Google Patents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674A
KR20230080674A KR1020210168060A KR20210168060A KR20230080674A KR 20230080674 A KR20230080674 A KR 20230080674A KR 1020210168060 A KR1020210168060 A KR 1020210168060A KR 20210168060 A KR20210168060 A KR 20210168060A KR 20230080674 A KR20230080674 A KR 20230080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orrection
curved
opposit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003B1 (ko
Inventor
김초희
Original Assignee
김초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초희 filed Critical 김초희
Priority to KR102021016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00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12Component parts
    • A41C1/14Stays; Stee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이 제공된다. 교정스틱은, 반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1 교정부재, 및 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2 교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정부재와 제2 교정부재가 결합되고 Z축 방향으로 압착하여 중앙 부분이 중첩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A correction stick and a correction underwear using it}
본 발명은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스프링을 결합하고 압착하여 형성한 교정스틱으로 코르셋 사용자의 골반 앞뒤 부분을 밀착하여 압박하는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옷은 신체의 주요 부위를 보호 및 보온해 주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최근에는 속옷에 체형보정 기능을 부가하여 체형을 보정함으로써 신체의 곡선미를 잘 살릴 수 있다.
체형보정 기능이 부가된 속옷 중, 코르셋(corset)은 요추와 흉추 사이의 등뼈를 보호하도록 상단부가 늑골 부근에 도달하고, 하단부가 골반에 이르는 폭넓은 띠 형상으로 사용자의 복부와 허리둘레에 착용하여 결점이 있는 체형을 보정하면서 허리 라인의 곡선미를 잘 살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복부압을 높여 배근의 부담을 경감하고, 허리부에 지지부재를 밀착시켜 척추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요통을 완화하거나 예방할 수도 있다.
상기 체형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지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3307호에 마그네틱본이 구비된 웨이스트니퍼가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통상의 웨이스트니퍼의 종방향으로 자석 재질의 마그네틱본을 봉입하여 자기력을 방사함으로써 혈행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그네틱본은 강도가 약해 체형을 보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330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 쌍의 스프링을 결합하고 압착함으로써 교정스틱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한 쌍의 스프링을 결합하고 압착하여 형성한 교정스틱으로 코르셋 사용자의 골반 앞뒤 부분을 밀착하여 압박하는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은, 반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1 교정부재, 및 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2 교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정부재와 제2 교정부재가 결합되고 Z축 방향으로 압착하여 중앙 부분이 중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교정스틱의 Z축 방향의 단부와 Z축 반대방향의 단부를 각각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교정부재는,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1 만곡부재, 및 상기 제1 만곡부재의 Z축 반대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2 만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만곡부재와 제2 만곡부재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만곡부재와 제2 만곡부재는 1 : 1/2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교정부재는,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3 만곡부재, 및 상기 제3 만곡부재의 Z축 반대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4 만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만곡부재와 제4 만곡부재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3 만곡부재와 제4 만곡부재는 1 : 1/2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을 이용한 교정용 속옷은, 일정 폭을 이루면서 X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는 압박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하여 지지하는 전면부 지지부재와, 상기 전면부 지지부재로부터 X축 반대방향인 압박부재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우측 골반을 보호하면서 우측 허리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우측부 지지부재와, 상기 전면부 지지부재로부터 X축 방향인 압박부재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좌측 골반을 보호하면서 좌측 허리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좌측부 지지부재와, 상기 우측부 지지부재로부터 X축 반대방향인 압박부재 단부 부분 또는 좌측부 지지부재로부터 X축 방향인 압박부재 단부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단부 부분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척추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배면부 지지부재, 및 상기 배면부 지지부재가 위치한 압박부재의 단부 부분과 그 타측의 압박부재 단부 부분을 결속하는 배면부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부재는 교정스틱이고, 상기 교정스틱은, 반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1 교정부재, 및 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2 교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정부재와 제2 교정부재가 결합되고 Z축 방향으로 압착하여 중앙 부분이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고정되고, 전면부 결속부재와 사용자 복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접촉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부 지지부재는, 상기 압박부재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우측 허리 앞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제1 우측 지지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우측 허리 뒷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제2 우측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우측 지지부재와 제2 우측 지지부재 사이의 압박부재 하부에 Z축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우측 골반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부 지지부재는, 상기 압박부재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좌측 허리 앞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제1 좌측 지지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우측 허리 뒷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제2 좌측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좌측 지지부재와 제2 좌측 지지부재 사이의 압박부재 하부에 Z축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좌측 골반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교정부재는,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1 만곡부재, 및 상기 제1 만곡부재 Z축 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2 만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만곡부재와 제2 만곡부재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교정부재는,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3 만곡부재, 및 상기 제3 만곡부재의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4 만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만곡부재와 제4 만곡부재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에 의하면, 한 쌍의 스프링을 결합하고 압착함으로써 교정스틱의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한 쌍의 스프링을 결합하고 압착하여 형성한 교정스틱으로 코르셋 사용자의 골반 앞뒤 부분을 밀착하여 압박함으로써 사용자의 복부 체형을 보정하거나 허리 라인의 곡선미를 잘 살릴 수 있다.
또한, 코르셋 사용자의 골반 측부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지지부재가 위치하지 않음으로 코르셋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의 분리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의 결합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셋의 입체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셋의 전면부 전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셋의 배면부 전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르셋의 전면부 전개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르셋의 배면부 전개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의 분리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의 결합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스틱(100)은, 체형보정 기능이 부가된 속옷에 내장되어 체형을 보정하거나 신체의 곡선미를 살릴 수 있는 심지로서, 제1 교정부재(110), 제2 교정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교정부재(110)는 반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을 감겨질 수 있다. 제1 교정부재(110)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교정부재(110)는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1 만곡부재(111)와, 제1 만곡부재(111)의 Z축 반대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2 만곡부재(112)를 포함하고, 제1 만곡부재(111)와 제2 만곡부재(112)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만곡부재(111)와 제2 만곡부재(112)는 1: 1/2 비율로 형성되고,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설계 도면에 따라 일정 비율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교정부재(120)는 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질 수 있다. 제2 교정부재(120)는 스프링부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교정부재(120)는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3 만곡부재(121)와, 제3 만곡부재(121)의 Z축 반대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4 만곡부재(122)를 포함하고, 제3 만곡부재(121)와 제4 만곡부재(122)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만곡부재(121)와 제4 만곡부재(122)는 1: 1/2 비율로 형성되고,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설계 도면에 따라 일정 비율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교정부재(120)의 제4 만곡부재(122)를 제1 교정부재(110)의 제2 만곡부재(112)와 제2 만곡부재(112) 사이의 공간으로 결합하여 제1 만곡부재(111)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교정부재(110)의 제2 만곡부재(112)는 제2 교정부재(120)의 제3 만곡부재(121) 내면에 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4 만곡부재(122) 및 제2 만곡부재(112)가 제3 만곡부재(121) 및 제1 만곡부재(111)에 밀착되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교정부재(120)가 제1 교정부재(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교정부재(110)와 제2 교정부재(120)를 압축부재로 Z축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 교정부재(110)와 제2 교정부재(120)는 Z축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제2 만곡부재(112)와 제4 만곡부재(122)가 중첩되는 교정스틱(10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교정부재(110)와 제2 교정부재(120)는 Z축 반대방향으로 압착하여 교정스틱(1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교정스틱(100)은 제2 만곡부재(112)와 제4 만곡부재(122)가 중첩되게 형성됨으로써, 탄력을 유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교정스틱(100)은 금속으로 형성되나, 플라스틱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고, 교정스틱(100)에 자석가루를 융착하여 자기력을 방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교정스틱(100)을 교정용 속옷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코르셋(200)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정스틱(100)은 코르셋(200) 뿐만 아니라, 신체를 보정 및 지지하는 속옷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코르셋(200)은, 복부와 허리 둘레에 착용하여 체형을 보정하거나 교정하는 것으로, 압박부재(210), 전면부 지지부재(220), 우측부 지지부재(230), 좌측부 지지부재(240), 배면부 지지부재(250), 배면부 결속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부재(210)는 일정 폭을 이루면서 X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될 수 있다. 압박부재(210)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일론, 면, 라텍스,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압박부재(210')는 일정 폭을 이루면서 제1 부재(211), 제2 부재(212)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부재(211)는 사용자의 우측 허리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우측 부분에 해당되는 복부와 허리 둘레에 착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212)는 사용자의 좌측 허리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좌측 부분에 해당되는 복부와 허리 둘레에 착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211)와 제2 부재(212)는 전면부 결속부재(213)로 결속되고, 전면부 결속부재(213)는 사용자의 복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면부 결속부재(213)는 끈 또는 후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다양한 구성으로 결속할 수도 있다.
또한, 압박부재(210')는 전면부 결속부재(213)와 사용자 복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접촉차단부재(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차단부재(214)는 제1 부재(211) 또는 제2 부재(212)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일측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차단부재(214)가 일측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면서 전면부 결속부재(213)를 덮음으로써 전면부 결속부재(213)와 사용자 복부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접촉차단부재(214)는 압박부재(210)와 동일한 재질 또는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 지지부재(220)는 압박부재(210)(21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전면부 지지부재(220)는 압박부재(210)(210')의 중앙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면부 지지부재(220)는 전면부 결속부재(213)로 연결된 제1 부재(211)와 제2 부재(212)에 각각 위치하고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전면부 지지부재(220)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부 지지부재(230)는 전면부 지지부재(220)로부터 X축 반대방향인 압박부재(210)(210')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우측 허리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우측부 지지부재(230)는 전면부 지지부재(220)로부터 X축 반대방향인 압박부재(210)(210')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부 지지부재(230)는 제1 우측 지지부재(231), 제2 우측 지지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측 지지부재(231)는 압박부재(210)(210')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우측 허리 앞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우측 복부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우측 지지부재(231)는 압박부재(210)(210')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우측 허리 뒷부분 즉, 사용자의 우측 복부 부분의 반대쪽인 우측 등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우측 지지부재(23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우측 지지부재(232)는 압박부재(210)(210')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우측 허리 뒷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우측 복부 부분의 반대쪽인 우측 등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우측 지지부재(232)는 압박부재(210)(210')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우측 허리 앞부분 즉, 사용자의 우측 복부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우측 지지부재(232)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우측부 지지부재(230)는 우측 골반보호부재(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측 골반보호부재(233)는 제1 우측 지지부재(231)와 제2 우측 지지부재(232) 사이의 압박부재(210)(210')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우측 골반보호부재(233)는 Z축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 상부를 중심으로 골반 앞뒤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우측 골반보호부재(233) 내측으로 골반에 맞는 둥근원단이 구비되고, 둥근원단은 신축성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골반보호부재(233)는 사용자의 골반 측부에 밀착되지 않고, 둥근원단이 밀착됨으로 코르셋(200)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우측부 지지부재(230)는 제3 우측 지지부재(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우측 지지부재(234)는 우측 골반보호부재(233)로부터 Z축 방향으로 압박부재(210)(21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우측 허리 라인에 밀착되므로 허리 라인의 곡선미를 잘 살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우측 골반보호부재(233)와 제3 우측 지지부재(234)는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좌측부 지지부재(240)는 전면부 지지부재(220)로부터 X축 방향인 압박부재(210)(210')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좌측 허리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좌측부 지지부재(240)는 전면부 지지부재(220)로부터 X축 방향인 압박부재(210)(210')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부 지지부재(240)는 제1 좌측 지지부재(241), 제2 좌측 지지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 지지부재(241)는 압박부재(210)(210')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좌측 허리 앞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좌측 복부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좌측 지지부재(241)는 압박부재(210)(210')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측 허리 뒷부분 즉, 사용자의 좌측 복부 부분의 반대쪽인 좌측 등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좌측 지지부재(24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좌측 지지부재(242)는 압박부재(210)(210')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측 허리 뒷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좌측 복부 부분의 반대쪽인 좌측 등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좌측 지지부재(242)는 압박부재(210)(210')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측 허리 앞부분 즉, 사용자의 좌측 복부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좌측 지지부재(242)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좌측부 지지부재(240)는 좌측 골반보호부재(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골반보호부재(243)는 제1 좌측 지지부재(241)와 제2 좌측 지지부재(242) 사이의 압박부재(210)(210')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좌측 골반보호부재(243)는 Z축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 상부를 중심으로 골반 앞뒤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좌측 골반보호부재(243) 내측으로 골반에 맞는 둥근원단이 구비되고, 둥근원단은 신축성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골반보호부재(243)는 사용자의 골반 측부에 밀착되지 않고, 둥근원단이 밀착됨으로 코르셋(200)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좌측부 지지부재(240)는 제3 좌측 지지부재(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좌측 지지부재(244)는 좌측 골반보호부재(243)로부터 Z축 방향으로 압박부재(210)(21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측 허리 라인에 밀착되므로 허리 라인의 곡선미를 잘 살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좌측 골반보호부재(243)와 제3 좌측 지지부재(244)는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면부 지지부재(250)는 우측부 지지부재(230)로부터 X축 반대방향인 압박부재(210)(210') 단부 부분 또는 좌측부 지지부재(240)로부터 X축 방향인 압박부재(210)(210') 단부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단부 부분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허리 부분인 척추를 압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면부 지지부재(250)는 압박부재(210)(210')의 단부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면부 지지부재(250)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 결속부재(260)는 배면부 지지부재(250)가 위치한 압박부재(210)(210')의 단부 부분과 그 타측의 압박부재(210)(210') 단부 부분을 결속할 수 있다. 배면부 결속부재(260)는 압박부재(210)(210')를 결속함으로써 압박부재(210)(210')가 사용자의 복부 부분분과 허리 부분을 압박하고, 각 지지부재가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부분의 곡선미를 잘 살릴 수 있다. 배면부 결속부재(260)는 후크, 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으로 결속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지지부재는 교정스틱(100)일 수 있다. 교정스틱(100)은 금속 및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복부 및 허리에 밀착되어 압박하므로 사용자의 복부 체형을 보정하거나 허리 라인의 곡선미를 잘 살릴 수 있다. 또한, 각각 지지부재는 2개 1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좀더 압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복부 체형을 보정하거나 허리 라인의 곡선미를 잘 살릴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교정스틱
110: 제1 교정부재
111: 제1 만곡부재
112: 제2 만곡부재
120: 제2 교정부재
121: 제3 만곡부재
122: 제4 만곡부재
200: 코르셋
210,210': 압박부재
211: 제1 부재
212: 제2 부재
213: 전면부 결속부재
214: 접촉차단부재
220: 전면부 지지부재
230: 우측부 지지부재
231: 제1 우측 지지부재
232: 제2 우측 지지부재
233: 우측 골반보호부재
234: 제3 우측 지지부재
240: 좌측부 지지부재
241: 제1 좌측 지지부재
242: 제2 좌측 지지부재
243: 좌측 골반보호부재
244: 제3 좌측 지지부재
250: 배면부 지지부재
260: 배면부 결속부재

Claims (11)

  1. 반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1 교정부재; 및
    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2 교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정부재와 제2 교정부재가 결합되고 Z축 방향으로 압착하여 중앙 부분이 중첩되게 형성되는 교정스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스틱의 Z축 방향의 단부와 Z축 반대방향의 단부를 각각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교정스틱.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정부재는,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1 만곡부재; 및
    상기 제1 만곡부재의 Z축 반대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2 만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만곡부재와 제2 만곡부재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는 교정스틱.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재와 제2 만곡부재는 1 : 1/2 비율로 형성되는 교정스틱.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정부재는,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3 만곡부재; 및
    상기 제3 만곡부재의 Z축 반대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4 만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만곡부재와 제4 만곡부재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는 교정스틱.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3 만곡부재와 제4 만곡부재는 1 : 1/2 비율로 형성되는 교정스틱.
  7. 일정 폭을 이루면서 X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는 압박부재;
    상기 압박부재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하여 지지하는 전면부 지지부재;
    상기 전면부 지지부재로부터 X축 반대방향인 압박부재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우측 골반을 보호하면서 우측 허리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우측부 지지부재;
    상기 전면부 지지부재로부터 X축 방향인 압박부재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좌측 골반을 보호하면서 좌측 허리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좌측부 지지부재;
    상기 우측부 지지부재로부터 X축 반대방향인 압박부재 단부 부분 또는 좌측부 지지부재로부터 X축 방향인 압박부재 단부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단부 부분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척추 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배면부 지지부재; 및
    상기 배면부 지지부재가 위치한 압박부재의 단부 부분과 그 타측의 압박부재 단부 부분을 결속하는 배면부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부재는 교정스틱이고,
    상기 교정스틱은,
    반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1 교정부재; 및
    시계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유선형으로 감겨지는 제2 교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정부재와 제2 교정부재가 결합되고 Z축 방향으로 압착하여 중앙 부분이 중첩되게 형성되는 교정스틱을 이용한 교정용 속옷.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고정되고, 전면부 결속부재와 사용자 복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접촉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교정스틱을 이용한 교정용 속옷.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부 지지부재는,
    상기 압박부재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우측 허리 앞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제1 우측 지지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우측 허리 뒷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제2 우측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우측 지지부재와 제2 우측 지지부재 사이의 압박부재 하부에 Z축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우측 골반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교정스틱을 이용한 교정용 속옷.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부 지지부재는,
    상기 압박부재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좌측 허리 앞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제1 좌측 지지부재와, 상기 압박부재의 상단부에서 Z축 반대방향이면서 X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우측 허리 뒷부분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제2 좌측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좌측 지지부재와 제2 좌측 지지부재 사이의 압박부재 하부에 Z축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좌측 골반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교정스틱을 이용한 교정용 속옷.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정부재는,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1 만곡부재; 및
    상기 제1 만곡부재 Z축 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2 만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만곡부재와 제2 만곡부재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교정부재는, X축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제3 만곡부재; 및
    상기 제3 만곡부재의 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X축 방향으로 개구된 제4 만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만곡부재와 제4 만곡부재는 연이어 감겨져 Z축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는 교정스틱을 이용한 교정용 속옷.
KR1020210168060A 2021-11-30 2021-11-30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 KR10264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060A KR102647003B1 (ko) 2021-11-30 2021-11-30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060A KR102647003B1 (ko) 2021-11-30 2021-11-30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674A true KR20230080674A (ko) 2023-06-07
KR102647003B1 KR102647003B1 (ko) 2024-03-12

Family

ID=8676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060A KR102647003B1 (ko) 2021-11-30 2021-11-30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0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307Y1 (ko) 2003-11-28 2004-02-27 김박 마그네틱본이 구비된 웨이스트니퍼
JP2004181057A (ja) * 2002-12-05 2004-07-02 With Kk コルセット
KR200468684Y1 (ko) * 2012-01-04 2013-08-28 이강문 스틸 본
KR20130126272A (ko) * 2012-05-11 2013-11-20 임채철 복대
KR20160000120A (ko) * 2014-06-24 2016-01-04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골반 교정용 속옷
JP3221721U (ja) * 2019-04-03 2019-06-13 株式会社Alyo 体型補正用コ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721B2 (ja) * 1992-03-25 2001-10-22 出光興産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1057A (ja) * 2002-12-05 2004-07-02 With Kk コルセット
KR200343307Y1 (ko) 2003-11-28 2004-02-27 김박 마그네틱본이 구비된 웨이스트니퍼
KR200468684Y1 (ko) * 2012-01-04 2013-08-28 이강문 스틸 본
KR20130126272A (ko) * 2012-05-11 2013-11-20 임채철 복대
KR20160000120A (ko) * 2014-06-24 2016-01-04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골반 교정용 속옷
JP3221721U (ja) * 2019-04-03 2019-06-13 株式会社Alyo 体型補正用コ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003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7535B1 (en) Pants having body-shaping function
US11311057B2 (en) Brassiere
KR102034921B1 (ko) 척추 교정 장치
JP6671624B2 (ja) 体幹サポータ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ウエア
US20070037483A1 (en) Maternity belt
KR20230080674A (ko)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
KR100879630B1 (ko) 흉요추 보조기
KR102652238B1 (ko) 코르셋
US2765470A (en) Maternity belt
KR101945802B1 (ko) 자세교정을 위한 어깨끈 가이드
JPH1071162A (ja) 腰痛の予防及び緩和用の腰バンド
KR102625878B1 (ko) 임산부용 다중 골반 밴드
KR101796624B1 (ko) 보정용 브래지어
CN101731769A (zh) 腹腔镜腹股沟疝术后压迫短裤
JP4381215B2 (ja) 女性用体形補正下着
CN205094733U (zh) 一种运动瘦身束腰带
KR102415595B1 (ko) 허리 보호대 시스템
JP7340304B1 (ja) 姿勢矯正ウエア
CN218984799U (zh) 一种腿部穿戴件及腰部助力外骨骼
CN220545851U (zh) 一种束身衣
JP5693758B1 (ja) 臀部保護ベルト及び臀部保護ベルト付き衣類
CN209219294U (zh) 一种新型多功能护腰带
CN215651832U (zh) 一种改良型背背佳
CN210869965U (zh) 一种护腰和护腰装置
KR102354144B1 (ko) 허리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