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20A - 골반 교정용 속옷 - Google Patents

골반 교정용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20A
KR20160000120A KR1020140077040A KR20140077040A KR20160000120A KR 20160000120 A KR20160000120 A KR 20160000120A KR 1020140077040 A KR1020140077040 A KR 1020140077040A KR 20140077040 A KR20140077040 A KR 20140077040A KR 20160000120 A KR20160000120 A KR 2016000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elvic
opening
supports
pel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274B1 (ko
Inventor
이승아
Original Assignee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14007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2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상반신을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지퍼를 포함하는 개폐수단;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홀과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과하는 로프 및 상기 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3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임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척추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및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는 두 개의 착용 홀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스판덱스 30~40 중량부 및 나일론 60~70 중량부의 합성 원사에 70 내지 80수의 면사로 커버링한 망부재로 이루어진 골반지지부;를 포함하는 골반 교정용 속옷으로, 코어 근육을 강력히 지지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척추 및 골반를 바르게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반 교정용 속옷{Underwear for pelvic correction}
본 발명은 골반 교정용 속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착용하여 골반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골반 교정용 속옷에 관한 것이다.
척추 측만증이란 검사자가 환자의 뒷모습을 보았을 때, 척추가 일직선 상에 있지 않고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 한쪽은 볼록하게 튀어나오고 반대쪽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기형을 의미한다. 척추측만증은 척추의 휘어짐이 회전을 동반해 골반 및 어깨등 신체가 전체적으로 뒤틀리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최근 척추 측만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경각심도 높아지는 추세이다.
척추측만증은 발병 원인에 따라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척추측만증의 종류로는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특발성 척추측만증, 척추 종양, 맹장염, 신경섬유종, 소아마비 등의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성 측만증 또는 잘못된 자세나 습관에 의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기능성 측만증이 있다.
일반적으로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은 중력의 작용으로 척추에 부담이 발생해 척추 측만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PC와 스마트폰의 보급이 많아지면서 잘못된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잘못된 자세로 인해 골반이 틀어지면서 척추 및 경추에 악영향을 주어 척추 측만증을 유발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골반은 2개의 볼기뼈와 엉치뼈 및 꼬리뼈로 구성되며 척추와 양쪽 다리를 이어주는 골격으로, 상체 하중을 지탱하고 대퇴부와 고관절의 가동범위를 컨트롤하는 아주 중요한 신체기관이다. 또한, 골반은 고관절을 비롯한 중요관절에 위치해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 방광, 자궁등 내부 생식기관이 위치해 있어 외부의 힘과 충격으로부터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골반에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생기면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우선 골반의 좌우격차가 클 경우 체형 불균형을 일으켜 다양한 통증을 초래할 수 있다. 골반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다보니 요추부와 흉추부의 균형이 서로 어긋나게 되고 요추는 과도한 만곡이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 추체자체의 회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척추측만증'이나 '흉곽돌출증' 같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골반이 틀어지면 대퇴부의 연결부위와 하중의 분산에도 악영향을 미치는데 오다리나 안짱다리 같은 각변형(angular deformity)이 대표적이다. 골반이상으로 인해 각변형이 초래되면 무릎이 체중을 분산시키지 못해 퇴행성관절염을 초래하기도 한다.
골반이 틀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골반저근 중심의 안정된 근육들이 몸을 고정시켜 균형을 잡아주어야 한다. 골반저근이란 골반의 아래 부분을 지나가는 선을 의미한다. 그러나 골반저근은 근육을 움직이는 골격근육이 아니라 관절에 작용하는 힘줄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한다.
즉, 골반의 변형을 방지하면 척추 측만증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골반 교정과 척추 교정은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골반을 바르게 교정하기 위해서는 척추와 함께 교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척추 측만증에 사용되는 보조기구는 플라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척추 교정을 위한 보정기구는 척추만을 잡아주기 때문에 골반을 지지하지 못하며, 골반저근의 위치를 회복하고 강화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골반의 틀어짐이 지속되면 척추교정의 효과가 반감되기 때문에 골반과 척추를 함께 교정할 수 있는 교정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인 척추 교정을 위한 보정기구는 갑옷과 같이 착용하여 척추를 바른 자세로 유지해주는 역할하는 것으로, 플라스틱형상으로 활동에 제약을 줄 뿐만 아니라, 마감부와 피부와의 마찰로 인하여 피부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며, 옷 속에 착용하여도 외부로 착용 여부가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들은 보조기의 착용을 꺼려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착용이 간편하고, 양질의 착용감을 제공하며, 코어 근육을 강력히 지지하여 골반과 척추를 함께 교정함으로서, 골반의 균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잡아주는 골반 교정용 속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속옷은 신체의 상반신을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지퍼를 포함하는 개폐수단;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홀과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과하는 로프 및 상기 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3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임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척추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및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는 두 개의 착용 홀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스판덱스 30~40 중량부 및 나일론 60~70 중량부의 합성 원사에 70 내지 80수의 면사로 커버링한 망부재로 이루어진 골반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상기 본체는, 면 80~90 중량부 및 쿨맥스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합성 섬유를 이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상기 개폐수단은, 내부에 개폐수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는 복수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수단은 복수 개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상기 홀은 상기 홀은 금속성의 아일렛이며, 상기 본체 후면부의 중앙에서 이격되어 양측에 2열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 3 고정수단은 복수 개의 후크를 포함하며, 체결시에 골반에 장력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상기 본체는 이중 원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는 상기 본체의 이중 원단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상기 지지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수단의 양측에 상기 개폐수단의 중앙부부터 말단부까지 대향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상기 제1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양측에 대향되게 배열되는 2쌍의 제2 지지대; 상기 본체의 후면부 중앙에 배치된 하나의 제3 지지대; 상기 조임부의 양측에 대향되게 배열되는 한쌍의 제4 지지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서 상기 제4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양측에 대향되게 배열되는 한쌍의 제 5 지지대; 및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배열되는 한쌍의 제6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골반 주변 근육 및 코어 근육을 강력히 지지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골반을 바르게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개폐수단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조임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피검자 1의 정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며, 도6은 피검자 1의 측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고, 도 7은 피검자 1의 후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 8는 피검자 2의 정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며, 도9은 피검자 2의 측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고, 도 10은 피검자 2의 후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 11는 피검자 3의 정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며, 도12은 피검자 3의 측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고, 도 13은 피검자 3의 후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개폐수단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의 조임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속옷은 본체(10), 본체의 전면에 배치된 개폐수단(20), 본체의 후면에 배치된 조임부(30), 복수 개의 지지대(40) 및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골반지지부(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몸의 상하 복부 전체를 감싸며, 복부를 조여줌으로서 상체를 곧게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0)는 면 80~90 중량부 및 쿨맥스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 원단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쿨맥스란 미국 듀폰사에서 개발된 속건성 섬유로 기능성 원단이다. 이와 같은 본체를 이루는 합성 섬유는 신축성이 없고 내구성이 강하여 플라스틱 보조기구와 같이 착용시에 단단하게 허리를 받쳐줄 수 있다. 따라서, 일반 플라스틱용 교정기보다 양질의 착용감을 제공하면서, 라이크라 소재를 사용하는 일반 코르셋보다 교정 효과가 뛰어나다.
개폐수단(20)은 본체(10)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전면부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수단(2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수단(21)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수단(20)은 지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퍼는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면서 결합하며, 본 발명의 속옷이 사용자의 복부 근육을 지지하면서 착용하도록 한다. 고정수단(21)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체(10)의 후면부에는 조임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임부(30)는 사용자의 신체에 본체(10)가 더 밀착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홀(31), 로프(32) 및 제3 고정수단(33)을 포함할 수 있다.
홀(31)은 조임부(30)의 양측에 평행하게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로프(32)는 복수 개의 홀(31)을 교차로 통과하며 하부에서 로프(32)의 말단을 당기면 속옷을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로프(32)는 하나의 줄 형상으로 홀(31) 전체를 교차로 통과할 수 있으며, 로프(32)는 상부의 홀(31)을 통과하는 제1로프(34)와 하부의 홀(31)을 통과하는 제2로프(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프(32)가 제1로프(34)와 제2로프(35)로 이루어짐으로서, 복부의 상태에 따라 로프의 장력이 달리 작용하며, 복부에 가하는 압박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양질의 착용감을 줄 수 있다. 홀(31)의 하단부에 구비된 제3 고정수단(33)은 복수개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폐수단(20)을 이용하여 착용을 한 후, 조임부(30)의 로프(32)를 이용하여 조여줌으로써, 본 발명의 속옷이 사용자의 복부를 더 압박하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임부(3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복부의 위치별로 다른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3 고정수단(33)이 체결되면 장력이 작용하며 골반 교정용 속옷이 골반을 더 강하게 감싸기 때문에, 사용자의 척추와 골반이 바르게 교정될 수 있다.
한편, 조임부(30)가 형성된 본체(10) 부분은 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대(40)는 본체(10)의 이중 원단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대(40)는 골반 교정용 속옷이 신체에 밀착되며 몸의 움직임에도 척추를 바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힘을 주는 역할을 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지지대(40)는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등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적절하게 힘을 가하면서 만곡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본체(10) 전면의 개폐수단(20)의 좌, 우로 인접하여 1개씩 포함될 수 있으며, 개폐수단(20)의 중단부부터 하측 말단까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2개씩 구비될 수 있고, 본체의 상측 말단부터 하측 말단까지의 길이이며, 재봉선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지대(40)는 후면부의 중앙에 1개, 조임부(30)의 홀(31)의 양측면에 1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조임부(30)의 양측면에 1개씩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의 양 측면에 1개씩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40)는 본체의 이중원단 사이에 삽입되고 재봉선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골반지지부(50)는 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된다. 골반지지부(50)는 망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소재로서 골반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다리의 움직임을 제약하지 않는다. 이러한 골반지지부는 스판덱스 30~40 중량부 및 나일론 60~70 중량부의 합성 원사에 70 내지 80수의 면으로 커버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커버링이란 원단을 직조할 때, 속실과 겉실이 함께 좌우로 들어가게 해서 편직하되, 편직바늘구멍으로 들어가는 각 실의 각도를 달리함으로써 면사인 겉실이 피부에 접촉하는 면을 형성하게 하고 합성 섬유사인 속실은 뼈대를 형성케 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판덱스란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의 일반적인 명칭이다. 따라서, 골반지지부는 신축성을 가지면서,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은 면소재로써 양질의 촉감을 제공한다. 골반지지부(50)는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착용시에 활동성을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척추와 골반을 함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골반지지부(50)는 골반저근, 대둔근 및 대퇴근등 각 근육을 결별로 감싸고 지지하기 때문에 골반이 안정화되도록 한다.
골반지지부(50)에는 개구부(51)이 형성되어 있다. 골반지지부(50)가 망부재로 형성되어 통풍성이 좋으나, 개구부(51)를 더 구비하여 통풍성을 향상하였으며,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고 움직임의 제약을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개폐수단(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고정수단(21)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고정수단(21)은 개폐수단(20)의 장력을 분산하여, 복부의 압력에도 골반 교정용 속옷이 지속적으로 복부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며 개폐수단(20)을 보조한다.
제1, 2고정수단(22,23)은 복수개의 후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부의 결합으로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면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40)와 조임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속옷을 착용할 때, 개폐수단(20)으로 착용한 후에 조임부(30)의 로프(32)를 조여줌으로서, 더욱더 강하게 골반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임부(30)의 홀(31)은 금속성의 아일렛(eyelet)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속옷을 착용한 경우 척추기립근에 압력을 가하여 자극을 줄 수 있다. 척추기립근이란 척추 후면부에 위치한 근육으로 기립근이 강화되면 골반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조임부(30)의 내부의 본체(10)에는 중앙에 지지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착용시 골반 부분과 일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속옷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골반 교정용 속옷 착용에 따른 피검자의 골반 교정 결과
척추 측만등의 이상이 있는 환자들에게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속옷을 일정 기간 착용하도록 하고 골반 교정용 속옷을 착용하기 전, 후 어깨기울기, 골반 기울기, 다리 굴곡(좌/우), 다리길이 차이, 좌우 신체 균형지수등 신체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피검자 1
피검자 1은 58세의 여성으로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과 요통을 겪고 있는 환자로서, 잠을 잘 때에도 허리가 아파서 눕는 것이 어려우며 좌골 신경통등의 통증이 있는 환자이다. 피검자 1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속옷을 착용하면서 근골격 밸런스의 교정여부를 확인하였다.
골반 교정용 속옷을 착용하기 전, 후의 어깨기울기, 골반 기울기, 다리 굴곡(좌/우), 다리길이 차이, 좌우 신체 균형지수등를 측정하였다.
도 5는 피검자 1의 정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며, 도6은 피검자 1의 측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고, 도 7은 피검자 1의 후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착용전 후, 어깨기울기는 2.9에서 0.2로, 골반 기울기는 8.8에서 1.8로, 다리 굴곡(좌/우)는 -8.9/20.8에서 -14.8/-16.4로, 다리길이 차이는 15.6에서 7.3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신체 측정 데이터에서, 좌우 기울기의 차이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으며, 다리의 길이의 차이도 줄어들었다. 또한, 정면에서 뿐만 아니라, 측면과 후면에서 측정한 결과, 피검자 1의 경추 기울기가 균형을 잡아가고 있으며, 척추의 휨정도와 기울기등의 수치가 정상적으로 돌아오고 있었다. 즉 피검자 1의 전체적인 신체 측정지수가 신체의 균형을 잡아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태가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피검자 1은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속옷만을 착용하고 별도의 처방을 하지 않았으나, 골반 기울기가 8.8에서 1.8로 현저하게 양호해졌으며,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피검자 2
피검자 2는 위장장애, 경추 통증이 있는 여성 환자로서, 넓적 다리가 아프며 배가 차고 상복부에 비만이 있는 환자이다. 피검자 2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속옷을 약 3개월 착용하면서 근골격 밸런스의 교정여부를 확인하였다.
골반 교정용 속옷을 착용하기 전, 후의 어깨기울기, 골반 기울기, 다리 굴곡(좌/우), 다리길이 차이, 좌우 신체 균형지수등를 측정하였다.
도 8는 피검자 2의 정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며, 도9은 피검자 2의 측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고, 도 10은 피검자 2의 후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착용전 후, 어깨기울기는 8.8에서 4.0로, 골반 기울기는 38.1에서 13.7로, 다리 굴곡(좌/우)는 -14.9/-17.8에서 -17.8/-3.0으로, 다리길이 차이는 29.5에서 6.9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신체 측정 데이터에서, 좌우 기울기의 차이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으며, 다리의 길이의 차이도 줄어들었다. 또한, 정면에서 뿐만 아니라, 측면과 후면에서 측정한 결과, 피검자 2의 경추 기울기가 균형을 잡아가고 있으며, 척추의 휨정도와 기울기등의 수치가 정상적으로 돌아오고 있었다. 즉 피검자 2의 전체적인 신체 측정지수가 신체의 균형을 잡아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태가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피검자 2 역시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속옷만을 착용하고 별도의 처방을 하지 않았으나,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피검자 3
피검자 3는 위장장애, 복부 냉감이 있는 여성 환자로서, 하지가 저리고 복부비만과 요통이 있는 환자이다. 피검자 3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속옷을 약 7개월 착용하면서 근골격 밸런스의 교정여부를 확인하였다.
골반 교정용 속옷을 착용하기 전, 후의 어깨기울기, 골반 기울기, 다리 굴곡(좌/우), 다리길이 차이, 좌우 신체 균형지수등를 측정하였다.
도 11는 피검자 3의 정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며, 도12은 피검자 3의 측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고, 도 13은 피검자 3의 후면에서 신체 균형지수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착용전 후, 어깨기울기는 19.1에서 10.8로, 골반 기울기는 11.6에서 2.0으로, 다리 굴곡(좌/우)는 -4.9/-18.0에서 -10.7/-9.6으로, 다리길이 차이는 11.6에서 2.0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신체 측정 데이터에서, 좌우 기울기의 차이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으며, 다리의 길이의 차이도 줄어들었다. 또한, 정면에서 뿐만 아니라, 측면과 후면에서 측정한 결과, 피검자 3의 경추 기울기가 균형을 잡아가고 있으며, 척추의 휨정도와 기울기등의 수치가 정상적으로 돌아오고 있었다. 즉 피검자 3의 전체적인 신체 측정지수가 신체의 균형을 잡아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태가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피검자 3 또한 본 발명의 골반 교정용 속옷만을 착용하고 별도의 처방을 하지 않았으나,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반교정용 속옷은 착용이 간편하고, 양질의 착용감을 제공하며, 코어 근육을 강력히 지지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신체 균형이 맞도록 교정해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개폐수단
21: 고정수단 30: 조임부
31: 홀 32: 로프
33: 제3고정수단 40: 지지대
50: 골반지지부 51: 개구부

Claims (6)

  1. 신체의 상반신을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지퍼를 포함하는 개폐수단;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홀과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과하는 로프 및 상기 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3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임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척추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및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는 두 개의 착용 홀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스판덱스 30~40 중량부 및 나일론 60~70 중량부의 합성 원사에 70 내지 80수의 면사로 커버링한 망부재로 이루어진 골반지지부;를 포함하는 골반 교정용 속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면 80~90 중량부 및 쿨맥스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합성 섬유를 이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속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내부에 개폐수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는 복수 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수단은 복수 개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속옷.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금속성의 아일렛이며, 상기 본체 후면부의 중앙에서 이격되어 양측에 2열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 3 고정수단은 복수 개의 후크를 포함하며, 체결시에 골반에 장력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속옷.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이중 원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는 상기 본체의 이중 원단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속옷.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수단의 양측에 상기 개폐수단의 중앙부부터 말단부까지 대향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상기 제1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양측에 대향되게 배열되는 2쌍의 제2 지지대;
    상기 본체의 후면부 중앙에 배치된 하나의 제3 지지대;
    상기 조임부의 양측에 대향되게 배열되는 한쌍의 제4 지지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서 상기 제4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양측에 대향되게 배열되는 한쌍의 제 5 지지대; 및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배열되는 한쌍의 제6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속옷.
KR1020140077040A 2014-06-24 2014-06-24 골반 교정용 속옷 KR101588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40A KR101588274B1 (ko) 2014-06-24 2014-06-24 골반 교정용 속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40A KR101588274B1 (ko) 2014-06-24 2014-06-24 골반 교정용 속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20A true KR20160000120A (ko) 2016-01-04
KR101588274B1 KR101588274B1 (ko) 2016-01-25

Family

ID=5516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040A KR101588274B1 (ko) 2014-06-24 2014-06-24 골반 교정용 속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2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663B1 (ko) * 2019-03-21 2019-12-03 김선이 체간 교정용 속옷
KR20220145599A (ko) * 2021-04-22 2022-10-31 (주)마스터피스 좌우 골반의 선택적 압박을 가능하도록 한 체형 보정용 하의
KR20230067054A (ko) * 2021-11-09 2023-05-16 김초희 코르셋
KR20230080674A (ko) * 2021-11-30 2023-06-07 김초희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086A (ko) * 2002-03-25 2003-10-01 송악코리아 주식회사 남성용 거들
KR20040009987A (ko) * 2002-07-31 2004-01-31 한상선 기능성 속옷
KR100489346B1 (ko) * 2003-07-31 2005-05-12 송악코리아 주식회사 남성용 거들
KR101420061B1 (ko) * 2013-12-10 2014-07-16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척추 교정용 속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086A (ko) * 2002-03-25 2003-10-01 송악코리아 주식회사 남성용 거들
KR20040009987A (ko) * 2002-07-31 2004-01-31 한상선 기능성 속옷
KR100489346B1 (ko) * 2003-07-31 2005-05-12 송악코리아 주식회사 남성용 거들
KR101420061B1 (ko) * 2013-12-10 2014-07-16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척추 교정용 속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663B1 (ko) * 2019-03-21 2019-12-03 김선이 체간 교정용 속옷
KR20220145599A (ko) * 2021-04-22 2022-10-31 (주)마스터피스 좌우 골반의 선택적 압박을 가능하도록 한 체형 보정용 하의
KR20230067054A (ko) * 2021-11-09 2023-05-16 김초희 코르셋
KR20230080674A (ko) * 2021-11-30 2023-06-07 김초희 교정스틱 및 이를 이용한 교정용 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274B1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69B1 (ko) 척추 보조기
DK2467106T3 (en) Weights are provided with weights and places to improve balance
KR100961508B1 (ko) 요통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의복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US7087032B1 (en) Controlling undergarment
US5205815A (en) Athletic back support apparatus
US5659895A (en) Full-body stress transfer suit
US20070004571A1 (en) Joint alignment and compression assembly and method for performing a rehabilitative treatment regimen
US20190297959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KR101420061B1 (ko) 척추 교정용 속옷
USRE46069E1 (en) Weighting garments and orthotics for improving balance
KR101588274B1 (ko) 골반 교정용 속옷
Zaina et al. Review of rehabilitation and orthopedic conservative approach to sagittal plane diseases during growth: hyperkyphosis, junctional kyphosis, and Scheuermann disease
US1113508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pregnancy-related and post-natal lower back pain
US11452317B2 (en) Posture correction bra
US20130144199A1 (en) Hip supporting device
CN102871786B (zh) 腰部和髋部用一体式束腰带
Liu et al. An ergonomic flexible girdle design for preteen and teenage girls with early scoliosis
CN112584800A (zh) 体现最佳的三点压迫功能的脊椎矫正器及利用其的脊椎侧弯症管理系统
DABOLINA et al. Selected dynamic anthropometrics and body characteristics for posture corrector fit
CN204521088U (zh) 骨盆矫正用内衣
US20190297957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RU21418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кифосколиозов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US20160206466A1 (en) Underwear for pelvic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