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597A - 칫솔 살균 소독기 - Google Patents

칫솔 살균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597A
KR20230080597A KR1020210167939A KR20210167939A KR20230080597A KR 20230080597 A KR20230080597 A KR 20230080597A KR 1020210167939 A KR1020210167939 A KR 1020210167939A KR 20210167939 A KR20210167939 A KR 20210167939A KR 20230080597 A KR20230080597 A KR 20230080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unit
coupled
fitting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102021016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597A/ko
Publication of KR20230080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을 내장 보관이 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개방 가능한 커버부로 구성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는 전면으로 다수의 끼움유닛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끼움유닛과 다른 끼움유닛 사이에는 상측으로 격벽이 돌출형성되어지며 상기 격벽과 다른 격벽사이에는 끼움유닛의 후방부 방향으로 통공부가 형성되어진 거치유닛과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거치유닛의 하측으로 온열을 제공하는 열판이 배치되어져 상기 열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열이 상기 통공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진 가열부와 상기 바디부의 거치유닛 상측으로 살균램프가 결합되어진 살균램프부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칫솔 살균 소독기를 통하여 신속하고 위생적인 칫솔모의 건조 효과와 혀클리너 내지 면도기를 거치하여 사용함으로서 미세먼지나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여 상기 혀클리너 및 면도기의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한 효과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칫솔 살균 소독기{toothbrush sterilizer}
본 발명은 칫솔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고 난 후의 칫솔을 편리하게 보관함은 물론 보관하는 동안 칫솔을 자동으로 살균하는 동시에 신속하게 건조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칫솔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한 칫솔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식후에는 대부분 양치를 하게 되는 것으로서, 주로 식후 30분 이내에 3분동안 양치를 하는 것이며 하루 기준으로 아침, 점심, 저녁에 걸쳐서 총 3회동안 양치를 하게 된다.
그러나 아침에 일어남과 동시에 입안이 텁텁해지는 경우 식전에도 대부분 양치를 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식후에 다시 양치를 하게 되면 칫솔에 묻은 물기가 완전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양치를 함으로서 양치를 하면서 개운함을 느끼기에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부 가정에서 칫솔 살균 소독기를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칫솔 살균 소독기의 경우 본체 내부에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칫솔의 상부에 위치한 칫솔모 상기 살균램프를 통하여 칫솔모를 살균하고 내부에 설치되어지는 별도의 열판을 이용하여 칫솔모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칫솔 살균 소독기의 경우 식전에 양치 후에 식후에 바로 양치를 하고자 칫솔을 인출시 상기 열판을 통하여 전달되는 열이 칫솔모에 집중되지 않고 칫솔 살균 소독기 내부에 고르게 열이 전달됨으로서 칫솔모의 건조시간이 길어져 사용자가 보다 위생적이고 개운하게 양치를 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혀를 닦아내는 혀클리너 역시 소독이 필요하지만 별도의 제품이 출시되지 않아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됨으로 미세먼지나 세균에 그대로 노출되어져 비위생적인 사용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또한, 수동으로 깍는 면도기 역시 별도의 소독이 없이 외부에 노출됨으로서 역시 미세먼지나 세균에 그대로 노출되어 비위생적인 사용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사용하고 난 후의 칫솔을 편리하게 보관함은 물론 보관하는 동안 칫솔을 자동으로 살균하는 동시에 신속하게 건조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칫솔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한 칫솔 살균 소독기를 제공한다.
칫솔을 보관함과 동시에 사용된 칫솔모를 살균처리 할 수 있도록 칫솔을 내장보관 가능한 내공간부를 갖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먼지등의 유입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커버부로 구성된 칫솔 살균 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는 전면으로 장홈의 형상으로 된 다수의 끼움유닛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끼움유닛과 다른 끼움유닛 사이에는 상측으로 단면이 "∩"형상인 격벽이 돌출형성되어지며 상기 격벽과 다른 격벽사이에는 끼움 유닛의 후방부 방향으로 통공부가 형성되어진 거치유닛과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거치유닛의 하측으로 온열을 제공하는 열판이 배치되어져 상기 열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열이 상기 통공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진 가열부와 상기 바디부의 거치유닛 상측으로 살균램프가 결합되어진 살균램프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칫솔 살균 소독기 내부에 위치한 열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상기 통공부를 통하여 칫솔모에 직접 열을 전달해줌으로서 상기 칫솔모의 건조속도가 단축되어져 신속하고 위생적인 칫솔모의 건조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칫솔 거치유닛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장홈에는 혀클리너 내지 면도기를 거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미세먼지나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여 상기 혀클리너 및 면도기의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함과 동시에 살균소독처리 되어진 혀클리너 및 면도기를 산뜻하게 사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거치유닛의 격벽을 돔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열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칫솔모에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보다 신속한 건조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거치유닛의 사시도
도 3은 거치유닛에 장홈이 형성된 상태의 실시예
도 4는 거치유닛에 "∩"형상의 격벽이 형성된 상태의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칫솔이 결합되어진 상태의 단면 사시도
도 6은 열판으로부터 열이 전달되어지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혀클리너가 결합되어진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칫솔 살균소독기(A)의 커버부(2)를 개방하고 바디부(1)의 내측에 위치한 거치유닛(10)에 다수의 칫솔(3)이 결합되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시된 거치유닛(10)의 하측에는 열판(111)이 배치되어져 상기 열판(111)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상기 칫솔(3)의 칫솔모(31)에 전달되면서 칫솔모(31)의 건조를 조속하게 실시가능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칫솔(3)의 상측으로 살균램프를 갖는 살균램프부(12)가 형성되어져 상기 칫솔(3)의 살균소독을 보조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거치유닛(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칫솔(3)을 결합할 수 있는 끼움유닛(101)이 다수개 형성되어지며 상기 끼움유닛(101)과 끼움유닛(101) 사이에는 상측으로 수직되어지게 격벽(102)이 돌출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끼움유닛(101)의 후방부 방향으로 통공부(103)가 형성되어져 열판(111)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상기 통공부(103)를 통하여 이동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끼움유닛(101)에 칫솔(3)을 거치하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격벽(102)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칫솔(3)과 다른 칫솔(3)들이 상호 마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통공부(103)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들이 각각의 칫솔모(31)에 직접적으로 전달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거치유닛(10)에 장홈(101')이 형성된 상태의 실시예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칫솔(3)보다 넓은 폭을 갖게 되는 혀클리너(4)나 면도기 등을 살균소독 및 위생적인 보관이 편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4는 거치유닛(10)에 "∩"형상의 격벽(102')이 형성된 상태의 실시예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통공부(103)를 통하여 전달되어진 열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막아줌으로서 열이 지속적으로 칫솔모(31)에 전달되어져 보다 신속하게 칫솔모(31)를 건조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칫솔(3)이 결합되어진 상태의 단면 사시도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열판(111)으로부터 발생되어지는 열이 상기 거치되어진 칫솔(3)의 칫솔모(31)에 전달되어져 칫솔모(31)의 건조가 용이하게 실시가능 한 것이다.
도 6은 열판(111)으로부터 열이 전달되어지는 상태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열이 배출되어지는 열판(111)을 갖는 가열부(11)가 상기 화살표에 표시된 것처럼 칫솔모(31)를 향하여 열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열이 이동하면서 상기 통공부(103)를 통하여 칫솔(3)의 칫솔모(31)에 직접 전달되어져 칫솔모(31)의 건조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칫솔의 상부 일측에는 칫솔모를 살균처리 하기 위하여 살균램프를 갖는 살균 램프부가 구성된 것이다.
도 7은 혀클리너(4)가 결합되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는 칫솔(3)을 거치하게 되는 것이며 타측에는 혀클리너(4)를 거치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관되어지는 혀클리너(4)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혀바닥을 긁어서 입냄새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매우 위생적인 보관이 필수적인 바 본 발명과 같이 혀클리너(4)를 거치유닛(10)에 거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일회용 면도기 역시 혀클리너(4)의 자리에 대체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칫솔 살균 소독기
1 : 바디부
2 : 커버부
3 : 칫솔
4 : 혀클리너
10 : 거치유닛
11 : 가열부
12 : 살균램프부
101 : 끼움유닛 \
102 : 격벽
103 : 통공부
111 : 열판

Claims (1)

  1. 칫솔을 보관함과 동시에 사용된 칫솔모를 살균처리 할 수 있도록 칫솔을 내장보관 가능한 내공간부를 갖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먼지등의 유입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커버부로 구성된 칫솔 살균 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는 전면으로 장홈의 형상으로 된 다수의 끼움유닛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끼움유닛과 다른 끼움유닛 사이에는 상측으로 단면이 "∩"형상인 격벽이 돌출형성되어지며 상기 격벽과 다른 격벽사이에는 끼움유닛의 후방부 방향으로 통공부가 형성되어진 거치유닛과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거치유닛의 하측으로 온열을 제공하는 열판이 배치되어져 상기 열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열이 상기 통공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진 가열부와 상기 바디부의 거치유닛 상측으로 살균램프가 결합되어진 살균램프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 소독기.
KR1020210167939A 2021-11-30 2021-11-30 칫솔 살균 소독기 KR20230080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939A KR20230080597A (ko) 2021-11-30 2021-11-30 칫솔 살균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939A KR20230080597A (ko) 2021-11-30 2021-11-30 칫솔 살균 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597A true KR20230080597A (ko) 2023-06-07

Family

ID=8676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939A KR20230080597A (ko) 2021-11-30 2021-11-30 칫솔 살균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5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7877A (en) Restroom organizer and sterilizing apparatus
US7213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oothbrush sanitization and storage
US7246400B2 (en) Hygienic toothbrush with cover
JP3911520B2 (ja) 携帯用歯科衛生装置
KR101799015B1 (ko) 칫솔 살균 소독기
KR20100041060A (ko) 화장용 도구 자외선 살균기
KR20180045934A (ko) 화장용 퍼프 이중 살균기
KR20230080597A (ko) 칫솔 살균 소독기
US20210059394A1 (en) Oral health dental product dispensing toothbrush and oral health system including toothbrush and dental product
KR20090035091A (ko) 고 휘도 uv-led 램프와 은 나노 및 광 촉매를 활용한휴대용 복합 살균기
KR200315254Y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칫솔 살균기
KR100980071B1 (ko) 휴대용 칫솔살균기
CN206138434U (zh) 牙刷消毒器
KR20140048790A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0296994Y1 (ko) 내부에 발열판을 가지는 칫솔 살균기
KR20110063702A (ko) 칫솔 살균기
KR200437195Y1 (ko) 칫솔겸용 혀 클리너 살균기
JPH07503388A (ja) 洗面所組織体及び消毒用装置
KR20200138998A (ko) 욕실용 건조 및 살균기
KR200429115Y1 (ko) 칫솔 및 젓가락 겸용 휴대용 살균기
KR200315255Y1 (ko) 칫솔 살균 및 건조기
KR200190280Y1 (ko) 휴대용 칫솔케이스
JP3081414U (ja) 歯ブラシクリーナー
KR20150063329A (ko) 치약 인출기가 구비된 칫솔 살균장치
KR200490814Y1 (ko) 개인 전용 양치 도구 수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