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564A -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564A
KR20230080564A KR1020210167884A KR20210167884A KR20230080564A KR 20230080564 A KR20230080564 A KR 20230080564A KR 1020210167884 A KR1020210167884 A KR 1020210167884A KR 20210167884 A KR20210167884 A KR 20210167884A KR 20230080564 A KR20230080564 A KR 20230080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leak
equation
sound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Priority to KR102021016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564A/ko
Priority to PCT/KR2022/016782 priority patent/WO2023101227A1/ko
Publication of KR2023008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7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r propagation tim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4472Mathematical theories or sim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50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uto-correlation techniques or cross-correl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measuring variable
    • G01N2291/011Velocity or travel tim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위치 검출시스템은, 상수도관으로부터 진동음파를 검출하는 센서(200A,200B)와,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진동음파 처리모듈(310)을 갖는 검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수도관은 상수도관 A(100A)과 상수도관 B(1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 A(200A)는 상수도관 A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 B(200B)는 상수도관 B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음파 처리모듈(310)은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에 의한 진동음파의 전달속도특성과 신호전달비율을 기초로 누수 위치값이 산출한다.

Description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LEAK SENSING SYSTEM}
본 발명은 누수위치 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재질의 관으로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음파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매년 물의 사용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수도관은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데, 매설된 상수도관은 충격, 노후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89-0002650호는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을 검출하는 누수검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하나의 진동검출장치로부터 검출되는 진동의 레벨이 예정된 시간주기내의 예정된 값을 초과하는 시간간격을 적분하고, 적분값을 프리세트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누수 존재여부를 판정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91953호는 특정 주파수를 인가하여 누수를 검출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상수도관에 흐르는 유수에 특정 주파수를 갖는 신호음파를 주입하고, 서로 이격된 지점에서 누수음을 검출한다.
누수 발생 지점을 찾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연구가 있어 왔지만, 여전히 누수가 발생하는 지점을 찾는 것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수도관의 재질, 수도관 속에 물의 량, 수도관을 주변의 흙 상태, 수도관의 접속구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누수지점을 찾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4046호, 상수도 배급수관 누수혐의구간검출기 및 누수협의구간검출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1454288호, 누수 탐지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1563279호, 배관에서 구간별로 측정된 탄성파 속도에 기반한 누수 위치 탐지 방법 및 누수 위치 탐지 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2272호, 누수탐지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수도관으로부터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음파로부터 누수 진동음파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위치 검출시스템은, 상수도관으로부터 진동음파를 검출하는 센서(200A,200B)와,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진동음파 처리모듈(310)을 갖는 검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수도관은 상수도관 A(100A)과 상수도관 B(1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 A(200A)는 상수도관 A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 B(200B)는 상수도관 B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음파 처리모듈(310)은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에 의한 진동음파의 전달속도특성과 신호전달비율을 기초로 누수 위치값이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 위치값은 센서 A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누수 위치값(Pab)와 센서 B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누수 위치값(Pba)은 각각 〈수학식 5〉와 〈수학식 6〉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5〉
Pab = Pa + Ksa
〈수학식 6〉
Pba = Pb + Ksb
여기서, Pa는 매설된 상수도관이 상수도관 A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 전체 상수도관의 길이 L에 대한 누수위치값이고, Pb는 매설된 상수도관이 상수도관 B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 전체 상수도관의 길이 L에 대한 누수위치값이다. 또 Ksa는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이고, Ksb는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이다.
또한,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Ksa)과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Ksb)은 각각 〈수학식 3〉와 〈수학식 4〉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Ksa = Krba×Tab(Krba + Krab)
〈수학식 4〉
Ksb = Krab×Tab(Krba + Krab)
여기서, Tab는 센서 A와 센서 B의 신호 도달 시간차이값이고, Krba는 상수도관 B에서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이며, (Krab는 상수도관 A에서 상수도관 B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이다.
또한, 상수도관 B에서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Krba)과 상수도관 A에서 상수도관 B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Krab)은 각각 하기 〈수학식 1〉와 〈수학식 2〉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Krba = Aa / Ab
〈수학식 2〉
Krab = Ab / Aa
여기서, Aa는 센서에서 검출되는 누수 진동음파에서 상수도관 A에 의한 누수 진동음파의 주파수 신호성분의 크기이고, Ab는 센서에서 검출되는 누수 진동음파에서 상수도관 B에 의한 누수 진동음파의 주파수 신호성분의 크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출되는 누수위치는, 센서 A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누수 위치값(Pab)와 센서 B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누수 위치값(Pba)에 대응하는 상수도관의 누수위치 좌표값들 사이의 영역으로 추정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관이 서로 연결되어 매설된 상수도관에서, 누수 진동음파는 통과하는 재질에 따라 신호의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계산된 누수 위치값은 상수도관의 전달속도특성과 신호전달비율을 기초로 산출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누수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위치 검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에 센서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사용된 "시스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조합된 구성일 수 있다. 하드웨어는 CPU 또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program)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질의 관으로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음파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초, 매설된 상수도관은 누후 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새로운 재질로 교체되어 설치될 수 있다. 때문에, 급수시설과 사용시설 사이에 매설된 상수도관은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관이 연결되어 상수도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관이 연결된 상수도관이 지하에 매설되었다고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위치 검출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상수도관에 센서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위치 검출시스템은, 상수도관으로부터 진동음파를 검출하는 센서(200A,100B)와,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검출부(30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누수위치 검출시스템은 검출부와 무선 또는 유선 연결되고, 스피커 또는 모니터가 구비된 단말기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수도관(100)은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상수도관 A(100A)과 상수도관 B(100B)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상수도관 A와 상수도관 B가 연결되는 것을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이라 지칭한다. 상기 상수도관은 강관(steel pipe), 주철관(iron pipe), 콘트리트관(concrete pipe), 경질염화비닐관(polyvinyl chloride pipe), 시멘트관(cement pipe)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수도관A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상수도관일 수 있으며, 상수도관 B는 상수도관 A의 재질과 다른 재질을 갖는 상수도관일 수 있다.
진동음파의 전달속도는 상수도관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상수도관이 매설된 토양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매설 환경에 따른 진동음파의 속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러한 외부적 환경에 의한 요인은 제외한다.
상기 센서(200A,200B)는 센서 A와 센서 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 A(200A)는 상수도관 A에 설치되고, 센서 B(200B)는 상수도관 B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 A와 센서 B에서 검출된 진동음파는 검출부(300)으로 전송된다. 상기 센서(200A,200B)와 검출부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진동음파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지하에 상수도관 A만으로 매설되어 있는 경우, 상수도관 A에서 발생된 누수에 의한 진동음파는 상수도관 A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와 타측에 설치된 센서에서 각각 검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수도관 A의 전달특성과 도달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누수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2개의 상수도관 즉, 상수도관 A와 상수도관 B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상수도관 B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에 의한 진동음파가 상수도관 B에서 상수도관 A로 전달되고, 또, 상도도관 B의 타측으로 전달된다. 이때, 누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는 상수도관 B의 전달특성과 상수도관 A의 전달특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상기 검출부(300)는 진동음파 처리모듈(310)과 누수여부 출력모듈(320)을 포함한다. 진동음파 처리모듈(310)은 센서로부터 전송된 진동음파를 신호처리하여 누수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누수여부 출력모듈(320)은 진동음파 처리모듈의 결과값을 소리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단말기는 지도정보가 포함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단말기는 스피커 또는 모니터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는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소리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수도관의 관리자는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신호 또는 영상신호로부터 해당 지도상에 표시된 상수도관의 누수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는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관리센터에 설치된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에서 누수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설명한다.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은 노후화된 관의 교체, 파손에 의한 교체 등 다양한 이유로 서로 다른 종류, 서로 다른 재질의 관이 매설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상수도관이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관이 매설되었다고 가정하고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누수 판단의 정확도가 낮아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수도관 A(100A)와 상수도관 B(100B)가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수도관 A의 일측에 센서 A(200A)가 설치되어 있고, 상수도관 B의 타측에 센서 B(200B)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고, 상수도관의 중간에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누수 위치는 상수도관 A(100A)일 수도 있고, 상수도관 B(100B)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음파 처리모듈은 진동음파로부터 누수위치값을 산출하여 누수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누수 위치값은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에 의한 진동음파의 전달속도특성과 신호전달비율을 기초로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에 의한 진동음파는 상수도관 A 또는 상수도관 B를 통해 일측으로 전달된다. 또 진동음파는 두 개의 상수도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타측으로 전달된다. 진동음파에 포함된 누수신호의 크기는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전달특성의 비율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일예로, 상수도관 A에서 상수도관 B로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와, 상수도관 B에서 상수도관 A로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크기는 동일하지 않다.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에서, 상수도관 B에서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Krba)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른다.
〈수학식 1〉
Krba = Aa / Ab
여기서, Aa는 센서에서 검출되는 누수 진동음파에서 상수도관 A에 의한 누수 진동음파의 주파수 신호성분의 크기이고, Ab는 센서에서 검출되는 누수 진동음파에서 상수도관 B에 의한 누수 진동음파의 주파수 신호성분의 크기이다.
또,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에서, 상수도관 A에서 상수도관 B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Krab)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른다.
〈수학식 2〉
Krab = Ab / Aa
한편, 지하에 매설된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에서 진동음파는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전달될 때 속도 차이가 발생한다.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Ksa)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른다.
〈수학식 3〉
Ksa = Krba×Tab(Krba + Krab)
여기서, Tab는 센서 A와 센서 B의 신호 도달 시간차이값이다.
또,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Ksb)은 하기 〈수학식 4〉에 따른다.
〈수학식 4〉
Ksb = Krab×Tab(Krba + Krab)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이 서로 다른 이종의 재질로 형성된 상수도관 A와 상수도관 B가 연결되었을 경우, 센서 A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누수 위치값(Pab)와 센서 B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누수 위치값(Pba)은 각각 아래 〈수학식 5〉와 〈수학식 6〉에 따른다.
〈수학식 5〉
Pab = Pa + Ksa
여기서, Pa는 매설된 상수도관이 상수도관 A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 전체 상수도관의 길이 L에 대한 누수위치값이다.
〈수학식 6〉
Pba = Pb + Ksb
여기서, Pb는 매설된 상수도관이 상수도관 B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 전체 상수도관의 길이 L에 대한 누수위치값이다.
상기 매설된 상수도관이 상수도관 A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 전체 상수도관의 길이 L에 대한 누수위치값(Pa)와 상수도관이 상수도관 B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 전체 상수도관의 길이 L에 대한 누수위치값(Pb)는, 종래 방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산은 센서들의 이격거리와, 해당 상수도관의 진동음파 전달속도와, 서로 이격된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진동음파의 도달시간 차이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계산된 누수 위치값(Pab,Pba)을 기초로 지도상에 누수위치 좌표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2개의 누수위치 좌표값에 대응하는 상수도관의 누수위치 좌표값들 사이의 영역에 누수 발생하고 있다고 추정할 있다.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상수도관이 서로 연결되어 매설된 상수도관에서, 누수 진동음파는 통과하는 재질에 따라 신호의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계산된 누수 위치값은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들의 전달속도특성과 신호전달비율을 기초로 산출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누수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상수도관
100A : 상수도관 A
100B : 상수도관 B
200 : 센서
200A : 센서 A
200B : 센서 B
300 : 검출부
310 : 진동음파 처리모듈
320 : 누수여부 출력모듈

Claims (5)

  1. 상수도관으로부터 진동음파를 검출하는 센서(200A,200B)와,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진동음파 처리모듈(310)을 갖는 검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수도관은 상수도관 A(100A)과 상수도관 B(1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 A(200A)는 상수도관 A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 B(200B)는 상수도관 B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음파 처리모듈(310)은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에 의한 진동음파의 전달속도특성과 신호전달비율을 기초로 누수 위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위치 검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수 위치값은 센서 A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누수 위치값(Pab)와 센서 B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누수 위치값(Pba)은 각각 〈수학식 5〉와 〈수학식 6〉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위치 검출시스템.
    〈수학식 5〉
    Pab = Pa + Ksa
    〈수학식 6〉
    Pba = Pb + Ksb
    여기서, Pa는 매설된 상수도관이 상수도관 A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 전체 상수도관의 길이 L에 대한 누수위치값이고, Pb는 매설된 상수도관이 상수도관 B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한 전체 상수도관의 길이 L에 대한 누수위치값이다. 또 Ksa는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이고, Ksb는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이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Ksa)과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음파의 속도차 보정값(Ksb)은 각각 〈수학식 3〉와 〈수학식 4〉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위치 검출시스템.
    〈수학식 3〉
    Ksa = Krba×Tab(Krba + Krab)
    〈수학식 4〉
    Ksb = Krab×Tab(Krba + Krab)
    여기서, Tab는 센서 A와 센서 B의 신호 도달 시간차이값이고, Krba는 상수도관 B에서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이며, (Krab는 상수도관 A에서 상수도관 B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이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수도관 B에서 상수도관 A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Krba)과 상수도관 A에서 상수도관 B를 통해 전달되는 누수 진동음파의 전달비율(Krab)은 각각 하기 〈수학식 1〉와 〈수학식 2〉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위치 검출시스템.
    〈수학식 1〉
    Krba = Aa / Ab
    〈수학식 2〉
    Krab = Ab / Aa
    여기서, Aa는 센서에서 검출되는 누수 진동음파에서 상수도관 A에 의한 누수 진동음파의 주파수 신호성분의 크기이고, Ab는 센서에서 검출되는 누수 진동음파에서 상수도관 B에 의한 누수 진동음파의 주파수 신호성분의 크기이다.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누수위치는, 센서 A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누수 위치값(Pab)와 센서 B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누수 위치값(Pba)에 대응하는 상수도관의 누수위치 좌표값들 사이의 영역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위치 검출시스템.
KR1020210167884A 2021-11-30 2021-11-30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KR20230080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884A KR20230080564A (ko) 2021-11-30 2021-11-30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PCT/KR2022/016782 WO2023101227A1 (ko) 2021-11-30 2022-10-31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884A KR20230080564A (ko) 2021-11-30 2021-11-30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564A true KR20230080564A (ko) 2023-06-07

Family

ID=8661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884A KR20230080564A (ko) 2021-11-30 2021-11-30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0564A (ko)
WO (1) WO202310122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046A (ko) 2008-08-01 2010-02-10 도지현 상수도 배·급수관 누수혐의구간검출기 및 누수혐의구간검출 시스템
KR20110032272A (ko)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센서웨이 누수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1454288B1 (ko) 2014-05-02 2014-10-27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누수 탐지 시스템
KR101563279B1 (ko) 2015-03-11 2015-10-27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배관에서 구간별로 측정된 탄성파 속도에 기반한 누수 위치 탐지 방법 및 누수 위치 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2821B2 (ja) * 2015-10-06 2019-04-17 株式会社東芝 弁シートリーク検査装置および弁シートリーク検査方法
JP6840066B2 (ja) * 2017-11-22 2021-03-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漏水検知システムおよび漏水検知方法
JP6840094B2 (ja) * 2018-01-18 2021-03-10 大井電気株式会社 漏水検出装置および漏水検出システム
KR102319722B1 (ko) * 2019-11-21 2021-11-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관의 누수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046A (ko) 2008-08-01 2010-02-10 도지현 상수도 배·급수관 누수혐의구간검출기 및 누수혐의구간검출 시스템
KR20110032272A (ko)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센서웨이 누수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1454288B1 (ko) 2014-05-02 2014-10-27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누수 탐지 시스템
KR101563279B1 (ko) 2015-03-11 2015-10-27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배관에서 구간별로 측정된 탄성파 속도에 기반한 누수 위치 탐지 방법 및 누수 위치 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227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2209B2 (en) Water leak sensing system and method
US6614354B2 (en) In-ground pipeline monitoring
KR930016769A (ko) 매설관체의 이상위치 검출방법 및 장치
US20180292292A1 (en) Pipe condition detection device, pipe condition detection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pipe condition detection system
JP6806816B2 (ja) 距離差−周波数分析を用いた配管の漏洩感知装置および方法
KR20180079128A (ko) 차동증폭을 이용한 누수 탐지 장치 및 누수 탐지 방법
KR20180066525A (ko) 지하매설 배관의 피복손상 탐지시스템
CN114096823A (zh) 漏水管理系统及利用其的漏水位置预测方法
KR20230080564A (ko)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JP2004125628A (ja) 配管の漏洩位置検知方法および装置
JP4998960B2 (ja) 音あるいは振動発生箇所検出装置
KR20230080551A (ko) 이종 연결된 상수도관으로부터 누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JP2575790B2 (ja) 漏水位置推定装置
JPWO2016152143A1 (ja) 欠陥分析装置、欠陥分析システム、欠陥分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録媒体
KR102036610B1 (ko) 지하매설배관 위치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인식방법
KR101965690B1 (ko)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35109B1 (ko) 누수위치 검출 시스템 및 누수위치 검출 방법
JP6773026B2 (ja) 漏洩検知装置、漏洩検知システム、漏洩検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録媒体
JPH08178653A (ja) 埋設管路位置計測システム
JP3262469B2 (ja) 漏水検出装置
US20170322104A1 (en)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3032090B2 (ja) 漏水検知装置
WO2020165558A1 (en) Leak detection apparatus
JPH03188343A (ja) 高圧ガス漏洩位置検出方法
JP4172731B2 (ja) 地中探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