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235A -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 Google Patents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235A
KR20230080235A KR1020210167772A KR20210167772A KR20230080235A KR 20230080235 A KR20230080235 A KR 20230080235A KR 1020210167772 A KR1020210167772 A KR 1020210167772A KR 20210167772 A KR20210167772 A KR 20210167772A KR 20230080235 A KR20230080235 A KR 20230080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aweed
bag
gimpo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경
김송강
이성규
김영준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235A/ko
Publication of KR2023008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김을 채취하기 위해 배위에 설치된 사각 형태의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 물김 채취 수단을 가진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지지대의 장축을 따라 서로 마주하면서 프레임 저면 내측에 설치된 김포대 상승수단,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지지대 상에 횡으로 가로질러 일정간격 설치되고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에 양단이 걸쳐져 고정된 복수개의 김포대 고정 수단과,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들 사이에 각각 걸쳐져서 고정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 상기 프레임 지지대 외부에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 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동력 발생수단, 및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과 모터사이를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지지대 상단부에 설치된 동력 발생수단을 매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연결수단을 가동시켜,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회동수단에 마찰접촉되면서 이동되면서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들을 채취선의 직사각형 프레임 바닥으로부터 상부 프레임면까지 들어올리면서 물김 포대내에 물김이 채워진 상태로 물김 포대가 직사각형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물김 채취를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Automatic Water Laver Separating and Packaging and Moving System}
본 발명은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위에서 물김 수확하는 과정에서, 물김 채취 초기과정 부터 포장하고 물김을 채취하는 배의 바깥 육지까지 내보내는 양육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김채취에 1일 4-6명씩 필요했던 작업 인력을 1-2명으로 감축할 수 있으며, 물김 포장 이송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전체 물김 채취 과정에 효율성이 상승하며, 물김 채취 작업 과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외국인 노동자 인력 감소 문제를 해소하며, 물김 채취시에도 안전공간 확보 및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김 양식장에서 양식되는 김은 수확시기가 되면 신속하게 수확을 하여 발장에 펼쳐서 건조 시킨 후 상품으로 포장을 하여야 하는데, 소형 선박에 물김을 싣고 항구 또는 방파제 등으로 이동을 한 다음, 소형 선박에 실려 있는 물김을 지상으로 이동을 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이 지상으로 이동된 물김은 수레 또는 경운기, 트럭 등의 이동 수단을 통해 건조장으로 이동이 되고 건조장에서는 이동된 물김을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시킨 후 저장탱크에 보관을 하게 되며, 저장탱크에 보관된 물김을 소분 한 후 발장 위에 펼쳐서 건조장으로 이동을 시키게 된다.
그런데, 소형 선박에 실려 있는 물김을 지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많은 수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자루에 물김을 삽으로 퍼 담고, 물김이 담긴 자루를 공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차례로 지상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물김을 담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저조하고 작업성이 불량하며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가 인구의 감소화 고령화로 고된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자를 구하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등록(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8968호, 등록일자 2020년05월29일,발명의 명칭: 물김 분리수단을 가진 김틀망 결합장치)에 의하면, 배위에서 물김 저장작업을 수행한 후에 대형 김틀망내에 물김 분리수단과 상기 물김 분리수단 저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탈부착식 소형 김틀망을 일체로 설치하여 대형 김틀망내에 장착시키고 나서 물김 분리수단을 상승시켜 소형 김틀망내로 물김이 분리 포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후 개별적으로 소형 김틀망을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쉽게 물김을 분리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물김 분리수단을 가진 김틀망결합장치가 개시되어있다.
상기한 종래의 물김 분리수단을 가진 김틀망 결합장치에서는 물김의 채취가 끝나면 물김 분리수단 위로 물김이 쌓이게 된다. 이후 상기 물김 분리수단의 네 귀퉁이에 연결된 줄을 도르래 등을 수동 혹은 자동으로 작동시켜 고리로 연결된 도르래줄 감아 올리면 물김이 소형 김틀망에 나뉘어 담기게 된다. 이후 물김이 담긴 소형 김틀망을 물김 분리수단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후 분리된 김틀망들은 크레인을 이용해서 육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물김 분리수단을 가진 김틀망 결합장치에서는 물김 분리수단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대형동력전달장치와 모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장치 도입비용이 많이들고, 장치의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고, 물김 분리수단을 줄과 도르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손상되거나 도르래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안정적인 물김 채취 이송 및 분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물김 양식 현장의 문제점을 다시 정리하면, 물김 양식 과정에서 소형 선박에 실려 있는 물김을 지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많은 수의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물김 포대 자루에 물김을 삽으로 퍼 담고, 물김이 담긴 자루를 공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차례로 지상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물김을 담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저조하고 작업성이 불량하며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어가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고된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자를 구하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물김 분리수단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포장방법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김 채취 과정에서 수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물김 채취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위에 설치된 사각형 프레임 지지대 상에 김포대 고정 수단과 김포대 상승수단을 설치하고, 프레임 지지대 외부에 복수개의 모터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과 모터사이에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통해 연결수단을 가동시켜 김포대 상승수단을 들어올림으로써 김포대 고정수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를 채취선으로부터 들어올리면서 물김 채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김을 채취하기 위해 배위에 설치된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10) 내측에 설치된 물김 자동 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지지대(10)의 가로부분을 따라 서로 마주하면서 프레임 저면 내측에 설치된 김포대 상승수단(12),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에 대해 횡으로 가로질러 일정간격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에 걸쳐져 고정된 복수개의 김포대 고정 수단(24)과,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24)에 결합되어 김포대 상승수단(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60),
상기 프레임 지지대 외부에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 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동력 발생수단(30), 및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과 동력 발생수단(30) 사이를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지지대 상단부에 설치된 동력 발생수단을 매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수단(30)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연결수단(40)을 가동시켜, 상기 연결수단(40)이 상기 회동수단(42)에 마찰접촉되면서 이동되면서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24)에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60)들을 채취선의 직사각형 프레임 바닥으로부터 상부 프레임면까지 들어올리면서 물김 포대(60)내에 물김이 채워진 상태로 물김 포대가 직사각형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물김 채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자동 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에는 일정간격 부분에 멈춤봉이 설치되어 물김의 채취량이 적을 때 물김 포대가 가득 채워지지 않을 것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전체적으로 퍼져있는 물김을 앞쪽으로 몰아서 일부의 물김포대에 가득 담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과 김포대 상승수단이 결합된 격자형태 상부에는 상부면의 직사각형 상부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은 면적을 커버하는 크기의 이물질 거름망이 테두리에 물김분리틀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김을 채취하기 위해 배위에 설치된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10)의 네 모서리에는 이동가이드가 설치되되, 분리 프레임 이동 가이드는 네 귀퉁이에 한 세트 씩 총 4세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물김 분리 프레임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가이드는 2중 구조 가이드 구조로서,
외부 가이드는 김틀에 고정되고, 김틀에 김틀망을 설치한 후 내부 가이드를 외부가이드안에 설치하고, 그물의 손상 없이 물김 분리 프레임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24)에 결합되어 김포대 상승수단(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60)는 고리가 구비되어 김포대 고정수단(24)에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 의하면, 물김 채취 과정에서 수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물김 채취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위에 설치된 사각형 프레임 지지대 상에 김포대 고정 수단과 김포대 상승수단을 설치하고, 프레임 지지대 외부에 복수개의 모터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과 모터사이에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통해 연결수단을 가동시켜 김포대 상승수단을 들어올림으로써 김포대 고정수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를 채취선으로부터 들어올리면서 물김 채취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김 채취 초기과정 부터 포장하고 물김을 채취하는 배의 바깥 육지까지 내보내는 양육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김채취에 1일 4-6명씩 필요했던 작업 인력을 1-2명으로 감축할 수 있으며, 물김 포장 이송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전체 물김 채취 과정에 효율성이 상승하며, 물김 채취 작업 과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외국인 노동자 인력 감소 문제를 해소하며, 물김 채취시에도 안전공간 확보 및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동작 초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서의 물김 채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동력 발생 수단을 통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의 물김 채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물김 채취 완료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김틀망 걸이와 김틀망 걸이캡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김틀망 걸이의 측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김포대 상승수단에 설치된 멈춤봉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서 김포대 고정수단과 김포대 상승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사시도의 일예를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서의 물김포대가 가로 지지대에 결합하는 방식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김틀 네군데 모서리에 설치된 분리프레임 이동가이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가이드 설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서의 가로봉 고정 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7은 도 3 내지 도 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물김 채취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동작 초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서의 물김 채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동력 발생 수단을 통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의 물김 채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물김 채취 완료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100)은
물김을 채취하기 위해 배위에 설치된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10) 내측에 설치된 물김 자동 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지지대(10)의 가로부분을 따라 서로 마주하면서 프레임 저면 내측에 설치된 김포대 상승수단(12),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에 대해 횡으로 가로질러 일정간격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에 걸쳐져 고정된 복수개의 김포대 고정 수단(24)과,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24)들 결합되어 김포대 상승수단(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60),
상기 프레임 지지대 외부에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 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동력 발생수단(30), 및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과 동력 발생수단(30) 사이를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지지대 상단부에 설치된 동력 발생수단을 매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수단(30)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연결수단(40)을 가동시켜, 상기 연결수단(40)이 상기 회동수단(42)에 마찰접촉되면서 이동되면서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24)에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60)들을 채취선의 직사각형 프레임 바닥으로부터 상부 프레임면까지 들어올리면서 물김 포대(60)내에 물김이 채워진 상태로 물김 포대가 직사각형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물김 채취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에는 일정간격 부분에 멈춤봉이 설치되어 물김의 채취량이 적을 때 물김 포대가 가득 채워지지 않을 것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전체적으로 퍼져있는 물김을 앞쪽으로 몰아서 일부의 물김포대에 가득 담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물김포대(60)는 물김분리틀 혹은 물김상승프레임(14-1)(혹은 김포대 고정수단(24))에 연결되고, 이물질거름망(22)도 김포대 고정수단(24) 상부에 연결되고, 이후 채취선 직사각형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24)과 물김포대(60)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물김포대(60)와 김포대 고정수단(24)들 간의 연결 상태는 이후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100)의 직사각형 프레임(10) 상부에서부터 물김(80)이 채취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100)의 직사각형 프레임(10) 저면에서 부터 일정높이 만큼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물김 포대(60)가 바닥에서부터 일정높이 만큼 상승하였다. 동력발생수단(30)(도면에는 윈치 방식만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유압을 통한 방식도 가능할 것이다)의 작동에 의해 연결수단(예, 와이어)(40)이 회동수단(예, 도르래)에 의해 이동되면서 김포대 상승수단(12)를 들어올리면 물김 포대(60)가 따라 들어올려 지게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김포대 고정수단(24)을 끝까지 들어올린 후 이물질 거름망(22)과 김포대 고정수단(24)을 제거한다. 이물질(50)이 이물질 거름망(22)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서의 이물질 거름망(22)과 김포대 고정수단(24)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물김 포대 작업이 완료된 상태이다. 물김포대(60)는 각각 마무리 작업되어 배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양육(즉 육지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김틀망 걸이와 김틀망 걸이캡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김틀망 걸이(34)와 김틀망 걸이캡(34a)이 한조로 도 9에 설명되는 김틀망걸이(24)위를 커버할 수 있다. 이는 필수 구성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김틀망 걸이의 측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김틀망 걸이 상단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걸이용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김틀망 걸이는 김포대 고정수단(24)으로 칭하며, 물김포대(60)에 복수개의 고리부(60a)(도 16 참조)가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물김포대(60)는 다른 형태의 김포대 고정수단(14-1)에 걸어서 고정될 수도 있다(도 19, 도20참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김포대 상승수단에 설치된 멈춤봉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멈춤봉(70)은 김포대 상승수단(14)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김포대 상승수단(14)는 김포대 고정수단(24)이 삽입설치되는 슬롯(14a)가 복수개 구비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서 김포대 고정수단과 김포대 상승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김포대 상승수단(14)과 김포대 고정수단(24)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 시스템에서 김포대 상승수단(14), 김포대 고정수단(12) 및 멈춤봉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멈춤봉의 역할은 물김을 충분히 채취하지 못할 때 물김 포대를 가득 채우기 위한 역할의 일부 예상되는 물김 채취량의 범위에 해당하는 곳에 멈춤봉을 설치하고, 물김이 통과하지 못하는 촘촘한 그물을 멈춤봉에 걸리도록 설치한다(도 22 참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사시도의 일예를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 골격구조의 프레임(10)를 가진 형태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할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서의 물김포대가 가로 지지대에 결합하는 방식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김틀 네군데 모서리에 설치된 분리프레임 이동가이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가이드 설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서의 가로봉 고정 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 내지 도 27은 도 3 내지 도 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물김 채취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김포대(60)은 복수개의 고리(60a)를 가지며, 김포대(60)를 가로봉(김포대 고정수단)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이며, 고리외에도 후크 등 여러 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김포대(60)는 가로봉에 끼워져 설치되며, 가로봉을 옆으로 빼내어 김포대(60)와 쉽게 분리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물김포대(60)와 김포대 고정수단(24) 간의 연결 상태는 도 8 및 도 9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되거나(개별적 고리 삽입방식), 도 16이후에서와 같은 물김포대(60)의 고리(60a)를 통과시켜 고정시키는 방식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물김포대(60)은 김포대 고정수단(24)간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김틀 네군데 모서리에 설치된 분리프레임 이동가이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분리 프레임 이동 가이드는 네 귀퉁이에 한 세트 씩 총 4세트 설치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분리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며, 물김 분리 프레임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게 된다.
김틀 내부는 김틀망으로 싸여 있고 김틀망이 손상되면 김이 새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김틀망의 손상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 본 실시예는 2중 구조 가이드로 외부 가이드는 김틀에 고정되고, 김틀에 김틀망을 설치한 후 내부 가이드를 외부가이드안에 설치하고, 그물의 손상 없이 물김 분리 프레임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서의 가로봉 고정 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로봉(24-1)은 김포대 상승수단(14-1)에 고정되는데,
물김 채취중이나 분리 작업 중 가로봉과 세로봉이 서로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고, 고정수단(200:210,220)을 통해 원터치로 가로봉과 세로봉을 쉽게 고정하고 고정해제 할 수 있고, 매미고리, 토글 클램프 등 각종 고정 수단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21 내지 도 27은 도 3 내지 도 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의 물김 채취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멈춤봉(70)의 역할은 물김을 충분히 채취하지 못할 때 물김 포대를 가득 채우기 위한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예상되는 물김 채취량의 범위에 해당하는 곳에 멈춤봉을 설치하고, 물김이 통과하지 못하는 촘촘한 그물을 멈춤봉에 걸리도록 설치한다.
김포대에 김을 담기게 할 부분(A)과 김포대에 김을 담기지 않게 할 부분(B)을 멈춤봉(70)을 통해 구분하였다.
도 23을 참조하면, 평소와 같이 물김을 채취하였으나 채취량이 적은 상태를 보여준다.
도 24를 참조하면, 윈치(30)등을 이용하여 그물을 앞쪽으로 당겨준다.
도 25를 참조하면, 물김이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물김이 앞쪽으로 모여 가득 찬 높이가 되면 상승프레임 상승하게 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앞쪽의 포대에만 물김이 가득 담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대형 김틀망에서 채취된 물김을 공용 크레인으로 상승시킬 때 중력에 의하여 대형 김틀망에 설치된 복수개의 소형 김틀망에 이동하며 간단하게 이송/포장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 의하면, 물김 채취 과정에서 수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물김 채취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위에 설치된 사각형 프레임 지지대 상에 김포대 고정 수단과 김포대 상승수단을 설치하고, 프레임 지지대 외부에 복수개의 모터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과 모터사이에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통해 연결수단을 가동시켜 김포대 상승수단을 들어올림으로써 김포대 고정수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를 채취선으로부터 들어올리면서 물김 채취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김 채취 초기과정 부터 포장하고 물김을 채취하는 배의 바깥 육지까지 내보내는 양육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김채취에 1일 4-6명씩 필요했던 작업 인력을 1-2명으로 감축할 수 있으며, 물김 포장 이송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전체 물김 채취 과정에 효율성이 상승하며, 물김 채취 작업 과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외국인 노동자 인력 감소 문제를 해소하며, 물김 채취시에도 안전공간 확보 및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물김 자동분리 포장양육 시스템
10: 직사각형 프레임
12: 김포대 고정수단
24: 김포대 상승수단
30: 동력전달수단
40: 연결수단(와이어)
60: 물김포대
70: 멈춤봉
80: 물김틀
300: 그물

Claims (6)

  1. 물김을 채취하기 위해 배위에 설치된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10) 내측에 설치된 물김 자동 분리 포장 양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지지대(10)의 가로부분을 따라 서로 마주하면서 프레임 저면 내측에 설치된 김포대 상승수단(12),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에 대해 횡으로 가로질러 일정간격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에 걸쳐져 고정된 복수개의 김포대 고정 수단(24)과,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24)에 결합되어 김포대 상승수단(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60),
    상기 프레임 지지대 외부에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 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동력 발생수단(30), 및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과 동력 발생수단(30) 사이를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 지지대 상단부에 설치된 동력 발생수단을 매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수단(30)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연결수단(40)을 가동시켜, 상기 연결수단(40)이 상기 회동수단(42)에 마찰접촉되면서 이동되면서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12)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24)에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60)들을 채취선의 직사각형 프레임 바닥으로부터 상부 프레임면까지 들어올리면서 물김 포대(60)내에 물김이 채워진 상태로 물김 포대가 직사각형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물김 채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자동 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포대 상승수단에는 일정간격 부분에 멈춤봉이 설치되어 물김의 채취량이 적을 때 물김 포대가 가득 채워지지 않을 것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전체적으로 퍼져있는 물김을 앞쪽으로 몰아서 일부의 물김포대에 가득 담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과 김포대 상승수단이 결합된 격자형태 상부에는 상부면의 직사각형 상부면의 면적보다 약간 작은 면적을 커버하는 크기의 이물질 거름망이 테두리에 물김분리틀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김을 채취하기 위해 배위에 설치된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10)의 네 모서리에는 이동가이드가 설치되되, 분리 프레임 이동 가이드는 네 귀퉁이에 한 세트 씩 총 4세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물김 분리 프레임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는 2중 구조 가이드 구조로서,
    외부 가이드는 김틀에 고정되고, 김틀에 김틀망을 설치한 후 내부 가이드를 외부가이드안에 설치하고, 그물의 손상 없이 물김 분리 프레임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24)에 결합되어 김포대 상승수단(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김포대 고정수단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물김포대(60)는 고리가 구비되어 김포대 고정수단(24)에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KR1020210167772A 2021-11-29 2021-11-29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KR20230080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772A KR20230080235A (ko) 2021-11-29 2021-11-29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772A KR20230080235A (ko) 2021-11-29 2021-11-29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235A true KR20230080235A (ko) 2023-06-07

Family

ID=8676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772A KR20230080235A (ko) 2021-11-29 2021-11-29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2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2127A (ko) 물김 분리수단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포장방법
CA2541027A1 (en) Tree root ball wrapp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9251100U (zh) 一种茶籽采集装置
KR20110113072A (ko) 견과류 수확물 포집장치
KR20230080235A (ko) 물김 자동분리 포장 양육시스템
EP2168423B1 (en) Modular equipment for fruit harvesting and fruit harvesting procedure using said modular equipment
CN109230608A (zh) 一种杠杆式晾晒粮食收集装置
CN113615621A (zh) 一种养殖鱼类分级起捕方法
ES2371714T3 (es) Equipo modular para la recogida de frutos, y procedimiento de recogida de frutos que utiliza dicho equipo modular.
KR101396714B1 (ko)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
ES2363403B1 (es) Adicion a la solicitud de patente numero p 200802705, titulada "equipo modular autoportante de recogida de olivas y procedimiento de recogida"
KR200415851Y1 (ko) 수하식 사상체 배양장치
CN206294563U (zh) 一种青贮圆捆打捆机
CN201742784U (zh) 葡萄防鸟网
CN107410231A (zh) 活鱼采捕装置
KR102118969B1 (ko)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CN208594807U (zh) 一种防护装置
CN112514859B (zh) 一种深海网箱高效起捕的装置
US44222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seed bearing cones
CN219593083U (zh) 一种具有晾晒功能的覆盆子果实采摘车
EP1614629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la distribution et l'entreposage de bois de chauffage
CN212048200U (zh) 一种圆包草捆拆包器
CN220875598U (zh) 一种澳洲淡水龙虾虾苗捕捞装置
CN213463104U (zh) 一种澳洲坚果苗木培育装置
CN219612582U9 (zh) 一种用于收集高大乔木风媒种子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