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969B1 -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969B1
KR102118969B1 KR1020180069258A KR20180069258A KR102118969B1 KR 102118969 B1 KR102118969 B1 KR 102118969B1 KR 1020180069258 A KR1020180069258 A KR 1020180069258A KR 20180069258 A KR20180069258 A KR 20180069258A KR 102118969 B1 KR102118969 B1 KR 102118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gilt
water
la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126A (ko
Inventor
김송강
이성규
박옥경
조보현
이종희
박경
Original Assignee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주)빌리언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주)빌리언이십일 filed Critical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969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에 있어서, 제1 김틀망의 저면에 복수개의 제2 김틀망을 매달아 고정시키는 제1 단계; 제1 김틀망을 물김 채취용 사각 프레임내에 위치시키는 제2 단계; 제1 김틀망을 위로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제2 김틀망을 제1 김틀망으로 부터 분리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물김 수확을 마치고 육지로 이동시키기 위해 크레인으로 제1 김틀망을 들어올리면 중력에 의해 물김이 제2 김틀망으로 옮겨 담아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Laver Bag Combining Apparatus for Moving Separately Water Laver}
본 발명은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톤백방식으로 물김을 이송하기 위한 커다란 김틀망의 저면부에 미리 복수개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설치해놓고 나서 배위에서 물김 저장작업을 수행한 후에 통채로 김틀망을 육상 차량에 상차한 후 저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쉽게 물김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 양식장에서 양식되는 김은 수확시기가 되면 신속하게 수확을 하여 발장에 펼쳐서 건조 시킨 후 상품으로 포장을 하여야 하는데, 소형 선박에 물김을 싣고 항구 또는 방파제 등으로 이동을 한 다음, 소형 선박에 실려 있는 물김을 지상으로 이동을 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이 지상으로 이동된 물김은 수레 또는 경운기, 트럭 등의 이동 수단을 통해 건조장으로 이동이 되고 건조장에서는 이동된 물김을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시킨 후 저장탱크에 보관을 하게 되며, 저장탱크에 보관된 물김을 소분 한 후 발장 위에 펼쳐서 건조장으로 이동을 시키게 된다.
그런데, 소형 선박에 실려 있는 물김을 지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많은 수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자루에 물김을 삽으로 퍼 담고, 물김이 담긴 자루를 공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차례로 지상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물김을 담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저조하고 작업성이 불량하며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가 인구의 감소화 고령화로 고된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자를 구하기도 쉽지 않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44538호(2013년3월11일 등록: 물김흡입 및 배출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톤백방식으로 물김을 이송하기 위한 커다란 김틀망의 저면부에 미리 복수개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설치해놓고 나서 배위에서 물김 저장작업을 수행한 후에 통채로 김틀망을 육상 차량에 상차한 후 저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쉽게 물김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위에 설치된 사각 형태의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 김틀망 결합장치에 있어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 제1 김틀망과,
상기 제1 김틀망의 저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소형의 제2 김틀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김틀망에 물김을 담은 후에 크레인의 줄 및 고리를 이용하여 고정줄에 의해 지탱된 제1 김틀망을 들어올려 물김을 분리 이송하고, 상기 제1 김틀망은 상기 제2 김틀망 상부에 일부가 결합되어 물김이 제2 김틀망으로 안내되도록 깔때기 형태의 제3 김틀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톤백방식으로 물김을 이송하기 위한 커다란 김틀망의 저면부에 미리 복수개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설치해놓고 나서 배위에서 물김 저장작업을 수행한 후에 통채로 김틀망을 육상 차량에 상차한 후 저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쉽게 물김을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을 위한 초기단계의 탈부착식 김틀망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에서 김틀망을 상차를 위해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과정을 거친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에서 상차후 저면에 위치한 김틀망을 탈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의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을 위한 초기단계의 탈부착식 김틀망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에서 김틀망을 상차를 위해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과정을 거친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에서 상차후 저면에 위치한 김틀망을 탈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의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에 있어서,
배위에 보통 사각 형태의 프레임(10)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0)내측에 김틀망(20)이 보통설치된다. 이와같이 설치된 김틀망(20)내에 물김을 가득 담아 채우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김틀망(20)의 저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복수개의 소형의 김틀망(30)을 미리 설치한 점에 있다. 이때 김틀망(30)은 부피가 없이 바닥이 접혀져서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후 작업자(미도시)들이 김틀망(20)에 물김(미도시)을 담은 후에 크레인의 줄(23) 및 고리(22)를 이용하여 고정줄(21)에 의해 지탱된 김틀망(20)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김틀망(20)을 들어올리게 되면 접혀있던 하부 김틀망(30)에는 각각 물김에 담겨지게 되고 부피가 늘어나서 도 3과 같은 모양을 하게 되며, 상차 후에 김틀망(20)에 걸리 고리를 해체하여 김틀망(30)을 분리하게 된다. 분리된 김틀망(30)은 상부를 묶어 출하할 수 있게 된다.
참조 부호 50은 물빠짐용 상자를 나타낸 것으로서, 다수개의 물빠짐용 상자위에 김틀망을 올려놓게 된다. 만약, 물빠짐용 상자가 김틀망 안에 설치되면, 본 발명의 김틀망을 들어올릴 수 없기 때문에, 김틀망 저면에 서로 면접시켜 배치한 후 김틀망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물김에 대한 매도인 및 매수인간에 합의된 물빠짐 정도를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함에 적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의 특징을 다시한 번 살펴보면,
배위에 설치된 사각 형태의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 김틀망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 제1 김틀망(20)과,
상기 제1 김틀망(20)의 저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소형의 제2 김틀망(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김틀망(20)에 물김을 담은 후에 크레인의 줄(23) 및 고리(22)를 이용하여 고정줄(21)에 의해 지탱된 제2 김틀망(30)을 들어올려 물김을 분리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김틀망(20)은 상기 제2 김틀망(30) 상부에 일부가 결합되어 물김이 제2 김틀망(30)으로 안내되도록 깔때기 형태의 제3 김틀망(2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김틀망(20)과 제2 김틀망(30)의 결합은 고리(22)와 고리(32)간의 결합(22) 혹은 기타 결합장치가 탈착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에 있어서,
먼저, 대형작업용 자루(즉, 김틀망(20))의 저면에 복수개의 소형 이송용자루(즉, 김틀망(30))를 매달아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대형작업용 자루(즉, 김틀망(20))를 물김 채취용 사각 프레임(미도시)내에 위치시킨다.
이후 대형작업용 자루(즉, 김틀망(20))를 위로 들어올려 이동시킨다(상차).
이후 소형이송용자루(즉 김틀망(30))를 분리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톤백방식을 이용한 방식으로서, 준비 작업시에 톤백(즉 대형작업용 자루, 즉 김틀망(20)) 아래에 탈부착이 가능한 이송용 자루(즉 김틀망(30)들을 매달아 두고 배에 설치하면 이송용 자루(즉 김틀망(30))는 배 바닥에 구겨진 상태로 그 위에 기존의 방식대로 물김을 수확할 수 있다. 이후 수확을 마치고 육지로 이동시키기 위해 크레인으로 톤백(즉, 김틀망(20))을 들어올리면 중력에 의해 물김이 이송용 자루(즉 김틀망(30))로 옮겨 담아지게 된다. 이후 이송 트럭에 김틀망(20)을 옮긴 후 김틀망(20)에서 이송용 자루(즉 김틀망(30))들을 분리한다. 여기서 김틀망(20)과 김틀망(30)을 탈부착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을 제한하지 않으며, 고리 혹은 지퍼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톤백방식으로 물김을 이송하기 위한 커다란 김틀망의 저면부에 미리 복수개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설치해놓고 나서 배위에서 물김 저장작업을 수행한 후에 통채로 김틀망을 육상 차량에 상차한 후 저면에 부착된 복수개의 탈부착식 김틀망을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쉽게 물김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20,30,200: 김틀망
22, 32: 고리
50: 물빠짐용 상자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배위에 설치된 사각 형태의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 김틀망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 제1 김틀망과,
    상기 제1 김틀망의 저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소형의 제2 김틀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김틀망에 물김을 담은 후에 크레인의 줄 및 고리를 이용하여 고정줄에 의해 지탱된 제1 김틀망을 들어올려 물김을 분리 이송하고,
    상기 제1 김틀망은 상기 제2 김틀망 상부에 일부가 결합되어 물김이 제2 김틀망으로 안내되도록 깔때기 형태의 제3 김틀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김틀망 아래에 물빠짐용 상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KR1020180069258A 2018-06-15 2018-06-15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KR102118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258A KR102118969B1 (ko) 2018-06-15 2018-06-15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258A KR102118969B1 (ko) 2018-06-15 2018-06-15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126A KR20190142126A (ko) 2019-12-26
KR102118969B1 true KR102118969B1 (ko) 2020-06-05

Family

ID=6910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258A KR102118969B1 (ko) 2018-06-15 2018-06-15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9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30A (ja) * 2000-05-09 2001-11-13 Norimitsu Tanaka ノリ原藻搬送用袋と装置
KR101849767B1 (ko) 2016-11-16 2018-04-17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973A (ko) * 2013-12-11 2015-06-19 최민호 김 자동 채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130A (ja) * 2000-05-09 2001-11-13 Norimitsu Tanaka ノリ原藻搬送用袋と装置
KR101849767B1 (ko) 2016-11-16 2018-04-17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126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968B1 (ko) 물김 분리수단을 가진 김틀망 결합장치
EP0939040A1 (en) Bulk bag discharge system and method
CN109329225A (zh) 一种鱼类捕捞起运装置及方法
CN107702776A (zh) 一种活鱼自动打包系统及方法
US5641463A (en) Mechanized tent
KR102118969B1 (ko) 물김의 분리 이송용 김틀망 결합장치
CN109573418B (zh) 一种带吊机的垃圾收集及运输装置
KR100960702B1 (ko)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
US3058623A (en) Storage bin
US2378606A (en) Laundry holder
CN104925645A (zh) 一种入户电缆码垛存放吊装装置
GB708966A (en) Receptacle for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such as fish
CN203775951U (zh) 捕捞鲜活贝类的海上转运系统
CN205865659U (zh) 一种大型机械化活鱼转运工具
CN205093187U (zh) 一种立体种植的采摘运输架
CN103749374B (zh) 捕捞鲜活贝类的海上转运系统及方法
CN104340851B (zh) 用于收集并且卸下物料的容器
US6422253B1 (en) Mechanized fumigation tent with composite closing structure
KR102118967B1 (ko) 김틀망 이송장치
JPH0547172Y2 (ko)
CN205187649U (zh) 一种铝材转运架
JPH11180489A (ja) トラック搭載用粉粒体搬送容器、およびそれ用の骨格枠、ならびにそれらの折り畳み格納方法
CN217470698U (zh) 一种旋耕机成品运输货架
CN216574073U (zh) 一种省时省力型硫酸铵晶体加工用分离装置
CN220245385U (zh) 一种胶带机栈桥提升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