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086A -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086A
KR20230080086A KR1020210167504A KR20210167504A KR20230080086A KR 20230080086 A KR20230080086 A KR 20230080086A KR 1020210167504 A KR1020210167504 A KR 1020210167504A KR 20210167504 A KR20210167504 A KR 20210167504A KR 20230080086 A KR20230080086 A KR 20230080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bent
bending
support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신동현
신이섭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086A/ko
Publication of KR2023008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천정부에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와, 칸막이 벽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부와, 벽체 고정부와 상부 고정부의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벽체 고정부는, 칸막이 벽체의 상부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절곡 연결부와, 절곡 연결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경사 지지부에 연결되는 회전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APPARATUS FOR LATERAL SUPPORTING ASEISMIC PARTITION WALL}
본 발명은 지진 등의 외력 발생에도 손상 없이 설치된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한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칸막이 벽체는 건물 내부에 부가적으로 시공하여 그 실내외 공간을 필요한 수만큼 복수로 구획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한정된 실내 공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벽체이다.
이러한 칸막이 벽체는 건물의 바닥과 천장 및 벽에 고정되어 골조를 이루고, 가로 또는 세로의 지주 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프레임과, 프레임이 틀이 되어 프레임의 양쪽면에 설치되는 석고보드, 합판류 등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칸막이 벽체는 실내 공간의 층고 높이보다 낮은 상태로 상부가 천정부로부터 이격되어 별도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부분 높이 칸막이 벽체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 높이 칸막이 벽체는 상부에 소정의 지지 수단이 되지만 천장재 시스템의 강성이나 강도가 매우 낮아 지지되는 효과가 미미하여, 지진 발생 등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일측으로 전도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등의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해서도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천정부에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와, 칸막이 벽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부와, 벽체 고정부와 상부 고정부의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 지지부를 포함한다.
벽체 고정부는, 칸막이 벽체의 상부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절곡 연결부와, 절곡 연결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경사 지지부에 연결되는 회전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는, 천정부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굴곡된 복수개의 굴곡 브라켓과, 굴곡 브라켓을 상기 천정부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칸막이 벽체의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칸막이 벽체의 대향하는 양측면의 일부분을 덮도록 연장되는 절곡 연장부가 형성되는 절곡 바디와, 절곡 바디의 내부에 돌출되어 상기 절곡 바디의 양측을 연결하는 지지 돌부와, 절곡 연장부를 상기 칸막이 벽체의 측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 바디는, 칸막이 벽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절곡 연장부가 하부에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제1 바디에 분리 결합되며 칸막이 벽체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절곡 연장부가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브라켓은, 절곡 바디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베이스부와, 회전 베이스부의 일측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경사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경사 연결부와, 회전 베이스부의 타측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경사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경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베이스부는, 절곡 바디의 상측에서 회전된 상태에서 볼트부재에 의해 절곡 바디에 회전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돌부는, 절곡 연장부의 내벽면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절곡 연결편과, 절곡 연결편의 사이에 연결되며 일부분이 굴곡 형성되어 칸막이 벽체의 상부에 이격되는 절곡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지지부는, 일측은 제1 경사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굴곡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와, 일측은 제2 경사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굴곡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 연결부에는 복수개의 제1 볼트홀이 형성되고, 제1 연결부재는 제1 경사 연결부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제1 볼트홀의 적어도 하나에 볼트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제2 경사 연결부에는 복수개의 제2 볼트홀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는 제2 경사 연결부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제2 볼트홀의 적어도 하나에 볼트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칸막이 벽체에 설치는 벽체 고정부와 천정부에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의 사이를 경사 지지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한 바, 지진 발생시 칸막이 벽체가 일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내진 성능의 극대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칸막이 벽체가 면외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면내 방향의 강체 회전 거동의 제어도 가능하여 지진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칸막이 벽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부를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상부면이 두 부분으로 분리 고정 가능한 바, 칸막이 벽체의 두께 변경에도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된 시공 오차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칸막이 벽체의 설치된 상태의 변위 제어가 용이하여, 천정부의 천정재 탈락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칸막이 벽체의 상부에 벽체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벽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벽체 고정부의 회전 브라켓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벽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100)는, 건축물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 벽체를 내진 성능이 확보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이에 대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칸막이 벽체(11)는 건축물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비구조 벽체로서, 경량 철골 스터드, 러너로 기본 골조를 형성하고, 석고보드를 양면으로 부착한 벽체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칸막이 벽체(11)는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축물 내의 공간을 복수의 구획 공간으로 구획하는 경량 철골 및 목재 프레임과 이에 부착되는 패널류로 구성되는 경량 칸막이 벽체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칸막이 벽체의 상부에 벽체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100)는, 천정부(13)에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10)와, 칸막이 벽체(11)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부(20)와, 벽체 고정부(20)와 상부 고정부(10)의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 지지부(30)를 포함한다.
상부 고정부(10)는 칸막이 벽체(11)가 시공되는 상부의 천정부(13)에 설치되는 것으로, 칸막이 벽체(11)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부의 천정부(13)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 고정부(10)는, 천정부(13)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굴곡된 복수개의 굴곡 브라켓(12)과, 굴곡 브라켓(12)을 천정부(13)에 고정하는 체결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 브라켓(12)은 일측은 천정부(13)의 표면에 면접촉되고 타측은 칸막이 벽체(11) 방향으로 굴곡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굴곡 브라켓(12)은 경사 지지부(30)의 연결되는 개수에 대응하여 천정부(13)에 4개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굴곡 브라켓(12)은 4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설치된 개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굴곡 브라켓(12)은 경사 지지부(30)에 볼트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14)는 굴곡 브라켓(12)과 경사 지지부(30)를 서로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볼트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벽체 고정부(20)는 칸막이 벽체(11)의 상부가 내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경사 지지부(30)에 의해 상부 고정부(10)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벽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벽체 고정부의 회전 브라켓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벽체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벽체 고정부(20)는, 칸막이 벽체(11)의 상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절곡 연결부(21)와, 절곡 연결부(2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경사 지지부(30)에 연결되는 회전 브라켓(23)을 포함할 수 있다.
절곡 연결부(21)는 칸막이 벽체(11)의 상부 가장자리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에 회전 브라켓(23)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절곡 연결부(21)는, 칸막이 벽체(11)의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절곡 바디(211)와, 절곡 바디(211)의 내부에 돌출되어 절곡 바디(211)의 양측을 연결하는 지지 돌부(213)와. 절곡 바디(211)를 칸막이 벽체(11)에 고정하는 체결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곡 바디(211)는. 내부에 칸막이 벽체(11)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21a)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칸막이 벽체(11)의 대향하는 양측면의 일부분을 덮도록 연장되는 절곡 연장부(211a)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 바디(211)는 판상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의 양측의 일부분이 하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곡 바디(211)는 양측에 각각 구부려진 절곡 연장부(211a)가 형성되며, 한 쌍의 절곡 연장부(211a)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21a)이 칸막이 벽체(11)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 바디(211)는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칸막이 벽체(11)에 고정되는 것으로, 칸막이 벽체(11)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바디(211A)와, 제1 바디(211A)에 분리 결합되며 칸막이 벽체(11)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바디(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 바디(211)가 제1 바디(211A)와 제2 바디(211B)로 칸막이 벽체(11)에 분리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칸막이 벽체(11)의 두께 변경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절곡 바디(211)는 제1 바디(211A)와 제2 바디(211B)로 칸막이 벽체(11)에 상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는 지지 돌부(21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 바디(211)의 내부에는 지지 돌부(213)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돌부(213)는 절곡 바디(211)의 내부에 일체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절곡 연결부(21)가 칸막이 벽체(11)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 돌부(213)는, 절곡 연장부(211a)의 내벽면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는 절곡 연결편(213a)과, 절곡 연결편(213a)의 사이에 연결되며 일부분이 굴곡 형성되어 칸막이 벽체(11)의 상부에 이격되는 절곡 돌부(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 연결편(213a)은 절곡 연장부(211a)의 내벽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절곡 연장부(211a)의 내벽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절곡 연장부(211a)가 다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절곡 연결편(213a)을 형성할 수 있다.
절곡 돌부(213b)는 한 쌍의 절곡 연결편(213a)의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한 쌍의 절곡 연결편(213a)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절곡 돌부(213b)는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이 굴곡 형성되어 탄성에 의하여 어느 정도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칸막이 벽체(11)의 두께 변경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절곡 연결부(21)는 하나의 판상 부재(예를 들어, 강판)의 절곡만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판상 부재가 절곡되어 제1 바디(211A), 지지 돌부(213), 제2 바디(211B)를 형성함으로써, 절곡 연결부(21) 전체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절곡 연장부(211a)는 칸막이 벽체(11)에 체결부재(21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215)는 나사 볼트로 적용되는 것으로 절곡 연장부(211a)와 절곡 연결편(213a)을 통과하여 칸막이 벽체(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체 고정부(20)를 구성하는 절곡 연결부(21)는 칸막이 벽체(11)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절곡 연결부(21)의 상측에는 회전 브라켓(23)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23)은 절곡 연결부(21)의 상측에 설치되어 경사 지지부(30)에 연결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 브라켓(23)은, 절곡 바디(21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베이스부(231)와, 회전 베이스부(231)의 일측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경사 지지부(30)에 결합되는 제1 경사 연결부(233)와. 회전 베이스부(231)의 타측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경사 지지부(30)에 결합되는 제2 경사 연결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베이스부(231)는 절곡 바디(211)의 상측 표면에 하부면이 면접촉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설치된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전 브라켓(23)은 제1 경사 연결부(233)와 제2 경사 연결부(235)의 방향이 벽체와 수직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볼트부재(232)가 회전 베이스부(231)의 회전 중앙 위치를 통과하여 절곡 바디(211)에 체결되어, 회전 베이스부(231)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베이스부(231)가 절곡 바디(21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지진하중에 의한 칸막이 벽체(11)의 예기치 않은 비틀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벽체 고정부(20)가 칸막이 벽체(11)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천정부(13)와 연결을 위해 경사 지지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경사 지지부(30)는 일측은 벽체 고정부(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 고정부(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칸막이 벽체(11)를 설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지지부(30)는, 벽체 고정부(20)와 상부 고정부(10)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31)와 제2 연결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1)는, 일측은 회전 브라켓(23)을 구성하는 제1 경사 연결부(233)에 결합되고 타측은 굴곡 브라켓(1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31)와 제1 경사 연결부(233)는,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경사 연결부(233)에는 체결부재의 고정을 위한 복수개의 제1 볼트홀(233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31)와 제1 경사 연결부(233)의 연결된 위치 조정은, 제1 볼트홀(233a)의 위치 변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1 볼트홀(233a)에 모두 볼트부재가 체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체결부재는 볼트부재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제1 볼트홀(233a)은 제1 경사 연결부(233)의 표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4개가 등간격의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볼트홀(233a)은 4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개수로 적절하게 변경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31)는 제1 경사 연결부(233)에 접촉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볼트부재가 4개의 제1 볼트홀(233a)의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 모두 결합되도록 연결되는 바, 연결되는 길이의 적절한 가변이 가능하다.
즉, 제1 연결부재(31)는 설치 장소의 층고의 변경 등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대응하여 제1 경사 연결부(233)에 연결되는 위치 및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설치 자유도의 향상이 가능하여 칸막이 벽체(11)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제2 연결부재(33)는, 일측은 회전 브라켓(23)을 구성하는 제2 경사 연결부(235)에 결합되고 타측은 굴곡 브라켓(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부재(33)는 제1 연결부재(31)와 동일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3)는 제1 연결부재(31)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회전 브라켓(23)과 굴곡 브라켓(12)의 사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3)는, 일측은 회전 브라켓(23)을 구성하는 제2 경사 연결부(235)에 결합되고 타측은 굴곡 브라켓(1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재(33)와 제2 경사 연결부(235)는,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경사 연결부(235)에는 체결부재의 고정을 위한 복수개의 제2 볼트홀(235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재(33)와 제2 경사 연결부(235)의 연결된 위치 조정은, 제2 볼트홀(235a)의 위치 변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2 볼트홀(235a)에 모두 볼트부재가 체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체결부재는 볼트부재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제2 볼트홀(235a)은 제2 경사 연결부(235)의 표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4개가 등간격의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볼트홀(235a)은 4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개수로 적절하게 변경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2 연결부재(33)는 제2 경사 연결부(235)에 접촉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볼트부재가 4개의 제1 볼트홀(233a)의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 모두 결합되도록 연결되는 바, 연결되는 길이의 적절한 가변이 가능하다.
즉, 제2 연결부재(33)는 설치 장소의 층고의 변경 등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대응하여 제2 경사 연결부(235)에 연결되는 위치 및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설치 자유도의 향상이 가능하여 칸막이 벽체(11)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31)와 제2 연결부재(33)는, 칸막이 벽체(11)에 설치는 벽체 고정부(20)와, 천정부(13)에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10)의 사이를 경사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연결 가능하여 지진 발생시 칸막이 벽체(11)가 일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내진 성능의 극대화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100)는, 건축물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칸막이 벽체(11)의 고정을 위해, 칸막이 벽체(11)와 천정부의 사이를 벽체 고정부(20)와 상부 고정부(10)를 각각 설치하고, 경사 지지부(30)로 서로간에 연결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 발생시 칸막이 벽체(11)가 면외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면내 방향의 강체 회전 거동의 제어도 가능하여 지진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벽체(11)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부(20)를 제1 바디(211A)와 제2 바디(211B)의 두 부분으로 분리 고정 가능한 바, 칸막이 벽체(11)의 두께 변경에도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된 시공 오차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아울러, 지진 발생시 칸막이 벽체(11)의 설치된 상태의 변위 제어가 용이하여, 천정부의 천정재 탈락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상부 고정부 11...칸막이 벽체
12...굴곡 브라켓 13...천정부
14...체결부재 20...벽체 고정부
21...절곡 연결부 211..절곡 바디
211a.절곡 연장부 211A..제1 바디
211B..제2 바디 213..지지 돌부
213a..절곡 연결편 213b..절곡 돌부
215..체결부재 23...회전 브라켓
231..회전 베이스부 233..제1 경사 연결부
233a.제1 볼트홀 235..제2 경사 연결부
235a..제2 볼트홀 30...경사 지지부
31...제1 연결부재 33...제2 연결부재

Claims (10)

  1. 천정부에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
    칸막이 벽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부; 및
    상기 벽체 고정부와 상기 상부 고정부의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 고정부는,
    상기 칸막이 벽체의 상부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절곡 연결부; 및
    상기 절곡 연결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경사 지지부에 연결되는 회전 브라켓;
    을 포함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천정부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굴곡된 복수개의 굴곡 브라켓; 및
    상기 굴곡 브라켓을 상기 천정부에 고정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칸막이 벽체의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칸막이 벽체의 대향하는 양측면의 일부분을 덮도록 연장되는 절곡 연장부가 형성되는 절곡 바디;
    상기 절곡 바디의 내부에 돌출되어 상기 절곡 바디의 양측을 연결하는 지지 돌부; 및
    상기 절곡 연장부를 상기 칸막이 벽체의 측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바디는,
    상기 칸막이 벽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절곡 연장부가 하부에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분리 결합되며, 상기 칸막이 벽체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절곡 연장부가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바디;
    를 포함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절곡 바디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베이스부;
    상기 회전 베이스부의 일측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경사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경사 연결부; 및
    상기 회전 베이스부의 타측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경사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경사 연결부;
    를 포함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부는, 상기 절곡 바디의 상측에서 회전된 상태에서 볼트부재에 의해 상기 절곡 바디에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부는,
    상기 절곡 연장부의 내벽면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절곡 연결편; 및
    상기 절곡 연결편의 사이에 연결되며 일부분이 굴곡 형성되는 절곡 돌부;
    를 포함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부는,
    일측은 상기 제1 경사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굴곡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일측은 상기 제2 경사 연결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굴곡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연결부에는 복수개의 제1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경사 연결부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볼트홀의 적어도 하나에 볼트부재로 체결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 연결부에는 복수개의 제2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경사 연결부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볼트홀의 적어도 하나에 볼트부재로 체결 결합되는,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KR1020210167504A 2021-11-29 2021-11-29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KR20230080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04A KR20230080086A (ko) 2021-11-29 2021-11-29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04A KR20230080086A (ko) 2021-11-29 2021-11-29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086A true KR20230080086A (ko) 2023-06-07

Family

ID=8676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504A KR20230080086A (ko) 2021-11-29 2021-11-29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0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4769A (en) Space divider system
JP6382738B2 (ja) 建築物の天井構造
KR20230080086A (ko) 내진용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JP6658061B2 (ja) 吊り天井構造体の制振装置及び耐震性間仕切装置
JP2019120050A (ja) 制震ユニット、制震装置および建物
JP6804714B2 (ja) 耐震用軽量鉄骨フレームの構造
JP5330134B2 (ja) 吊り天井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30080087A (ko) 부분 높이 칸막이 벽체 횡지지 장치
KR102215093B1 (ko) 내진성을 강화한 건축구조물의 천정용 랙 모듈러
JP2008164212A (ja) エアコン置台
JPH0913550A (ja) 間仕切パネルの連結構造
KR20210014026A (ko) 시공이 용이한 내진구조를 갖는 마루틀 시스템
JP4095607B2 (ja) 制振装置
KR102116398B1 (ko) 경량철골틀의 내진장치
JP5213048B2 (ja) 天井振れ止めシステム
JP2016075051A (ja) 天井構造
JP4969820B2 (ja) 制振パネルの設置構造
JP3580157B2 (ja) 収納棚の防震装置
JPH061949Y2 (ja) 二重床における間仕切パネルの支持脚装置
JP5723817B2 (ja) 野縁の取り付け方法
JP7421966B2 (ja) 制振壁構造、及び建物
JP6950065B2 (ja) 制振装置
KR102419777B1 (ko) 회전 결합용 연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JP4504787B2 (ja) 制振装置
JP3635184B2 (ja) 建築構造物の外装板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