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742A -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742A
KR20230079742A KR1020210166825A KR20210166825A KR20230079742A KR 20230079742 A KR20230079742 A KR 20230079742A KR 1020210166825 A KR1020210166825 A KR 1020210166825A KR 20210166825 A KR20210166825 A KR 20210166825A KR 20230079742 A KR20230079742 A KR 20230079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unfolding
battery voltage
outside mirro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936B1 (ko
Inventor
최학희
권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6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9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언폴딩 신호에 따라 폴딩 모터를 동작시키고 폴딩 모터의 동작 전류를 측정하여 일정 주기마다 출력하며 동작 샘플 수에 대응하는 전압 조정 신호를 출력하는 아웃사이드 미러부와,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며 아웃사이드 미러부로부터 전압 조정 신호를 입력받아 단계적으로 배터리 전압을 조정하는 배터리 전압 조정부와,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폴딩/언폴딩 신호를 출력하여 폴딩 모터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 아웃사이드 미러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전류를 수신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류 파형에서 파라미터들을 분석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작업자가 직접 반복적인 실험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인력 낭비와 실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 folding/unfolding database}
본 발명은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웃사이드 미러(OSM, OutSide Mirror)는 차선 변경이나 주차 시 운전자의 좌,우 시야를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 거울로서, 폴딩(Folding)/언폴딩(Unfolding) 기능을 구비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에는 아웃사이드 미러를 펴고 차량을 주차할 때에는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어서 긁힘이나 훼손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는 폴딩/언폴딩 동작 시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더 이상 접히거나 펴지지 않는 동작 한계점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 한계점에 도달하면, 아웃사이드 미러부의 폴딩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폴딩/언폴딩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PCL(Programmable Current Limit) 로직을 기반으로, 폴딩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가 컷오프(Cut-off) 전류를 초과하면 아웃사이드 미러가 동작 한계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여 폴딩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한편, 종래의 PCL 로직은 설계자의 주관적인 결정에 따라 컷오프 전류가 정해지기 때문에 성능의 변동폭이 크고, 기온이나 배터리 전압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며, 아웃사이드 미러가 동작 한계점에 도달하더라도 컷오프 전류를 초과할 때까지 계속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전력량이 소모되므로, 아웃사이드 미러가 폴딩/언폴딩 동작을 수행할 때의 전류 파형을 이용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어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온도챔버 내에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언폴딩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전류 파형을 획득하고, 획득한 전류 파형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csv파일로 전환한 후 이를 작업자가 확인하여 의미있는 파라미터들을 도출하여 저장해야 한다.
예를 들어, 7V 내지 16V의 배터리 전압 조건에 따른 폴딩/언폴딩 동작의 샘플 10개를 취득하기 위해 적어도 200회의 실험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실험이 모두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실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극심한 인력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어도 200회의 실험을 수행하여 취득한 전류 파형을 작업자가 직접 분석하여 파라미터를 도출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휴먼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필요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류 파형을 획득하고, 획득한 전류 파형에서 파라미터들을 분석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딩/언폴딩 신호에 따라 폴딩 모터를 동작시키고, 폴딩 모터의 동작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 샘플 수에 대응하는 전압조정 신호를 일정 주기마다 출력하는 아웃사이드 미러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로부터 전압 조정 신호를 입력받아 단계적으로 배터리 전압을 조정하는 배터리 전압 조정부; 및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폴딩/언폴딩 신호를 출력하여 폴딩 모터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전류를 수신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공급된 배터리 전압별로 최대 전류 파라미터, 스톨 시간 파라미터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를 각각 획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폴딩 모터의 동작 시점과 동작 한계점 사이의 안정화 구간에서 가장 큰 전류값을 최대 전류 파라미터로 획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정화 구간 이후의 스톨 구간에서 동작 전류가 증가하여, 최대 전류 파라미터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시점의 시간값을 스톨 시간 파라미터로 획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폴딩 모터의 동작 전류가 스톨 시간 파라미터에 도달하여, 임의의 동작 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시간값을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로 획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 조정부는, 입력단이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연결되는 가변 레귤레이터; 상기 가변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기준 저항이 일단에 연결되고, 전압 조정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및 각 트랜지스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음극 단자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압 조정용 저항;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 조정부는, 기준 저항과 전압 조정용 저항 간의 저항비에 따라 상기 가변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공급될 배터리 전압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배터리 전압 설정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설정된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가 폴딩/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전류를 수신하는 제어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된 동작 전류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최대 전류 파라미터, 스톨 시간 파라미터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를 포함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구비된 폴딩 모터의 동작 시점과 동작 한계점 사이의 안정화 구간과 안정화 구간 이후의 스톨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가 폴딩/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폴딩/언폴딩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의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며 동작 전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안정화 구간 내의 동작 전류 중에서 가장 큰 전류값을 최대 전류 파라미터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스톨 구간 내에서 동작 전류가 증가하여 최대 전류 파라미터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시점의 시간값을 스톨 시간 파라미터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폴딩 모터의 동작 전류가 스톨 시간 파라미터에 도달하여, 임의의 동작 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시간값을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설정된 배터리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공급될 배터리 전압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배터리 전압 조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 조정 단계는, 전압 조정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개폐된 트랜지스터에 의해 연결된 기준 저항과 전압 조정용 저항 간의 저항비에 따라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공급될 배터리 전압이 조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 미러부의 폴딩 모터를 동작시켜서 동작 전류를 수신하고, 수신한 동작 전류의 전류 파형을 기초로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공급된 배터리 전압별로 최대 전류 파라미터, 스톨 시간 파라미터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를 각각 획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류 파형에서 파라미터들을 분석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작업자가 직접 반복적인 실험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인력 낭비와 실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류 파형에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파라미터들을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휴먼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파라미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파라미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100)은 아웃사이드 미러부(110),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100)은 차량에 실제로 장착될 아웃사이드 미러와 동일한 실험용 모델 또는 판매용 모델을 이용하여 폴딩(Folding)/언폴딩(Unfolding) 동작 시험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폴딩/언폴딩 동작 시험에 따른 동작 전류를 수집하여 차량에 실제로 장착될 아웃사이드 미러의 제어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폴딩/언폴딩 동작 시험은 기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온도챔버 내에서 이루어지며, 특정한 온도에서 배터리 전압을 단계별로 조정하면서 반복적인 폴딩/언폴딩 동작 시험을 수행하고, 온도를 바꾸어 배터리 전압을 단계별로 조정하며 폴딩/언폴딩 동작 시험을 반복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110)는 차량에 실제로 장착될 아웃사이드 미러와 동일한 실험용 모델 또는 판매용 모델로 구비된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부(110)는 제어부(130)에서 송신되는 폴딩/언폴딩 신호에 따라 폴딩 모터(112)를 동작시키고, 폴딩 모터(112)의 동작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 샘플 수에 대응하는 전압조정 신호를 일정 주기마다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에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아웃사이드 미러부(110)는 MCU(111), 폴딩 모터(112),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부(113), 온도 센서부(114), LIN 통신 모듈(115), SPI 통신 모듈(116),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17) 및 레귤레이터(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CU(111)는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폴딩 모터(112)와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17)를 제어한다. 이러한, MCU(111)는 제어부(130)로부터 송신되는 폴딩(Folding) 신호 또는 언폴딩(Unfolding) 신호에 따라 폴딩/언폴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폴딩 모터(112)를 제어하고, 제어부(130)로부터 송신되는 동작 샘플 수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전압 조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17)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 모터(112)는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의 미러를 접거나 펴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MCU(111)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의 미러를 접는 폴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의 미러를 펴는 언폴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부(113)는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MCU(111)에 출력하며, 상기 온도 센서부(114)는 현재의 기온을 센싱하여 MCU(111)에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LIN 통신 모듈(115)은 제어부(130)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으로 연결되고 폴딩/언폴딩 신호를 수신하여 MCU(111)에 전달하며, 상기 SPI 통신 모듈(116)은 MCU(111)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으로 연결되고 MCU(111)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17)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17)는 SPI 통신 모듈(116)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폴딩 모터(112)를 제어하거나 전압 조정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레귤레이터(118)는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MCU(111)를 포함하는 각 장치에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는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의 입력단에 구비되어 배터리에 연결되고 배터리 전압을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공급하며, 아웃사이드 미러부(110)로부터 전압 조정 신호를 입력받아 단계적으로 배터리 전압을 조정한다.
이러한,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는 가변 레귤레이터(121), 트랜지스터(122) 및 전압 조정용 저항(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레귤레이터(121)는 입력단이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7V 내지 16V의 배터리 전압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가변 레귤레이터(121)는 ADJ(adjustable)단에는 기준 저항(10)과 트랜지스터(122) 및 전압 조정용 저항(123)이 연결되며, 기준 저항(10)과 전압 조정용 저항(123) 간의 저항비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122)는 가변 레귤레이터(121)의 출력단에 연결된 기준 저항(10)이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전압 조정용 저항(123)이 연결되며,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서 출력되는 전압 조정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트랜지스터(122)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트랜지스터(122)에는 각각 하나의 전압 조정용 저항(123)이 연결되어, 하나의 트랜지스터(122)가 턴온될 때마다 그 트랜지스터(122)에 연결된 전압 조정용 저항(123)이 기준 저항(10)에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전압 조정용 저항(123)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 트랜지스터(12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음극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전압 조정용 저항(123)들은 모두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전압 조정용 저항(123)이 연결된 트랜지스터(122)가 턴온될 때 기준 저항(10)과 전압 조정용 저항(123) 간의 저항비가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압 조정용 저항(123)들이 모두 같은 저항값을 갖도록 구비되어 하나 또는 복수의 트랜지스터(122)가 턴온되었을 때 기준 저항(10)과 전압 조정용 저항(123) 간의 저항비가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트랜지스터(122)에 전압 조정용 저항(123)이 출력되어 복수의 트랜지스터(122)가 동시에 턴온되거나 특정 순서의 트랜지스터(122)가 턴온되면, 기준 저항(10)과 전압 조정용 저항(123) 간의 저항비가 변화하면서 가변 레귤레이터(121)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이 7V에서 16V까지 단계적으로 높아지거나 16V에서 7V까지 단계적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폴딩/언폴딩 신호를 출력하여 폴딩 모터(112)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서 폴딩/언폴딩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동작 전류를 수신하며, 수신한 동작 전류의 전류 파형에서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를 각각 획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공급될 배터리 전압의 초기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배터리 전압 하에서 아웃사이드 미러부(110)가 폴딩/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동작 전류를 수신하며, 1회의 폴딩/언폴딩 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1개의 동작 샘플을 충족한 것으로 카운팅하고, 정해진 동작 샘플 수를 만족한 것으로 판정되면, 수신한 동작 전류의 전류 파형에서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를 각각 획득한 후, 동작 샘플 수에 대한 정보를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의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17)에 출력한다.
이때, 전술한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17)는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에 전압 조정 신호를 출력하고, 전압 조정 신호에 의해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이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조정된 배터리 전압에 대하여 정해진 동작 샘플 수를 만족할 때까지 동작 전류를 수신하여 동작 샘플을 카운팅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반복하고, 정해진 동작 샘플 수를 만족하면, 조정된 배터리 전압에 대한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를 각각 획득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배터리 전압별로 10개의 동작 샘플 수를 획득하는 것을 전제로, 7V의 배터리 전압에서 16V의 배터리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200회의 폴딩/언폴딩 동작 시험을 자동으로 반복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공급된 배터리 전압별로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를 각각 획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는 폴딩 모터(112)의 동작 시점과 동작 한계점 사이의 안정화 구간(TM_Stable)에서 가장 큰 전류값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제어부(130)는 폴딩/언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동작 전류를 수신하여 시간축과 전압축을 기준으로 하는 전류 파형이 형성되면, 사전에 설정된 안정화 구간(TM_Stable)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안정화 구간(TM_Stable)을 설정하고, 안정화 구간(TM_Stable) 내의 동작 전류들 중에서 가장 큰 동작 전류를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는 안정화 구간(TM_Stable) 이후의 스톨 구간에서 동작 전류가 증가하여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시점의 시간값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제어부(130)는 안정화 구간(TM_Stable) 이후의 구간을 스톨 구간으로 설정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스톨 구간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스톨 구간을 설정하고, 스톨 구간 내에서 동작 전류가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시점의 시간값을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로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는 폴딩 모터(112)의 동작 전류가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에 도달한 후 임의의 동작 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시간값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제어부(130)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값, 예컨대, 500ms를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의 시간값에 더하여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100)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100)의 프로세서, 즉, 제어부(130)는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공급될 배터리 전압의 초기값을 설정한다(S100).
예컨대, 7V 내지 16V의 배터리 전압 조건에서 폴딩/언폴딩 동작 시험을 수행한다고 하면, 제어부(130)는 배터리 전압의 초기값으로 가장 낮은 배터리 전압 조건에 따른 7V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에 설정된 배터리 전압의 초기값과 동일하게,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에서 출력될 배터리 전압을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아웃사이드 미러부(110)는 차량에 실제로 장착될 아웃사이드 미러와 동일한 실험용 모델 또는 판매용 모델로 구비된 것으로, 제어부(130)에서 송신되는 폴딩/언폴딩 신호에 따라 폴딩 모터(112)를 동작시키고, 폴딩 모터(112)의 동작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 샘플 수에 대응하는 전압조정 신호를 일정 주기마다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는 배터리에 연결되고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아웃사이드 미러부(110)로부터 전압 조정 신호를 입력받아 단계적으로 배터리 전압을 조정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어부(130)는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폴딩/언폴딩 신호를 출력하여 폴딩 모터(112)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서 폴딩/언폴딩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동작 전류를 수신하며, 수신한 동작 전류의 전류 파형에서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를 각각 획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구비된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설정된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여 아웃사이드 미러부(110)가 폴딩/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폴딩/언폴딩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아웃사이드 미러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전류를 수신한다(S200).
S20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구비된 폴딩 모터(112)의 동작 시점과 동작 한계점 사이의 안정화 구간(TM_Stable)과 그 이후의 스톨 구간을 설정하고(S210), 아웃사이드 미러부(110)가 폴딩/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폴딩/언폴딩 신호를 송신하며(S220),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의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며 동작 전류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S230).
그 다음, 제어부(130)는 설정된 배터리 전압 하에서 1회의 폴딩/언폴딩 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1개의 동작 샘플을 충족한 것으로 카운팅하여, 사전에 정해진 동작 샘플 수에 도달했는지 판정한다(S300).
S30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정해진 동작 샘플 수를 만족할 때까지 전술한 S200 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수신된 동작 전류를 토대로 설정된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를 획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400).
이때, 제어부(130)는 안정화 구간(TM_Stable) 내의 동작 전류 중에서 가장 큰 전류값을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로 획득하고(S410), 스톨 구간 내에서 동작 전류가 증가하여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시점의 시간값을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로 획득하며(S420), 폴딩 모터(112)의 동작 전류가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에 도달하여 임의의 동작 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시간값을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로 획득할 수 있다(S430).
S41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폴딩/언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동작 전류를 수신하여 시간축과 전압축을 기준으로 하는 전류 파형이 형성되면, 사전에 설정된 안정화 구간(TM_Stable)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안정화 구간(TM_Stable)을 설정하고, 안정화 구간(TM_Stable) 내의 동작 전류들 중에서 가장 큰 동작 전류를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로 획득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안정화 구간(TM_Stable) 이후의 구간을 스톨 구간으로 설정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스톨 구간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에 기초하여 스톨 구간을 설정하고, 스톨 구간 내에서 동작 전류가 최대 전류 파라미터(iMAX)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시점의 시간값을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로 획득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값, 예컨대, 500ms를 스톨 시간 파라미터(tstall)의 시간값에 더하여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tlimit)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설정된 배터리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했는지 판정한다(S500).
예컨대, 7V 내지 16V의 배터리 전압 조건에서 폴딩/언폴딩 동작 시험을 수행한다고 하면, 제어부(130)는 설정된 배터리 전압이 가장 높은 배터리 전압 조건에 따른 16V에 도달했는지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설정된 배터리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하면 폴딩/언폴딩 동작 시험이 모두 완료된 것으로 판정하여 폴딩/언폴딩 동작 시험을 종료하고, 설정된 배터리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하지 못하면, 배터리 전압의 조정을 위하여 후술하는 S600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상기 설정된 배터리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에 공급될 배터리 전압을 단계적으로 조정한다(S600).
S600 단계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부(110)의 드라이버 인터페이스(117)에서 전압 조정 신호가 출력되고, 전압 조정 신호에 의해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122)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개폐된 트랜지스터(12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기준 저항(10)과 전압 조정용 저항(123) 간의 저항비에 따라 배터리 전압 조정부(120)의 가변 레귤레이터(121)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이 증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한편, S600 단계에서 배터리 전압이 조정되면, 전술한 S200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다시 수행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110 : 아웃사이드 미러부
111 : MCU 112 : 폴딩 모터
113 : 배터리 전압 모니터링부 114 : 온도 센서부
115 : LIN 통신 모듈 116 : SPI 통신 모듈
117 :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118 : 레귤레이터
120 : 배터리 전압 조정부
121 : 가변 레귤레이터 122 : 트랜지스터
123 : 전압 조정용 저항
130 : 제어부

Claims (14)

  1. 폴딩/언폴딩 신호에 따라 폴딩 모터를 동작시키고, 폴딩 모터의 동작 전류를 측정하여 동작 샘플 수에 대응하는 전압조정 신호를 일정 주기마다 출력하는 아웃사이드 미러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로부터 전압 조정 신호를 입력받아 단계적으로 배터리 전압을 조정하는 배터리 전압 조정부; 및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폴딩/언폴딩 신호를 출력하여 폴딩 모터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전류를 수신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공급된 배터리 전압별로 최대 전류 파라미터, 스톨 시간 파라미터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를 각각 획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폴딩 모터의 동작 시점과 동작 한계점 사이의 안정화 구간에서 가장 큰 전류값을 최대 전류 파라미터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정화 구간 이후의 스톨 구간에서 동작 전류가 증가하여, 최대 전류 파라미터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시점의 시간값을 스톨 시간 파라미터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폴딩 모터의 동작 전류가 스톨 시간 파라미터에 도달하여, 임의의 동작 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시간값을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 조정부는,
    입력단이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연결되는 가변 레귤레이터;
    상기 가변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기준 저항이 일단에 연결되고, 전압 조정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및
    각 트랜지스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음극 단자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압 조정용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 조정부는,
    기준 저항과 전압 조정용 저항 간의 저항비에 따라 상기 가변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8.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공급될 배터리 전압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배터리 전압 설정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설정된 배터리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가 폴딩/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전류를 수신하는 제어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된 동작 전류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배터리 전압에 대응하는 최대 전류 파라미터, 스톨 시간 파라미터 및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를 포함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구비된 폴딩 모터의 동작 시점과 동작 한계점 사이의 안정화 구간과 안정화 구간 이후의 스톨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가 폴딩/언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폴딩/언폴딩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의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며 동작 전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안정화 구간 내의 동작 전류 중에서 가장 큰 전류값을 최대 전류 파라미터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스톨 구간 내에서 동작 전류가 증가하여 최대 전류 파라미터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시점의 시간값을 스톨 시간 파라미터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폴딩 모터의 동작 전류가 스톨 시간 파라미터에 도달하여, 임의의 동작 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시간값을 동작 제한시간 파라미터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설정된 배터리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공급될 배터리 전압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배터리 전압 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 조정 단계는,
    전압 조정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개폐된 트랜지스터에 의해 연결된 기준 저항과 전압 조정용 저항 간의 저항비에 따라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부에 공급될 배터리 전압이 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KR1020210166825A 2021-11-29 2021-11-29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825A KR102585936B1 (ko) 2021-11-29 2021-11-29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825A KR102585936B1 (ko) 2021-11-29 2021-11-29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742A true KR20230079742A (ko) 2023-06-07
KR102585936B1 KR102585936B1 (ko) 2023-10-10

Family

ID=8676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825A KR102585936B1 (ko) 2021-11-29 2021-11-29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9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651A (ko) * 2004-07-2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레벨 고전압 레귤레이터
KR100778560B1 (ko) * 2006-10-16 2007-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이드 미러의 구동 시스템 및 구동 방법
KR101241169B1 (ko) * 2011-10-11 2013-03-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 제어방법
KR101862111B1 (ko) * 2017-02-10 2018-05-30 주식회사 임팩트테크놀로지 스텝모터의 스톨 감지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651A (ko) * 2004-07-2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레벨 고전압 레귤레이터
KR100778560B1 (ko) * 2006-10-16 2007-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이드 미러의 구동 시스템 및 구동 방법
KR101241169B1 (ko) * 2011-10-11 2013-03-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 제어방법
KR101862111B1 (ko) * 2017-02-10 2018-05-30 주식회사 임팩트테크놀로지 스텝모터의 스톨 감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936B1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2536B1 (de) Batterieüberwachungssystem
US6988053B2 (en) Combined off-board device and starter/charging/battery system tester
US5254916A (en) Windshield wiper speed and delay control
DE102004004302A1 (de) Fernbedienbare Fahrzeugklimaanlage
EP1678514A1 (de) Batteriesenso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atteriesensors
US9815348B2 (en) Method of controlling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30079742A (ko) 폴딩/언폴딩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361400A (zh) 全景天窗的智能控制方法和装置
EP1715568A3 (en) Constant-voltage circuit capable of reducing time required for starting,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constant-voltage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constant-voltage circuit
US20150168259A1 (en) Systems and Method for Developing and Testing Hybrid Energy Storage Devices
US6693439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noise in a device
KR101584016B1 (ko) 공조 액츄에이터의 모터 구속 진단 장치
WO2018010853A1 (de) 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prachbasierten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CN111765962A (zh) 直流电机驱动系统振动噪声性能测试系统及方法
CN106647353B (zh) 一种变频设备的控制方法及变频控制器
CN109083750B (zh) 节气门开度自动控制系统及自动控制方法
CN113561908B (zh) 车载人脸识别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10789468B (zh) 汽车电动尾门故障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4483353B2 (ja) 車載電装品の試験システム及び試験方法
JPH07280889A (ja) 装置の電圧マージン試験方法
DE10202010430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eines Energiesparmodus in einem Fahrzeug
US9965905B1 (en) Engine-state detection device and engine-state detection method
CN111610433A (zh) 一种芯片上电和下电复位测试方法及装置
CN112721565A (zh) 车载空调控制方法、车辆和介质
KR102620297B1 (ko)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언폴딩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