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666A -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666A
KR20230079666A KR1020210166684A KR20210166684A KR20230079666A KR 20230079666 A KR20230079666 A KR 20230079666A KR 1020210166684 A KR1020210166684 A KR 1020210166684A KR 20210166684 A KR20210166684 A KR 20210166684A KR 20230079666 A KR20230079666 A KR 20230079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deodorant composition
parts
ammo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화
Original Assignee
이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화 filed Critical 이주화
Priority to KR102021016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666A/ko
Publication of KR2023007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DEODORANT COMPOSITION FOR REMOVING SMELL OF AMMONIA COMPRISING NATURAL PLANT EXTRACT COMPLEX}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소취력이 우수한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연 환경에서 악취는 생물 및 무생물 등 다수의 공급원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문제가 되는 악취의 일종으로 인체의 의해 생성되는 악취가 있다. 일 예로 현대인들은 최소 9시간 이상을 외부에서 활동하며, 외부 활동을 하는 동안 속옷에 땀이나 소변 등의 분비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려면 씻거나 속옷을 교체하여야 하나, 외부 활동 중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땀과 소변 등의 분비물에 따른 주요 냄새 물질로 암모니아가 있다. 분비 직후의 땀에는 냄새가 거의 없으나, 피부 정상 세균층에 의해 분해되면서 불쾌한 악취로 변한다. 소변의 경우에도 암모니아와 함께 배출된 요소가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암모니아를 축적하게 되어, 암모니아 냄새 즉, 지린내를 유발하게 된다.
여성의 경우 평소 땀 및 소변 등의 분비물이 배출되고, 여성이 주기적으로 겪는 월경 현상 및 그 외 기간에 배출되는 질 분비물로 인해 불편함을 겪을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많은 여성들이 여성 청결제나 향수, 섬유 미스트 등을 사용하나, 여성청결제는 외부에서 사용할 수 없고, 향수 및 섬유 미스트 등은 향으로는 분비물의 냄새를 덮는 것일 뿐, 냄새가 제거되지 않고, 오히려 향과 냄새가 섞여 역한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향을 첨가하는 덮는 방식이 아닌 근본적인 원인인 암모니아 냄새를 제거하여 소취력이 우수하면서도, 천연식물 유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취제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생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소취력이 우수한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어성초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오미자 추출물 30~80중량부, 상기 복분자 추출물 5~20중량부, 상기 어성초 추출물 5~20중량부, 상기 소목 추출물 5~20중량부 및 상기 연잎 추출물 5~20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5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마사지오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스프레이, 디퓨져 및 향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소취제 조성물은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유효성분으로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만을 포함하여 인체에 무해하여 생체 안정성이 우수하고, 오미자 추출물 등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에 함유된 유익한 성분의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악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악취 중에서도 땀 또는 소변 등의 냄새의 원인 물질인 암모니아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땀 또는 소변 등의 분비물 냄새에 대한 소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취제 조성물의 소취력 평가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재사항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적 값의 범위가 기재되었을 때, 이의 구체적인 범위가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 값은 유효 숫자에 대한 화학에서의 표준규칙에 따라 제공된 유효 숫자의 정밀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10은 5.0 내지 14.9의 범위를 포함하며, 숫자 10.0은 9.50 내지 10.49의 범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소취제 조성물
일 측면에 따르면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우수한 소취 효과 및 생체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천연식물 복합 추출물에 함유된 각 성분의 상승 효과로 인해 단일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함유하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소취 효과가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소취력을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악취 제거 효과, 암모니아 냄새 제거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은 한국과 중국이 주산지로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 목질등본 식물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의 과실, 구체적으로 성숙한 과실을 의미한다. 상기 오미자는 다섯 가지의 맛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 약재로 자주 사용되었고, 민간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식용되었다. 상기 오미자는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여 혈류 개선, 고혈압, 심혈관 질환에 효능이 있으며, 면역력을 개선하고 간기능 개선과 피부 트러블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산딸기(Rubus)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과 중국, 일본 등에 자라는 식물이다. 높이가 2~3 m 정도로 줄기 주변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으며, 검은 빛의 붉은색 열매를 맺는 다년생 식물이다. 복분자는 영양성분(무기질, 인, 철, 칼륨, 유기산 등)과 생리활성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전통주 제조, 음료 등 식용 원료나 화장품 원료 등 산업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건강 기능성과 효능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복분자의 열매, 줄기 및 잎에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과 페놀산, 안토시아닌 및 플라보노이드 등의 폴리페놀류가 존재하며, 이들은 항산화, 항균 및 항염작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어성초(Heartleaf Houttuynia)”는 삼백초과로,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울릉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의 산속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의 지상부이다. 약리작용으로는 항균작용이 있어,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등의 발육을 억제하며, 면역기능 증강효과,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 만성기관지염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어성초에는 항균, 항바이러스, 진균억제에 효과가 있는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 화합물과 이뇨, 강심, 배변작용에 효과가 있는 플라보노이드계열의 화합물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본초강목에서는 해열작용과 함께 종기 독 등을 없앤다고 기록되어 있고, 중양 대사전에는 피를 맑게 해주고 염증을 없애며 소변배출을 돕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기 “소목(Caesalpinia sappan L.)”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또는 관목으로 소방목, 소방, 적목, 홍자 등으로 불리고, 우리나라에는 자생하고 있지 않으며, 인디아, 말레이시아 반도, 중국 남부 등 열대 아시아에 분포하는 식물이다. 소목의 주요성분으로는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구조를 갖는 무색의 원색소인 브라질린(brazilin)이 알려져 있으며, 브라질린은 공기 중에 산화되어 브라질레인(brazilein)이 된다. 소목의 유효성분인 브라질린은 고혈압, 혈소판에서의 칼슘 농도 및 혈액에서의 혈당 저하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소목의 유효성분 중 하나인 사판칼콘(sappanchalcone)은 혈소판 응고를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고,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항염증, 항산화, 항바이러스, 항균 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연잎(Nelumbo nucifera)은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서 연이라고도 하고, 비타민 C와 비타민 B12 및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티로신 같은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 및 피부미용 개선작용 등에 효과가 있음은 물론 로에메린(roemerine)과 누시페린(nuciferine) 성분의 진통 진정작용이 있어 신경과민이나 스트레스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상기 연잎은 하엽(荷葉)이 라고도 하며 약리적인 작용으로는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토혈, 코피 등 출혈증,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에 쓰이고 있으며, 각종 독성물질에 대한 중화작용을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연잎은 해독효과와 함께 피를 맑게 해주며, 지혈작용, 항균작용과 혈압저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동의보감에서는 연잎의 꼭지를 특별히 하비(荷鼻)라 부르며 이 부분이 임신한 여성의 태를 편안하게 해주고 나쁜 피를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고 일러준다. 연잎을 이용한 차로는 중국 고래의 감비차(減肥茶)(연잎, 율무, 산사자, 진피 등 함유)가 있는데, 다이어트와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재료를 특정 조건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5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전체 중량에 대하여 1중량%, 2중량%, 3중량%, 4중량%, 5중량%, 6중량%, 7중량%, 8중량%, 9중량%, 10중량%, 11중량%, 12중량%, 13중량%, 14중량%, 15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복합 추출물에 의한 소취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5중량% 초과이면 과도하게 많은 추출물이 함유되어 상기 소취제 조성물 본연의 품질이 구현되지 않거나, 높은 점도나 응집 현상 등으로 인하여 사용 상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 추출물 30~80중량부, 상기 복분자 추출물 5~20중량부, 상기 어성초 추출물 5~20중량부, 상기 소목 추출물 5~20중량부 및 상기 연잎 추출물 5~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30~80중량부, 예를 들어, 30중량부, 35중량부, 40중량부, 45중량부, 50중량부, 55중량부, 60중량부, 65중량부, 70중량부, 75중량부, 80중량부 또는 이들중 두 값의 사이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5~20중량부, 예를 들어, 5중량부, 7.5중량부, 10중량부, 12.5중량부, 15중량부, 17.5중량부, 20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추출물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소취 효과가 미흡하거나, 각 성분이 상호작용하여 불필요한 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혼합 비율의 편차가 큰 경우 각 추출물의 유효성분에서 유래한 소취 효과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 및 최종 산물의 품질을 고려하여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수차례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원료의 최적 혼합 비율을 도출한 것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필요한 수준의 소취력과 사용편의성이 충족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추출 공정에 있어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온침, 가열 등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일 예시로 40 내지 60% 농도(v/v)의 에탄올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악취 제거, 특히 암모니아 냄새에 대한 우수한 소취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땀 또는 소변 등의 분비물의 경우 미량의 암모니아가 포함되어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함께 분비되는 요소가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암모니아를 축적시키고, 암모니아 냄새, 예를 들어, 화장실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지린내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에 포함된 천연식물 유래의 추출물은 탄닌,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카테킨, 카르테노이드, 비타민 등의 유효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암모니아와 접촉할 시 이온 결합, 공유 결합 및 비공유결합을 통해 분자량을 증가시켜 냄새 분자의 확산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의 분자 구조를 변경시켜 암모니아 냄새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마사지오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스프레이, 디퓨져 및 향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고, 패취, 겔, 크림, 스프레이, 디퓨져, 향수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제한적인 일 예로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소취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중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명세서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명세서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험예 1 : 유효성분 선정
녹차, 감잎, 연잎, 애엽쑥, 진피, 솔잎, 개똥쑥, 편백잎, 도토리, 모링가잎, 감초, 오미자, 구기자, 황백, 황련, 단삼, 붉나무, 은행열매, 느릅나무 껍질, 복분자, 육두구, 소목, 하고초, 어성초, 조릿대, 나복자, 참당귀, 삼백초, 국화꽃, 황금, 천궁, 측백잎, 목단피 및 작약을 수세한 후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각각 30g씩 수득하였다.
각 분쇄물 30g에 대해 각각 10배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50% 질량농도)를 용매로 하여 25분 간 초음파 추출한 후 60℃에서 3시간 동안 가열교반하여 제조되었으며,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으로 수득하였다.
용매인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 100mg/mL가 되도록 첨가하여 소취제 시료를 제조하였다.
암모니아 가스 측정기를 이용하여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1000ppm의 암모니아 1mL 시료를 대조군으로 냄새 유발분자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으로 각각의 소취제 시료를 2000ppm의 암모니아 0.5mL에 각각 0.5mL 첨가하고 37℃, 260rpm의 조건으로 2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냄새 유발분자 함유량을 측정하여 각 성분의 냄새 유발분자 제거 효율을 측정하였다.
오미자, 연잎, 복분자, 하고초, 삼백초, 어성초, 모링가, 녹차, 솔잎, 복분자, 소목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은 암모니아에 의한 지린내가 증가하여 소취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소취력을 나타낸 물질 중 소취력이 우수한 오미자, 복분자, 어성초, 소목 및 연잎을 소취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선정하였다.
제조예 1 : 천연식물 유래의 추출물 제조
오미자, 복분자, 어성초, 소목 및 연잎을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각각 30g씩 수득하였다.
각 분쇄물 30g에 대해 각각 10배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50% 질량농도)를 용매로 하여 25분 간 초음파 추출한 후 60℃에서 3시간 동안 가열교반하여 제조되었으며,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1 :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
용매인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이 4 : 1의 비율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 10중량%을 첨가하여 소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
용매인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오미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이 4 : 1 : 1 : 1 : 1의 비율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 10중량%을 첨가하여 소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단일 추출물로 구성된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
용매인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제조예 1에서 수득된 각 단일 추출물인 오미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을 10중량%을 첨가하여 단일 추출물로만 구성된 소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순차적으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로 설정하였다.
실험예 2: 소취력 평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암모니아 냄새에 대한 소취력을 평가하기 위해, 암모니아 가스 측정기(SKY2000 MODEL)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냄새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암모니아를 설정하고, 5000ppm의 암모니아 1mL의 시료를 시료 도입부에 주입하여 냄새 유발분자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소취제 조성물을 10000ppm의 암모니아 0.5mL에 각각 0.5mL 첨가하여 시료를 제조하였고, 상기 각 시료를 37℃, 250rpm의 인큐베이션에서 20분 동안 유지한 후, 냄새 유발분자 함유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암모니아 농도(ppm) 소취력(%)
대조군 692 -
실시예 1 45 93.5%
실시예 2 19 97.3%
비교예 1 0 100%
비교예 2 138 80.1%
비교예 3 298 56.9%
비교예 4 327 52.7%
비교예 5 402 30.4%
표 1 및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및 2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취제 조성물이 90% 이상의 우수한 소취력을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암모니아에 대한 냄새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추출물로 구성된 비교예 1 내지 5의 소취제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인 비교예 1 및 2만이 우수한 소취력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3 내지 5의 소취제 조성물은 소취력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관능 평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관능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먼저, 각 실시예 및 비교예를 하기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동일하게 제형화하여 미스트(데오도란트)를 제조하였고,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5의 추출물만을 달리하였으며, 실시예 1의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이 4 : 1의 비율이고, 실시예 2의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이 4 : 1 : 1 : 1 : 1의 비율로 제형화하였다.
[함량(중량%)]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복합 추출물 10 10 - - - - -
오미자 추출물 - - 10 - - - -
복분자 추출물 - - 10 - - -
어성초 추출물 - - - - 10 - -
소목 추출물 - - - - - 10 -
연잎 추출물 - - - - - - 10
부틸렌글라이콜 1 1 1 1 1 1 1
1,2-헥산디올 1 1 1 1 1 1 1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라틱애씨드 3 3 3 3 3 3 3
에탄올 2 2 2 2 2 2 2
알란토인 1 1 1 1 1 1 1
폴리솔베이트80 0.4 0.4 0.4 0.4 0.4 0.4 0.4
1,2-헥산디올 2 2 2 2 2 2 2
글리세린 1 1 1 1 1 1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9~50세의 여성 중 평소 자각적 또는 타각적으로 땀, 소변 등의 분비물(암모니아) 냄새가 심하다고 느끼는 50명에 대하여 상기 제형화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5의 미스트를 통상적인 제품과 동일한 방법으로 4주 동안 사용하게 하였으며, 미스트 분사 30분 후 분비물 냄새(소취력) 및 사용성/편의성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에 따라 개선 정도를 판정하여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1주 소취력 ++ +++ ++ + ± ± ±
사용성 ++ ++ + + + + +
2주 소취력 ++ +++ +++ ++ ± ± ±
사용성 ++ +++ + ± ± ± ±
3주 소취력 +++ +++ +++ ++ ± ± ±
사용성 ++ +++ ± - ± + +
4주 소취력 +++ +++ +++ +++ + ± ±
사용성 +++ +++ - - - - -
<평가기준>
+++: 매우 양호 / ++: 좋음 / + : 보통 / ± : 나쁨 / -: 매우 나쁨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스트는 사용 기간 중 우수한 소취력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및 2의 미스트는 우수한 소취력을 나타내었으나,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미스트 분사가 불량해지고, 사용자의 의류에 얼룩이 남아 사용성이 저하됨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내지 5의 미스트는 소취력 및 사용성 모두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소취제 조성물은 소취력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어성초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연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오미자 추출물 30~80중량부, 상기 복분자 추출물 5~20중량부, 상기 어성초 추출물 5~20중량부, 상기 소목 추출물 5~20중량부 및 상기 연잎 추출물 5~20중량부로 구성된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5중량%인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마사지오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스프레이, 디퓨져 및 향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1020210166684A 2021-11-29 2021-11-29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20230079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84A KR20230079666A (ko) 2021-11-29 2021-11-29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84A KR20230079666A (ko) 2021-11-29 2021-11-29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666A true KR20230079666A (ko) 2023-06-07

Family

ID=8676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684A KR20230079666A (ko) 2021-11-29 2021-11-29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96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818B1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US20110223263A1 (e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rocessed peony, polygonati rhizoma or lily
KR20130050675A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29389B1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094182A (ja) シトラールの熱劣化抑制用組成物及び熱劣化抑制方法
KR100564225B1 (ko)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KR20230079666A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6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30079665A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 분비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