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604A - 골프 퍼팅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604A
KR20230079604A KR1020210166550A KR20210166550A KR20230079604A KR 20230079604 A KR20230079604 A KR 20230079604A KR 1020210166550 A KR1020210166550 A KR 1020210166550A KR 20210166550 A KR20210166550 A KR 20210166550A KR 20230079604 A KR20230079604 A KR 20230079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groove
fixing tab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윤
Original Assignee
송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윤 filed Critical 송병윤
Priority to KR102021016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604A/ko
Publication of KR20230079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3B53/023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퍼터 헤드에 두개의 샤프트를 V 형태로 형성하여 퍼팅 연습을 하는 것으로, 두 개의 샤프트와 회전수단과 퍼터 헤드가 일체형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V 형태로 사용자가 스윙 또는 퍼팅 스트로크 시 손목의 움직임을 억제해 스윙이나 스트로크를 하는 동안 팔꿈치 아래의 두 팔 간격을 유지하고 어깨와 헤드의 올바른 움직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올바른 스윙 또는 스트로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퍼팅 연습장치{Golf Putting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퍼터 헤드에 두개의 샤프트를 V 형태로 형성하여 퍼팅 연습을 하는 것으로, 두 개의 샤프트와 회전수단과 퍼터 헤드가 일체형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V 형태로 사용자가 스윙 또는 퍼팅 스트로크 시 손목의 움직임을 억제해 스윙이나 스트로크를 하는 동안 팔꿈치 아래의 두 팔 간격을 유지하고 어깨와 헤드의 올바른 움직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올바른 스윙 또는 스트로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연습용 골프 스윙기는 하나의 샤프트의 상부를 양손으로 잡고 스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양손 그립시 어느 한쪽의 어깨가 다른 한쪽 어깨보다 낮은 자세에서 양손 및 어깨가 삼각형 형태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골프스윙기만으로는 이러한 스윙 내지 어드레스 자세를 올바르게 형성하기 어려우며, 수직축에 대해 대칭이 아닌 자세에서 허브를 중심으로 스윙을 하여야 하므로 정확하고도 자연스러운 일축스윙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축 스윙이 용이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몸통과 분리되어 팔만의 스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스윙 중 몸통과 팔의 일치된 스윙동작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왼손과 오른손의 그립형태에 따라 강한 그립, 약한 그립 등으로 구분되고, 어드레스 자세와 스윙에 큰 변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왼팔과 오른팔 및 왼쪽 어깨와 오른쪽 어깨의 사용정도 내지 힘의 강약에 따라 구질, 방향성, 비거리 등에도 큰 영향을 주며, 경우에 따라서 심한 슬라이스 내지 훅 구질이 반복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함으로 교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출원번호 10-2001-0015871 골프 스윙 연습기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퍼터 헤드에 두 개의 샤프트를 V 형태로 형성하여 퍼팅 연습을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두 개의 샤프트와 회전수단과 퍼터 헤드가 일체형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V 형태로 사용자가 스윙 또는 퍼팅 스트로크 시 손목의 움직임을 억제해 스윙이나 스트로크를 하는 동안 팔꿈치 아래의 두 팔 간격을 유지하고 어깨와 헤드의 올바른 움직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올바른 스윙 또는 스트로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10)에 있어서,
제1고정대(21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1삽입홈(213)에 삽입 수용되는 제1샤프트(110)와, 제2고정대(22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2삽입홈(223)에 삽입 수용되는 제2샤프트(120)를 포함하는 손잡이부(100)와;
제1샤프트(110)를 수용하는 제1삽입홈(213)과 제2고정대(220)와 상호 회전회동하기 위한 제1회전부재(211)를 포함하는 제1고정대(210)와,
제2샤프트(120)를 수용하는 제2삽입홈(223)과 제1고정대(210)와 상호 회전회동하기 위한 제2회전부재(221)를 포함하는 제2고정대(220)와,
내측으로 상기 제1회전부재(211)를 수용하며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2가이드부재(240)와 결합하는 제1가이드부재(230)와,
내측으로 상기 제2회전부재(221)를 수용하며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1가이드부재(230)와 결합하는 제2가이드부재(240)와,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형성한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50)과,
퍼터 헤드(300)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퍼터 헤드(300)의 삽입홈(310)에 수용되는 헤드삽입부(260)를 포함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200)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헤드삽입부(260)를 수용하는 삽입홈(310)을 포함하는 퍼터 헤드(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퍼터 헤드에 두 개의 샤프트를 V 형태로 형성하여 퍼팅 연습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올바른 스윙 또는 스트로크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두 개의 샤프트와 회전수단과 퍼터 헤드가 일체형 또는 탈부착형으로 형성되어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샤프트를 V자 형태로 벌려 사용자의 퍼팅 자세를 교정해주는 것으로, 안정적이고, 올바른 스윙이나 스트로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10)에 있어서,
제1고정대(21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1삽입홈(213)에 삽입 수용되는 제1샤프트(110)와, 제2고정대(22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2삽입홈(223)에 삽입 수용되는 제2샤프트(120)를 포함하는 손잡이부(100)와;
제1샤프트(110)를 수용하는 제1삽입홈(213)과 제2고정대(220)와 상호 회전회동하기 위한 제1회전부재(211)를 포함하는 제1고정대(210)와,
제2샤프트(120)를 수용하는 제2삽입홈(223)과 제1고정대(210)와 상호 회전회동하기 위한 제2회전부재(221)를 포함하는 제2고정대(220)와,
내측으로 상기 제1회전부재(211)를 수용하며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2가이드부재(240)와 결합하는 제1가이드부재(230)와,
내측으로 상기 제2회전부재(221)를 수용하며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1가이드부재(230)와 결합하는 제2가이드부재(240)와,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형성한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50)과,
퍼터 헤드(300)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퍼터 헤드(300)의 삽입홈(310)에 수용되는 헤드삽입부(260)를 포함하는 회전수단(200)과;
상기 회전수단(200)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헤드삽입부(260)를 수용하는 삽입홈(310)을 포함하는 퍼터 헤드(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의 2개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제1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20)를 이용하여 퍼팅 연습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샤프트(110)는 제1고정대(210)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대(210)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213)에 제1샤프트(110)가 수용되며, 상기 제2샤프트(120)는 제2고정대(220)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제2고정대(220)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223)에 제2샤프트(120)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대(210)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213)에 제1샤프트(110)의 수용, 제2고정대(220)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223)에 제2샤프트(120)가 수용될 경우,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일반 스트로크 연습시 빠짐을 방지하며, 스윙을 요하는 연습시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수단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고정대(210)가 제2고정대(220)와 상호 회전회동이 가능하도록 제1고정대(210) 일측으로 원호 형태의 제1회전부재(211)가 형성되며, 제2고정대(220)가 제1고정대(210)와 상호 회전회동이 가능하도록 제2고정대(220) 일측으로 원호 형태의 제2회전부재(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230)와 제2가이드부재(240)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230)와 제2가이드부재(240) 내부에 제1회전부재(211)와 제2회전부재(221)가 수용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230)와 제2가이드부재(240)는 상기 제1회전부재(211)와 제2회전부재(221)가 형성된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회전 중심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250)은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의 일정 각도 회전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퍼팅 연습 전 이동시 또는 퍼팅 연습시 형성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제1가이드부재(230)와 제2가이드부재(240)에 형성되는 제1,2핀홈(234,244)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퍼터 헤드(300)는 회전수단(200) 하측으로 형성되는 헤드삽입부(260)가 퍼터 헤드(300)에 형성되는 삽입홈(310)에 수용되는 것으로, 헤드삽입부(260)가 삽입홈(31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일반 스트로크 연습시 빠짐을 방지하며, 스윙을 요하는 연습시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수단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 또는 탈부착 쐐기방식 등으로 일반적인 고정수단을 사용함으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대(210)는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부재(211)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걸림부(2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대(220)는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회전부재(221)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걸림부(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부(212)는 제1회전부재(211) 일측 끝단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회전부재(211)의 회전 진행시 제1걸림단(233)에 제1걸림부(212)가 걸림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 진행이 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걸림부(212) 끝단 면이 제1회전부재(211)의 회전 진행시 제2고정대(220) 하측면에 맞닿는 것으로, 맞닿는 제1걸림부(212)의 끝단 면 각도가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의 상호 회전시 V자를 이루도록 일정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걸림부(222)는 제2회전부재(221) 일측 끝단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회전부재(221)의 회전 진행시 제2걸림단(243)에 제2걸림부(222)가 걸림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 진행이 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걸림부(222) 끝단 면이 제2회전부재(221)의 회전 진행시 제1고정대(210) 하측면에 맞닿는 것으로, 맞닿는 제2걸림부(222)의 끝단 면 각도가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의 상호 회전시 V자를 이루도록 일정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일정 각도는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의 회전시 V자 내부의 각도가 9°인 경우, 제1고정대(210) 하측면에 맞닿는 제2걸림부(222) 끝단 면이 제1고정대(210) 하측면을 기준으로 4.5°, 마찬가지로 제2고정대(220) 하측면에 맞닿는 제1걸림부(212) 끝단 면이 제2고정대(220) 하측면을 기준으로 4.5°가 되는 것이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의 회전시 V자 내부의 각도가 14°인 경우, 제1걸림부(212)와 제2걸림부(222)의 끝단 면은 맞닿는 제1고정대(210) 하측면과 제2고정대(220) 하측면을 기준으로 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230)는 제1고정대(210)의 일측에 형성된 라운드 부분과 접하면서 회전시 제1고정대의 회전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원형의 제1회전축부재(231)와,
제1회전부재(211)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제1회전가이드홈(232)과,
제1고정대(210)가 일정각도 회전 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1걸림부재(212)와 맞닿도록 제1걸림단(233)과,
고정핀(250)이 삽입되도록 제1회전축부재(231) 중앙에 형성되는 제1핀홈(23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240)는 제2고정대(220)의 일측에 형성된 라운드 부분과 접하면서 회전시 제2고정대의 회전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원형의 제2회전축부재(241)와,
제2회전부재(221)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제2회전가이드홈(242)과,
제2고정대(220)가 일정각도 회전 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2걸림부재(222)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2걸림단(243)과,
고정핀(250)이 삽입되도록 제2회전축부재(241) 중앙에 형성되는 제2핀홈(2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전축부재(231)는 제1가이드부재(23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 형태로 형성되어 제1고정대(210)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가이드홈(232)은 제1가이드부재(230)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회전부재(21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가이드홈(232)은 제1회전부재(211)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제1회전부재(211)가 제1회전가이드홈(232)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단(233)은 제1가이드부재(230)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1회전가이드홈(232)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1고정대(210)의 회전시 제1회전부재(211) 일측에 형성된 제1걸림부(212)가 제1걸림단(233)에 걸림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이 진행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핀홈(234)은 제1회전축부재(231)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핀(250)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핀홈(234)에 삽입되는 고정핀(250)은 제1핀홈(234)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핀홈(234)에 고정핀(250) 삽입시 쉽게 빠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핀(250) 삽입후 회전시켜 제1핀홈(234)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회전축부재(241)는 제2가이드부재(24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 형태로 형성되어 제2고정대(220)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가이드홈(242)은 제2가이드부재(240)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회전부재(221)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제2회전부재(221)가 제2회전가이드홈(242)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단(243)은 제2가이드부재(240)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2회전가이드홈(242)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2고정대(220)의 회전시 제2회전부재(221) 일측에 형성된 제2걸림부(222)가 제2걸림단(243)에 걸림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이 진행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핀홈(244)은 제2회전축부재(241)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핀(250)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핀홈(244)에 삽입되는 고정핀(250)은 제2핀홈(244)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핀홈(244)에 고정핀(250) 삽입시 쉽게 빠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핀(250) 삽입후 회전시켜 제2핀홈(244)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250)은 상기 제1핀홈(234)에 형성된 제1돌기홈(235)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핀돌기(251)와;
상기 제2핀홈(244)에 형성된 제2돌기홈(245)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핀돌기(2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핀돌기(251)는 고정핀(25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핀홈(234)에 삽입 후 결속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핀돌기(252)는 고정핀(25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핀홈(244)에 삽입 후 결속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회전축부재(231)와 제2회전축부재(241)가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부재(231)와 제2회전축부재(241)에 형성되는 제1핀홈(234)과 제2핀홈(244)에 제1핀돌기(251)와 제2핀돌기(252)가 형성된 고정핀(250)을 삽입하고, 회전시켜 고정핀(250)이 제1핀홈(234)과 제2핀홈(24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 V자 형태의 각도를 유지시키며, 이동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핀홈(234)은 제1핀홈(234) 내부로 고정핀(250)이 삽입될 때 잠금이 수행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돌기홈(2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핀홈(244)은 제2핀홈(244) 내부로 고정핀(250)이 삽입될 때 잠금이 수행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돌기홈(2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돌기홈(235)은 제1회전축부재(231)에 형성된 제1핀홈(234)에 고정핀(250)의 삽입 후 회전시킴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1핀홈(234) 내부에 제1돌기홈(235)이 형성되어 고정핀(250)에 형성되는 제1핀돌기(251)가 걸림으로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돌기홈(245)은 제2회전축부재(241)에 형성된 제2핀홈(244)에 고정핀(250)의 삽입 후 회전시킴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2핀홈(244) 내부에 제2돌기홈(245)이 형성되어 고정핀(250)에 형성되는 제2핀돌기(252)가 걸림으로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핀홈(234)과 제2핀홈(244)에 형성되는 모양에 따라 고정핀(250)이 형성되며, 고정핀(250)에 형성되는 제1핀돌기(251)와 제2핀돌기(252)는 제1핀홈(234)과 제2핀홈(244)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일반적인 상태일 때, 이동시 V자 형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250)을 제1핀홈(234)과 제2핀홈(244)에 삽입시켜 고정하며, 이때 제1핀홈(234)과 제2핀홈(244) 내부에 형성된 제1돌기홈(235)과 제2돌기홈(245)에 고정핀(250)에 형성된 제1핀돌기(251)와 제2핀돌기(252)가 제1, 2돌기홈(235,245)에 걸려지도록 고정핀(250)을 회전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회전을 통한 V자 형태고정을 유지하기 위해 일반상태에서 고정핀(250)을 회전시켜 제1, 2핀홈(234,244)과 제1, 2핀돌기(251,252)가 일치되도록 하여 고정핀(250)을 빼내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회전을 통한 각도 조절 후 고정핀(250)을 통해 제1, 2핀홈(234,244)에 형성된 제1, 2돌기홈(235,245)에 제1, 2핀돌기(251,252)가 위치하도록 고정핀(250)을 삽입하고 회전시킴으로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퍼팅 연습장치(10)는 자세교정을 위한 퍼팅 연습 시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는 상호 회전회동시 발생하는 각도가 9°~ 1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퍼팅 연습장치(10)는 퍼팅 연습을 하지 않거나 이동하는 경우에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고정핀(250)으로 고정하며, 퍼팅 연습을 위해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V자 형태를 형성하는 경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의 각도는 9°~ 14°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V자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의 일반적인 각도는 12°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의 각도는 제1걸림부(212)의 끝단 면과 제2걸림부(222)의 끝단 면에 형성되는 각도에 따라 최대 각도가 변경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1걸림부(212)와 제2걸림부(222)의 끝단 면이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 하측면을 기준으로 5°인 경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이루는 각은 10°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퍼팅 연습장치(10)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고정대와 제2고정대가 평행을 상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제1, 2핀홈에 고정핀(250)을 삽입하여 퍼팅 연습장치(10)의 이동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3에서는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수단(200)의 회전축부재는 제1회전축부재(231)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핀홈은 제1핀홈(2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퍼팅 연습장치(10)이 일반상태일 경우에는 제1걸림부(212)가 제1걸림단(233)에 걸리며, 제2걸림부(222)는 제2걸림단(243)(도 3 미도시)에 걸림으로 형성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팅 연습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1고정대와 제2고정대 간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하며, 퍼팅 연습시 제1고정대와 제2고정대가 평행이 되지 않고 각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핀(250)을 제1, 2핀홈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4에서는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수단(200)의 회전축부재는 제1회전축부재(231)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핀홈은 제1핀홈(2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퍼팅 연습장치(10)이 각도를 형성한 V 형태인 경우, 제1걸림부(212)의 끝단이 제2고정대(220) 하면과 접촉되며, 제2걸림부(222)의 끝단이 제1고정대(210) 하면과 접촉됨으로 제1걸림부(212)와 제2걸림부(222) 끝단 면에 형성된 각도에 따라 V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퍼팅 연습장치
100 : 손잡이부 110 : 제1샤프트
120 : 제2샤프트
200 : 회전수단 210 : 제1고정대
211 : 제1회전부재 212 : 제1걸림부
213 : 제1삽입홈
220 : 제2고정대 221 : 제2회전부재
222 : 제2걸림부 223 : 제2삽입홈
230 : 제1가이드부재 231 : 제1회전축부재
232 : 제1회전가이드홈 233 : 제1걸림단
234 : 제1핀홈 235 : 제1돌기홈
240 : 제2가이드부재 241 : 제2회전축부재
242 : 제2회전가이드홈 243 : 제2걸림단
244 : 제2핀홈 245 : 제2돌기홈
250 : 고정핀 251 : 제1핀돌기
252 : 제2핀돌기 260 : 헤드삽입부
300 : 퍼터헤드 310 : 삽입홈

Claims (6)

  1. 골프 퍼팅 연습장치(10)에 있어서,
    제1고정대(21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1삽입홈(213)에 삽입 수용되는 제1샤프트(110)와, 제2고정대(22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2삽입홈(223)에 삽입 수용되는 제2샤프트(120)를 포함하는 손잡이부(100)와;
    제1샤프트(110)를 수용하는 제1삽입홈(213)과 제2고정대(220)와 상호 회전회동하기 위한 제1회전부재(211)를 포함하는 제1고정대(210)와,
    제2샤프트(120)를 수용하는 제2삽입홈(223)과 제1고정대(210)와 상호 회전회동하기 위한 제2회전부재(221)를 포함하는 제2고정대(220)와,
    내측으로 상기 제1회전부재(211)를 수용하며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2가이드부재(240)와 결합하는 제1가이드부재(230)와,
    내측으로 상기 제2회전부재(221)를 수용하며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1가이드부재(230)와 결합하는 제2가이드부재(240)와,
    상기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형성한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50)과,
    퍼터 헤드(300)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퍼터 헤드(300)의 삽입홈(310)에 수용되는 헤드삽입부(260)를 포함하는 회전수단(200)과;
    상기 회전수단(200)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헤드삽입부(260)를 수용하는 삽입홈(310)을 포함하는 퍼터 헤드(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대(210)는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회전부재(211)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걸림부(2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대(220)는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가 상호 회전시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회전부재(221)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걸림부(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230)는,
    제1고정대(210)의 일측에 형성된 라운드 부분과 접하면서 회전시 제1고정대(210)의 회전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원형의 제1회전축부재(231)와,
    제1회전부재(211)의 회전 가이드 역항을 수행하는 제1회전가이드홈(232)과,
    제1고정대(210)가 일정각도 회전 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1걸림부재(212)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1걸림단(233)과,
    고정핀(250)이 삽입되도록 제1회전축부재(231) 중앙에 형성되는 제1핀홈(23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240)는,
    제2고정대(220)의 일측에 형성된 라운드 부분과 접하면서 회전시 제2고정대(220)의 회전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원형의 제2회전축부재(241)와,
    제2회전부재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제2회전가이드홈(242)과,
    제2고정대(220)가 일정각도 회전 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2걸림부재(222)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2걸림단(243)과,
    고정핀(250)이 삽입되도록 제2회전축부재(241) 중앙에 형성되는 제2핀홈(2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홈(234)은 제1핀홈(234) 내부로 고정핀(250)이 삽입될 때 잠금이 수행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돌기홈(2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핀홈(244)은 제2핀홈(244) 내부로 고정핀(250)이 삽입될 때 잠금이 수행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돌기홈(2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250)은,
    상기 제1핀홈(234)에 형성된 제1돌기홈(235)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핀돌기(251)와;
    상기 제2핀홈(244)에 형성된 제2돌기홈(245)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핀돌기(2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연습장치(10)는,
    자세교정을 위한 퍼팅 연습 시 제1고정대(210)와 제2고정대(220)는 상호 회전회동시 발생하는 각도가 9°~ 1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20210166550A 2021-11-29 2021-11-29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230079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550A KR20230079604A (ko) 2021-11-29 2021-11-29 골프 퍼팅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550A KR20230079604A (ko) 2021-11-29 2021-11-29 골프 퍼팅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604A true KR20230079604A (ko) 2023-06-07

Family

ID=8676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550A KR20230079604A (ko) 2021-11-29 2021-11-29 골프 퍼팅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960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871A (ko) 1997-12-10 2001-02-26 시게후치 마사토시 광촉매배합물과 광촉매함유물 및 광촉매기능발휘재 및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871A (ko) 1997-12-10 2001-02-26 시게후치 마사토시 광촉매배합물과 광촉매함유물 및 광촉매기능발휘재 및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25725A1 (en) Golf Club
US8727906B1 (en) Adjustable golf club shaft and hosel assembly
US9636551B1 (en) Adjustable golf club shaft and hosel assembly
US9044652B2 (en) Adjustable golf club shaft and hosel assembly
US8894503B2 (en) Golf swing training aid
CA1185633A (en) Golfer's practice swing device
KR20230079604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JP2004504899A (ja) ゴルフクラブ用ハンドル装置および前腕支持付きダブルハンドルゴルフクラブ
US9604119B2 (en) Golf alignment rod holder
US7059970B1 (en) Golf club alignment device
KR101212883B1 (ko) 골프 타격 연습기
US6843731B1 (en) Golf club swinging guide
KR20230079605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1755175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US20210093938A1 (en) Putting train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107119B1 (ko) 퍼팅보조기구
KR20200070777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2107345B1 (ko) 코킹 및 궤적연습용 골프 스윙 연습기
KR910004699Y1 (ko) 골프용구 홀더
KR100582271B1 (ko) 회전축이 구비된 퍼터
KR102422441B1 (ko) 골프 스윙 연습기의 연습용 클럽 결합구조
JP2014008290A (ja) ゴルフクラブ、ゴルフクラブのシャフトの取付角度の設定器及び設定方法、ゴルフクラブの角度調節部の曲げ加工器
US10456648B1 (en) Swing practice apparatus
KR102044765B1 (ko) 골프 퍼터
KR200442667Y1 (ko) 퍼팅 연습 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