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777A - 골프 퍼팅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777A
KR20200070777A KR1020180158288A KR20180158288A KR20200070777A KR 20200070777 A KR20200070777 A KR 20200070777A KR 1020180158288 A KR1020180158288 A KR 1020180158288A KR 20180158288 A KR20180158288 A KR 20180158288A KR 20200070777 A KR20200070777 A KR 20200070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attachment portion
putter
ropes
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18015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0777A/ko
Publication of KR2020007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퍼터의 헤드에 부착되어 퍼터의 퍼팅 스윙 시 헤드와 함께 스윙이 이루어지는 헤드부착부(10);
상기 헤드부착부(10)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제1, 2로프(20, 30);
상기 제1, 2로프(20, 30)의 타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제1, 2로프(20, 30)에 동일한 장력을 제공하여 퍼팅 스윙 시 Z축을 기준으로 헤드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텐션유지부(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팅 스윙 연습시 퍼터의 헤드가 진행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여 골프공을 당기거나 미는 현상 없이 항상 골프공을 퍼터의 진행방향대로 똑바로 칠 수 있도록 하는 퍼팅 연습이 이루어짐으로써 퍼팅 연습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 퍼팅 연습장치{Golf putting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터의 헤드에 결합되는 헤드부착부 양측에 균일한 장력이 가해지면서 균일한 길이로 풀리는 로프를 연결함으로써 퍼팅 스윙 연습시 퍼터의 페이스 면이 퍼터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항상 유지되면서 골프공과 접촉하도록 하여 골프공을 당기거나 미는 현상 없이 항상 골프공을 퍼터의 진행방향대로 똑바로 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퍼팅 연습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Golf)는 다수의 홀로 구성되는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볼을 클럽으로 쳐서 각 홀별로 홀컵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각 홀별 타수를 합산하여 우열을 겨루는 경기를 말한다.
골프 경기에서 사용되는 퍼팅(Putting)은 퍼팅그린(putting green) 영역에 위치하는 볼을 퍼터 등을 이용해 퍼팅그린의 홀컵(hole 또는 hole cup)에 넣는 것을 말하는데, 각 홀의 파는 모두 2퍼트로 계산되고 있다. 즉 18홀의 일반적인 코스 파 72의 반분 36이 퍼트인데, 퍼팅의 실력이 스코어 상에 큰 차이를 가져온다.
따라서 통상의 퍼터는 퍼팅그린에 위치하는 볼을 홀컵에 정확하게 넣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샤프트(1)의 상단부에 손으로 잡기 좋도록 그립(2)이 형성되고, 샤프트의 하단부에는 골프공을 직접 타격해 주는 헤드(3)가 형성되어 골프공을 짧은 거리로 보내는 데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헤드의 선단부인 토우(3a), 헤드의 말단부인 힐(3b), 골프공이 직접 타격되는 면인 페이스(3c)로 구분된다.
이러한 퍼터는 퍼팅그린에서 홀컵으로 공을 집어넣기 위해 사용되므로 퍼팅할 때 큰 힘은 필요하지 않고, 퍼팅 각도와 거리 및 타격력에 따른 스윙동작의 정확성이 가장 중요시된다.
퍼팅의 스윙동작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퍼터를 뒤로 스윙하는 백스윙과,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퍼터를 앞으로 스윙하는 스윙 및 타격과, 타격 후 골프공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만큼 앞으로 나아가는 마감동작으로 구분되는데 무엇보다 헤드의 직진성이 유구된다
즉, 도 2의 (가)와 같이 정확한 퍼팅을 위해 정면으로 골프공을 보내기 위해서는 헤드의 흔들림이 없는 안정된 스윙(swing) 동작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퍼팅의 스윙은 드라이버나 아이언 등 다른 골프클럽을 사용할 때보다 비교적 느린 동작으로 진행되므로 불안정한 스윙동작에 의해 흔들림이 많이 발생하고, 특히 도 2의 (나) 또는 (다)와 같이 스윙할 때마다 토우나 힐의 위치가 변하면서 페이스의 각도로 일측으로 틀어짐에 따라 정확한 퍼팅을 그르치는 주요인이 된다.
따라서 골퍼들은 장타를 위한 스윙 연습도 많이 하지만, 퍼팅 연습에도 상당한 노력을 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퍼팅의 경우,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연습할 수 있으므로 골퍼들은 개인용 퍼팅 연습도구를 이용해 많은 연습을 하고 있다.
통상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주로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퍼팅매트 바닥에 한 줄이나 두 줄의 직선 라인을 그려놓아, 퍼팅매트 위에서 골프공을 직선을 따라 보내는 연습을 주로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퍼팅매트가 깔리는 바닥의 평탄도 등에 따라 퍼팅매트 바닥에 그려진 직선의 진직도가 변화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골프공이 직선을 따라 굴러가더라도 골퍼의 퍼팅 스윙이 정확한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정확한 퍼팅 스윙의 연습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골퍼가 아무리 퍼팅 스윙을 연습하더라도, 골프공이 굴러가는 방향만으로 퍼팅 스윙의 상태를 유추하기 때문에 골프 퍼팅에서 가장 중요한 퍼터 페이스가 퍼터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진행하여 골프공을 타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연습이 제대로 되지 않아 퍼팅 연습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5-0000533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퍼터의 헤드에 결합되는 헤드부착부 양측에 균일한 장력이 가해지면서 균일한 길이로 풀리는 로프를 연결함으로써 퍼팅 스윙 연습시 퍼터의 헤드가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진행하도록 하여 퍼터의 헤드 페이스면이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여 정확한 퍼팅 연습이 가능케 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퍼터의 헤드에 부착되어 퍼터의 퍼팅 스윙 시 헤드와 함께 스윙이 이루어지는 헤드부착부(10);
상기 헤드부착부(10)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제1, 2로프(20, 30);
상기 제1, 2로프(20, 30)의 타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제1, 2로프(20, 30)에 동일한 장력을 제공하여 퍼팅 스윙 시 Z축을 기준으로 헤드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텐션유지부(40); 를 포함한다.
한 실시 예에서 상기 헤드부착부(10)는, 일측에 퍼터의 넥이 삽입되는 넥삽입홈(10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퍼터의 헤드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부착부(102, 103)가 형성되며, 후면 양측에는 제1, 2로프(20, 30)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실시 예에서, 상기 자력부착부(102, 103)는, 헤드의 상면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헤드부착부(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자력부착부(102);
헤드의 전면에 형성된 페이스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헤드부착부(10)의 양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자력부착부(1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실시 예에서, 상기 자력부착부(102, 103)는, 요입홈(102a, 103a)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104)을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실시 예에서, 상기 영구자석(104)은 소정의 단위 중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실시 예에서, 상기 텐션유지부(40)는, 한 쌍의 제1, 2지지축(402, 403)이 소정 간격으로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수용부(401a)를 구비한 하우징(401);
상기 제1, 2지지축(402, 403)에 각각 회전 가능케 설치되되,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상호 치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 2로프(20, 30)의 타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 2권취부(404a, 405a)가 각각 구비된 제1, 2기어(404, 405);
상기 제1, 2기어(404, 405)의 회전 시 제1, 2기어(404, 405)에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2태엽스프링(406, 407);
상기 제1, 2기어(404, 405)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우징(401) 상부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하우징커버(40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2권취부(404a, 405a)의 상부에는 제1, 2권취부(404a, 405a)에 각각 권취되는 제1, 2로프(20, 30)가 감기고 풀리는 과정에서 제1, 2로프(20, 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권취부커버(40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터의 헤드에 결합되는 헤드부착부 양측에 균일한 장력이 가해지면서 균일한 길이로 풀리는 로프를 연결함으로써 퍼팅 스윙 연습시 퍼터의 헤드가 진행방향에서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여 정확한 퍼팅 연습이 이루어짐으로써 퍼팅 연습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터의 헤드가 결합되는 헤드부착부의 중량을 간편하게 증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팅 스윙 연습 시 헤드에 가해지는 무게를 골퍼에게 맞는 무게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퍼팅 연습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션유지부에 스토퍼수단을 구비하면 연습자가 한 번은 본 발명의 연습장치의 도움으로 퍼팅을 하고, 그 후 로프가 이완된 상태에서 연습자가 본 발명의 연습장치의 도움을 받지 않고 퍼팅을 함으로써 연습자가 자신의 퍼팅 자세를 곧 바로 확인하면서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골프용 퍼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퍼터 페이스의 방향에 따른 골프공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착부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텐션유지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착부가 퍼터 헤드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착부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텐션유지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는 헤드부착부(10); 제1, 2로프(20, 30); 텐션유지부(40); 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착부(10)는, 퍼터의 헤드에 부착되어 퍼터의 퍼팅 스윙 시 헤드와 함께 스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넥삽입홈(101); 자력부착부(102, 103); 를 포함한다.
상기 넥삽입홈(101)은 헤드부착부(10)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전면 일측에 퍼터의 헤드와 샤프트를 연결하는 넥 부분이 삽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자력부착부(102, 103)는 헤드부착부(10)의 타측에서 퍼터의 헤드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자력부착부(102, 103)는, 헤드의 견고한 부착을 위하여 제1자력부착부(102); 제2자력부착부(103); 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자력부착부(102)는, 헤드의 상면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헤드부착부(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자력부착부(103)는 헤드의 전면에 형성된 페이스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헤드부착부(10)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자력부착부(102, 103)는 요입홈(102a, 103a)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104)이 착탈 가능케 설치된다.
즉, 제1자력부착부(102)는 저면에 제1요입홈(102a)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104)을 착탈 가능케 설치됨으로써, 퍼터의 헤드 상면이 제1자력부착부(102)에 설치되는 영구자석(104)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제1요입홈(102a) 내부에는 영구자석(104)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암나사부(102b)를 형성하여, 영구자석(104)을 볼트(104a)로 착탈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제2자력부착부(103)는 후면에 제2요입홈(103a)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영구자석(104)이 착탈 가능케 설치됨으로써, 퍼터의 헤드 전면에 형성된 페이스의 양단부가 제2자력부착부(103)에 설치되는 영구자석(104)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제2요입홈(103a) 내부에는 영구자석(104)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암나사부(103b)를 형성하여, 영구자석(104)을 볼트(104a)로 착탈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영구자석(104)은 소정의 단위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g 단위로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퍼가 퍼팅 연습을 할 때 자신에게 적합한 무게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퍼팅 연습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헤드(3)의 상면과, 헤드(3) 전면에 형성되는 페이스(3c)가 영구자석(104)의 자력에 의해 헤드부착부(10)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퍼터의 퍼팅 스윙 연습 시 퍼터의 헤드와 그 헤드에 부착된 헤드부착부(10)가 일체로 스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 2로프(20, 30)는 일단부가 헤드부착부(10)의 후면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는 텐션유지부(4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텐션유지부(40)에서 제공하는 장력이 제1, 2로프(20, 30)를 통해 헤드부착부(10)로 전달된다.
상기 제1, 2로프(20, 30)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텐션유지부(40)에서 제공하는 장력이 제1, 2로프(20, 30)에 동일하게 작용할 때, 제1, 2로프(20, 30)가 각각 연결된 헤드부착부(10)의 양단부가 퍼터의 진행방향과 항상 수직으로 유지되면서 이동 가능케 된다.
상기 텐션유지부(40)는, 제1, 2로프(20, 30)에 동일한 장력을 제공하여 헤드부착부(10)가 부착된 퍼터의 퍼팅 스윙 시 퍼터의 페이스면이 진행방향에 수직을 유지하면서 진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401); 제1, 2기어(404, 405); 제1, 2태엽스프링(406, 407); 하우징커버(408); 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401)은 한 쌍의 제1, 2지지축(402, 403)이 소정 간격으로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수용부(401a)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401a) 일측에는 수용부(401a) 내부에 설치되는 제1, 2기어(404, 405)의 제1, 2권취부(404a, 405a)에 권취되는 제1, 2로프(20, 30)가 배출되는 배출공(401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기어(404, 405)는 제1, 2지지축(402, 403)에 각각 회전 가능케 설치되되,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상호 치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 2로프(20, 30)의 타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 2권취부(404a, 405a)가 각각 구비된다.
제1, 2기어(404, 405)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제1, 2지지축(402, 403)에는 제1, 2기어(404, 405)를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2권취부(404a, 405a)에는 제1, 2로프(20, 30)의 타단부가 각각 고정됨으로써, 제1, 2기어(404, 405)가 회전함에 따라 제1, 2기어(404, 40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2로프(20, 30)가 제1, 2권취부(404a, 405a)에 감기거나, 제1, 2권취부(404a, 405a)에서 풀리게 된다.
제1, 2권취부(404a, 405a)의 상부에는 제1, 2권취부(404a, 405a)에 각각 권취되는 제1, 2로프(20, 30)가 감기고 풀리는 과정에서 제1, 2권취부(404a, 405a)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권취부커버(409)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태엽스프링(406, 407)은 제1, 2기어(404, 405)의 회전 시 제1, 2기어(404, 405)에 각각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제1태엽스프링(406)의 일단부는 제1지지축(402)에 고정하고, 제1태엽스프링(406)의 타단부는 제1기어(404)의 일측에 고정함으로써 제1기어(404)가 일측으로 회전하도록 외력이 작용할 때, 제1태엽스프링(406)이 압축되었다가 제1기어(404)가 일측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외력이 소멸되면, 압축되었던 제1태엽스프링(406)이 인장되면서 제1기어(404)가 타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태엽스프링(407)의 일단부는 제2지지축(403)에 고정하고, 제2태엽스프링(407)의 타단부는 제2기어(405)의 일측에 고정함으로써 제2기어(405)가 일측으로 회전하도록 외력이 작용할 때, 제2태엽스프링(406)이 압축되었다가 제2기어(405)가 일측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외력이 소멸되면, 압축되었던 제2태엽스프링(407)이 인장되면서 제2기어(405)가 타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커버(408)는 제1, 2기어(404, 405)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우징(401) 상부에 착탈 가능케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착부가 퍼터 헤드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골프 퍼팅 연습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헤드부착부(10)는 자력에 의해 퍼터 헤드에 부착된다.
따라서 골퍼가 퍼터를 잡고 퍼팅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제1로프(20)의 일단부가 고정된 헤드부착부(10)가 퍼터의 스윙에 의해 텐션유지부(40)가 멀어지면, 퍼터의 스윙에 따른 인장력이 제1로프(20)로 전달되어 텐션유지부(40)의 제1기어(404)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1권취부(404a)에 감긴 제1로프(20)가 풀리면서 제1태엽스프링(406)은 압축된다.
반면, 퍼터의 스윙에 따라 헤드부착부(10)에 가해지는 힘이 해소되면, 압축되었던 제1태엽스프링(406)이 인장되면서 제1기어(404)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1권취부(404a)에서 풀렸던 제1로프(20)가 다시 감기게 된다.
한편, 제1기어(404)는 제2기어(405)와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상호 치합되어 있으므로 헤드부착부(10)의 후면 양측에 각각 연결된 제1, 2로프(20, 30)가 퍼터의 스윙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지면, 제1, 2기어(404, 405)는 동일한 속도로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태엽스프링(407)은 제1태엽스프링(406)이 압축될 때 같이 압축되고, 제1태엽스프링(406)이 인장될 때 같이 인장된다.
그리하여 제1, 2로프(20, 30)에는 상호 동일하게 작용하는 제1, 2태엽스프링(406, 407)의 탄성력이 동일하게 작용함에 따라 항상 동일한 장력이 제공됨으로써 퍼터의 헤드에 부착되는 헤드부착부(10)가 퍼터의 퍼팅 스윙 시 헤드와 함께 스윙이 이루어질 때, 헤드부착부(10)의 양단부에 동일한 장력이 작용함에 따라 헤드가 Z축을 기준으로 하여(위에서 볼 때) 좌우로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헤드의 페이스를 정확히 일직선으로 보내는 것이 중요한 퍼팅 스윙 연습시 퍼팅 스윙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텐션유지부(40)에는 제1, 2로프(20, 30)에 외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는 동안에는 제1, 2기어(404, 40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제1, 2로프(20, 30)에 외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해소되면, 제1, 2기어(404, 405)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제1, 2로프(20, 30)에 외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다시 작용하면 제1, 2기어(404, 405)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스토퍼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수단은 볼, 볼을 안내하는 안내홈(404b, 405b), 라쳇, 스프링 등을 구비하여 와이어권취장치, 로프권취장치, 이어폰줄권취장치 등 태엽스프링을 이용하는 각종 권취장치에서 널리 사용되는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B: 골프공 3: 헤드
3a: 토우 3b: 힐
3c: 페이스 10: 헤드부착부
101: 넥삽입홈 102, 103: 부착부
102a, 103a: 요입홈 104: 영구자석
20: 제1로프 30: 제2로프
40: 텐션유지부 401: 하우징
401a: 수용부 402: 제1지지축
403: 제2지지축 404: 제1기어
404a: 제1권취부 404b : 제1안내홈
405: 제2기어 405a: 제2권취부
405b : 제2안내홈 406: 제1태엽스프링
407: 제2태엽스프링 408: 하우징커버
409: 권취부커버

Claims (5)

  1. 퍼터의 헤드에 부착되어 퍼터의 퍼팅 스윙 시 헤드와 함께 스윙이 이루어지는 헤드부착부(10);
    상기 헤드부착부(10)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제1, 2로프(20, 30);
    상기 제1, 2로프(20, 30)의 타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제1, 2로프(20, 30)에 동일한 장력을 제공하여 퍼팅 스윙 시 Z축을 기준으로 헤드의 기울어짐을 억제하는 텐션유지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착부(10)는,
    일측에 퍼터의 넥이 삽입되는 넥삽입홈(10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퍼터의 헤드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부착부(102, 103)가 형성되며,
    후면 양측에는 제1, 2로프(20, 30)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착부(102, 103)는,
    헤드의 상면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헤드부착부(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자력부착부(102);
    헤드의 전면에 형성된 페이스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헤드부착부(10)의 양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자력부착부(1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착부(102, 103)는,
    요입홈(102a, 103a)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104)을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유지부(40)는,
    한 쌍의 제1, 2지지축(402, 403)이 소정 간격으로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수용부(401a)를 구비한 하우징(401);
    상기 제1, 2지지축(402, 403)에 각각 회전 가능케 설치되되,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상호 치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 2로프(20, 30)의 타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1, 2권취부(404a, 405a)가 각각 구비된 제1, 2기어(404, 405);
    상기 제1, 2기어(404, 405)의 회전 시 제1, 2기어(404, 405)에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2태엽스프링(406, 407);
    상기 제1, 2기어(404, 405)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우징(401) 상부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하우징커버(40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20180158288A 2018-12-10 2018-12-10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200070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88A KR20200070777A (ko) 2018-12-10 2018-12-10 골프 퍼팅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88A KR20200070777A (ko) 2018-12-10 2018-12-10 골프 퍼팅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777A true KR20200070777A (ko) 2020-06-18

Family

ID=7114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288A KR20200070777A (ko) 2018-12-10 2018-12-10 골프 퍼팅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07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937A (ko) * 2021-11-29 2023-06-07 최효선 소형 드론의 비행조정 실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33U (ko) 1993-06-18 1995-01-03 유석호 골프퍼터 연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33U (ko) 1993-06-18 1995-01-03 유석호 골프퍼터 연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937A (ko) * 2021-11-29 2023-06-07 최효선 소형 드론의 비행조정 실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658B2 (en) Rotational and retractable golf putting device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50217175A1 (en) Multipurpose golf training aid
US20110039629A1 (en) Golf putting training apparatus
US8342979B2 (en) Removably attachable training aid
JP2021514285A (ja) ゴルフ練習用ネット
KR20200070777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JP2012029858A (ja) ゴルフボール拾い上げパター
US749442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thletic swing training
JP6228930B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具
KR101144352B1 (ko) 골프용 퍼터
KR200311959Y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KR20140069872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1331594B1 (ko) 골프스윙 리듬메이커
KR200259041Y1 (ko)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KR101120849B1 (ko) 퍼팅 연습 장치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KR101288959B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0419956B1 (ko) 골프의 스윙 연습장치
KR200442667Y1 (ko) 퍼팅 연습 보조구
KR20200137341A (ko) 정면으로 퍼팅을 하는 골프용 퍼터
US20180353829A1 (en) Golf swing device
JP2022165498A (ja) ゴルフ練習器具
US20180036622A1 (en) Golf putting train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