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361A - 호퍼형 채반 - Google Patents

호퍼형 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361A
KR20230078361A KR1020210166078A KR20210166078A KR20230078361A KR 20230078361 A KR20230078361 A KR 20230078361A KR 1020210166078 A KR1020210166078 A KR 1020210166078A KR 20210166078 A KR20210166078 A KR 20210166078A KR 20230078361 A KR20230078361 A KR 20230078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discharge area
discharge
support portion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쇼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쇼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쇼핑
Priority to KR102021016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8361A/ko
Publication of KR2023007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형 채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조리용 찜기의 하부에서 수분을 수거하는 채반을 제공코자 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구체적인 수단으로 조리용기의 하부에서 낙하하는 수분을 받도록 구성된 받침부와, 받침부의 강도(剛度)를 보강하고 받침부에서 조리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받침부의 테두리에 기립되게 구성된 격벽부와, 받침부의 가운데에 복수의 배출공이 관통 구성되는 배출구역부와, 받침부에 낙하한 수분이 배출구역부로 유도되도록 격벽부와 배출구역부 사이의 받침부가 기울어지게 구성된 경사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가정에서 대형의 전용 물솥이 없더라도 호퍼형 채반만 있으면 작은 냄비나 그릇을 물솥으로 대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물솥을 별도로 준비 또는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정에서도 쉽게 찜요리를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호퍼형 채반{tray for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호퍼형 채반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조리용 찜기의 하부에서 수분을 수거하는 채반에 대한 것이다.
증기를 이용한 찜요리에 사용되는 찜기와 같은 조리용기는 수분을 기화해서 요리를 하는 것이므로, 필연적으로 찜기의 하부에서 낙하는 수분을 수거하는 물솥(물받이)가 필요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3287호(2002년 07월 26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스팀용기의 상측으로 적층되며, 그 바닥면에는 증기의 상승을 허용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찜용기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찜용기를 플라스틱재로서 반투명하게 형성하고, 스팀용기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밀착부 저면 가장자리에 환형으로 홈을 요입형성하고, 상기 홈 내에 실리콘 재질로서 형성된 밀폐링을 삽입하되, 상기 밀폐링의 일부분이 홈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찜용기가 금속재인 스팀용기의 상단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향상을 위한 찜용기 구조가 공고되어 있다.
또 다른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00년 제0005564호(2011년 06월 08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가열기의 화기를 내부로 직접 유도하여 피조리물을 직화 조리할 수 있는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는 운두가 낮고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벽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가열기의 화기가 상측으로 유입되도록 볼록하게 돌출되며 측면을 따라 화기안내홀들이 천공된 화기유도부가 성형된 물받이와 바닥면과 벽면을 갖는 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면의 중간부위에는 띠 형태로 단차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물받이 상부에 올려져 안착되고, 바닥면에는 화기와 함께 수증기가 올라올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증기유입홀들이 천공된 찜통과 상기 찜통의 벽면 상단에 마련된 뚜껑-안착부에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상기 찜통의 상부를 복개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년 제0118072호(2011년 10월 28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와 뚜껑을 갖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에 적층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그 위에 추가 삽입체 또는 뚜껑이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는 증기-투과성 바닥을 가지며, 상기 바닥에 있는 대응 관통-구멍을 증기가 통과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는 증기 투과성 슬롯을 갖는 내부 프레임을 구비하며, 삽입된 프레임과 삽입체의 외벽 사이의 바닥에 있는 증기-투과성 슬롯/관통-구멍은 프레임 내부에 음식이 배치될 때도 상부 삽입체 내로의 증기 대류를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기술들은 공통적으로 조리대상물이 안치되는 찜기의 하부에 찜기보다 큰 내경을 갖는 물받이가 공통적으로 구비된다는 것이다.
KR 20-0283287 Y1 (2002.07.12.) KR 20-2011-0005564 U (2011.06.08.) KR 10-2011-0118072 A (2011.10.28.)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종래에 증기를 이용한 조리용기는 조리용기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전용 물솥이 필수로 구비되어야 했었고, 따라서 사용 시에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요리를 하지 않아서 조리기구를 보관할 때도 커다란 물솥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전문 식당이 아니라 일반 가정집이라면 수납공간의 넉넉하지 못하여 공간 활용 측면에서 효율이 낮았다.
또한 전용 물솥을 잃어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조리용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용 물솥이 없더라도, 일반 가정에서 자주 사용되어 쉽게 구할 수 있는 작은 냄비나 그릇을 물받이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호퍼형 채반을 제공코자 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호퍼형 채반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리용기의 하부에서 낙하하는 수분을 받도록 구성된 받침부와, 받침부의 강도를 보강하고 받침부에서 조리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받침부의 테두리에 기립되게 구성된 격벽부와, 받침부의 가운데에 복수의 배출공이 관통 구성되는 배출구역부와, 받침부에 낙하한 수분이 배출구역부로 유도되도록 격벽부와 배출구역부 사이의 받침부가 기울어지게 구성된 경사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배출구역부의 강도를 보강하게 받침부에서 배출구역부의 높이가 하향되도록 배출구역부의 둘레에 구성되는 배출단턱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격벽부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게 돌출 구성된 파지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가정에서 대형의 전용 물솥이 없더라도 호퍼형 채반만 있으면 작은 냄비나 그릇을 물솥으로 대용(代用)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물솥을 별도로 준비 또는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정에서도 쉽게 찜요리를 할 수 있고, 요리 후 찜기의 보관이 매우 용이해진다.
호퍼형 채반을 가장 하단에 배치되는 찜기의 채반으로 대신 사용이 가능하여 호퍼형 채반에 직접 조리대상물을 올리는 경우 일반 채반의 사용을 절약하여 경제적으로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호퍼형 채반에 의해 낙하하는 물기를 좁은 공간으로 집중으로 수집할 수 있어서 오염되는 그릇의 면적이 적어지고, 청소도 용이해진다.
또한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가 파지 시 미끌어짐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높아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가 적용된 조리용 기구의 분리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가 적용된 조리용 기구의 분리 측단면도
본 발명은 호퍼형 채반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며,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어 해석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최근 1인 가구의 수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가정에서 요리를 소량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소량의 찜요리를 가정에서 만드는 경우에 찜기(100)와 대형의 전용 물솥(200)(냄비 또는 물받이라고도 칭함)을 준비하는 것은 구매비용이 높아지고, 번거롭고, 요리를 하지 않을 때 보관하려면 부피를 너무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호퍼형 채반(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의 하부에서 조리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호퍼형 채반(1)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강도와 충족시키기 쉬울 것이나, 경우에 따라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므로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호퍼형 채반(1)의 하부에는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냄비나 보울(bow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조리대상물을 올리는 채반과 본 발명의 호퍼형 채반(1)을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가장 하단부의 찜기(100)에 안치되는 채반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호퍼형 채반(1)에 직접 조리대상물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퍼형 채반(1)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호퍼형 채반(1)은 찜기(100)를 지지하도록 찜기(10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는 받침부(11)가 구성된다.
찜기(100)가 사각형이라면 사격형의 받침부(11)가, 찜기(100)가 원형이라면 원형의 받침부(11)가 적절할 것이지만, 찜기(100)의 외경보다 받침부(11)의 내경의 크기만 맞다면 형상은 달라도 사용할 수 있어서 무관하다.
찜기(100)에 의해 받침부(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찜기(100)로부터 조리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찜기(100)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받침부(11)의 외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토록 받침부(11)의 테두리에 기립되는 격벽부(12)를 더 구성토록 한다.
따라서 받침부(11)에 하중에 가해져도 기립된 격벽부(12)에 상하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받침부(11)에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격벽부(12)의 내측면에 찜기(100)의 하단부 외측면에 서로 걸림되므로 찜기(100)는 격벽부(1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찜기(100)로부터 받침부(11)에 물이 낙하하여, 받침부(11)에 물이 수거되는 상황에서 물이 받침부(11)의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기립된 격벽부(12)에서 막을 수 있게 된다.
받침부(11)의 가운데에는 배출구역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역부(13) 내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출공(13a)이 밀집되게 형성된다.
배출공(13a)은 원형, 장공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조리되는 조리대상물의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 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의 배출공(13a)은 메쉬망을 포함한다.
받침부(11)로 낙하하여 수집된 물이 배출구역부(13)의 배출공(13a)을 통해 하부에 결합된 물솥(200)으로 수집되게 된다.
따라서 물솥(200)의 입구 직경은 배출공(13a)이 형성된 배출구역부(13)의 직경과 같거나 커야할 것이다.
이때 받침부(11)가 수평으로 형성된 상태라고 가정한다면 받침부(11)에 물이 소정의 물량이 모여야 배출공(13a)으로 배출되고 배출공(13a)에서 멀리 있는 물은 배출공(13a)으로 빠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12)와 배출구역부(13) 사이의 받침부(11)를 θ만큼 기울어지게 형성한 경사부(14)가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경사부(14)는 배출구역부(13)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므로, 그 형상은 마치 뒤집어진 고깔형태의 호퍼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받침부(11)의 면적 중 배출구역부(13)로 낙하한 물은 배출공(13a)으로 즉시 통과하여 호퍼형 채반(1)에서 배출되고, 경사부(14)로 낙하한 물은 기울어진 경사에 의해 물이 배출구역부(13)로 흘러내려 배출공(13a)으로 이송되어 배출공(13a)에서 낙하하여 배출되게 된다.
추가 구성요소로서 배출구역부(13)를 경사부(14)의 하단보다 낮게 형성하는 배출단턱부(13b)를 배출구역부(13)의 테두리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출단턱부(13b)를 형성할 경우 보다 큰 높이 차이를 갖게 되므로 낙하는 물이 배출구역부(13)에 도달할 때 보다 높은 위치에너지를 갖게 되어 배출이 보다 원활해진다.
또한 배출구역부(13)에 배출공(13a)이 다수 형성되는 만큼 강도와 내구성이 약해질 우려가 있는데, 배출구역부(13)의 둘레방향에 형성된 배출단턱부(13b)가 기립형성된 구조에 따라 상하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강한 강도를 갖게 되어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호퍼형 채반(1)은 격벽부(12)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부(15)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파지부(15)는 사용자가 호퍼형 채반(1)을 쉽게 잡을 있도록 도와주며, 특히 하향 절곡된 부분에 의해 손이 호퍼형 채반(1)의 바깥쪽으로 미끌어져서 호퍼형 채반(1)을 놓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해준다.
가정에서 대형의 전용 물솥이 없더라도 호퍼형 채반만 있으면 작은 냄비나 그릇을 물솥으로 대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물솥을 별도로 준비 또는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정에서도 쉽게 찜요리를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찜기
200:물솥
1:호퍼형 채반
11:받침부
12:격벽부
13:배출구역부
13a:배출공
13b:배출단턱부
14:경사부
15:파지부

Claims (3)

  1. 조리용기에 사용되는 호퍼형 채반에 있어서,
    조리용기의 하부에서 낙하하는 수분을 받도록 구성된 받침부(11);
    받침부(11)의 강도(剛度)를 보강하고 받침부(11)에서 조리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받침부(11)의 테두리에 기립되게 구성된 격벽부(12);
    받침부(11)의 가운데에 복수의 배출공(13a)이 관통 구성되는 배출구역부(13);
    받침부(11)에 낙하한 수분이 배출구역부(13)로 유도되도록 격벽부(12)와 배출구역부(13) 사이의 받침부(11)가 기울어지게 구성된 경사부(14);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형 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출구역부(13)의 강도를 보강하게 받침부(11)에서 배출구역부(13)의 높이가 하향되도록 배출구역부(13)의 둘레에 구성되는 배출단턱부(13b);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형 채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격벽부(12)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게 돌출 구성된 파지부(15);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형 채반.
KR1020210166078A 2021-11-26 2021-11-26 호퍼형 채반 KR20230078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078A KR20230078361A (ko) 2021-11-26 2021-11-26 호퍼형 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078A KR20230078361A (ko) 2021-11-26 2021-11-26 호퍼형 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361A true KR20230078361A (ko) 2023-06-02

Family

ID=8675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078A KR20230078361A (ko) 2021-11-26 2021-11-26 호퍼형 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836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87Y1 (ko) 2002-04-13 2002-07-26 하나코비 주식회사 기밀성 향상을 위한 찜용기 구조
KR20110005564U (ko) 2009-11-30 2011-06-08 비전아트주식회사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KR20110118072A (ko) 2009-02-06 2011-10-28 베엠에프 붸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아게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87Y1 (ko) 2002-04-13 2002-07-26 하나코비 주식회사 기밀성 향상을 위한 찜용기 구조
KR20110118072A (ko) 2009-02-06 2011-10-28 베엠에프 붸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아게 조리용기
KR20110005564U (ko) 2009-11-30 2011-06-08 비전아트주식회사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564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US9839329B2 (en) Frying pan holder
CA1217353A (en) Steam cooking rack and method
US9572362B2 (en) Stock pot with fitted strainer basket
CN108065765B (zh) 食物蒸锅与托架系统
US6732636B1 (en) Angel hair pasta basket
US5033453A (en) Overflow cooking pot assembly
US20030000396A1 (en) Chafing dish with utility handles
US20030167932A1 (en) Stackable and configurable colander apparatus
US5199347A (en) Perforated steam plate
US20110000380A1 (en) Food steamer
US20100193523A1 (en) Lid holder for a slow cooker appliance
US2018004959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EP0326105A1 (en) Cooking apparatus for steam cooking food
US952572A (en) Steam-cooker.
AU670319B2 (en) Set of stackable pots
KR102145375B1 (ko) 거름망을 구비한 조리용기
KR20230078361A (ko) 호퍼형 채반
US7073498B2 (en) Combination steamer cone, rim and tray
JP4294842B2 (ja) 「電気炊飯器の蒸気孔用蒸し器」
US9445685B1 (en) Apparatus for steaming tamales
US896708A (en) Cooking utensil.
GB2270459A (en) Cooking utensil with enlargeable cooking chamber
KR100217175B1 (ko) 조리기구 세트
KR102061654B1 (ko) 조리용 건지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