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362A -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 Google Patents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362A
KR20230077362A KR1020210164557A KR20210164557A KR20230077362A KR 20230077362 A KR20230077362 A KR 20230077362A KR 1020210164557 A KR1020210164557 A KR 1020210164557A KR 20210164557 A KR20210164557 A KR 20210164557A KR 20230077362 A KR20230077362 A KR 20230077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dot matrix
sensor
tilt
imple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우
김지환
박순찬
조준혁
Original Assignee
김지환
배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환, 배진우 filed Critical 김지환
Priority to KR102021016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362A/ko
Publication of KR2023007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헬멧에 방향지시등을 부착함으로써, PM (Personal Mobility) 운전자의 이동방향을 다른 PM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기울기센서, 터치센서 및 도트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헬멧용 방향지시등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센서는 30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방향지시등이 도트매트릭스로 구현되고,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를 감지하여 도트매트릭스로 비상지시등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이다.
이로써 Personal Mobility를 이용하는 초보자, 노인, 어린아이는 수기신호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간단한 동작과 빠른 반응으로 방향 지시등을 점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Detachable directio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본 발명은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 지시등에 관한 것이다.
오토바이, 킥보드, 자전거 등을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작동시 방향전환을 할 때 손을 들어서 하는 수신호는 돌발 상황에서 하기 힘들어, 무리하게 신호를
보내는 행위가 오히려 사고를 유발한다. 또한 야간에도 수신호가 잘 보이지 않아 작동자에게 위험을 초래한다. 헬멧 착용이 의무화됨에 따라 후방 센서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카카오 음성인식 헬멧은 ‘헤이 카카오’라는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헤이카카오, 좌측깜빡이 켜줘”라고 하면 깜빡이가 작동된다.음성 명령으로 작동하는 스마트헬멧이다. 다만, 카카오의 음성인식 헬멧은 주변 소음으로 인해 음성의 방해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92287호는 자전거용 장갑에 LED 전구를 부착한 장갑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거수 신호를 판단하여 안내광(案內光) 역할을 하도록 LED의 발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이는 장갑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수반된다. 또한, 한 손으로 거수 신호를 해야 해 초보운전자나 특정한 상황에서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울기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방향지시등을 켜기 용이하다. 기울기 센서 사용하며 기울기 값을 입력받는다. 헬멧의 기울기가 -30도 이상 꺾을 때 도트매트릭스에 턴 시그널 형태로 왼쪽 LED가 5초 작동하고, +30도 이상 꺾을 때 도트매트릭스에 오른쪽 LED가 작동한다. 헬멧의 기울기를 앞으로 기울 시 점멸한다. 헬멧을 기울기 각도에 맞게 꺾었을 경우 부서 센서를 사용하여 간단한 음성 “삑”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으며 도트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시인성이 좋게 해 줄 수 있는 방향지시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기울기센서, 터치센서 및 도트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헬멧용 방향지시등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센서는 오른쪽으로 30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오른쪽 방향지시등이 도트매트릭스로 구현되고, 상기 기울기센서는 왼쪽으로 30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왼쪽 방향지시등이 도트매트릭스로 구현되며; 상기 터치센서는 헬멧 착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도트매트릭스로 비상지시등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트매트릭스는 아두이노 나노, 부저센서, 리튬배터리, 전원스위치, C타입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헬멧용 방향지시등은 헬멧과 벨크로를 이용하여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어려움 없이 제작이 쉽고, 반복사용에 의한 오작동 우려가 없으며, 배터리를 사용하고 잔여 배터리를 확인할 수 있어 충전만 해주면 작동에 문제가 없고, 간단하고 빠른 동작으로 탑승자에게 깜빡이를 작동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헬멧의 종류에 맞게 탈부착 형식으로 제작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손을 놓고 수신호를 하지 않고 헬멧의 기울기만으로 방향지시등을 간단하게 켜 안전성을 향상해줄 수 있고, 수신호를 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초보자, 노인, 어린아이에게 간단한 동작과 빠른 반응으로 방향 지시등을 점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헬멧 지시등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트매트릭스의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아두이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헬멧 지시등의 충전 모듈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헬멧 지시등의 외부 케이스이다.
본 발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를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기울기센서, 터치센서 및 도트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헬멧용 방향지시등을 포함한다.
상기 기울기센서는 오른쪽으로 30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오른쪽 방향지시등이 도트매트릭스로 구현되고, 상기 기울기센서는 왼쪽으로 30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왼쪽 방향지시등이 도트매트릭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는 헬멧 착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도트매트릭스로 비상지시등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는 터치센서(2)를 사용하여 한번 터치를 할 때 비상등이 작동하며, 한 번 더 누를 시 비상등이 종료된다. 도트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왼쪽 방향지시등, 오른쪽 방향지시등, 비상등을 표현한다.
아두이노 나노를 사용하여 전체 제어를 하는 장치이다. 부저 센서를 사용하여 기울기 센서에서 30도 이상 꺾였을 경우 확인용으로 부저 센서 "삑" 소리를 사용한다
상기 기울기 센서(1), 터치 센서(2), 부저 센서(5), 아두이노 나노(4)를 이용하여 기울기 값에 따라 도트매트릭스(3)에 방향지시등이 표현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헬멧용 방향 지시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두이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모듈 구성도이다. C 타입 충전기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리튬 배터리에 충전을 한다. 스위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 역할을 한다
기울기 센서(1)에서 기울기 값을 받는다. 헬멧의 기울기가 ±30도 이상 꺾을 때 부저센서가 “삑”소리로 0.5초간 작동된다.
도트매트릭스(3)에 턴 시그널 형태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방향지시등이 5초간 표시된다.
또한, 기울기 센서(1)를 앞으로 기울 시 도트매트릭스(3)에서 작동되고 있는 지시등이 종료된다.
상기 도트매트릭스는 아두이노 나노, 부저센서, 리튬배터리, 전원스위치, C타입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작동하고,
상기 도트매트릭스는 아두이노 나노에 기울기값 30도를 받아 방향지시등이 나타난다.
상기 부저센서는 상기 기울기센서가 30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도트매트릭스에 LED가 구현되면 부저센서로 소리가 나고;
상기 리튬배터리는 상기 C타입 충전모듈을 통해 충전하여 작동하게 되고,
상기 전원스위치는 아두이노 나노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C타입 충전모듈은 C타입 충전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의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스이다. 터치 센서 부착 공간(9), 도트매트릭스 부착 공간(10), 벨크로 끈이 연결되는 공간(11), 스위치 부착 공간(12), C타입 연결 공간(13)이 있다.
상기 헬멧용 방향지시등은 헬멧과 벨크로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탈부착 방식은 다양한 헬멧의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헬멧 뒷부분의 빈공간으로 통과시켜 연결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기울기 센서에 의한 방향 표시
기울기 센서(1)를 사용하며, 아두이노 MPU-6050을 사용하여 기울기 값을 받는다. 헬멧의 기울기가 -30도 이상 꺾을 때 도트매트릭스(3)에 턴 시그널 형태로 왼쪽으로 LED가 5초 동안 작동하고, +30도 이상 꺾을 때 도트매트릭스(3)에 오른쪽으로 LED가 5초 동안 작동한다. 헬멧의 기울기를 앞으로 기울 시 점멸한다. 헬멧을 기울기 각도에 맞게 꺾었을 경우 부서 센서(5)를 사용하여 간단한 음성 “삑”소리로 확인이 가능하다.
실시예 2. 터치 센서에 의한 비상등 표시
터치센서(2)를 사용하였으며 한번 터치 시 도트매트릭스(3)에 비상등이 켜지며 비상등은 도트매트릭스(3)의 바깥쪽을 제외한 부분의 LED가 작동하게 된다. 비상등을 잘못 켰거나 도중에 끄고 싶다면 한 번 더 터치하면 비상등이 종료된다.
실시예 3. 탈부착 방식
도 3을 이용하여 헬멧 뒷부분에 탈부착하게 된다. 부착 방법으로는 헬멧과 방향지시등은 탈부착 형식이다. 대부분 자전거나 보드 등 보호 헬멧의 경우 표면 주변에 구멍이 많다. 그 구멍과 방향지시등 케이스에 있는 벨크로 끈이 연결되는 공간(11)에 끈으로 결합한다.
실시예 4. 충전방식
충전방식은 리튬배터리(6) 충전식을 사용한다. 건전지를 넣는 충전방식은 본체가 무거워져서 리튬배터리(6)를 사용하였고 C타입 충전 모듈(8)을 사용하여 충전한다.
(1)--기울기 센서
(2)--터치 센서
(3)--도트매트릭스
(4)--아두이노 나노
(5)--부저 센서
(6)--리튬배터리
(7)--전원 스위치
(8)--C타입 충전모듈
(9)--터치 센서 부착 공간
(10)--도트매트릭스 부착 공간
(11)--벨크로 끈이 연결되는 공간
(12)--스위치 부착 공간
(13)--C타입 연결 공간

Claims (3)

  1. 기울기센서, 터치센서 및 도트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헬멧용 방향지시등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센서는 오른쪽으로 30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오른쪽 방향지시등이 도트매트릭스로 구현되고,
    상기 기울기센서는 왼쪽으로 30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왼쪽 방향지시등이 도트매트릭스로 구현되며;
    상기 터치센서는 헬멧 착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도트매트릭스로 비상지시등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매트릭스는 아두이노 나노, 부저센서, 리튬배터리, 전원스위치, C타입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작동하고,
    상기 도트매트릭스는 아두이노 나노에 있는 입력값을 받아 구현되고,
    상기 부저센서는 상기 기울기센서가 30도 이상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도트매트릭스에 LED가 구현되면 부저센서로 소리가 나고;
    상기 리튬배터리는 상기 C타입 충전모듈을 통해 충전하여 작동하게 되고,
    상기 전원스위치는 아두이노 나노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C타입 충전모듈은 C타입 충전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의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용 방향지시등은 헬멧과 벨크로를 이용하여 탈부착되고,
    상기 탈부착 방식은 다양한 헬멧의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헬멧 뒷부분의 빈공간으로 통과시켜 연결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KR1020210164557A 2021-11-25 2021-11-25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KR20230077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557A KR20230077362A (ko) 2021-11-25 2021-11-25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557A KR20230077362A (ko) 2021-11-25 2021-11-25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362A true KR20230077362A (ko) 2023-06-01

Family

ID=8677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557A KR20230077362A (ko) 2021-11-25 2021-11-25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3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1536B2 (ja) ブレーキ自動検出及びステアリング指示機能を有するライディングヘルメット
KR100910402B1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US8550673B1 (en) Secondary lighting system for motorcycles
US20040058722A1 (en) Directional signal device
JP2019506188A (ja) 多機能スマートバックパック
KR101470238B1 (ko)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
US20150374061A1 (en) Auto-powered safety equipment
US20170363258A1 (en) Hand mounted mirror and indicator device
WO2017153708A1 (en) Cyclist accessory system
US20040052068A1 (en) Helmet having warning device
KR101884401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엘이디 경보등이 구성된 안전 헬멧
KR20230077362A (ko) 헬멧의 기울기에 따른 탈부착 방향 지시등
GB2417186A (en) Signalling apparatus for personal wear
KR20170106014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스마트 발광 표시 시스템
EP3974300A1 (en) Portable light emitting signal apparatus
KR101262926B1 (ko) 장갑과 가방의 연동형 방향표시장치
GB2565792A (en) A hand mounted mirror and indicator device
KR101924904B1 (ko) 오토바이용 안전슈트
KR101363706B1 (ko) 주행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레저 장비용 헬멧 장치
CN220360158U (zh) 骑行安全辅助组件以及头盔
KR20080006415U (ko) 안전조끼
WO2020175770A1 (ko) 스트랩 발광기
KR102309265B1 (ko) 광센서 제어 기반의 지시등이 구비된 헬멧
US20200309338A1 (en) Motorcycle visibility led light system
KR102589412B1 (ko)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주행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