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940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940A
KR20230076940A KR1020210162365A KR20210162365A KR20230076940A KR 20230076940 A KR20230076940 A KR 20230076940A KR 1020210162365 A KR1020210162365 A KR 1020210162365A KR 20210162365 A KR20210162365 A KR 20210162365A KR 20230076940 A KR20230076940 A KR 20230076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tton
closing device
pressing
smar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양식
하금철
이양현
김대영
윤성현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돌
Priority to KR102021016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940A/ko
Publication of KR2023007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주가 스마트키를 휴대하고 다니지 않아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의 스마트키를 삽입하여 사용 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고, 버튼의 누름을 수행하는 버튼누름부의 위치를 쉽게 변경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차종이나 브랜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스마트키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적용 및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Remot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smartphone}
본 발명은 원격지 또는 근거리에서 차량의 문열림 개폐를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키는, 열쇠의 기능과 리모컨 기능이 통합된 자동차 열쇠로, 차주의 차량에 대해서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것을 인지하면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서, 차량의 문을 개폐하거나 트렁크 문을 열 수 있는 동작 등과 같은 차량에서의 어떠한 작업을 수행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스마트키가 차량 내에 위치한 것으로 인지하는 경우에 시동이 걸리도록 작동하여, 차량 도난 방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 차량 관련 서비스로, 발렛파킹, 대리운전, 출장세차, 정비 서비스 등과 같이, 차량에 관련된 작업에 대해서 다른 전문가에게 차량을 위임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의 수요 및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마트키가 인도되거나, 최소한으로 차량의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차량의 문이 잠금 해제 되어있어야 한다.
출장 세차의 경우, 보통 고객들이 차량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인 야간에 작업이 수행되게 되며, 세차인에게 차량의 문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마트키를 타이어 위나 우편함 등에 숨겨두어 세차인이 찾을 수 있게 하거나, 문을 잠금 해제시켜두어야 한다. 그러나, 스마트키를 어딘가에 숨겨두는 경우, 키의 분실로 인해 차량 도난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차 문을 그냥 열어두는 경우, 세차인이 아닌 타인이 차량에 무단으로 진입할 수 있는 등, 차주에게 피해가 갈 수 있는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는 스마트키를 소유하는 것으로 원격으로 차량이 제어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스마트키를 집안에 놓고 오거나 또는 분실하는 경우 차량을 아예 작동시킬 수 없어, 차주가 항상 스마트키를 챙겨 다녀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차량에 스마트키를 보관하도록 하되, 항상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이나 근거리에서 리모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키 원격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스마트키는 차종이나 각 브랜드 마다, 외형이나 키의 배치 등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종래의 스마트키 원격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의 경우,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스마트키를 업체에 맡기고, 업체에서는 스마트키를 분해하여 PCB 형태로 장치와의 납땜이나 포고핀 등 추가 설치에 의해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스마트키를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다른 종래의 스마트키 원격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의 경우, 스마트키 원형을 장치에 넣고, 버튼을 직접적으로 누르는 형태의 장치도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PCB를 제어하는 방식의 경우, 본래의 스마트키의 형체가 손상되기 때문에 장치를 해제하는 경우 다시 스마트키를 구매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치의 설치를 위해 업체에 스마트키를 배송하고, 대기한 후 다시 배송 받는 과정에서의 시간 소요가 걸리기 때문에, 스마트키가 하나인 차주나, 시간의 여유가 없는 차주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키 자체를 넣어 버튼을 누르는 방식의 경우, 차종 및 브랜드 마다 서로 다르게 위치되는 버튼에 의해서, 각 차종 및 브랜드에 따른 스마트키의 형상에 맞춰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장치를 각각 개별 제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재고관리의 문제가 있으며, 제품의 단가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마트키 별로 눌리는 버튼의 감도에 차이가 있는데, 반복되는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인해 스마트키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모터의 수명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장치의 고장 문제와 같이, 종래의 장치들은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주가 스마트키를 휴대하고 다니지 않아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차량 서비스 이용 시 스마트키를 별도로 제공 및 회수할 필요 없이 스마트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마트키의 원형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제가 간편하고, 서로 다른 외형이나 버튼의 배치에 따라서 구성품의 위치를 쉽게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키 디자인 별로 별도의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할 필요가 없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버튼부분이 노출되도록 스마트키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스마트키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누름부;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달된 신호에 의해, 상기 버튼누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는 양측면에 하부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 레일과 접촉되는 각 위치에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레일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상부 레일이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 형태에 따라 형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면이 복수의 구멍으로 형성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버튼누름부는, 상측에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의 돌출기둥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버튼누름부가 상기 돌출기둥을 통해, 상기 메쉬부에 위치 조정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버튼누름부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기둥을 포함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스마트키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버튼누름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중에서, 상기 스마트키에 형성된 문 열림 버튼과 문 닫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 상기 작동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메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랙과 피니언이 결합된 구조로 구성되는 제1작동부이고, 상기 제1작동부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에 의해 상기 랙이 수직운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솔레노이드 구조로 구성되는 제2작동부이고,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이 발생하며 금속샤프트가 수직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작동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비대칭캠의 구조로 구성되는 제3작동부이고, 상기 제3작동부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이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비대칭캠이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작동부는, 상기 동력부가 상기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 구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동력부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동력부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비대칭캠이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 및 제어부는, 상측에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의 돌출기둥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통신부 및 제어부의 상기 돌출기둥이 상기 메쉬부의 구멍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는 차주가 스마트키를 휴대하지 않고 차량에 두는 것으로 차량의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주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마트키의 형태를 변형시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고, 버튼을 누르는 방식에 있어 모터의 수명이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는 구조를 통해 장치 수명이 길며, 작동부의 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스마트키에 형태에 범용적으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생산하는데 제품의 단가 감소 및 공정의 공정의 축소로 인한 수익성 향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2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1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2
도 5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작동부 사시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작동부 단면도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제3작동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스마트키(10)를 원형 그대로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 스마트키(10)에 형성된 차량의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는 버튼(11)과, 잠금을 해제하는 버튼(11)을 작동부(320)가 누름으로써 차량이 원격 컨트롤에 대한 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스마트키(10)를 삽입한 상태로 차안에 구비하고, 상기 개폐 장치(100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연동시켜서, 사용자가 스마트키(10)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이나 또는 근거리에서 사용자의 차량의 도어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0)(이하 '개폐 장치(1000)')는, 버튼(11)부분이 노출되도록 스마트키(10)를 수용하는 수용부(110)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100),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00), 상기 스마트키(10)의 버튼(11)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누름부(300),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달된 신호에 의해, 상기 버튼누름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케이스(100)는 원형의 스마트키(10)가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스마트키(10)가 수용되는 수용부(11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기 개폐 장치(10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스마트키(10)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 면적 및 높이로 형성되어서, 면적 중 일부에 상기 수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10)는, 일반적은 스마트키(10)의 가로, 세로 및 너비를 수용할 수 있는 평균적인 수치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다양한 외형의 스마트키(10)가 모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1, 3 및 4를 참고하면, 상기 수용부(110)는 상기 스마트키(10)의 외형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면적 및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하부케이스(100) 내측에서 상기 스마트키(10)의 형태대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0)는 각 브랜드나,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외형으로 형성되는 스마트키(10)에 대응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하부케이스(100)는 각 차량과 차종에 따른 스마트키(10)와 대응되는 복수의 수용부(110) 형태에 대해서, 각각의 하부케이스(100)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브랜드 및 차종에 따른 하부케이스(100)를 선택하여 갈아 끼우는 것으로 모든 차량의 스마트키(1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4를 참고하면, 상부케이스(2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2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가 결합하며 형성하는 내측공간에 버튼누름부(3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구성품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내측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단면이 ㄷ자의 직사각 구조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이 상기 하부케이스(100) 측을 바라보며 위치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하측 끝단이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접촉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는 서로 결합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3 및 4를 참고하면,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서로 접촉되는 면 중에 어느 양끝단에 각각 레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밑면둘레에 결합되는 형태일 때,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끝단에, 하부레일(1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대응되는 길이방향에 따른 양끝단에, 상부레일(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120) 및 상부레일(220)은, 둘 중에서 어느 하나가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다른 하나는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는 함몰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함몰된 형태와 돌출된 형태가 끼움 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00) 및 상부케이스(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결합 및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슬라이딩하며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누름부(300)는 상부케이스(200) 내부에 위치되어서 상기 개폐 장치(1000)의 동작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면, 하방으로 장치가 이동하면서 하측에 위치되는 스마트키(10)의 버튼(11)을 누르는 동작으로 상기 개폐 장치(100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누름부(300)는, ㄷ자로 형성된 상기 상부케이크 내측 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스마트폰이 위치되는 상기 하부케이스(100)를 향해 장치가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누름부(300)는 상기 상부케이스(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누르고자 하는 버튼(11)의 수에 따라 그 개수가 선택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누름부(300)는 상기 스마트폰의 버튼(11) 중에서 차량의 문 잠금을 해제하는 버튼(11)과, 문을 잠금하는 버튼(11), 트렁크 문 제어하는 버튼(11) 및 차량의 시동을 거는 버튼(11) 등, 상기 스마트키(10)에 형성되는 버튼(11)이면 모두 누름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누름부(3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개수가 선택될 수 있으며,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버튼(1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버튼누름부(3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케이스(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 버튼누름부(300)가 위치되는데, 상면이 소정 크기의 구멍(2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메쉬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쉬부(210)는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상기 구멍(211)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멍(211)은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상면이 통공되는 구멍(2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버튼누름부(300)가, 상측에 상기 구멍(211)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출기둥(3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출기둥(311)이 상기 메쉬부(210)의 상기 구멍(211)에 끼움 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누름부(300)와 상기 상부케이스(2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상면과 상기 버튼누름부(300)의 상면이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누름부(300)가 상기 개폐 장치(1000)에 설치되게 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기둥(311)이, 적절한 위치의 상기 메쉬부(210)의 구멍(211)에서 끼움 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누름부(30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기둥(311)은 상기 상부케이스(200)와의 결합 안정성을 위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어떤 위치에 모여 있거나, 또는 상기 버튼누름부(300)의 상측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메쉬부(210)와, 상기 돌출기둥(311)에 의해서 차량의 종류와 브랜드에 따라서 버튼(11)의 개수와 배치, 및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스마트키(10)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200)에 결합되는 상기 버튼누름부(300)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스마트키(10) 마다 각각의 장치를 개별로 제작해야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은 상기 상부케이스(200)와 상기 버튼누름부(300)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누름부(300)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스마트키(10)에 적용시킬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버튼누름부(300)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기둥(311)을 포함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어,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스마트키(10)의 버튼(11)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부(320) 및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3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3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작동부(320) 및 동력부(33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틀로,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기둥(311)이 형성되어서, 상기 돌출기둥(311)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310)이 상기 상부케이스(200)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작동부(320)가 상기 하우징(310)을 통과하며 하방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310)의 하면은 적어도 소정 면적의 통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공부를 통해 상기 작동부(32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320)는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면, 하방으로 이동하는 하는 구조로 형성되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작동부(3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작동부(320)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구조에 의해, 상기 작동부(3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스마트키(10)의 버튼(11)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부(330)는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에 신호에 따라서 상기 작동부(320)에 동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부(330)는 회전이나 또는 수직운동을 수행하는 모터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장치 등, 작동부(320)에 따라서 상기 작동부(320)의 동작을 구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 상기 개폐 장치(1000)가 외부의 기기들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장치이다.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사전에 연결이 허가된 장치들과 연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나, 세차인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기기와 연결 가능하고, 상기 개폐 장치(1000)가 관리서버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상기 개폐 장치(1000)와 연동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거리의 사용자가 문 잠금 해제 버튼(11)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관리서버로 해당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사용자의 고유번호에 대응되는 개폐 장치(1000)로 해당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개폐 장치(1000)의 상기 통신부가 해당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과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 BLE, wifi 및 비가청음파를 포함하는 수단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BLE 및 wifi의 경우, 상기 개폐 장치(1000)와 연동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세기(RSSI)를 활용하여 작동을 수행시킬 수 있고, 상기 비가청음파의 경우, 음성의 음략(Volume)을 활용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 수단으로 3G, LTE, Lora 및 5G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거리가 일정 이상인 경우, 중계서버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대해, 상기 버튼누름부(300)를 구동하는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PCB 형태로 상기 상부케이스(200) 내부에 위치되며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상부케이스(200)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기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기둥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메쉬부(210)의 구멍(21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통신부를 상기 상부케이스(20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에 의해,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더라도 유무선 통신에 의해 차량의 문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출장 세차나, 대리 운전, 대리 차량 정비 서비스 등과 같은 차량 서비스를 받을 때 작업자와 대면하지 않고 필요시에 적절하게 차량의 문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와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에 전달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버튼누름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부(33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중지함으로써 상기 버튼누름부(300)가 신호에 맞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PCB 형태로 상기 통신부와 함께 상기 상부케이스(200) 내부에 위치되며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케이스(200)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기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기둥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메쉬부(210)의 구멍(21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를 상기 상부케이스(200)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4 및 5에 도를 참고하면, 상기 개폐 장치(1000)가 스마트키(10)에 형성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버튼(11)과, 차량의 문 잠금 버튼(11)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버튼누름부(30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상기 장치부가, 특히 상기 장치부 중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부품이, 상기 문 잠금 해제 버튼(11)과 문 잠금 버튼(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각 상기 하우징(310)의 돌출기둥을 이용하여 위치를 조정한 후에 결합시켜서 상기 개폐 장치(10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스마트키(10)의 버튼(11)을 누르는 작동부(320)에 대해, 각 스마트키(10)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버튼(11)의 감도를 고려하고, 작동부(320)의 오작동에 대해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동력부(330)에 구성되는 모터의 수명을 최대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키(10)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작동부(320)에 대해 제1실시예(321), 제2실시예(322) 및 제3실시예(323)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하 각 실시예 및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부(321)는, 랙(321a)과 피니언(321b)이 결합된 구조인 제1작동부(32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동력부(330)는 외부의 신호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작동부(321)에 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작동부(321)는 피니언(321b)의 중심축에 상기 동력부(330)의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321b)의 일측에서, 상기 랙(321a)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서로 톱니가 맞물리며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321)는 상기 동력부(3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면, 상기 피니언(32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321a)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스마트키(10)의 버튼(11)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작동부(321)는 상기 피니언(321b) 및 랙(321a)의 톱니의 크기나 간격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11)을 누르는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부(322)는, 솔레노이드 구조인 제2작동부(32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동력부(330)는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부(322)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작동부(322)의 동력을 제공하는 전류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작동부(322)는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해 위치하도록 가운데에 배치되는 금속샤프트(322a)와, 상기 금속샤프트(322a) 주변을 감싸는 코일(322b)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부(322)가 상기 동력부(330)에 의해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322b)에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금속샤프트(322a)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하측에 위치하는 스마트키(10)의 버튼(11)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작동부(322)는 상기 금속샤프트(322a)의 크기나, 코일(322b)의 간격 및 두께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11)을 누르는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부(323)는, 비대칭캠이 결합되는 구조인 제3작동부(3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동력부(330)는 외부의 신호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작동부(323)에 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작동부(323)는 상기 비대칭캠(323a)이 달걀형태로, 어느 한 부분이 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고, 좁은 면적의 부분에, 상기 동력부(330)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작동부(323)는, 비대칭캠(323a)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동력부(330)와 결합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작동부(323)는 상기 동력부(3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면, 상기 회전축이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회전되게 되며, 상기 회전축과 일측이 고정된 상기 비대칭캠(323a)이 하방으로 소정각도 회전함으로써 하측에 위치하는 스마트키(10)의 버튼(11)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작동부(323)는 상기 버튼(11)을 누르는 감도를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323b)과 실린더(323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3작동부(323)는 상기 하우징(310) 안에 상기 제3작동부(323)가 구비되되, 상기 제3작동부(323)는 별도의 프레임(323c)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23c)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323d) 구조가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실린더(323d)가 상기 프레임(323c)에 끼움 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323d)에 의해 상기 프레임(323c)이 상기 하우징(31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제3작동부(323)는 상기 프레임(323c)을 포함하는 구조일 경우, 상기 동력부(330)에서 전달하는 동력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323c)이 상기 실린더(323d)에 지지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상기 비대칭캠(323a)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323b)은 상기 프레임(323c)과 상기 하우징(3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323b)의 탄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11)을 누르는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스마트키 11 : 버튼
1000 :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100 : 하부케이스 110 : 수용부
120 : 하부레일
200 : 상부케이스 210 : 메쉬부
211 : 구멍 220 : 상부레일
300 : 버튼누름부 310 : 하우징
311 : 돌출기둥 320 : 작동부
321 : 제1작동부 322 : 제2작동부
323 : 제3작동부 330 : 동력부

Claims (12)

  1. 버튼부분이 노출되도록 스마트키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스마트키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누름부;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달된 신호에 의해, 상기 버튼누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는 양측면에 하부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 레일과 접촉되는 각 위치에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레일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상부 레일이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 형태에 따라 형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면이 복수의 구멍으로 형성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누름부는, 상측에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의 돌출기둥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버튼누름부가 상기 돌출기둥을 통해, 상기 메쉬부에 위치 조정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누름부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기둥을 포함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스마트키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누름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중에서, 상기 스마트키에 형성된 문 열림 버튼과 문 닫힘 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 상기 작동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메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랙과 피니언이 결합된 구조로 구성되는 제1작동부이고,
    상기 제1작동부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에 의해 상기 랙이 수직운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솔레노이드 구조로 구성되는 제2작동부이고,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이 발생하며 금속샤프트가 수직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비대칭캠의 구조로 구성되는 제3작동부이고,
    상기 제3작동부는,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이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비대칭캠이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작동부는,
    상기 동력부가 상기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 구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동력부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동력부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비대칭캠이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및 제어부는,
    상측에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형태의 돌출기둥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통신부 및 제어부의 상기 돌출기둥이 상기 메쉬부의 구멍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KR1020210162365A 2021-11-23 2021-11-23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KR20230076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365A KR20230076940A (ko) 2021-11-23 2021-11-23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365A KR20230076940A (ko) 2021-11-23 2021-11-23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940A true KR20230076940A (ko) 2023-06-01

Family

ID=8677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365A KR20230076940A (ko) 2021-11-23 2021-11-23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9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68003B (zh) 锁闭装置
US9399879B2 (en) Vehicle compartment door handle assembly
US10753127B2 (en) Door handle module
CN103164893A (zh) 盖锁闭控制装置
EP3693933A2 (en) Two button remote control actuator
JP2014120229A (ja) ロック装置
KR101080767B1 (ko) 안테나 통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버튼시동 차량의 비상시동방법
US10960849B2 (en) Remote control button actuator with removable tray
CA3066615C (en) Locking device with configurable electrical connector key and internal circuit board for electronic door locks
KR2023007694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차량 도어 개폐 장치
JP2014111858A (ja) キー付携帯電話による扉の解錠施錠システム
JP5027056B2 (ja) 電子キー
KR102601172B1 (ko)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스마트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977930B2 (en) Remote control button actuation system with proxy remote
CN115917102A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CN210555280U (zh) 电动车
KR101898081B1 (ko) 적재함 도어 잠금 장치 및 적재함 도어 잠금 시스템
JP4980845B2 (ja) 電話機能一体型電子キー
CN210195477U (zh) 一种智能门锁
KR20230076941A (ko) 차량 도어 원격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서비스 방법
KR20090080410A (ko)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43786B1 (ko) 사물통신 스마트앱을 이용한 모빌리티 도어락 원격 작동기구
US12026998B2 (en) Electronic door lock
US20220172528A1 (en) Electronic door lock
KR20140096404A (ko) 스마트 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