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553A -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553A
KR20230076553A KR1020210163619A KR20210163619A KR20230076553A KR 20230076553 A KR20230076553 A KR 20230076553A KR 1020210163619 A KR1020210163619 A KR 1020210163619A KR 20210163619 A KR20210163619 A KR 20210163619A KR 20230076553 A KR20230076553 A KR 20230076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rea
connection part
open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승훈
김영준
황권식
김민준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21016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553A/ko
Publication of KR20230076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in the socket befor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 F16L47/28Joining pipes to walls or to other pipes, the axis of the joined pipe be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r to the axis of the other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걸림 영역, 회전 방지를 위한 회전 방지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제 1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파이프; 비니어(veneer) 타입으로 형성되며, 유체가 이동되는 제 2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2 파이프; 및 일단에서 제 1 파이프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제 2 파이프와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파이프와 원터치(onetouch)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파이프와 연결되며,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오링(o-ring)을 포함하는 제 2 연결부; 일단에 상기 제 1 연결부가 위치하고, 타단에 상기 제 2 연결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이 안착되는 고정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커넥터부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은 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길이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촉 영역 및 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이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연결되는 제 2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의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이 안착되는 고정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Quick connector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pipe of electric vehicl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에어컨 배관 시스템은 각 배관 간의 결합을 위하여 볼트 체결 구조를 사용한다. 볼트 체결 구조는 돌출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를 내측 구멍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각 배관을 결합한다. 차량용 에어컨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배관은 볼트 체결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각 배관의 내부에 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차량용 에어컨 배관 시스템에서 각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 체결 구조는 볼트를 너트의 내측 구멍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조립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 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처럼 엔진 열을 이용한 난방을 할 수 없으므로, 난방을 위하여 냉방에 사용되는 냉매를 이용한다. 전기 자동차는 냉방뿐만 아니라 난방을 하는 경우에도 에어컨에 사용되는 냉매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하여 냉매 이동을 위한 배관이 증가하게 된다. 전기 자동차에서 냉매 이동에 사용되는 각 배관의 연결을 위해 볼트 체결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하여 조립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더욱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는 배관 조립을 위해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관 커넥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걸림 영역, 회전 방지를 위한 회전 방지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제 1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파이프; 비니어(veneer) 타입으로 형성되며, 유체가 이동되는 제 2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2 파이프; 및 일단에서 제 1 파이프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제 2 파이프와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파이프와 원터치(onetouch)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파이프와 연결되며,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오링(o-ring)을 포함하는 제 2 연결부; 일단에 상기 제 1 연결부가 위치하고, 타단에 상기 제 2 연결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이 안착되는 고정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커넥터부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은 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길이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촉 영역 및 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이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연결되는 제 2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의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이 안착되는 고정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걸림 영역, 회전 방지를 위한 회전 방지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제 1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파이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유체가 이동되는 제 2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2 파이프; 및 일단에서 제 1 파이프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제 2 파이프와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파이프와 원터치(onetouch)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파이프와 레이저 융착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부; 일단에 상기 제 1 연결부가 위치하고, 타단에 상기 제 2 연결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이 안착되는 고정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커넥터부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은 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길이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촉 영역 및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이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연결되는 제 2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의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접촉되는 고정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는 원터치 체결 구조를 포함하여 각 배관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퀵 커넥터 구조는 각 배관 간의 조립이 용이하게 하여 종래의 볼트 체결 구조에 비하여 배관 조립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는 원터치 체결 구조뿐만 아니라 배관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 및 냉매 누설 방지를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 배관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된 배관이 안정되게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측면도이다.
도 6a, 6b 및 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의 고정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10)는 제 1 파이프(100), 제 2 파이프(200) 및/또는 커넥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파이프(100)는 제 1 파이프 개구(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파이프(200)는 제 2 파이프 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부(300)는 커넥터부(300)의 일단에서 제 1 파이프(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300)의 타단에서 제 2 파이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이프(100), 제 2 파이프(200) 및 커넥터부(300)가 결합되는 경우, 각 구성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예를 들어, 제 1 파이프 개구(150), 제 2 파이프 개구(220))들이 연결될 수 있다. 각 개구들이 연결되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개구(예를 들어, 제 1 파이프 개구(150), 제 2 파이프 개구(220))에 흐르는 유체는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매일 수 있다.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매는 프레온계 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는 원터치(onetouch) 체결 구조(예를 들어, 제 1 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의 사용자는 제 1 연결부(320)의 일부를 눌러서 커넥터부(300)와 제 1 파이프(1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하여 진동이 작은 특성을 지니므로,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는 원터치 체결 구조(예를 들어, 제 1 연결부(320))를 이용하여 각 배관(예를 들어, 제 1 파이프(100), 커넥터부(3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10)는 배관(예를 들어, 제 1 파이프(1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이프(100)는 회전 방지 영역(120)을 포함하여 제 1 파이프(100)와 커넥터부(3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파이프(1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10)는 냉매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부(300)는 제 2 연결부(330, 340, 도 5b 참조)에 오링(341, 도 5b 참조)을 복수 개 포함하여 커넥터부(300)와 제 2 파이프(200)가 결합될 경우 커넥터부(300)와 제 2 파이프(200)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A-A 단면을 따라 제 1 파이프(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는 파이프 외면(110), 회전 방지 영역(120), 걸림 영역(130) 및/또는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는 내부에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를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는 제 1 파이프 외주면(110)에서 커넥터부(300, 도 1 참조)의 제 1 연결부(320, 도 1 참조)와 접촉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파이프(100)는 내측에 유체가 이동되는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는 제 1 개구(140) 및 제 2 개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개구(140)는 커넥터부(300)와 연결되는 제 1 파이프(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개구일 수 있다. 제 2 개구(150)는 제 1 파이프(1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개구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파이프(100)의 길이 방향은 제 1 파이프(100)의 제 2 개구(150)에서 제 1 개구(14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의 내측 방향은 제 1 파이프 외주면(110)에서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는 적어도 일부에 회전 방지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방지 영역(120)은 제 1 파이프(100)의 일단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회전 방지 영역(120)은 제 1 파이프(100) 일단부의 일측에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방지 영역(120)은 제 1 파이프(100)가 커넥터부(300, 도 1 참조)에 결합되는 경우, 제 1 파이프(100)가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에서 조립되는 부분(예를 들어, 제 1 파이프(100))이 회전되는 경우, 다른 부품(예를 들어, 에어컨 배관과 관련된 다른 부품(미도시))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간섭에 의해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를 포함하는 전기차 에어컨 배관 시스템(미도시)의 일부에서 진동에 의한 크랙(crack) 및 누설(leak)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회전 방지 영역(120)은 제 1 파이프(1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간섭에 의한 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 영역(120)은 제 1 접촉 영역(121), 제 2 접촉 영역(122), 제 1 연결면(123), 제 2 연결면(124) 및/또는 제 3 연결면(1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접촉 영역(121)은 제 1 파이프(100)의 길이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접촉 영역(121)의 단면은 원의 두 지점을 잇는 현과 현의 양단을 잇는 원의 둘레를 포함하는 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접촉영역(122)은 제 1 개구(14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개구(140)는 원 형상 개구의 일측이 절단되어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 2 접촉영역(122)은 이러한 절단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 접촉 영역(122)은 제 1 접촉 영역(121)과 연결되며, 제 1 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접촉영역(122)은 제 1 파이프 외주면(110)에 비하여 제 1 파이프(100)의 내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연결면(123)은 제 1 파이프 외면(110)과 제 1 접촉 영역(121)을 연결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 1 연결면(123)은 제 1 파이프 외면(110)과 제 1 접촉 영역(121)을 연결하는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결면(124)은 제 1 접촉 영역(121)과 제 2 접촉 영역(122)을 연결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 2 연결면(124)은 제 1 접촉 영역(121)과 제 2 접촉 영역(122)을 연결하는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연결면(125)은 제 2 접촉 영역(122)과 제 1 개구(140)의 일측을 연결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 3 연결면(125)은 제 2 접촉 영역(122)과 제 1 개구(140)의 일측을 연결하는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결면(123), 제 2 연결면(124) 및 제 3 연결면(125)은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파이프(100)와 커넥터부(300, 도 1 참조)가 연결되는 경우, 제 1 파이프(100)가 커넥터부(300, 도 1 참조)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면(123), 제 2 연결면(124) 및 제 3 연결면(125)은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파이프(100)와 커넥터부(300, 도 1 참조)의 연결로 인해 과도한 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파이프(100)와 커넥터부(300, 도 1 참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는 일단부에서 커넥터부(300, 도 1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회전 방지 영역(120)은 제 1 개구(14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개구(140)의 일측에 회전 방지 영역(120)이 위치하므로, 제 1 개구(140)의 둘레는 일측이 절단된 원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 1 개구(140)는 일측이 절단된 원 형상을 지니므로, 제 1 개구(140)의 크기는 제 2 개구(150)의 크기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A-A 단면을 기준으로, 제 1 파이프(100)는 제 2 개구(150)의 위치에서 개구의 폭이 제 2 길이(L2)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 개구(140)의 위치에서 개구의 폭이 제 1 길이(L1)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길이(L1)는 제 2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길이(L1)가 제 2 길이(L2)에 비하여 현저히 작은 경우,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의 폭이 유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급격히 확대되거나 축소되므로 제 1 파이프(100) 내부에 이동되는 유체의 압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유체의 압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길이(L1)가 제 1 길이(L2)의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이 되도록 제 1 파이프(1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파이프(100)는 적어도 일부에 걸림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영역(130)은 제 1 파이프 외주면(110)의 둘레를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영역(130)은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지니는 원 형상을 지닐 수 있다. 걸림 영역(130)은 제 1 파이프(100)와 커넥터부(300, 도 4a 참조)가 결합되는 경우, 커넥터부(300, 도 4a 참조)의 안착 영역(322, 도 4a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파이프(100)는 외층(미도시) 및 내층(미도시)을 포함하는 다층 배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이프(100)의 외층(미도시)은 폴리아미드 6(polyamide 6, PA 6) 재질로 형성되고, 제 1 파이프(100)의 내층(미도시)은 폴리아미드 612(polyamide 612, PA 612)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6 재질은 물리적 강성이 높고 전기 전도도가 낮은 재질이므로, 제 1 파이프(100)의 외층(미도시)을 폴리아미드 6 재질로 형성할 경우, 제 1 파이프(100)의 물리적 강성 및 전기적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아미드 612 재질은 냉매에 대한 투과성이 낮은 재질이므로, 제 1 파이프(100)의 내층(미도시)을 폴리아미드 612 재질로 형성할 경우, 제 1 파이프(100)의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외부로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파이프(2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파이프(200)는 제 2 파이프 외주면(210) 및 제 2 파이프 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는 비니어(veneer)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니어(veneer) 타입은 복수 개의 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비니어 타입으로 형성되는 제 2 파이프(200)는 외측에서부터 외층 고무층, 편조층, 제 1 내층 고무층, 폴리아미드 수지층 및 제 2 내층 고무층의 다섯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파이프(200)는 내부에 제 2 파이프 개구(220)를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는 커넥터부(300, 도 4b 참조)의 제 2 연결부(330, 340, 도 4b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파이프(200)는 내측에 유체가 이동되는 제 2 파이프 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는 제 2 파이프(200)의 일단부에서 커넥터부(300, 도 4b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와 커넥터부(300, 도 4b 참조)가 결합되는 경우, 제 2 파이프(200)는 외측(예를 들어, 제 2 파이프(200)의 외주면)에서 커넥터부(300, 도 4b 참조)의 외측 연결부(330, 도 4b 참조)와 접할 수 있으며, 내측(예를 들어, 제 2 파이프(200)의 내주면)에서 커넥터부(300, 도 4b 참조)의 내측 연결부(340, 도 4b 참조)와 접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를 도 3a와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커넥터부(300)는 고정 영역(310), 제 1 연결부(320), 제 2 연결부(330, 340) 및/또는 커넥터부 개구(350, 3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 2 연결부(330, 340)는 외측 연결부(330) 및 내측 연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은 커넥터부(300)의 제 1 연결부 개구(360)에서 내측 연결부 개구(35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는 적어도 일부에 고정 영역(3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영역(310)은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영역(310)은 내부에 고정 안착면(311, 도 7a 참조) 및 고정 접촉면(312, 도 7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의 회전 방지 영역(120)이 고정 안착면(311, 도 7a 참조)에 안착되어 제 1 파이프(10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연결부(320)는 고정 영역(310)의 일단에 위치하고, 제 2 연결부(330, 340)는 고정 영역(31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는 내측에 유체가 이동되는 커넥터부 개구(350, 36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 개구(350, 360)는 내측 연결부 개구(350) 및 제 1 연결부 개구(36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연결부 개구(350)는 내측 연결부(340)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이며, 제 1 연결부 개구(360)는 제 1 연결부(320) 내부에 형성되는 개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 기준으로 고정 영역(310)의 길이는 제 1 연결부(320) 및 제 2 연결부(330, 34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는 제 1 연결부(320)에서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연결부(330, 340)에서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는 제 1 연결부(320)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연결부 개구(3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는 내측 연결부 개구(35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는 제 1 연결부(320)에서 원터치(onetouch) 체결 구조를 포함하여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부(320)는 가변 영역(321), 안착 영역(322) 및/또는 체결 조정 영역(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320)와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가 결합되는 경우,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의 사용자는 체결 조정 영역(323)을 제 1 연결부(320)의 내측 방향으로 누르거나,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를 가변 영역(321)에 밀착시켜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가변 영역(321)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체결 조정 영역(323)이 제 1 연결부(320)의 내측 방향으로 눌리거나 가변 영역(321)에 직접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가변 영역(321)이 제 1 연결부(32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변 영역(321)이 제 1 연결부(32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가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가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의 걸림 영역(130, 도 2a 참조)이 제 1 연결부(320)의 안착 영역(322)에 안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의 제 2 연결부(330, 34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를 설명하는데 있어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은 커넥터부(300)의 제 1 연결부 개구(360)에서 내측 연결부 개구(35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는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연결부(320), 고정 영역(310), 제 2 연결부(330, 34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영역(310)의 일단에는 제 1 연결부(320)가 배치되고, 고정 영역(310)의 타단에는 제 2 연결부(330, 34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부(330, 340)는 외측 연결부(330) 및 내측 연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연결부(330)는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내측 연결부(340)는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제 2 파이프 개구(220, 도 3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외측 연결부(330)는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정해진 직경을 지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연결부(330)는 볼록 영역(331) 및 오목 영역(332)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 영역(331)은 외측 연결부(330)의 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록 영역(331)은 오목 영역(332)에 비하여 외측 연결부(330)의 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 영역(331)에서 외측 연결부(330)의 직경은 오목 영역(332)에서 외측 연결부(330)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연결부(330)는 볼록 영역(331) 및 오목 영역(332)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볼록 영역(331) 및 오목 용역(332)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2개의 오목 영역(332) 사이에 볼록 영역(331)이 배치될 수 있다. 오목 영역(332)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볼록 영역(331)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가 커넥터부(300)의 제 2 연결부(330, 340)에 결합되는 경우, 외측 연결부(330)의 오목 영역(332)은 제 2 파이프(200)를 내측 연결부(340) 방향으로 압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내측 연결부(340)는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개구(예를 들어, 내측 연결부 개구(350))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외측 연결부(330)는 내측 연결부(340)의 외곽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연결부(330)와 내측 연결부(340) 사이에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가 배치될 수 있는 연결 공간(37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와 커넥터부(3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는 연결 공간(370)에 배치되며 제 2 연결부(330, 34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내측 연결부(340)는 적어도 일부에 오링(o-ring)(341)을 포함할 수 있다. 오링은 원형 고리 형상을 지닐 수 있으며, 기밀을 요구하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오링은 탄력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장착되는 장치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연결부(340)는 오링(341)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내측 연결부(340)는 오링(341)을 2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링(341)은 복수 개가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오링(341)은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 기준으로 외측 연결부(330)의 볼록 영역(331)이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링(341)의 외측 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외측 연결부(330)의 볼록 영역(331)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연결부(340)는 오링 홈(342)을 포함할 수 있다. 오링 홈(342)은 내측 연결부(340)의 일면에서 오목한 형상을 지니며, 오링(341)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링(341)은 내측 연결부(340)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오링(341)의 내경 직경은 오링 홈(342)의 외경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가 제 2 연결부(330, 340)에 결합되는 경우, 오링(341)은 탄성력을 통해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의 내주면과 내측 연결부(340)의 외주면에 동시에 밀착될 수 있다. 오링(341)은 탄성력을 통해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 및 내측 연결부(340)에 밀착되어 제 2 파이프(200, 도 3 참조) 및 내측 연결부(340)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외측 연결부(330)는 외측 연결부(330)의 일단에 걸림턱(33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연결부(340)는 걸림턱(333)이 배치될 수 있는 걸림홈(343)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연결부(330)의 걸림턱(333)이 내측 연결부(340)의 걸림홈(343)에 배치되어 외측 연결부(330)와 내측 연결부(34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 도 4b 참조)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 도 5a 참조)의 고정 영역(310)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 도 5a 참조)의 제 1 연결부(320)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b에 도시된 커넥터부(300)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커넥터부(300)는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연결부(320), 고정 영역(310), 제 2 연결부(330, 34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연결부(320)는 가변 영역(321) 및 안착 영역(32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영역(322)은 가변 영역(321)을 기준으로 제 2 연결부(330, 340)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 도 1 참조)의 사용자는 체결 조정 영역(323, 도 6c 참조)을 제 1 연결부(320)의 내측 방향으로 누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변 영역(321)이 제 1 연결부(32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b는 도 5a에 도시된 커넥터부(300)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고정 영역(310)은 적어도 일부에 고정 안착면(311) 및 고정 접촉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고정 영역(310)의 단면은 둘레 방향으로 정해진 두께를 지니는 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고정 영역(310)의 단면에서 외부에 위치한 원은 고정 영역(310)의 외주이고, 내부에 위치한 원은 고정 영역(310)의 내주일 수 있다.
고정 접촉면(312)은 고정 영역(310)의 내주의 일 지점에서 내주의 다른 일 지점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고정 영역(310)의 내주의 일측에 고정 안착면(3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안착면(311)은 고정 영역(310)의 내주에서 고정 접촉면(312)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안착면(311)은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와 커넥터부(3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의 회전 방지 영역(120, 도 2a 참조)의 제 1 접촉 영역(121, 도 2a 참조)이 접촉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와 커넥터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의 외부에서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에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 영역(310)의 내주면에 의하여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의 제 1 접촉 영역(121, 도 2a 참조)의 움직임이 차단될 수 있다. 제 1 접촉영역(121, 도 2a 참조)의 움직임이 차단되어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의 회전도 방지될 수 있다.
도 6c는 도 5a에 도시된 커넥터부(300)의 D-D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 1 연결부(320)는 내부에 가변 영역(321)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영역(321)은 제 1 연결부(320)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연결부 개구(360)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320)와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가 결합되는 경우,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 도 1 참조)의 사용자는 체결 조정 영역(323)을 제 1 연결부(320)의 내측 방향(예를 들어, 제 1 연결부 개구(360)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르거나,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를 가변 영역(321)에 밀착시켜 가변 영역(321)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체결 조정 영역(323)이 제 1 연결부(320)의 내측 방향으로 눌리거나 가변 영역(321)에 직접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가변 영역(321)이 제 1 연결부(320)의 외측 방향(예를 들어, 제 1 연결부 개구(360)의 반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변 영역(321)이 제 1 연결부(32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가 커넥터부(300, 도 5a 참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00)의 고정 영역(3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고정 영역(310)의 E-E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영역(310)은 적어도 일부에 고정 안착면(311) 및 고정 접촉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안착면(311) 및 고정 접촉면(312)은 고정 영역(31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영역(310)의 고정 접촉면(312)은 고정 접촉면(312)의 일면이 고정 영역(310)의 내측을 향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접촉면(312)은 고정 영역(310)의 내주면의 일 지점에서 내주면의 다른 일 지점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안착면(311)은 고정 영역(310)의 내주면에서 고정 접촉면(312)으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고정 영역(310)은 제 1 고정면(313), 제 2 고정면(314) 및/또는 제 3 고정면(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면(313)은 고정 접촉면(312)의 일측에서 내측 연결부(340)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면(314)은 고정 접촉면(312)의 타측 및 고정 안착면(311)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 접촉면(312)과 고정 안착면(311)을 연결하는 곡면의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 고정면(315)은 고정 안착면(311)의 타측에서 곡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면(313), 제 2 고정면(314) 및 제 3 고정면(315)이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파이프(100, 도 1 참조)와 커넥터부(300, 도 1 참조)가 연결되는 경우, 제 1 파이프(100, 도 1 참조)가 커넥터부(300, 도 1 참조)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면(313), 제 2 고정면(314) 및 제 3 고정면(315)은 곡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파이프(100, 도 1 참조)와 커넥터부(300, 도 1 참조)의 연결로 인해 과도한 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파이프(100, 도 1 참조)와 커넥터부(300, 도 1 참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와 커넥터부(300)가 결합되는 경우, 커넥터부(300)의 고정 영역(310)에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의 회전 방지 영역(120, 도 2a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의 회전 방지 영역(120, 도 2a 참조)이 고정 영역(310)의 고정 안착면(311) 및 고정 접촉면(312)에 배치되어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이프(100, 도 2a 참조)와 커넥터부(300)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 안착면(311)은 회전 방지 영역(120, 도 2a 참조)의 제 1 접촉 영역(121, 도 2a 참조)과 접할 수 있으며, 고정 접촉면(312)은 회전 방지 영역(120, 도 2a 참조)의 제 2 접촉 영역(122, 도 2a 참조)과 접할 수 있다. 고정 안착면(311)은 회전 방지 영역(120, 도 2a 참조)의 제 1 접촉 영역(121, 도 2a 참조)과 대응되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의 E-E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커넥터 구조(10)는 제 1 파이프(100), 제 2 파이프(200) 및/또는 커넥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는 파이프 외주면(110), 회전 방지 영역(120), 걸림 영역(130) 및/또는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는 내부에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를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 내부에 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는 제 1 개구(140) 및 제 2 개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개구(140)는 커넥터부(400)와 연결되는 제 1 파이프(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개구일 수 있다. 제 2 개구(150)는 제 1 파이프(1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개구일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는 제 1 파이프 외주면(110)에서 커넥터부(400)의 제 1 연결부(42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 영역(120)은 제 1 접촉 영역(121, 도 2a 참조) 및 제 2 접촉 영역(122, 도 2a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접촉 영역(121, 도 2a 참조)은 제 1 파이프(100)의 길이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접촉 영역(121, 도 2a 참조)의 단면은 원의 두 지점을 잇는 현과 현의 양단을 잇는 원의 둘레를 포함하는 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접촉영역(122, 도 2a 참조)은 제 1 개구(14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개구(140)는 원 형상 개구의 일측이 절단되어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 2 접촉영역(122, 도 2a 참조)은 이러한 절단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 접촉 영역(122, 도 2a 참조)은 제 1 접촉 영역(121, 도 2a 참조)과 연결되며, 제 1 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접촉영역(122, 도 2a 참조)은 제 1 파이프 외주면(110)에 비하여 제 1 파이프(100)의 내측 방향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a,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제 1 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 영역(13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영역(130)은 제 1 파이프 외주면(11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영역(130)은 제 1 파이프 개구(140, 15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지니는 원 형상을 지닐 수 있다. 걸림 영역(130)은 제 1 파이프(100)와 커넥터부(400)가 결합되는 경우, 커넥터부(400)의 안착 영역(422)에 안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파이프(200)는 제 2 파이프 외주면(210) 및 제 2 파이프 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파이프(200)는 내부에 제 2 파이프 개구(220)를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파이프 개구(220) 내부에 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는 커넥터부(400)의 제 2 연결부(43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 및 제 2 파이프(20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파이프(100) 및 제 2 파이프(200)는 외층(미도시) 및 내층(미도시)을 포함하는 다층 배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파이프(100) 및 제 2 파이프(200)의 외층(미도시)은 폴리아미드 6(polyamide 6, PA 6) 재질로 형성되고, 제 1 파이프(100) 및 제 2 파이프(200)의 내층(미도시)은 폴리아미드 612(polyamide 612, PA 612)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파이프(100) 및 제 2 파이프(20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가 경량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400)는 고정 영역(410), 제 1 연결부(420), 제 2 연결부(430) 및/또는 커넥터부 개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부(400)는 커넥터부(400)의 일단에서 제 1 파이프(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400)의 타단에서 제 2 파이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부(400)와 제 1 파이프(1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파이프(100)는 커넥터부(4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연결부(420)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400)와 제 2 파이프(2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2 파이프(200)는 체결 부(40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2 연결부(430)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400)는 제 1 연결부(420)에서 원터치(onetouch) 체결 구조를 포함하여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제 1 파이프(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영역(410)은 내부에 고정 안착면(411) 및 고정 접촉면(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의 회전 방지 영역(120)이 고정 영역(410)의 고정 안착면(411) 및 고정 접촉면(412)에 배치되어 제 1 파이프(10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이프(100)와 커넥터부(400)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 안착면(411)은 회전 방지 영역(120)의 제 1 접촉 영역(121, 도 1a 참조)과 접할 수 있으며, 고정 접촉면(412)은 회전 방지 영역(120)의 제 2 접촉 영역(122, 도 1a 참조)과 접할 수 있다. 고정 안착면(411)은 회전 방지 영역(120)의 제 1 접촉 영역(121, 도 1a 참조)과 대응되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400)는 내측에 유체가 이동되는 커넥터부 개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 개구(440)는 고정 영역(410), 제 1 연결부(420) 및 제 2 연결부(430)의 내부에서 연결되며 형성될 수 있다.
도 8a,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제 1 연결부(420)는 고정 영역(41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420)는 내부에 커넥터부 개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 개구(440)의 크기는 제 1 파이프(100)의 제 1 개구(14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와 커넥터부(4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연결부(420)는 제 1 파이프(100)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420)는 가변 영역(421), 안착 영역(422) 및 체결 조정 영역(423)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영역(421)은 제 1 연결부(420) 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부 개구(440)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이프(100)와 커넥터부(40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파이프(100)의 걸림 영역(130)은 제 1 연결부(420)의 안착 영역(422)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10)의 사용자는 체결 조정 영역(423)을 제 1 연결부(420)의 내측 방향으로 누르거나, 제 1 파이프(100)를 가변 영역(321)에 밀착시켜 커넥터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가변 영역(421)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체결 조정 영역(423)이 제 1 연결부(420)의 내측 방향으로 눌리거나 가변 영역(421)에 직접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가변 영역(421)이 제 1 연결부(42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변 영역(421)이 제 1 연결부(42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 1 파이프(100)가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파이프(100)가 커넥터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 1 파이프(100)의 걸림 영역(130)이 제 1 연결부(420)의 안착 영역(422)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연결부(430)는 고정 영역(41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430)는 제 2 파이프(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430)는 제 2 파이프(200)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부(400)는 제 2 파이프(200)의 일단부와 레이저 에너지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융착시키는 레이저 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부(400)는 제 2 연결부(430)에서 제 2 파이프(200)와 레이저 융착에 의하여 접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파이프(200)는 레이저 빔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레이저 흡수성 안료가 첨가된 레이저 흡수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430)는 레이저 빔 에너지를 투과할 수 있는 레이저 투과성 안료가 첨가된 투과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의 일단부가 제 2 연결부(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연결부(430)의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에너지가 제 2 연결부(430)를 투과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는 제 2 연결부(430)를 투과한 레이저 빔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제 2 파이프(200)는 흡수한 레이저 빔 에너지를 통해 제 2 연결부(430)와 레이저 융착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레이저 빔 에너지가 레이저 빔을 흡수하는 제 2 파이프(200)에 포함된 분자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활성화된 분자들의 운동에너지에 의해서 발생된 열이 제 2 연결부(430)의 적어도 일부를 용융시킬 수 있다. 제 2 연결부(430)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며, 제 2 연결부(430)와 제 2 파이프(200)가 열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430)와 제 2 파이프(200)가 레이저 융착법으로 상호 접합되어 손상 및 불량(예를 들어, 변형, 단차, 타공 등의 발생)없이 서로 강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개시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8)

  1.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걸림 영역, 회전 방지를 위한 회전 방지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제 1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파이프;
    비니어(veneer) 타입으로 형성되며, 유체가 이동되는 제 2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2 파이프; 및
    일단에서 제 1 파이프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제 2 파이프와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파이프와 원터치(onetouch)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파이프와 연결되며,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오링(o-ring)을 포함하는 제 2 연결부;
    일단에 상기 제 1 연결부가 위치하고, 타단에 상기 제 2 연결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이 안착되는 고정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커넥터부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은
    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길이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촉 영역 및
    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이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연결되는 제 2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의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이 안착되는 고정 안착면을 포함하는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파이프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 2 파이프 개구에 삽입되는 내측 연결부; 및
    상기 제 2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외측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제 2 파이프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오링(o-ring)을 복수 개 포함하는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결부는
    상기 외측 연결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링의 외측 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는 볼록 영역 및
    상기 제 2 파이프를 압착할 수 있는 오목 영역을 포함하는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6.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걸림 영역, 회전 방지를 위한 회전 방지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제 1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1 파이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유체가 이동되는 제 2 파이프 개구를 포함하는 제 2 파이프; 및
    일단에서 제 1 파이프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제 2 파이프와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파이프와 원터치(onetouch)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파이프와 레이저 융착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부;
    일단에 상기 제 1 연결부가 위치하고, 타단에 상기 제 2 연결부가 위치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이 안착되는 고정 영역; 및
    유체가 이동되는 커넥터부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은
    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이프의 길이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촉 영역 및
    상기 제 1 파이프 개구의 일측이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연결되는 제 2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영역은
    상기 회전 방지 영역의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며, 상기 제 1 접촉 영역과 접촉되는 고정 안착면을 포함하는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이프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는 레이저 흡수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상기 제 2 연결부는 레이저 투과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파이프의 일단부가 상기 제 2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결부의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에너지가 상기 제 2 연결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 2 파이프로 흡수되어, 상기 제 2 파이프와 상기 제 2 연결부 간의 레이저 융착에 의한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KR1020210163619A 2021-11-24 2021-11-24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KR20230076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619A KR20230076553A (ko) 2021-11-24 2021-11-24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619A KR20230076553A (ko) 2021-11-24 2021-11-24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553A true KR20230076553A (ko) 2023-05-31

Family

ID=8654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619A KR20230076553A (ko) 2021-11-24 2021-11-24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5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5985B2 (en) Air intak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089998B2 (en) Resiliently bonded heat exchanger
JP4673917B2 (ja) 航空機の空調用空気管路
KR20060113387A (ko) 수지제 관 연결 유닛
EP0546242B1 (en) Flexible connector
US20100226805A1 (en) Refrigerant compressor
KR0175285B1 (ko) 두개의 관형 도관부위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
CN105627014A (zh) 改进的联接装置
JP7072052B2 (ja) 接合された接続部を有するパイプ装置
EP4000974B1 (en) Piping system for an air conditioner
KR20210125669A (ko) 에어컨 배관 시스템
KR20230076553A (ko) 전기차 에어컨 배관용 퀵 커넥터 구조
JP4624345B2 (ja) プラスチック管継手
US6978765B2 (en) Fuel system with press fit plug assembly
CN1107181C (zh) 具有可伸缩阀元件的塑料阀的制造方法
US7879178B2 (en) Method of producing hollow plastic components
CN108087248B (zh) 压缩机和制冷设备
JP2008075695A (ja) ホース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7130686U (zh) 管接头和管组件
KR100568879B1 (ko) 파이프 연결구
JP6095554B2 (ja) 放熱パイプ
KR1022170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접착제-프리 연결장치 및 접착 -프리 연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 배관 시공방법
JP5508200B2 (ja) 配管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3524A (ja) 配管の接続構造および配管の接続方法
KR20100134499A (ko) 파이프 접속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